만전춘 별사 해석 | [수선국어 고전문학 시리즈 016] 고려가요 만전춘별사 한번에 정리하기 (작자미상) (원문 해설, 해석) 답을 믿으세요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만전춘 별사 해석 – [수선국어 고전문학 시리즈 016] 고려가요 만전춘별사 한번에 정리하기 (작자미상) (원문 해설, 해석)“?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수선국어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198회 및 좋아요 2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여하튼 이 만전춘별사는 임에 대한 사랑을 열정적이고,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있지요. 또한 다른 여자에게 가는 임에 대한 질투와 원망도 담겨 있고요. 이 작품에서 특히 중요한 부분이 2연과 5연이 반복구를 제외하면 시조의 형식과 흡사하다는 점입니다.

Table of Contents

만전춘 별사 해석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수선국어 고전문학 시리즈 016] 고려가요 만전춘별사 한번에 정리하기 (작자미상) (원문 해설, 해석) – 만전춘 별사 해석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수선국어 고전문학 시리즈 016] 고려가요 만전춘별사 한번에 정리하기 (작자미상) (원문 해설, 해석)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in.naver.com/829ssk
https://www.youtube.com/c/수선국어
http://blog.naver.com/godspurpose
http://naver.me/GAgorwSm
https://tv.naver.com/829ssk

만전춘 별사 해석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작자 미상의 ‘만전춘별사’ 해설(2014 ebs 수능특강-B형)

작자 미상의 ‘만전춘별사’ 해설(2014 ebs 수능특강-B형) · 1. 제목으로 감상 전략 세우기: (두드러지지 않음) · 2. 화자: · 3. 시적 대상: · 4. 배경: · 5.

+ 여기에 표시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2/16/2021

View: 9168

수능특강,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해설 해석 분석

문학을 분석하는 선생, 문분선 수능특강,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_작자 미상 오늘은 고려가요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unbunseon.tistory.com

Date Published: 11/16/2021

View: 9197

만전춘 – 나무위키:대문

역사적으로도 의미가 큰데, 4음보 율격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해서, 전형적인 고려가요라기 보다는 이후의 시조의 배경이 된 것으로 이해하는 입장도 …

+ 더 읽기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4/23/2022

View: 3753

수능완성 – 만전춘별사 정리 및 해제

(해석 1. 함께 하자고 우기던 사람이 누구였습니까? – 넋이라도 임과 함께 지내고 싶음을 강조하면서, 함 께 있지 못한 현실을 두고 임을 원망함. 2. ‘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mgkrlab.tistory.com

Date Published: 10/30/2022

View: 6375

만전춘별사/미상/고려가요 – 간결한 정리와 작품 감상 by황소걸음

아아 임이시여, 평생에 이별할 줄 모르고 지내십시다. <해설>. 남녀 간의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korstudy.tistory.com

Date Published: 8/17/2022

View: 9792

[악장가사] 연못이 얼면 여울도 좋으니 …「만전춘(별사)」

인간의 진솔한 감정을 드러내고 있는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 (오리, 여울, 소 등에 대한 해석이 다소 엇갈리기는 하지만) 오리는 떠나간 …

+ 여기에 표시

Source: kkumai.tistory.com

Date Published: 1/29/2022

View: 6637

만전춘별사 뜻 시조 기출 분석 – ujube75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 만전춘별사. ① 한자 그대로는 궁궐에 봄이 가득하다는 뜻으로 태평성대를 지칭. 나라 전체에 봄이 가득함으로 해석.

+ 더 읽기

Source: sixdownman0.tistory.com

Date Published: 10/15/2022

View: 3371

만전춘 별사 해석 별사 hwp 해석 원문 – gksdkfma72

만전춘 별사 해석. 만전춘. 최근 수정 시각 20190422 095635 역사적으로도 의미가 큰데, 4음보 율격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해서, 전형적인 고려 …

+ 여기를 클릭

Source: rd88002.tistory.com

Date Published: 9/18/2021

View: 22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만전춘 별사 해석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수선국어 고전문학 시리즈 016] 고려가요 만전춘별사 한번에 정리하기 (작자미상) (원문 해설, 해석).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수선국어 고전문학 시리즈 016] 고려가요 만전춘별사 한번에 정리하기 (작자미상) (원문 해설, 해석)
[수선국어 고전문학 시리즈 016] 고려가요 만전춘별사 한번에 정리하기 (작자미상) (원문 해설, 해석)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만전춘 별사 해석

  • Author: 수선국어
  • Views: 조회수 2,198회
  • Likes: 좋아요 21개
  • Date Published: 2020. 7. 27.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jgM1NtxKO5k

수능완성 만전춘별사 해설

오늘 설명드릴 작품은 고려 가요인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입니다.

올해 수능완성에 수록되었습니다.

이 작품의 제목부터 설명을 드리면, 봄날의 이별 노래 정도 되겠네요.

쌍화점, 이상곡, 만전춘별사 이렇게 세 작품을 대표적인 ‘남녀상열지사’ 작품으로 봅니다.

남녀 간의 사랑을 노골적으로 이야기한 작품을 남녀상열지사라고 하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웬만한 유행가보다도 우회적입니다. ^^

여하튼 이 만전춘별사는 임에 대한 사랑을 열정적이고,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있지요.

또한 다른 여자에게 가는 임에 대한 질투와 원망도 담겨 있고요.

이 작품에서 특히 중요한 부분이 2연과 5연이 반복구를 제외하면 시조의 형식과 흡사하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시조 형식의 기원이 된다고 보는 학자들도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해설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핵심 정리

갈래: 고려 가요

성격: 연가적, 남녀상열지사, 향락적, 퇴폐적, 노골적, 격정적

형식: 전 6연의 분연체(5연과 6연을 합쳐 전 5연으로 보기도 함)

주제: 임과의 영원한 사랑에 대한 소망

특징:

참신한 비유와 상징 등으로 뛰어난 문학성을 보여 줌

과장법과 반복법을 통해 임에 대한 화자의 사랑을 강렬하게 표현함

대조의 방식을 통해 화자의 고독한 심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쌍화점’, ‘이상곡’과 함께 고려 가요 중 ‘남녀상열지사’의 대표작

당대 유행하는 여러 이질적이고 독립적인 노래를 궁중의 속악 가사로 합성하여 성립된 것으로 보임

2연과 5연은 반복구를 제외하면 시조 형식에 근접함(시조 형식의 기원이 된다고 보기도 함)

해제:

임에 대한 사랑을 직설적으로 표현한 대표적인 남녀상열지사로 시조 형식의 기원을 찾는 자료로 주목을 받고 있음

작자 미상의 ‘만전춘별사’ 해설(2014 ebs 수능특강-B형)

작자 미상의 ‘만전춘별사’ 해설(2014 ebs 수능특강-B형)

◈ 작품 읽기

1) 산을 보는 감상(작품을 읽으며 주요 내용 파악하기)

1. 제목으로 감상 전략 세우기: (두드러지지 않음) 2. 화자: 3. 시적 대상: 4. 배경: 5. 시적 상황: 긍정적 ▢ 부정적 ▢ 6. 정서: 또는 7. 태도:

2) 나무를 보는 감상(해당 시어가 긍정인지, 부정인지 판단해 보기)

– 1연의 ‘댓닢’(○, △)

– 2연의 ‘도화’(○, △)

– 4연의 ‘올(오리)’(○, △)

– 5연의 ‘남산’(○, △)

◈ 설명하기

1) 산을 보는 감상

1. 제목으로 감상 전략 세우기: (두드러지지 않음) 2. 화자: 임에 대한 변치 않는 사랑을 지닌 나(원망의 정서가 부분적으로 드러남) 3. 시적 대상: 임(오리에 비유됨) 4. 배경: 계절적 – 봄(2연) 공간적 – 화자의 방(2연) 5. 시적 상황: 임과 이별 후 임과 함께 하는 상황을 가정해 변치 않는 태도를 드러냄. 긍정적 ▢ 부정적 ☑ (임과의 단절, 대상의 부재라는 상황을 고려할 때) 6. 정서: 외로움, 그리움, 임과 함께 하고 싶은 간절한 소망 또는 7. 태도: 변치 않는 태도(3, 4연에 원망의 정서가 드러나기도 함)

2) 나무를 보는 감상

– 1연의 ‘댓닢’(△) : 작품 세부 설명 참고

– 2연의 ‘도화’(△) : 작품 세부 설명 참고

– 4연의 ‘올(오리)’(△) : 작품 세부 설명 참고

– 5연의 ‘남산’(○) : 작품 세부 설명 참고

◈ 해설

들어가며 : 조선 시대 유학자들에게 남녀상열지사로 불리던 작품입니다. 남녀 간의 사랑을 주제로 하고 있고, 무엇보다 인간의 진솔한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낸 작품입니다. 시적 대상에 대한 화자의 정서와 태도를 중심으로 작품을 감사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각 연을 나눠서 설명합니다~

(1연)

얼음 위에 댓닢 자리 보아 님과 나와 얼어 죽을망정 얼음 위에 댓닢 자리 보아 님과 나와 얼어 죽을망정 정(情) 둔 오늘 밤 더디 새오시라 더디 새오시라

해석

얼음 위에 댓잎 자리 펴서 님과 나와 얼어 죽을망정 얼음 위에 댓잎 자리 펴서 님과 나와 얼어 죽을망정 정 둔 오늘 밤 더디 새소서, 더디 대소서.

해설

: ‘얼음’과 ‘댓잎’은 모두 차가운 속성을 지니는 것들로 ‘좋은 않은 잠자리’를 의미합니다. 화자는 이렇게 좋지 않은 잠자리에서 설령 얼어 죽는다 하더라도 임과 함께 하는 밤이라면 더디 새기를 바란다며 임과 함께 하고 싶은 간절한 소망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죽음보다 임과의 사랑을 선택하겠다는 화자의 모습에서 임에 대한 간절한 태도와 적극적인 면모를 엿볼 수 있습니다.

(2연)

경경(耿耿) 고침상(孤枕上)에 어느 잠이 오리오 서창(西窓)을 열어하니 도화(桃花)가 발(發)하도다 도화는 시름없어 소춘풍(笑春風)하도다 소춘풍하도다

해석

근심 어린 외로운 침상에 어찌 잠이 오리오. 서쪽 창을 여니 복숭아꽃이 피는구나. 복숭아꽃은 시름없어 봄바람에 웃는구나, 봄바람에 웃는구나.

해설

: 첫 행에서는 시름으로 인해 잠 못 이루는 화자의 외로운 처지가 드러나 있습니다. 이때 시름은 임과의 이별로 인해 생겨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서창을 열어 본 활짝 핀 ‘도화’는 ‘시름 없’고, 봄바람에 웃고 있는 모습에서 화자와 대비를 이루며 외로움으로 시름 겨워하는 화자의 처지와 정서를 부각하고 있습니다.

◎ 관련 작품

– 유리왕의 ‘황조가’

훨훨 나는 꾀꼬리는

암수 다정히 즐기는데,

외로울사 이 내 몸은

뉘와 함께 돌아갈꼬.

(3연)

넋이라도 님을 한데 녀닛 경(景)을 여겼더니 넋이라도 님을 한데 녀닛 경(景)을 여겼더니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뉘러시니잇가

해석

넋이라도 님과 함께 지내겠다고 여겼는데 넋이라도 님과 함께 지내겠다고 여겼는데 우기시던 이 누구입니까? 누구입니까?

해설

: 정서가 쓴 ‘정과정’의 일부 내용인 ‘넉시라도 님과 함께 녀져라 아으 /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와 유사합니다. 의미 또한 같은데, 이별한 임과 넋이라도 임과 함께 지내고 싶다는 화자의 말에서 임에 대한 간절하고 변치 않는 태도를 읽어낼 수 있고, 3행에서 임과의 이별이 자신의 뜻이 아니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라는 물음에는 임에 대한 화자의 원망이 담겨 있다고 볼 수 있지요.

(4연)

올하 올하 아련 비올하 여울은 어디 두고 소(沼)로 자러 오느냐 소콧 얼면 여울도 좋으니 여울도 좋으니

해석

오리야 오리야 어리석은(또는 연약한) 비오리야. 여울은 어디 두고 연못으로 자러 오느냐? 연못이 얼면 여울도 좋으니, 여울도 좋으니

해설

: 1~3연까지 독백체로 시상을 전개했다면, 4연에서는 오리와 대화하는 방식(1, 2행은 화자의 말, 3행은 ‘오리’의 말)이 쓰였습니다. ‘오리’는 여울과 연못을 이리저리 오가며 자는 존재로 그려져 있는데, 3연과 관련지어 해석할 때 ‘오리’는 임에 대한 변치 않는 태도를 지닌 화자와 대비되는 대상으로 결국, 임을 빗댄 시어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아련’을 ‘어리석다.’로 해석한다면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는 임의 행태를 비판, 원망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여울’과 ‘소(沼)’ 또한 비유적 의미를 쓰인 시어들로 ‘여울’은 화자 자신을, ‘소(沼)’는 다른 여인을 각각 빗대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관련 작품

– 황진이의 ‘산을 녯산이로되~’

山(산)은 녯 山(산)이로되 물은 녯 물이 안이로다.

晝夜(주야)에 흘은이 녯 물이 이실쏜야.

人傑(인걸)도 물과 갓아야 가고 안이 오노매라.

(5연)

남산(南山)에 자리 보아 옥산(玉山)을 베고 누워 금수산(錦繡山) 이불 안에 사향(麝香)각시를 안아 누워 남산에 자리 보아 옥산을 베고 누워 금수산 이불 안에 사향각시를 안아 누워 약(藥) 든 가슴을 맞추옵사이다 맞추옵사이다

해석

남산에 자리를 펴고 옥산을 베고 누워 금수산 이불 아래 사향 각시를 안고 누워 남산에 자리를 펴고 옥산을 베고 누워 금수산 이불 아래 사향 각시를 안고 누워 사향이 든(또는 향기로운) 가슴을 맞춥시다, 맞춥시다.

해설

: ‘남산’과 ‘옥산’, ‘금수산’은 임과 사랑을 나누는 공간으로, 임과 함께 있는 현재 공간을 비유적으로 드러낸 것이 아니라 임과 이별한 시적 상황을 고려할 때, 현재가 아닌 미래의 상황 또는 가정된 상황이라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 같습니다.

결국, ‘사향 각시’가 의미하는 아름다운 여인을 안고 누워 가슴을 맞추며 사랑을 나누고자 하는 것은 화자의 소망이라 할 수 있고, ‘맞추옵사이다’를 반복하며 이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6연)

아소 님하 원대평생(遠代平生)에 여윌 줄 모르옵세

해석

아아, 임이여 영원히 이별할 줄 모르고 지냅시다.

해설

: 영탄적 어조를 통해 임과 이별하지 않고 영원한 사랑을 소망하는 화자의 심정을 드러내며 시상을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 표현상의 특징

1) 대비적인 자연물을 활용해 화자의 처지를 효과적으로 드러냄.

2) 대화체를 사용해 대상에 대한 원망의 태도를 드러냄.

3) 상황을 가정하여 화자의 간절한 소망을 드러냄.

4) 영탄적 어조를 통해 화자의 고조된 감정을 드러냄.

◈ 관련 작품(사고 넓히기)

– 임과의 이별을 거부하는 적극적인 태도가 드러나는 작품

1) 작자미상의 ‘서경별곡’

수능특강,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해설 해석 분석

반응형

문학을 분석하는 선생, 문분선

수능특강,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_작자 미상

오늘은 고려가요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만전춘별사’는 대표적인 ‘남녀상열지사’

작품입니다.

‘남녀상열지사’는 쉽게 말씀드리면,

남녀가 연애하는 이야기를 노골적으로

표현한 작품을 의미합니다.

고려가요는 평민, 서민층이 만들고

즐겼던 갈래이기에 아무래도 표현히

솔직하고 직설적인 작품들이 많지요.

이 작품은 이러한 고려가요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선 제목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의

의미를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각에 가득 찬 봄날의 이별 노래’입니다.

결국 임에 대한 사랑과 이별의 슬픔을

노래한 작품이지요.

작품의 특징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후렴구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고려가요는 보통 후렴구가 있지요.

그리고 내용이 유기적으로 짜여 있다고

보기 힘들고 통일성이 약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학자들은 여러 가지의

독립적인 노래를 합쳐서 한 작품으로

엮은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주요 특징으로는 2연과 5연은

반복되는 구절을 제외하면 4 음보의

3장 6구 형식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시조 형식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지요.

그래서 시조 형식의 기원으로 보기도

합니다.

본문의 내용은 제가 아래 자료에

정리해 놓았습니다.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2022년 EBS 수능특강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munbunseon.tistory.com/124

만전춘별사 핵심 정리

갈래: 고려 가요

성격: 연가적, 남녀상열지사, 향락적, 퇴폐적, 노골적, 격정적

형식: 전 6연의 분연체(5연과 6연을 합쳐 전 5연으로 보기도 함)

주제: 임과의 영원한 사랑에 대한 소망

특징:

참신한 비유와 상징 등으로 뛰어난 문학성을 보여 줌

과장법과 반복법을 통해 임에 대한 화자의 사랑을 강렬하게 표현함

대조의 방식을 통해 화자의 고독한 심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쌍화점’, ‘이상곡’과 함께 고려 가요 중 ‘남녀상열지사’의 대표작

당대 유행하는 여러 이질적이고 독립적인 노래를 궁중의 속악 가사로 합성하여 성립된 것으로 보임

2연과 5연은 반복구를 제외하면 시조 형식에 근접함(시조 형식의 기원이 된다고 보기도 함)

만전춘별사 해제

임에 대한 사랑을 직설적으로 표현한 대표적인 남녀상열지사로 시조 형식의 기원을 찾는 자료로 주목을 받고 있음

만전춘별사 상세 설명

해설 이미지를 마우스로 클릭하시면

잘 보입니다.

만전춘별사 해설_1

만전춘별사 해설_2

반응형

수능완성 – 만전춘별사 정리 및 해제

반응형

수능완성 – 만전춘별사 정리 및 해제

수능완성 – 만전춘별사 정리 및 해제입니다.

정리본 원본이 필요하신 분은 카페로 와서 받아가세요.

https://cafe.naver.com/koreanlaboratory/953

만 전 춘 별사(滿殿春 別詞)

어름 우희 댓닙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 주글만뎡 어름 우희 댓닙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 주글만뎡 情둔 오밤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 얼음 위에 댓잎 자리 만들어 님과 내가 얼어 죽을 망정 얼음 위에 댓잎 자리 만들어 님과 내가 얼어 죽을 망정 정 나눈 오늘 밤 더디 새시라 더디 새시라 耿耿(경경) 孤枕上(고침상)애 어느 미 오리오 西窓(서창)을 여러니 桃花(도화)ㅣ 發(발)두다 桃花 시름업서 笑春風(소춘풍)다 笑春風다 뒤척 뒤척 외로운 침상에 어찌 잠이 오리오 서창을 열어보니 복사꽃 피었도다 복사꽃은 시름 없이 봄바람을 비웃네, 봄바람을 비웃네. 넉시라도 님을  녀닛景(경) 너기다니 넉시라도 님을  녀닛景 너기다니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뉘러시니잇가 넋이라도 님과 함께 지내는 모습 그리더니(지낼까 여겼더니) 넋이라도 님과 함께 지내는 모습 그리더니 우기시던 이 누구입니까 누구입니까 올하 올하 아련 비올하 여흘란 어듸 두고 소해 자라온다 소콧 얼면 여흘도 됴니 여흘도 됴니 오리야 오리야 어린 비오리야 여울일랑 어디 두고 못(沼)에 자러 오느냐 못이 얼면 여울도 좋거니 여울도 좋거니 南山(남산)애 자리 보와 玉山(옥산)을 벼여 누어 錦繡山(금수산) 니블 안해 麝香(사향) 각시를 아나 누어 藥(약)든 가을 맛초사이다 맛초사이다 남산에 자리 보아 옥산을 베고 누워 금수산 이불 안에 사향 각시를 안고 누워 약 든 가슴을 맞추옵시다 맞추옵시다 아소 님하 遠代平生애 여힐  모새 아! 님이여 평생토록 여읠 줄 모르고 지냅시다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해석 1. 함께 하자고 우기던 사람이 누구였습니까? – 넋이라도 임과 함께 지내고 싶음을 강조하면서, 함 께 있지 못한 현실을 두고 임을 원망함. 2. ‘녀닛 景’을 ‘남의 경황’으로 보면 – 임과 함께 지내는 것이 남의 경황으로만 여겨 포기하고 있었 는데, 함께 하자고 우기던 사람이 누구였습니까? : 역시 원망의 뜻.) •오리 : 임(탕아) •소 : 시적 자아 •여울 : 다른 여자 *비오리 – 원앙과 비슷하나 좀 더 크며, 자줏빛이 많은 날개는 오색이 찬란하고 암수가 늘 함께 논다. (사향 : 사향 노루의 향주머니. 여기서 나오는 향기로 암컷이 쫓아오게 된다.) •사향각시 – 아름다운 여인 • 약 – 상사병을 낫게 해 주는 약

♤♤♤♤♤♤♤♤♤♤♤♤♤♤♤♤♤♤♤♤♤♤♤♤♤♤♤♤♤♤♤♤♤♤♤♤♤♤♤♤♤♤♤♤♤♤♤♤♤♤♤♤♤♤♤♤♤

1. 남녀간의 애정을 대담하고 솔직하게 읊은 고려 속요. 대표적인 남녀 상열지사.

2. 형식상의 특징- 전 5연으로 되어 있는 이 작품은 반복되는 부분을 제외하면, 각 연이 3행 형식 으로 되어 있어(3연은 예외) 시조의 3장 형식과 대응된다.

특히 2연은 반복되는 구절이 없고, 제 3행이 시조의 종장과 닮아 있어 시조 형식의 기원이 될 수 있는 연이라 하겠다.

3. 시상 전개의 특징 – 각 연들이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연결된 것이 아니라, 하나하나가 독립된 시 상을 가지고 여러 양상의 사랑을 각기 보여주고 있다.

☞서술자 : 1-4연은 여성, 5연은 남성(?)

각 연 순서를 바꾸어도 큰 지장이 없음.

4. 만전춘의 합가(合歌)적 성격

(1)정과정과 유사한 표현 –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2)경기체가 류의 표현 – 녀닛 景 너기다니

(3)한시 현토 형식 – 2장

5. 구성

1연 : 임과 함께 있고 싶은 간절한 마음

(☞차가운 얼음 위에서도 임과 함께 누워 있다면, 오래 있고 싶다는 애정의 강도를 나타냄)

2연 : 홀로 지내는 외로움 하소연

(☞임이 오지 않으니, 잠도 오지 않고 자연은 자신의 심정을 모른다고 하소연함)

3연 : 임과의 이별에 대한 원망

(☞넋이라도 임과 함께 가자고 하였던 그 임을 원망함)

4연 : 임과 함께 있고 싶은 간절함

(☞남자가 본처를 버리고 딴 곳에 마음을 둠을 꼬집음)

5연 : 임과 함께 사랑을 나누고 싶은 간절한 마음(☞육욕적 사랑 갈망)

6연 : 이별 없는 영원한 사랑 소망

(☞임과의 사랑이 이루어졌을 때, 그 사랑은 이별없는 영원한 것이 되기를 소망함.)

6. 주제 :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 확 인

1. 서정적 자아의 외로움을 더욱 심화시켜 주고 있는 소재를 찾아 쓰라.

2. ‘情둔 오밤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에 담긴 서정적 자아의 정서와 가장 유사한 것은?

① 내 언제 無信(무신)여 님을 언제 소겻관대 / 月沈三更(월침삼경)에 온 이 전혀 업 / 秋 風(추풍)에 지 닙소리야 낸들 어이 리오

② 冬至(동지)ㅅ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내여 / 春風(춘풍) 니불 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 어론 님 오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③ 묏버들 갈 것거 보내노라 님의손 / 자시 窓(창)밧긔 심거두고 보소서 / 밤비예 새 닙 곳 나거든 날인가도 너기소서

④ 어져 내 일이야 그릴 줄을 모로냐 / 이시라 더면 가랴마 제 구야 / 보내고 그리 情 (정)은 나도 몰라 노라

⑤ 내  버혀내여 뎌 을 글고저 / 구만 리 댱텬의 번시 걸려 이셔 / 고온 님 겨션 고 가 비최여나 보리라.

3. 이 노래가 시조의 형식과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라.

4. 2연에서 알 수 있는 시적 자아의 상황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말은?

① 와신상담(臥薪嘗膽) ② 풍수지탄(風樹之嘆) ③ 전전반측(輾轉反側)

④ 남가일몽(南柯一夢) ⑤ 사시춘풍(四時春風)

*사시춘풍(四時春風) – 두루 봄날의 화창한 기운에 둘러싸여 있다는 뜻으로 ①누구에게나 호감 을 산다 ②모든 일이 태평하다는 뜻

반응형

만전춘별사/미상/고려가요 – 간결한 정리와 작품 감상 by황소걸음

<현대어 해석>

얼음 위에 댓잎 잠자리를 보아 님과 나와 얼어 죽을망정

얼음 위에 댓잎 잠자리를 보아 님과 나와 얼어 죽을망정

정을 나누는 오늘밤이 더디게 새소서 더디게 새소서.

근심어린 외로운 잠자리에 어찌 잠이 오리오

서창을 열어젖히니 복숭아꽃이 피어나도다

복숭아꽃은 근심이 없어 봄바람에 웃는구나 봄바람에 웃는구나.

넋이라도 님과 함께 지내는 모습을 여기고 있었더니

넋이라도 님과 함께 지내는 모습을 여기고 있었더니 우기시던 이 누구였습니까 누구였습니까? 오리야 오리야 연약한 비오리야 여울은 어디에 두고 소(늪)에 자러오느냐 소 얼면 여울도 좋으니, 여울도 좋으니.

남산에 잠자리를 보아 옥산을 베고 누워

금수산 이불 안에 사향각시를 안고 누워

사향이 든(향기로운) 가슴을 맞추십시다 맞추십시다.

아아 임이시여, 평생에 이별할 줄 모르고 지내십시다.

[악장가사] 연못이 얼면 여울도 좋으니 …「만전춘(별사)」

고려가요는 흔히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 남녀의 애정을 주제로 한 노래)’라 하여 조선시대 유학자들에게 배격의 대상이 되었다. 남녀 사이의 성적(性的)인 문제를 적나라하게 다룬 작품은 미풍양속을 헤치고 사회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하여, ‘사리부재(詞俚不載, 노랫말이 저속한 것은 문헌에 싣지 않는다)’의 원칙에 따라 대부분의 고려가요는 이 세상에서 사라졌다. 이런 조선 유학자의 ‘성리학적 도’를 실현시키기 위한 제재 속에서 살아남은 작품 중 하나가 「만전춘(별사)」이다. 비록 궁중속악가사 중 ‘비리지가(鄙俚之訶)’의 대표로 유학자들의 비판을 받으며 악곡만 채용되고 가사는 「만전춘(별사)」를 한시로 개작한 「봉황음」으로 대체되었지만, 끝까지 살아남아 우리에게까지 전해졌다. 인간의 진솔한 감정을 드러내고 있는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궁정에 가득 찬 봄]」를 들여다본다.

더보기

접기 어름 우희 댓닙 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 주글만뎡

어름 우희 댓닙 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 주글만뎡

졍(情) 둔 오범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 경경(耿耿) 고침샹(孤枕上)애 어느 미 오리오

셔창(西窓)을 여러 니 도화(桃花)ㅣ 발(發)두다

도화(桃花) 시름 업서 쇼츈풍(笑春風)다 쇼츈풍(笑春風)다 넉시라도 님을  녀닛 경(景) 너기다니

넉시라도 님을  녀닛 경(景) 너기다니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뉘러시니잇가 올하 올하 아련 비올하

여흘란 어듸 두고 소해 자라 온다

소콧 얼면 여흘도 됴니 여흘도 됴니 남산(南山)애 자리 보와 옥산(玉山)을 벼여 누어

금슈산(錦繡山) 니블 안해 샤향(麝香) 각시를 아나 누어

남산(南山)애 자리 보와 옥산(玉山)을 벼어 누어

금슈산(錦繡山) 니블 안해 샤향(麝香) 각시를 아나 누어

약(藥)든 가을 맛초사이다 맛초사이다 아소 님하 원평(遠代平生)애 여힐  모새 접기

1연은 가정법을 사용하여 임과의 열정적인 사랑을 노래하고 있는데, 고려가요 작품 가운데 가히 절창(絶唱)이라 평가할 수 있다.

어름 우희 댓닙 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 주글만뎡

어름 우희 댓닙 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 주글만뎡

졍(情) 둔 오범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

얼음 위에 댓잎 자리 만들어 임과 내가 얼어 죽을망정

정을 나눈 오늘밤 더디 새어라!

화자는 임을 만나 사랑의 희열 속에 있지만, 얼음 위에 댓잎으로 이부자리를 할 정도로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다가 끝내 죽을지언정, 임과 같이 지내는 밤이 더디게 새기를 바라고 있다. 이는 임과 헤어지는 것이 죽기보다 더 싫다는 화자의 절실한 심정의 표현이다. 비록 음악적 필요에 의한 것이지만, 화자의 심정을 반복적으로 표현하는 부분에서 그 간절함이 더 생생하게 드러난다. 하지만 열정적으로 사랑을 나눈 하룻밤이 지나고, 임은 떠났다. 화자는 임이 떠난 뒤 홀로 지내는 자신의 처지를 춘풍에 흔들리는 도화(桃花)와 대비시켜 형상화한다.

경경(耿耿) 고침샹(孤枕上)애 어느 미 오리오

셔창(西窓)을 여러 니 도화(桃花)ㅣ 발(發)두다

도화(桃花) 시름 업서 쇼츈풍(笑春風)다 쇼츈풍(笑春風)다

뒤척뒤척 외로운 잠자리에 어찌 잠이 오리오?

서쪽 창문을 열어젖히니 복숭아꽃이 피어나는구나!

복숭아꽃은 근심이 없어 봄바람에 웃는구나!

‣ 경경(耿耿) : 근심함. 마음에서 사라지지 않고 염려가 됨.

‣ 고침상(孤枕上) : 외로운 배갯머리

불안했던 사랑. 결국은 떠나버린 임. 임을 잃은 텅 빈 겨울 같은 싸늘한 마음은 복숭아꽃이 만발하여 즐겁게 웃고 있는 봄의 경치와 대비되어, 더욱 고조된다. ‘외로운 베개’, ‘서창’, ‘복숭아꽃’, ‘봄바람’ 등은 화자의 “잠을 이루지 못 하겠다”는 하소연의 바탕을 이루는 재료가 되고 있다. 임이 떠나고 쓸쓸한 마음은 곧 원망으로 바뀐다.

넉시라도 님을  녀닛 경(景) 너기다니

넉시라도 님을  녀닛 경(景) 너기다니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뉘러시니잇가

넋이라도 임과 함께 가는 정경을 생각하였더니

어기던 사람이 누구입니까?

‣ 녀닛 경(景) : 가는 광경. 남의 경향

‣ 벼기더시니 : 어기던 이가

죽은 후에 넋이라도 서로 떨어지지 말자고 맹세한 사람이 누구였던가? 화자는 지켜지지 못한 약속과 이를 어기고 떠나간 임에 대한 원망을 토해낸다. 하지만 이 원망은 임이 다시 돌아오기를 바라는 마음과 비교가 되지 않는다.

올하 올하 아련 비올하

여흘란 어듸 두고 소해 자라 온다

소콧 얼면 여흘도 됴니 여흘도 됴니

오리야, 오리야, 어린 비오리야!

여울일랑 어디 두고 연못에 자러 오는가?

연못 곧 얼면 여울도 좋거니.

(오리, 여울, 소 등에 대한 해석이 다소 엇갈리기는 하지만) 오리는 떠나간 임을 의미한다. 그것도 이리저리 마음이 흔들릴 수 있는 마음이 여린 오리. 오리는 연못에서도 자고, 여울에서도 잔다. 떠나간 임이 간 곳, 즉 다른 여자의 집을 연못에, 자신의 집을 여울에 비유하여 말하고 있다. ‘연못이 얼면 여울도 좋다’라고 하는 말은 임이 다시 돌아오기를 바라는 화자의 마음이리라. 이런 마음은 다음 연에서도 드러난다.

남산(南山)애 자리 보와 옥산(玉山)을 벼여 누어

금슈산(錦繡山) 니블 안해 샤향(麝香) 각시를 아나 누어

남산(南山)애 자리 보와 옥산(玉山)을 벼어 누어

금슈산(錦繡山) 니블 안해 샤향(麝香) 각시를 아나 누어

약(藥)든 가을 맛초사이다 맛초사이다

남산에 잠자리를 보아 옥산을 베고 누워

금수산 이불 안에 사향 각시를 품고 누워

사향이 든 가슴을 맞추옵시다.

‣ 사향(麝香) : 사향노루 수컷의 사향샘을 건조해 만든 흑갈색의 가루로, 주로 약재나 향료로 쓰인다.

이성의 환심을 살 수 있다하여 여성들이 많이 애용했던 사향을 지니고 임이 오기를 기다린다. 이 연에서 화자는 임과 다시 만나 잠자리를 하고 싶다는 바람을 대담, 솔직하게 읊어내고 있다.

아소 님하 원평(遠代平生)애 여힐  모새

아소서! 임이시여, 평생토록 이별할 줄 모르고 지냅시다.

자신을 버리고 떠나갔지만, 그럼에도 임과 헤어지지 않기를 바라는 화자의 소원은 마지막까지도 이어진다.

「만전춘」에 대한 여러 가지 해석들이 있고, 그 설들이 다소 엇갈리기는 하지만 이 작품이 남녀 사이의 애정을 적나라하게 그려내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조선 유학자들의 검열의 칼날에서 간신히 살아남은 작품 「만전춘」, 허식이 없고 감정과 정서의 표현이 직설적이며, 인간의 진솔한 감정을 담아낸 우리의 노래이다.

만전춘별사 뜻 시조 기출 분석

– 만전춘별사 뜻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 만전춘별사. ① 한자 그대로는 궁궐에 봄이 가득하다는 뜻으로 태평성대를 지칭. 나라 전체에 봄이 가득함으로 해석. 그레이트티쳐J

만전춘별사는 내용뿐만 아니라 표현 기법도 다양하여서 이 노래만큼 고려 . 景은 翰林別曲 등의 경기체가에서 흔히 쓰이는 자로 여기서는 景況의 뜻으로 보았다. 만전춘별사

서경별곡 가시리 동동 이상곡 만전춘별사를 들 수 있고 정석가 사모곡 상저가 쌍화점 등도 이러한 주제의 연장선 위에 놓여 있다. 미적 범주 고려가요에 나타난 남녀상열지사진솔한 삶의 기록

만전춘 별사滿殿春別詞 얼음 위에 댓닢댓잎으로 죽엽을 뜻하고 좋지 않은 잠자리 자리를 보아 임과 나와 얼어죽을망정 얼음 위에 댓닢 자리를 보아 임과 나와 얼어 작자 미상 /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 만전춘별사 시조

만전춘. 최근 수정 시각 20190422 095635 전형적인 고려가요라기 보다는 이후의 시조의 배경이 된 것으로 이해하는 입장도 있을 정도이다.4 만전춘

이러한 史的 자료를 바탕으로 만전춘별사의 어구를 해석하고 작품내용이 담고 .. 전규태는 『만전춘별사』를 모두 다섯 연으로 각 연이 6구체의 시조 형식과 흡사 만전춘별사

고문학자들은 제2연과 제5연이 시조형에 대단히 접근하여 가고 있는 것을 악장가사에서 이 원사를 만전춘별사라 한 것은 원래의 만전춘이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따라, 별사의 이름을 붙인 듯하다. 모두 5연으로 되어 있으나 그것을 아우르면서 종결의해 음탕한 노래로 규정되어 배척되었다. 이는 새로운 만전춘사인 봉황음 만전춘별사 악장가사

일관된 창작물이 아닌, 여러 노래의 합성임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된다. 3. 만전춘별사는 시조의 발생을 논하는데 거론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3장이라는 분장分章 19.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 만전춘별사 기출

만전춘 별사 현대어 풀이 / 고려가요 이는 새로운 만전춘사인 봉황음鳳凰吟을 짓게 하는 계기를 주기도 하였다. . 교육청학력평가기출 108. 만전춘 별사 현대어 풀이 / 고려가요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2조. Ⅰ. 서론. ○ 이 작품은 『樂章歌詞』에 滿殿春別詞로, 『樂學便考』에는 滿殿春五章尹淮撰으로 노랫말이 전하며, 『세종실록』권 146에는 누락된 검색어 기출 만전춘별사

에는 기출 한자어와 한자 성어를 실었다. 알라딘 바로가기 목차 ▼ PART 1 현대 문학/고전 문학/말과 글 제1편 현대 문학 제1장 문학 일반론 01 문학 이론 1 문학의 2020 선재국어 법원직 전2권 오직 법원직만을 최적의 구성과 내용을

모의 기출 그밖의 출제 가능성이 높은 작품들까지 최신 경향에 맞춰 새롭게 작품을 싣고 분석한 꼼꼼한 작품 분석집이에요. 꼼꼼한 구성으로 작품을 분석했어요. 고전 꿈틀 2019 고전시가의 모든 것이 개정출간 되었어요

– 만전춘별사 분석

분명히 교사들이 가르치기는 하지만 수능에 나올 리가 없다고 생각하는 작품. 하지만 모년 모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에는 나온 적이 있다. 만전춘

그간 「만전춘별사」는 「쌍화점」과 함께 속요의 대표적인 음사로 인식되어 왔다. 또한 「만전춘 배경을 통한 작품분석이나 악장적 성격을 구명하는 작업은 별로 없었다. 만전춘별사

따라, 별사의 이름을 붙인 듯하다. 모두 5연으로 되어 있으나 그것을 아우르면서 종결의해 음탕한 노래로 규정되어 배척되었다. 이는 새로운 만전춘사인 봉황음 만전춘별사 악장가사

고려가요 만전춘별사의 전문과 분석이다, 시조의 전신이 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정서의 정과정과 유사한 구절이 있어서 고려가요가 구비 전승되었다는 고전시가 분석 고려가요 만전춘별사

만전춘 별사 해석 별사 hwp 해석 원문

– 만전춘 별사 해석

만전춘. 최근 수정 시각 20190422 095635 역사적으로도 의미가 큰데, 4음보 율격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해서, 전형적인 고려가요라기 만전춘

인간의 진솔한 감정을 드러내고 있는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궁정에 가득 찬 봄를 아래 현대어 해석에서는 반복구와 여음구를 제외한다. 악장가사 연못이 얼면 여울도 좋으니 만전춘별사

시중에 나와 있는 참고서 및 문제집을 참고하세요^_^ ​ #만전춘별사해석해설 #고려가요 ​ + 만전춘별사 46연은 포스팅을 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사실 원고를 마련해 고려가요 만전춘별사 해설 1

진술로 해석할 수 있음 / 이 점이 다른 연과 구별됨. 시적 화자가 남성이라는 것 남산에 자리 보아 옥산을 베고 누워 금수산금수로 수를 놓은 비단, 또는 치장이 고려가요 #05 만전춘별사

– 만전춘 별사 hwp

만전춘별사문제. 슬옹 아비작성시간16.03.30조회수289 목록 댓글 0 글자크기 작게가 글자크기 크게가. 첨부파일 2.만전춘별사문제.hwp. 첨부파일첨부된 만전춘별사문제 1.문학 작품의 구성 원리

첨부파일 소단원 형성 평가Ⅰ_1_1_02 만전춘별사문제.hwp. 첨부파일 소단원 형성 평가Ⅰ_1_1_02 만전춘별사정답.hwp 오디세이 국어논술 클리닉 만전춘별사

15.hwp 다운 받아서 풀어 오세요. 정답은 수업시간에 함께 확인합시다. 서경별곡西京別曲 *갈래 고려 가요 *성격 남녀상열지사, 적극적, 직설적, 자기중심적 서경별곡정리문제

다운로드 분류 레포트 파일형식 HWP 페이지수 9페이지 내용미리보기 만전춘별사 의 구조를 6연으로 분류시켜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1연 님과의 열렬한 만전춘별사

– 만전춘 해석

▶ 19452014. 6. 9. 업로더 수능국어인강흥국이수험생에게 딱 맞는 수능국어 인강을 맛보세요! 스토리텔링으로 머릿속에 쏙쏙 ☆ 짧게 정리하는 진짜 EBS 문학 2편 작자미상, 만전춘별사 수능 짧게 정리하는 진짜 EBS 문학 ②만전춘별사

만전춘. 최근 수정 시각 20190422 095635 역사적으로도 의미가 큰데, 4음보 율격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해서, 전형적인 고려가요라기 만전춘

악장가사에서 이 원사를 만전춘별사라 한 것은 원래의 만전춘이 남녀 . 그는 조선이라는 봉건사회의 틀에서 이 시를 해석한 것은 아닌지.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해석 및 정리 2016학년도 고2 9월 ​ 어름 우희 댓닙자리 보와 ➯얼음 위에 댓닢 자리를 보아 .어름 우, 댓님 자리 차갑고 좁은 공간을 말하며 만전춘별사남강

– 만전춘 원문

악장가사 소재 만전춘별사 판본 원문. ◇ 세종실록 소재 만전춘 판본 원문. Ⅰ. 서론. 滿殿春別詞에 대한 지금까지의 주된 논의는 내용면에서는 주로 남녀간의 만전춘별사

만전춘滿殿春.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얼음 위에 댓닢 자리 펴서 임과 내가 얼어 죽을망정. 얼음 위에 댓닢 자리 펴서 임과 내가 얼어 죽을망정. 정둔 오늘 밤 만전춘滿殿春

1, 어름우희 댓닙자리 보와. 2, 님과나와 어러주글 만뎡. 3, 어름우희 댓닙자리 보와. 4, 님과나와 어러주글 만뎡. 5, 졍情 둔 오 범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 원문/전문 보기 滿殿春 만전춘

서론 Ⅱ. 본.. 한국고시가론 만전춘滿殿春 별사 연구 해석과 쟁점 원문해석은 물론 만전춘별사에 대해 그동안 쟁점이 되었던 부분들에 대해 조사연구 정리한 생활전문 kn1135185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키워드에 대한 정보 만전춘 별사 해석

다음은 Bing에서 만전춘 별사 해석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수선국어 고전문학 시리즈 016] 고려가요 만전춘별사 한번에 정리하기 (작자미상) (원문 해설, 해석)

  • 수능
  • 수능국어
  • 국어
  • 고등국어
  • 고등학생
  • 고전시가
  • 만전춘별사
  • 고려가요
  • 고전
  • 고전문학
  • 고전문학작품
  • 고전시가작품
[수선국어 #고전문학 #시리즈 #016] #고려가요 #만전춘별사 #한번에 #정리하기 #(작자미상) #(원문 #해설, #해석)


YouTube에서 만전춘 별사 해석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선국어 고전문학 시리즈 016] 고려가요 만전춘별사 한번에 정리하기 (작자미상) (원문 해설, 해석) | 만전춘 별사 해석,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토신티비 | 한 남성이 자신의 욕망을 위해 클럽에서 쫓겨난 여성을 제물로 선택한다! “인디아 칩체이스” 이야기 인기 답변 업데이트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