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 뜻 | \”아바 아버지\” 무슨 뜻인가요?[주연종의 아폴로기아] 23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아바 뜻 – \”아바 아버지\” 무슨 뜻인가요?[주연종의 아폴로기아]“?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주연종의 아폴로기아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739회 및 좋아요 197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아바 뜻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아바 아버지\” 무슨 뜻인가요?[주연종의 아폴로기아] – 아바 뜻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아바 아버지라는 표현에는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 이시며 하나님 자신 이심을 드러낸 표현이고 우리도 하나님을 아바라고 부를 수 있다는 것은 우리의 신분이 바뀌었음을 의미한다.

아바 뜻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아바'(Abba)는 실제로 무슨 뜻일까? – 구약장이

이 단어는 ‘아빠’의 의미로 생각할 수 있는 어린 아이적인 유치한 표현이 아닙니다. 이 단어는 아버지를 더 엄숙하고 책임감 있게 부르는 단어입니다.

+ 더 읽기

Source: otfreak.tistory.com

Date Published: 6/10/2022

View: 2836

성경/사전/주석 – 두란노닷컴

아람어로 ‘아버지’라는 뜻이다. 이 아람어는 AD 1세기경에 팔레스타인의 어린이들이 아버지를 부르던 말로, 어른들 역시 가족 구성원 내에서 아버지를 아바(Abba)라고 …

+ 더 읽기

Source: www.duranno.com

Date Published: 3/22/2022

View: 128

아바란 무엇인가? (아바의 뜻과 의미) – 다음블로그

아바란 무엇인가? (아바의 뜻과 의미) 아바 (Abba) “아버지”를 뜻하는 아람어로 예수께서 겟세마네 동산에서 사용하셨고 (이르시되 아바 아버지여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6/8/2021

View: 5118

아바 아버지인가? 아빠 아버지인가? – CTM news

그래서 ‘아버지!’ 또는 ‘아버지여’라는 뜻이다. 좀 더 설명하면, Abba는 ‘아버지’란 뜻의 ‘아브'(ab)에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ctmnews.kr

Date Published: 3/8/2022

View: 2094

아바 뜻: ‘아버지’의 방언, 신약 성경에서 하나님을 이르는 말 …

2 아바 Abba : 신약 성경에서 하나님을 이르는 말. 아버지라는 뜻의 아람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절대 신뢰를 가지고 하나님을 부를 때에 사용된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ordrow.kr

Date Published: 8/10/2021

View: 9994

‘아바 아버지’를 ‘아빠 아버지’로 번역하는 건 부적절하다 – 국민일보

그는 “바울이 아빠의 의미를 전달하고 싶었다면 의심할 여지 없이 그에 해당하는 헬라어를 사용했을 것”이라며 “아빠를 나타내는 헬라어는 ‘파파스(papas)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news.kmib.co.kr

Date Published: 2/30/2022

View: 9171

‘아바’ (אבא) 는 ‘아빠’? – Jesus4Today!

그 해석을 정리하자면 이렇다: 히브리어 ‘다바르’는 “낱말”이라는 뜻 외에 “물건”, “물질”, “사건”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말’은 질량을 …

+ 여기에 표시

Source: jesus4today.tistory.com

Date Published: 4/12/2022

View: 2313

ABBA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BBA’라는 이름은 네 구성원(스웨덴어: Agnetha Fältskog, Björn Ulvaeus, Benny Andersson, Anni-Fr Lyngstad)의 머릿글자를 딴 것이다. 그들의 팝음악은 라디오에서 …

+ 여기를 클릭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10/20/2022

View: 922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아바 뜻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아바 아버지\” 무슨 뜻인가요?[주연종의 아폴로기아].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
\”아바 아버지\” 무슨 뜻인가요?[주연종의 아폴로기아]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아바 뜻

  • Author: 주연종의 아폴로기아
  • Views: 조회수 1,739회
  • Likes: 좋아요 197개
  • Date Published: 2020. 5. 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LiGl_EwNM1g

‘아바’(Abba)는 실제로 무슨 뜻일까?

반응형

(Karen Engle(copy editor for Faithlife)의 글을 의역하였습니다)

내가 예루살렘에 있었을 때, 유대인 아이들이 그들의 아버지들과 함께 걸으면서 떠드는 것을 바라보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그리고 유대인 아이들이 자신들의 아버지를 부르는 소리를 들었을 때, 내 마음이 녹아 내리곤 했습니다.

“아바! 아바!”

* 주 : 실제로 유대인들 아이들은 아버지를 부를 때 “ 아바 ” 라고 합니다 . 제가 이스라엘에 있었을 때도 저희 아이들이 저를 ‘ 아바 ’ 라고 불렀습니다 .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 아이들이 그렇게 배웠기 때문입니다 .

그 아이들이 자신들의 아버지를 부르는 단어인 ‘아바’는, 마치 나의 아이들이 내가 주목해 주길 바랄 때 나의 세컨드 네임을 부르며 내가 대답할 때까지 ‘엄마, 엄마! 어~~~엄~~~마!” 라고 부르는 것과 같음을 확신합니다.

하지만 ‘아바’는요? 아바는 좀 다릅니다.

‘ 아바 ’ 의 기원들

다니엘 5:2, 11, 13, 18 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람어에서 온 것으로 알려진 단어인 ‘아바’는 히브리어 단어들 중에 ‘아버지’란 의미를 가진 ‘아브’(אב)와 유사합니다.

일부 학자들은 미국의 어린이들이 “파파”(papa)나 “대디”(daddy)라고 아빠를 부르는 것과 비슷하게, 어린 아이가 아버지를 친근하게 부르는 구어체 용어라고 생각합니다. 록일의 루터교 신학자인 요아킴 예레미아스(Joachim Jeremias)는 아바가 일상적인 대화에서 사용하는 어린이들의 단어라고 설명하며 예수님이 하나님에 대한 마음의 표현을 위해 쓴 단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는 “마치 어린 아이가 아버지에게 하듯이 예수님께서는 하나님을 친근하게 부르셨다. 예수님은 자신만만하고 조심스럽게, 그리고 동시에 경건하고 순종적으로 하나님을 아바로 부르셨다.”라고 주장하였습니다(Joachim Jeremias. New Testament Theology. (SCM Press LTD, 1971), 67.).

그러나 그러한 내용들이 아바의 의미일까요?

신약 성경에 나타난 아바

‘아바’라는 용어는 신약 성경 중에서 마가복음 14:36, 로마서 8:15 그리고 갈라디아서 4:6 등 오직 3번만 나타납니다. 그리고 이 용어는 오직 예수님과 바울에 의해서만 사용되었습니다. 각각의 사용된 구절들에서 아바는 ‘아바’의 형태가 아니라 헬라어로 번역이 되어 있는데, “아버지”라는 뜻을 가진 헬라어인 ‘호 파테르’(ho patēr)로 번역되었습니다.

바울의 용례

바울은 로마서 8:15와 갈라디아서 4:6에서 ‘자녀들’ 혹은 ‘하나님의 아이들’로서의 성도들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아바 호 파테르’(아빠 아버지)를 사용하였습니다.

로마서 8:15, 너희는 다시 무서워하는 종의 영을 받지 아니하고 양자의 영을 받았으므로 우리가 아빠 아버지라고 부르짖느니라

갈라디아서 4:6, 너희가 아들이므로 하나님이 그 아들의 영을 우리 마음 가운데 보내사 아빠 아버지라 부르게 하셨느니라

이 구절들에서 바울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성도들이 사용하는 ‘아빠 아버지’라는 용어는 매우 친밀한 가족적인 용어라는 점입니다.

예수님의 용례

마가복음 14:36에서, 예수님은 체포되시기 바로 직전에, 겟세마네 동산에서 “아빠”와 “아버지”(Patēr) 혹은 ‘아빠, 아버지”라는 두 호칭들을 쓰시며 기도를 시작하셨습니다. 예수님 또한 “아버지”(Patēr)라는 단어를 사용하심으로써 매우 친밀하게 하늘에 계신 자신의 아버지를 부르셨습니다(요 17:1).

마가복음 14:36, 이르시되 아빠 아버지여 아버지께는 모든 것이 가능하오니 이 잔을 내게서 옮기시옵소서 그러나 나의 원대로 마시옵고 아버지의 원대로 하옵소서 하시고

요한복음 17:1, 예수께서 이 말씀을 하시고 눈을 들어 하늘을 우러러 이르시되 아버지여 때가 이르렀사오니 아들을 영화롭게 하사 아들로 아버지를 영화롭게 하게 하옵소서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기도를 가르치시던 장면인 마태복음 6:9-13에서, 예수님은 하나님을 “우리 아버지’ (Patēr hēmōn, 마 6:9와 눅 11:2)라고 부르셨으며 제자들에게도 똑같이 부르라고 하셨습니다.

하지만 마태복음 6:9의 두번째 부분에서, 예수님께서는 또한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라고 하시며 거룩함의 깊이에 대해 강조하셨습니다.

하나님을 ‘아빠 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은, 우리가 부르고 있는 대상이 거룩한 만유의 주인이심을 다시 기억하게 해 주는 신성한 부름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에 대해 일부 학자들은 동의하고 있습니다.

아바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 ?

제임스 바(James Barr)는 자신의 신학적 연구 잡지에 쓴 자신의 글에서 “아바는 “아빠”(Daddy)가 아니다”라고 하였습니다.

만일 신약 성경에서 저자들이 ‘ 아빠 ’(Daddy) 의 뉘앙스를 알고 있었다면 쉽게 그렇게 표현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 하지만 사실 , 아바의 뉘앙스는 ‘ 아빠 ’ 가 아니라 “ 아버지 ” 라는 것을 신약 성경 저자들은 잘 알고 있었습니다 . ‘ 아바 ’ 의 의미 자체가 “ 아빠 ” 라기보다는 “ 아버지 ” 의 뉘앙스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여러 증거들이 있습니다 .

예수님께서 사역하시던 시대에는 좀더 형식적이고 격식을 갖춘 언어와 구별되는 친숙하고 구어체적인 언어에 속한 단어가 “ 아바 ” 였다고 말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 이 단어는 ‘ 아빠 ’ 의 의미로 생각할 수 있는 어린 아이적인 유치한 표현이 아닙니다 . 이 단어는 아버지를 더 엄숙하고 책임감 있게 부르는 단어입니다 .

마이클 S. 하이저(Michael S. Heiser)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학자들은 아람어인 ‘ 아바 ’ 가 첫째 , 어린이들에 의해서만 사용되는 단어가 아니라 주로 어른들에 의해 사용되는 단어라는 사실 , 그리고 둘째 , 비록 다정한 단어이긴 하지만 유치할 정도로 함부로 말할 수 있는 단어가 아니라는 중요한 해석적인 뉘앙스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

그리고 대럴 보크(Darrell Bock는 강조합니다.

성도들은 하나님이 ‘ 우리 아버지 ’ 이시기 때문에 사랑을 담은 단어인 아바라고 부를 수도 있겠지만 , 무례하게 함부로 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경계해야만 하며 이 단어를 사용할 때에도 하나님의 위엄을 충분하게 인정하며 사용해야만 합니다 .

비록 ‘아바’라는 용어가 친밀감을 나타내는 용어이긴 하지만, 하나님을 ‘파파’ 혹은 ‘아빠’라고 부르는 것은 하나님의 영광을 격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우리의 아버지이신 하나님은 또한 온 우주의 주인이시며 만물의 창조자이시며 모든 숨겨진 것을 드러내시는 분이시자 숨겨진 모든 것을 심판하시는 분이십니다. 그분은 “만유의 주이시며 이 땅의 모든 만물들이 경외해야만 할 위대한 왕”이십니다.

아이들이 오늘날 예루살렘에서 자신들의 아버지를 “아바”라고 부를 때, 그 단어는 분명히 ‘아빠’ 혹은 ‘파파’라는 의미일 것입니다. 그리고 이 단어가 2천여년 전 예수님과 바울이 똑같이 사용하였던 아람어라는 사실로 인해 가슴이 벅찹니다.

그러나 우리는 ‘아빠’를 뜻하는 ‘아바’라는 단어가 우리의 입술에 어색하게 느껴지도록 할 필요는 없습니다(아마도, 지나치게 조심해서 쓸 필요가 없다는 뜻). 우주의 주인이신 하나님이 우리를 자신의 자녀들로 삼아 주시고 우리가 그처럼 신밀하고 가족적인 이름으로 부를 수 있도록 허락해 주신다는 사실이 믿기 어려울 정도로 놀라운 일입니다. ‘아바’가 하나님의 거룩함과 함께 우리를 양자로 삼아 주신 친밀감을 표현하는 용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단어에 대한 가장 올바른 사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육신의 아버지들과 같은 아버지를 원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다만 높고 영화로우신 완전한 아버지를 원할 뿐입니다.

반응형

에벤에셀선교단John

아바란 무엇인가? (아바의 뜻과 의미)

아바 (Abba)

“아버지”를 뜻하는 아람어로 예수께서 겟세마네 동산에서 사용하셨고

(이르시되 아바 아버지여 아버지께는 모든 거싱 가능하오니 이 잔을 내게서 옮기시옵소서

그러나 나의 원대로 마시옵고 아버지의 원대로 하옵소서 하시고- 막 14:36)

바울이 하나님의 자녀 혹은 아들에 관한 유명한 두 구절에서 사용하였다

(너희는 다시 무서워하는 종의 영을 받지 아니하고 양자의 영을 받았으므로 우리가 아바 아버지라고 부르짖느니라-롬 8:15

너희가 아들이므로 하나님이 그 아들의 영을 우리 마음 가운데 보내사 아바 아버지라 부르게 하셨느니라-갈 4:6)

이 단어가 신약 성경에 세 번 나오는데 모두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에 나온다

CTM news – 아바 아버지인가? 아빠 아버지인가?

아바 아버지인가? 아빠 아버지인가?

▲ <필자인 변종길교수는 고신대학원 신약학 교수로 재직 하고 있다.>

개역개정판에는 예전의 성경에 비해 달라진 것이 많이 있는데, 그 가운데 특이한 것 하나는 ‘아바 아버지’를 ‘아빠 아버지’라고 바꾼 것이다(막 14:36, 롬 8:15, 갈 4:6). 왜 ‘아빠 아버지’라고 한 것일까? 개역개정판 성경에 그 이유가 설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성경 번역자들이 현대 신학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그 흐름에서 추측해 볼 수 있다.

요아킴 예레미아스의 영향

신학을 조금 공부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듯이, 여기에 큰 영향을 미친 사람은 독일의 요아킴 예레미아스(Joachim Jeremias)이다. 그에 의하면, 구약 시대에는 유대인들이 하나님을 ‘호칭’으로서 ‘아버지’라고 부르지 않았는데, 신약 시대에 와서 예수님이 하나님을 ‘아바’(Abba)로 불렀다고 한다. 아람어 Abba는 원래 어린아이의 말인데, 예수님은 이 말을 하나님께 사용하였다고 한다(Neutestamentliche Theologie, 3판, 67-73쪽).

그러나 예레미아스는 후에 예수님이 갓난아기의 말을 채택하였다는 처음 주장을 철회하였다(위 책 73쪽). 왜냐하면 신약 이전 시기부터 성인이 된 아들딸들도 아버지를 “Abba”라고 부르는 문헌들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레미아스는 단지, 예수님이 자녀가 아버지에게 하듯이 신뢰하면서, 친근하게, 경외하는 마음으로, 순종하는 자세로 “Abba”라는 말을 사용했다고 한다(같은 곳).

위 주장의 문제점

그러나 예레미아스의 이러한 주장에는 무리가 있다. 우선 구약 성경에도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말하는 곳이 더러 있다(신 32:6, 사 63:16, 64:8, 렘 3:4,19, 말 2:10). 그런데도 그는 ‘진술’(Aussage)로서는 나타나지만 ‘호칭’(Anrede)으로서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진술’로서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말한 곳이 나타난다면, 유대인들은 이미 구약 시대에 하나님을 ‘아버지’로 생각하고 있었다는 것을 말하지 않는가? ‘진술’과 ‘호칭’ 사이에 그렇게 대단한 차이가 있는 것일까?

뿐만 아니라 예레미야 3:4에 보면,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을 호격으로 “나의 아버지여”라고 불렀다고 한다(히브리어 원문 및 RSV, NRSV, NASB, NIV, ESV 등 참조). 이것은 예레미야 당시의 유다 백성이 하나님을 “내 아버지여”라고 불렀다는 것을 말해 준다. 따라서 요아킴 예레미아스의 주장은 첫 출발부터 삐걱거리게 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마가복음 14:36, 로마서 8:15, 갈라디아서 4:6이 “아바 아버지(여)”(Abba ho patēr)라고 함으로써, ‘아바’는 곧 ‘아버지’임을 말해 주고 있다. ‘아바’(Abba)는 아람어이고 ‘호 파테르’(아버지)는 헬라어이다. 이 둘은 다른 것이 아니라 같은 것을 가리킨다(Greijdanus, Romeinen, I, 371쪽). 따라서 아람어 ‘아바’는 ‘아버지’란 뜻임을 성경 자체가 말하고 있다. 그렇게 한 이유는 그냥 ‘아바’라고 말하면 이방인들은 무슨 뜻인지 모르기 때문에 헬라어로 번역해 준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반복은 이 호칭에 ‘강렬함’과 ‘내면성’을 더해 준다(Greijdanus, 같은 곳).

아람어 Abba

아람어 Abba는 원래 ‘강세형’(status emphaticus)인데, 히브리어에서와 마찬가지로 ‘호격(呼格)’으로 사용된다(M. Zerwick, Biblical Greek, §34). 그래서 ‘아버지!’ 또는 ‘아버지여’라는 뜻이다. 좀 더 설명하면, Abba는 ‘아버지’란 뜻의 ‘아브’(ab)에 강세형 접미사(히브리어 관사 ha와 같은 것) ‘아’(a)가 붙은 것인데, 이 경우에 앞의 자음이 중첩된다.

강세형 아람어 Abba는 당시에 사용하지 않게 된 Abi(내 아버지)를 대체하게 되었다고 한다(Strack-Billerbeck, Kommentar, II, 49쪽). 그리고 아람어 ‘아브’(ab)의 원(原)형태는 ‘아부’(abu)로 추측된다고 한다(Bauer-Leander, Grammatik des Biblisch-Aramäischen, 77쪽). 우리나라 방언 ‘아부지’의 ‘아부’에서 그런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아람어 Abba의 음역?

그런데 어떤 해설 성경에 보면 ‘아빠’는 아람어 Abba를 음역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Abba를 정확하게 음역하면 ‘압바’이지 ‘아빠’가 아니다. 자음이 두 개 겹칠 경우에 우리말로 표기하는 방법은 하나는 받침(終聲)으로 보내고 다른 하나는 초성(初聲)으로 보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라틴어 “summa”를 우리말로 음역하면 ‘숨마’가 되며 ‘수ㅁ마’가 아니다. 그리스어 “Hella”도 우리말로 음역하면 ‘헬라’가 되지 ‘헤ㄹ라’가 아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Abba”도 우리말로 음역하면 ‘압바’가 되어야 하며 ‘아빠’가 아니다. 따라서 개역개정판의 ‘아빠’는 아람어 Abba를 음역했다는 주장은 맞지 않다.

따라서 아람어 Abba의 정확한 음역은 ‘압바’가 되겠지만, 오늘날 현대어에서 자음 둘이 겹칠 때 대개 하나만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영어에서 그러하다. 뿐만 아니라 한국 교회에서도 ‘아바 아버지’란 표현이 이미 굳어져 있기 때문에 굳이 ‘압바’로 음역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된다.

우리말 ‘아버지’

마지막으로 우리말 ‘아버지’에 대해 생각해 보자. ‘아버지’는 ‘아버’와 ‘지’의 합성어이다. 원래는 ‘아바’와 ‘지’의 합성어라고 한다. 평안도 방언에서는 아직도 ‘아바지’라고 한다. ‘지’는 ‘거지’, ‘거러지’의 예에서 보듯이 사람이란 뜻이다. 따라서 ‘아버지’는 원래 ‘아바’와 ‘지’의 합성어인데, ‘지’는 의미상 불필요한 것이고 ‘아바’가 고유한 의미 요소가 된다. 옛날에는 ‘아비’라 불렀으며 ‘아바’라 부르기도 했다(서정범, 「國語語源辭典」, 411쪽). 그렇다면 우리말의 ‘아버지’(아바지)는 어원적으로 셈족어와 일맥상통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것을 보더라도 ‘아바 아버지’란 표현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하나님은 우리 아버지

‘아바 아버지’를 통해 성경이 우리에게 가르쳐 주는 것은, 하나님은 우리의 ‘아버지’가 되시고 우리는 그의 ‘자녀’라는 사실이다. 어린아이의 말 ‘아빠’에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다. 혀짜래기소리 ‘아빠’에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우리 아버지’ 되시고 우리는 그의 자녀가 된다는 사실에 큰 의미가 있는 것이다(마 6:9, 7:11, 요 1:12 등).

(「선지동산」 63호(2012. 11. 12. 발행) (신약 난제 해설 [5]), pp.18-19 게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바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아바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ABBA 멤버들 (1974년 촬영,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베뉘 안데르손, 안니프리드 륑스타, 앙네타 펠트스코그, 비에른 울바에우스)

ABBA 인형

ABBA(아바)는 1972년부터 활동한 스웨덴의 남녀 혼성 4인조 팝/댄스 그룹이다.

ABBA는 스웨덴 출신 중에 역대 가장 유명하고 성공적인 활동을 했던 4인조 팝그룹이며, 보니엠과 함께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세계적으로 상위차트에 올랐다. ‘ABBA’라는 이름은 네 구성원(스웨덴어: Agnetha Fältskog, Björn Ulvaeus, Benny Andersson, Anni-Frid Lyngstad)의 머릿글자를 딴 것이다. 그들의 팝음악은 라디오에서 고정적으로 방송되고 있으며, ABBA의 앨범은 지금까지 3억 7천만 장 이상 팔렸다.

그들은 영어권 국가들(영국, 미국, 캐나다, 아일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의 차트에서 꾸준히 상위그룹에 랭크된 최초의 유럽 출신 팀이었다. 그 놀라운 성공은 다른 유럽 국가의 가수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ABBA는 북구의 음악을 세계적인 주류 음악계에 소개했으며 힙합 장르와 같은 정도의 독특한 순수 대중음악을 완성시켰다.

또한 1974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우승을 하기도 하였다.

ABBA의 노래들을 다시 배열하여 이야기로 엮은 뮤지컬 《맘마미아!》는 전 세계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2008년에는 동명으로 영화가 제작되었는데, 영화의 개봉으로 한국에서 ABBA의 인기가 급상승하기도 하였다.[1]

2010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였다.

작곡 [ 편집 ]

작곡가 겸 가수인 베뉘 안데르손과 비에른 울바에우스는 악보나 종이에 기보를 할 줄 몰랐고 오직 앙네타 펠트스코그만이 할 수 있었다. (1981년 Dick Cavett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그들이 사용한 악기들은 실험적이었으며 즉흥적이었고 또는 스튜디오에서 반주녹음에 노래를 하기도 했다. 이런 제약은 훗날 맘마미아 뮤지컬을 제작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먼저 음악이 완성되고 나서 다른 음악가들이 참여한 후 앉아서 음악을 듣고 악보에 기보를 하고 가사를 추가하는 식으로 이루어졌다. 베뉘와 비에른의 후반 작업에 6개월 이상이 소요되었다. 작곡가들 또한 베뉘와 비에른이 음원을 먼저 만들고 나서 후에 가사를 추가했었다고 말하였다.

음반 목록 [ 편집 ]

각주 [ 편집 ]

키워드에 대한 정보 아바 뜻

다음은 Bing에서 아바 뜻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아바 아버지\” 무슨 뜻인가요?[주연종의 아폴로기아]

  • 주연종
  • 아폴로기아
  • 아바 아버지

\”아바 #아버지\” #무슨 #뜻인가요?[주연종의 #아폴로기아]


YouTube에서 아바 뜻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바 아버지\” 무슨 뜻인가요?[주연종의 아폴로기아] | 아바 뜻,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붕붕 드링크 레시피 | [자취팁] 뜬눈으로밤새기! 붕붕드링크 만들기 207 개의 자세한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