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 공정 반박 | 발해가 우리 역사인 근거 L #어쩌다어른 L #Tvn인사이트 181 개의 정답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동북 공정 반박 – 발해가 우리 역사인 근거 l #어쩌다어른 l #tvN인사이트“?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tvN STORY 티비엔 스토리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059,456회 및 좋아요 8,40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동북 공정 반박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발해가 우리 역사인 근거 l #어쩌다어른 l #tvN인사이트 – 동북 공정 반박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어쩌다어른 #설민석 #한국사\r #발해
▶RE:VIEW 다시보는 tvN 인사이트◀
0:50 → 발해가 역사전쟁에 놓은 사연은?
3:45 → 우리 역사라는 첫 번째 근거, 지배층 대부분이 고구려 유민이었다
5:03 → 우리 역사라는 두 번째 근거, 사료에 남은 기록
5:35 → 우리 역사라는 세 번째 근거, 고구려 문화와 유사한 문화

동북 공정 반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역사노트]중국 동북공정의 논리와 반박 – 네이버 블로그

동북공정을 통해서 논란이 되고 있는 중국학계의 고구려사 왜곡내용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朱蒙)은 중국 고대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7/30/2021

View: 6812

서구학계, 중국 동북공정 논리 반박 “고구려‧신라‧발해 … – K스피릿

동북아역사재단은 지난 2020년과 2021년에 걸쳐 재단 내외 연구자들이 … 서구학계, 중국 동북공정 논리 반박 “고구려‧신라‧발해 당시 중국 버금가는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ikoreanspirit.com

Date Published: 6/27/2022

View: 7026

동북공정이 뭐예요? – 동북아역사넷

중국은 동북공정을 통해 ‘고조선사, 부여사, 고구려사, 발해사가 중국사’라는 주장을 펼치며 … 고조선 역사에 대한 중국의 주장을 정리하고 이를 반박해 보세요.

+ 여기에 보기

Source: contents.nahf.or.kr

Date Published: 3/28/2022

View: 9653

중국이 주장하는 고구려에 대한 동북공정 주요 내용과 반박

그러면 동북공정에서 중국이 주장하고 있는 내용과 그에 대한 반박을 써보겠습니다. 1. 주몽의 성은 한족의 후예인 고이족으로 고구려 민족은 중국 …

+ 더 읽기

Source: tesas.tistory.com

Date Published: 3/19/2021

View: 3790

동북공정 – 나무위키:대문

동북공정 자체를 직역하면 동북 계획이지만 조금 더 한국어로 풀어서 해석하면 … 라고 반박했으며,[8] 이듬해에는 《關於高句麗歸屬問題的畿個爭議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1/15/2022

View: 9454

‘정치적’ 동북공정에 대한 ‘학술적’ 반박 < 보도 < 취재 < 학술

지난 14일(금)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동북공정’ 전후 중국의 한국 고대사 인식」을 주제로 한국사 학술회의가 열렸다. 국사편찬위원회와 한국고대학회가 공동으로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snunews.com

Date Published: 5/13/2022

View: 8177

중국의 동북공정과 우리의 대응책 – 통일연구원

국 가. 왜곡 내용. 역사적 사실(한국의 반론). 고조선. – 중국의 지방정권인 기자조선과 위만조선. 이 한반도를 지배함. – 기자조선은 허구이며, 한반도에 독자적. 인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repo.kinu.or.kr

Date Published: 1/24/2022

View: 2710

“동북공정은 학술성과로 반박” | 기획&특집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동북공정은 학술성과로 반박”. 여론몰이식 조급한 보도로는 전략적 접근 한계. [인터뷰] 동북아역사재단 김용덕 이사장. 2006.09.13 최강. 공감 0. SNS열기. 페이스북

+ 여기를 클릭

Source: www.korea.kr

Date Published: 7/29/2022

View: 3729

北 조선말대사전, 中 동북공정 반박 | DailyNK

北 조선말대사전, 中 동북공정 반박 … 북한이 15년 만에 증보한 ‘조선말대사전'(전 3권)을 통해 중국의 고조선.고구려.발해사 왜곡에 맞섰다. 사전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dailynk.com

Date Published: 6/3/2021

View: 7752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동북 공정 반박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발해가 우리 역사인 근거 l #어쩌다어른 l #tvN인사이트.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발해가 우리 역사인 근거 l #어쩌다어른 l #tvN인사이트
발해가 우리 역사인 근거 l #어쩌다어른 l #tvN인사이트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동북 공정 반박

  • Author: tvN STORY 티비엔 스토리
  • Views: 조회수 1,059,456회
  • Likes: 좋아요 8,403개
  • Date Published: 2019. 12. 10.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I_wSPpwSOFk

[역사노트]중국 동북공정의 논리와 반박

* 이 글은 <<주제별로 접근한 한국고대의 역사와 문화>>에 실린 문창로 교수의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동북공정의 허와 실>에서 발췌한 것임을 미리 밝힙니다.

동북공정을 통해서 논란이 되고 있는 중국학계의 고구려사 왜곡내용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朱蒙)은 중국 고대의 역사에 등장하는 고이족(高夷族)으로 서 고양씨(高陽氏)의 후손이기 때문에, 고구려의 종족계통은 고대 중국의 소수민족에 해당된다는 것이다. 둘째로 역대 중국왕조와 고구려 사이에 전개된 조공(朝貢)과 책봉(冊封)의 관계로 보아 고구려는 중국의 속국(屬國)이 된다는 것이다. 셋째로 고구려와 수·당의 전쟁은 국가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이 아니라 중앙정부와 지방정권 사이에 일어난 내전(內戰) 내지는 통일전쟁의 차원에서 이해하였다. 넷째로 고구려 말뭉 후에 그 유민들의 귀속 문제는 대다수 고구려 유민들이 당 나라로 끌려가 혈연적으로 중국의 한족에 동화되었기 때문에, 한반도에서는 고구려의 혈연적 계승이 단절되었다는 것이다. 다섯째 고구려와 고려는 민족구성·국토범위·예속 관계상 완전히 다르며, 실제로 고구려의 왕족은 고씨(高氏)이고 고려의 왕족은 왕씨(王氏)이기 때문에 계승성이 단절되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중국측의 주장은 논리적으로나 실증적으로 보아도 다음과 같이 근본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①먼저 고구려가 고이족 또는 고양씨의 후손이라는 주장이다. 곧 B.C. 10세기 경에 한동지역에 존재했던 고이족과 B.C. 1세기 경에 건국한 고구려 왕실이 단지 ‘高’씨 성을 가졌다는 이유로 연결시키는 것은 억지에 불과하다. 고양씨 역시 B.C. 2500년 전에 존재했다는 전설상의 인물로서 중국의 역사학자들조차 그 실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사실 고구려의 종족은 한족(漢族)과 구별되는 예맥족(濊貊族)으로서 우리민족의 구성 종족이며, ‘고구려’라는 국호 역시 원래 ‘구려(句麗)’에서 출발한 명칭임을 유념해야 한다.

②둘째, 고구려가 중국에 조공하였기 때문에 속국이 된다는 주장도 옳지 않다. 중국의 논리대로라면 당시 중국과 조공-책봉관계를 맺었던 신라·백제·왜·베트남 등도 중국의 지방정권이 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사실 조공은 진한(秦漢) 제국 이후로 전근대 동아시아의 고전적 국제질서를 상징하는 의례적 외교의 한 형태로 이해된다. 중국은 명분을 중시하면서 스스로를 천자국(天子國)이라고 표방하였고 전통적인 외교관계로써 주변국가와 조공-책봉의 관계를 맺었으며, 또한 조공은 경제적으로 회사품(廻賜品)을 노린 조공무역의 측면에서도 이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고구려의 국왕은 3세기 경에 ‘동맹’이라는 독자적인 제천행사를 주관하였으며, 5세기경에는 광개토태왕비·중원고구려비 등을 통해서 자국 중심의 독자적인 천하관(天下觀)이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조공·책봉 관계를 유지하였던 광개토왕대에는 고구려가 ‘영락(永樂)’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썼으며, 장수왕대에는 중국의 남·북조와 등거리 외교를 구사하기도 하였으므로 고구려가 중국의 속국이라는 억지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③셋째, 고구려와 수·당 사이의 전쟁을 통일전쟁으로 보는 주장 역시 논리에 어긋난다. 예컨대 고구려 연개소문은 당의 침입에 대비하여 천리장성을 쌓았는데, 이는 지방정부 차원이 아닌 독립국가로서 견고한 방어만을 구축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수·당을 비롯하여 중국의 왕조는 전통적으로 고구려를 자기 영역 바깥에 존재하는 오랑캐(夷)로 파악하였으며, 당 고조(高祖)가 고구려와 수의 전쟁에서 발생한 양국의 포로석방을 제안할 때 “지금 이국(二國, 두 나라)이 화통하여 의리에 막힘이 없게 되었으므로…”라고 하여 서로 다른 나라로 인식하였음을 분명히 하였다. 실제로 학계에서는 고구려와 수·당 사이의 전쟁은 고구려의 대륙정책과 수·당 제국의 대외정책이 충돌하면서 빚어진 동아시아의 국제전으로 규정하고 있다.

④넷째, 고구려의 유민 대부분이 당에 귀속되어 한국사와 혈연적 계승이 단절되었다는 주장에도 문제가 심각하다. 중국은 고구려 멸망시 전체 70만 명 중 당나라에 30만 명, 발해에 10만 명, 신라에 10만 명, 기타 20만 명 등으로 분산된 사실을 근거로 삼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고구려의 인구는 130만 명에 달했을 뿐만 아니라, 대다수 고구려인들은 옛 땅에 남아 있다가 당이 설치한 안동도호부에 저항하였으며, 뒤에 발해의 건국세력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특히 고구려 유이민의 자의식(自意識)이 중요한데, 당으로 간 유민은 거의 강제적인 이주의 성격을 갖는데 비해서 신라·발해·돌궐·일본으로의 귀부는 자의적인 측면이 강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신라의 삼국통일에 대한 인식으로 ‘일통삼한의식(一統三韓意識)’이 신라 중대 이후 널리 전해지고, 신라 하대의 최치원은 고구려를 삼한의 하나인 마한으로 인식하여 고구려가 한국고대사의 흐름에 합류한 사실을 분명히 하였다. 나아가 고려시대에 들어서 김부식의 『삼국사기』를 편찬하면서 고구려를 삼국 중 하나로 정리하였고, 이와 같은 인식은 우리의 전통 사서에서 지속적으로 요지되었다.

⑤다섯째, 고려는 고구려의 명칭만 도용했을 뿐인데, 후세 사람들이 고구려와 고려의 관계를 오인하였기 때문에 고구려와 고려의 계승성은 무관하다는 주장이다. 중국은 그 근거로 고구려와 고려 왕실의 성이 다름을 제시하였는데, 사실 중국의 역대 왕조 가운데 왕실의 성이 서로 같은 경우는 없다는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왕조의 계승성은 혈연으로만 설명할 수 없는 문제이며, 오히려 역사적 공동체의식 곧 종족, 언어. 생활풍습 등의 관련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고려는 고구려 멸망 후 250년이 지난 뒤에 건국하여 고구려의 이름을 따서 국호(國號)를 정하여 고구려 계승을 표방하였다. 또한 평양을 서경(西京)이라고 하여 제 2의 수도로 삼고 동명왕 사당을 건립하여 받들고 보존하였다. 나아가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의 왕족을 받아들이고 발해 역대 왕의 왕묘를 세우고 받들었던 점을 주목할 수 있다. 한편 고려 성종 12년(993) 요가 침입하자 서희는 “고려가 고구려 옛 땅을 차지하고 있다. 때문에 나라 이름도 고려라고 하며, 평양을 도읍으로 삼았다. 고구려 땅의 경계로 따진다면 요(遼)나라의 동경도 그 경계 안에 있다”고 반박하여 강동 6주를 얻었던 기록을 통해서도 고려에서 고구려 계승의식이 확고하였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밖에 고구려가 중국사의 일부로 볼 수 없는 이유로는 중국의 정사(正史), 곧 25史에서는 고구려를 줄곧 중국의 역사와 구별하여, 외국의 역사에 해당하는 이역열전(異域列傳) 혹은 동이열전(東夷列傳)으로 편성하여 기록했던 사실을 들 수 있다.

– 문창로,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동북공정의 허와 실> 中 발췌, <<주제별로 접근한 한국고대의 역사와 문화>>, 2006

서구학계, 중국 동북공정 논리 반박 “고구려‧신라‧발해 당시 중국 버금가는 수준, 한국의 선행국가”

《케임브리지 중국사》시리즈 분석, 〈구미학계의 중국사 인식과 한국사 서술 연구〉 발간

미국과 유럽, 서구 역사학계가 중국 역사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한국 관련내용을 어떻게 서술하는지 《케임브리지 중국사》 시리즈를 분석한 연구서 〈구미학계의 중국사 인식과 한국사 서술 연구〉가 24일 발간되었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지난 2020년과 2021년에 걸쳐 재단 내외 연구자들이 ‘케임브리지 중국사 시리즈 전편의 종합적 분석과 논평’을 주제로 추진한 공동연구의 성과를 담은 결과물을 발간한 것이다.

동북아역사재단은 24일 미국과 유럽 역사학계의 중국사 및 한 일관계 인식이 담긴 《케임브리지 중국사》시리즈를 지난 2년 간 분석한 연구서 〈구미학계의 중국사 인식과 한국사 서술 연구〉를 발간했다. [사진=동북아역사재단]

《케임브리지 중국사》시리즈는 구미 지역에서 출판되는 세계 역사 시리즈 중 가장 권위 있는 영문 출판물의 하나이다. 총 17책 중 1978년 제10책(청말淸末 편)을 가장 먼저 출판한 후 최근 2019년 11월 제2책 육조(六朝, 220~589)편까지 출판해 완간을 앞두고 있으며, 40년 간 연구 성과를 망라해 집적한 결과물로써 저자들의 통찰이 여전히 빛을 발한다.

분석한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서구 역사학계가 중국의 천하질서를 담고 있는 정치적 허구성을 지적하고 현재적 관점에서 정치적으로 역사를 해석한 점을 비판했다. 중원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정복통치한 북방민족인 거란과 금, 대하(서하), 몽골에 대한 한족 중심적 시각을 비판하고 북방민족의 정체성을 강조했다.

이는 중국이 동북공정, 서북공정, 서남공정 등 역사공정을 통해 주변 민족과 나라의 역사를 자국 역사로 편입하려는 시도를 비판한 것이다.

특히, 한중간 역사 해석에서 논쟁을 일으키고 있는 부분에 대해 한국 입장과 유사한 시각을 보인다. 고구려를 한국의 선행국가로 인식하며, 발해는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로 이해했다. 또한 중국 중심적인 역사관을 배척하고 고구려와 신라, 발해를 당시 중국에 버금가는 발달수준의 국가로 서술했다. 전체적으로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에서 한반도 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아울러 일본이 주장하는 임나일본부의 허상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한국전쟁에 대해서도 비교적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반면, 중국학계는 서구학계를 상당히 의식해 서구학계의 시각을 비판하고 문제점을 제기하는 서평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어 중국학계의 학술 네트워크를 통해 일부 중국 측 입장이 반영된 연구 성과도 구미학계에서 출간되고 있는 점은 주목해야 한다.

또한, 각 권별 한국사에 대한 서술이 간략하고 단편적이라는 공통된 지적은 국내 학계가 직시할 과제이다. 대다수 서구 동아시아사 전공자들이 언어상 제약 때문에 주로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 된 연구 성과를 인용했고 한국학계의 연구 성과는 극히 미미하게 반영된 점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서구학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개념과 용어로 접근한 한국사 영문 서적을 다수 발간해 고대 동아시아 역사의 다양성과 상호 작용성을 새롭게 발견하도록 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절실하다고 할 것이다.

현재 케임브리지 한국사 시리즈가 아직 출간되지 않은 상황에서 향후 한국 학계와 구미 학계 간 적극적인 학술 교류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댓글 0

공유

저작권자 © K스피릿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중국이 주장하는 고구려에 대한 동북공정 주요 내용과 반박

그러면 동북공정에서 중국이 주장하고 있는 내용과 그에 대한 반박을 써보겠습니다.

1. 주몽의 성은 한족의 후예인 고이족으로 고구려 민족은 중국 동북의 소수 민족이다.

반박: 기원전 10세기에 있던 고이족과 구분되게 북부여 계통의 예맥족으로 그것도 중국의 삼국지에 기록이 되어있습니다.

2. 고구려의 왕들이 한 이래로 중원 왕조의 책봉을 받는 대신 중국 황제에게 공물을 바치며 중국의 지방 정권을 자처했다.

반박: 조공과 책봉은 중국의 국가가 강성할 때 행한 형식적인 외교적 형식일 뿐이고 영토 편입을 위한 실질적인 침공은 없었습니다. 이것을 중국의 국가의 한낱 신하로 보는 것은 있을 수가 없지요. 공물을 바친다고 지방정권이면 베트남이나 왜나라(현재 일본), 거기에 백제, 신라까지 모두 속국이라고 주장하는 격입니다.

거기다 나폴레옹 시대에 무력으로 눌려 군사와 식량을 대준 옛 독일 국가들 프로이센, 작센, 바이에른, 오스트리아 또한 프랑스의 지방정권이 되는 터무니없는 상황이 됩니다.

3. 중국 학자들은 과거 중국 내 존재했던 나라의 역사도 중국사라고 주장, 평양이 한나라의 군현인 낙랑에 존재했음으로 평양 천도 이후의 고구려사를 중국사라고 주장한다.

반박: 현재의 영토를 기준으로 과거의 역사도 자신의 것이 된다는 것은 논리적으로도 말이 안됩니다. 그렇게 따지면 과거 일본이 동남아시아와 중국의 만주와 한반도를 병합했을 때 자신들의 역사라고 주장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그 논리면 원나라가 송, 금나라의 영토를 차지했었으니 중국의 역사는 몽골의 것이겠네요.

비슷한 사례를 하나 들면 군국주의 시절 독일이 있습니다. 나치당 집권 당시에 히틀러는 과거 프로이센 이후 1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점령하고 있던 영토에 대해서 미련이 남아 있었습니다. 이 때문에 그는 독일계 거주민의 수와 많다는 이유와 함께 오스트리아와 체코슬로바키아를 병합하게 됩니다. 지금 중국은 그토록 혐오하는 파시즘의 대표주자인 나치와 비슷한 주장을 펼치는 것입니다.

또한 애초에 기술된 낙랑과 평양이 중국이 주장하는 위치로 지명을 나타낸 건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낙랑이라는 지명 자체가 한의 군현인지 혹은 이후에 세워진 국가 명인지조차 명확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평양은 지명으로 보면 수도지만 사전적 의미는 평평한 땅이고요.

무엇보다 낙랑은 미천왕 때 멸망하였는데 평양으로 수도를 천도한 것은 그 이후인 장수왕 때의 일입니다. 따라서 백번 양보를 하기도 어렵지만 만약 중국 주장대로 하더라도 영토 내의 역사로 보기가 힘들기에 전제 자체도 성립하지 않습니다.

4. 고구려와 수, 당과의 전쟁은 중국 내전이며 고구려와 벌인 전쟁은 국제전이 아닌 통일전쟁이다.

반박: 중국이 주장하는 대로 수와 당나라를 중앙 정부로 놓고 고구려를 지방 정권이라고 해봅시다. 그런데 수나라와 당나라가 건국된 시기는 고구려가 건국된 후입니다. 중앙정부보다 지방정권이 먼저 세워지는 국가가 존재할 수 있는가? 물론 아니죠. 그렇다면 고구려는 애초에 지방정권이 아니라 수와 당의 중앙정부가 됩니다.

또한 당의 경우 문왕 때부터 고구려와 국가간 외교관계로 볼 수 있는 사절 파견이 초반에 엄연히 있었습니다. 사절이 오갔다는 것만으로도 국가로서의 지위를 중국 스스로가 보증하고 있었다는 겁니다.

5. 고구려 멸망 후 고구려 유민 중 다수가 왕족이나 귀족들인데 중국으로 다수가 이주하여 한족과 중화되으니 고구려의 역사는 중국사에 포함된다.

반박: 가장 큰 오류는 기존 고구려 사회는 소수의 지배층뿐만 아니라 다수의 피지배층인 농민과 노비 계층도 많이 있었다는 겁니다. 130만의 고구려인들 중 중국으로 넘어간 것은 소수이며 대다수의 고구려인들은 남아 도호부에 저항하였고 고구려인들을 지배층으로 말갈족들을 피지배층으로 건국된 것이 바로 발해입니다.

6. 고구려와 고려의 건국시기에 차이가 있음을 근거로 두 나라가 무관하다고 주장하며 고구려가 한국사인 고려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이는 고려가 고구려가 멸망하여 혈통이 끊기고 계승성이 없는 국가로 본다는 것인데 자승자박입니다.

중국은 여러 민족이 번갈아서 왕위를 차지했고 대표적인 것이 명-청 교체기를 떠올리실 수 있죠. 한족과 다른 북방 민족이 번갈아 차지한 건데 이것 또한 인정되어 중국사는 반토막이 되어야합니다.

삼국유사의 기록에도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국가를 세웠다는 것이 나와있습니다. 이를 들어 고구려와 고려는 역사적으로 계승하였다는 것이 명백하지요.

‘정치적’ 동북공정에 대한 ‘학술적’ 반박

지난 14일(금)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동북공정’ 전후 중국의 한국 고대사 인식」을 주제로 한국사 학술회의가 열렸다. 국사편찬위원회와 한국고대학회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학술회의는 동북공정이 보여주는 한국사 인식 방식을 분석하고, 고문헌 등에 나타난 실증적 자료를 근거로 동북공정의 논리를 반박했다. 학술회의는 △중국의 고문헌자료와 정사류에 나타난 한국사 분석 △1900년대 이후 근대 중국의 한국 고대사 연구의 두 범주로 나뉘어 진행됐다.

‘중국 고문헌 자료에 비친 한국고대사상’을 주제로 발표한 박경철 교수(강남대·교양학부)는 『관자』를 포함한 선진(先秦) 문헌과 송나라 유서(類書)류에 나타난 한국 고대사를 비교·분석했다. 박 교수는 “송대 유서류에는 기자가 봉국을 받았으며(기자봉국론) 한 무제가 군현통치를 행했다(군현고지론)고 기록돼 있지만 선진문헌에서는 기자봉국론이 언급되지 않았다”며 “이는 영웅들의 서사를 통해 역사를 이해하는 중국 역사심성의 산물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중국의 역사인식이 “기록하되 제 생각대로 쓰는 것(述而作)”이라며 중국의 ‘이데올로기적 역사인식’을 비판했다.

정운용 교수(고려대·고고미술사학과)는 ‘중국 정사 4사에 보이는 한국고대사 인식’이라는 주제의 발표에서 박경철 교수와 의견을 같이 했다. 정 교수는 “『사기』, 『한서』, 『후한서』, 『삼국지』의 조선(동이) 관련 기록을 살펴보면 정보의 확산에 따라 내용이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상고시대로 갈수록 중국과 조선간 상관관계가 희박함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결국 4사는 조선을 비중국 집단으로 인식했으나 조선사를 4사의 열전에 포함함으로써 조선을 중화 세계에 편입하려 했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정사 속의 역사인식은 현재의 동북공정과도 비견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근대 중국의 한국사 인식에 대한 최광식 교수(고려대·ㅁ한국사학과)의 ‘동북공정 이후 중국의 한국고대사 인식’은 최 교수의 불참으로 박대재 교수(고려대·한국사학과)가 대신 발제했다. 최 교수는 논문에서 “동북공정이 고구려를 비롯한 고조선과 발해 등 한국고대사를 왜곡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중국이 고구려를 일개 지방정권이라고 주장한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고구려의 족원은 중국사서에 예맥족이라 기록돼 있다는 점 △수나라는 고구려에게 패해 멸망했으며 이는 고구려가 중국의 지방정권이 아님을 명시한다는 점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의식 때문에 국호를 고려로 했으며 고구려의 도읍 서경을 중시했다는 점 등을 들어 동북공정을 비판했다. 그는 “동북공정이 동북지역의 전략적 지위와 통일 후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 행사 등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농후한 프로젝트”라며 단순한 학술적 연구활동이 아님을 강조했다.

종합토론에 참석한 조인성 교수(경희대·사학과)는 학술회의에 대해 “국내적으로 중국의 한국사 인식에 문제가 있다고 알려졌는데 정작 중국에서 변화가 있었는지 또 그동안 논의했던 활동이 얼마나 성과를 얻었는지 그 결과를 알 수 없었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사회를 맡은 서영수 교수(단국대·역사학과)는 “이번 학술회의는 중국의 역사인식을 총정리했다”며 “회의의 결과물이 베이징올림픽 이후 다시 전개될 중국의 한국사 왜곡에 대응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라며 의의를 평했다.

“동북공정은 학술성과로 반박”

사진=국정브리핑 장명섭

동북공정, 국제적 인정받기에 허술

고구려재단과 통폐합, 연구 효율화 위해 불가피

고대 사학자 숫자는 적지만 연구수준 높아

동아시아 문제 심도있게 연구해 국가정책 반영

간도협약 국제법적 유효 문제 등 연구 필요

국사 교육과 함께 세계사 교육도 병행돼야

중국 정부 산하기관인 사회과학원 변강사지(邊疆史地) 연구중심의 한국 고대사 왜곡 논란(동북공정) 으로 온 나라가 벌집을 쑤셔놓은 듯 시끄럽다. 언론들은 연일 ‘정부의 안일함’을 성토하고 ‘중국 눈치보기’를 비판하면서 즉각적인 해결책을 요구하고 있다. 나아가 아직 출범도 하지 않은 동북아역사재단을 놓고 ‘설립 파행’ ‘조직원 갈등’ 을 부각시키면서 동북공정 대응에 큰 구멍이 뚫렸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출범도 하기 전에 언론의 매를 흠씬 맞아 정신이 없지만 재단에 대한 광고 효과는 100%라는데 위안을 삼아야 겠습니다”11일 과 만난 동북아역사재단 김용덕 이사장은 여론몰이식 언론의 보도 태도에 대한 아쉬움을 애둘러 말했다.사실 이번에 발표된 논문의 내용은 중국이 이미 오래 전에 주장해 온 것으로 새삼스러운 것은 없다. 동북아역사재단이 출범하게 된 이유도 일본의 역사왜곡이나 중국의 동북공정을 단순한 역사연구 차원으로 볼 것이 아니라 국가전략의 큰 틀에서 봐야 한다는 취지에서 시작된 것이다.김 이사장은 “국민들의 억울한 심정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동북공정은 시간적으로 볼 때 오랜 시간 국가전략적 차원에서 준비해온 프로젝트인데 이렇듯 감정적으로 즉각 대응하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지 냉철하게 생각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역사 문제는 단편적인 사안에 일희일비하기 보다는 장기적 안목에서 어떻게 대응할 지에 대해 전략적으로 연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상식적이지만, 연일 여론을 자극하는 언론들의 폭로성 릴레이 보도가 민족주의를 과도하게 자극해 냉정한 대응을 위협하고 있다는 얘기다.김 이사장은 “동북공정은 학술적으로 볼 때 중국 국내용이라면 몰라도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기에는 아직 허술하다”며 “동북공정이 결국은 러시아·북한·몽골·중국 사이의 쌍방관계나 다변관계에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만큼, 중국 논리의 한계를 드러낼 수 있는 객관적 학술성과를 가지고 국제사회의 이해와 협력을 구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그는 또 고구려연구재단 통·폐합과정에서 지적된 문제점에 대해“고구려연구재단은 순수 연구에 치중한 나머지 중국 국책연구기관들의 고구려사 왜곡에 신속하고 전략적으로 대처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며 “역사라고 하는 것은 한 나라의 역사, 한 시대의 역사를 공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이 어떠한 연관 아래서 이뤄지고 있는가를 짚어보는 포괄적인 안목이 중요하다”고 말했다.따라서 동아시아 문제를 심도 있게 연구하고 이를 국가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기관으로 동북아역사재단의 설립하는 과정에서 예산상으로나 연구의 효율화를 위해서도 고구려재단과의 통·폐합은 불가피한 결정이었다는 설명이다.김 이사장은 또 동북아역사재단이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만큼 미국의 브루킹스 연구소, 해리티지 재단 못지 않는 싱크탱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한편 김 이사장은 요즘 TV의 역사드라마, 영화가 인기 있는 것에 대해 “일반 대중에게 역사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해준 것은 고마운 일이지만 역사적 사실마저 과하게 픽션화하는 것은 우려된다”며 역사를 ‘보는데’ 그치지 말고 ‘읽어 달라’고 당부했다.다음은 김 이사장과의 일문일답.-중국의 동북공정이 우리 국민들의 감정을 또 다시 자극하고 있다. 우리의 대응은 무엇인가.▲중국은 오랜 준비를 거쳐 2002년 2월부터 5년간 동북프로젝트를 시행해 오고 있다. 시간적으로 볼 때 몇 년을 전략적으로 준비한 중국에 대해 감정적으로 즉각 대응하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지 냉철하게 생각해 봐야 한다.역사논쟁은 단시간 내에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누가 등을 떠민다고 나갈 수는 없는 것이다. 중국 논리를 반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연구성과를 내는 것이 우선이다.중국의 동북공정 전략을 자세히 분석해보면 한국과 중국 일대일의 싸움이 아니다. 동북공정은 결국 동북을 둘러싼 러시아, 북한, 한국, 몽골, 중국사이의 쌍방관계나 다변관계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될 여지가 크다. 따라서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의 이해와 협력을 구하는 것도 중요하다.자칫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국의 민족적 감정을 건드리게 되면 오히려 반한감정을 불러일으켜 조선족에 피해가 갈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역사문제에 관한한 한·중·일만 보지 않고 넓게 비교하는 열린 시야를 갖춰야 한다.-우리 고대사 연구진은 어느 정도 이며 그 수준은 어떻게 되나.▲고대 사학자의 숫자는 적지만 세계 역사학계와 비교해서 고대사 연구수준은 높은 편이다. 하지만 학문적인 업적이 우리 정책에 얼마나 반영됐는가 하는 점엔 아쉬움이 남는다.미리 정해 놓은 연구 방향을 바탕으로한 학문적 성과와 정치적 목적 하에서 이뤄지고 있는 중국의 역사연구와 달리 우리는 독자적인 연구기능이 중시되고 있기 때문에 연구 성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것 같다. 이러한 연구업적을 잘 꿰어 한국고대사가 일본과 중국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동북아역사재단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바른역사기획단과 고구려역사재단이 흡수·통합되면서 재단의 성격에 대한 논란도 많습니다.▲개인적으로 고구려연구재단 발족 때부터 국가차원에서 동북공정의 실체를 파악하고 전략적으로 재단 설립이 추진되어야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왔다. 고구려연구재단에서 이뤄낸 연구 성과는 높이 평가한다.또 동북공정의 궁극적인 목적이 단지 고대사 해석에만 머물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근·현대 변경문제에 관한 전략까지 염두에 둔 보다 광범위하고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보면 고구려연구재단으로는 한계가 있었다고 판단된다.또한 고구려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측 학자들과의 교류를 추진해야 하나 현재 첨예한 문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문제이다 보니 직접적인 교류가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고구려 재단’이라는 이름을 갖고서 접근한다면 학자들의 참여를 어렵게 하는 점이 있다.동북아역사재단은 동북공정뿐 아니라 교과서 문제, 일본의 우경화 등 많은 문제가 예상되는 가운데 특정 시기나 사안을 다루는 기관보다는 동아시아 문제를 심도있게 연구하고 이를 국가정책에 반영하는 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다는 것에 대한 합의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다만 동북아역사재단이 정부에서 출연한 연구기관인 만큼 순수한 연구 분위기가 침해되고 고위공무원의 통제를 받게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그러나 정부의 입맛에 맞는 역사를 재단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대단히 시대착오적이다. 노무현 대통령도 ‘역사의 보편성’에 대해 자주 언급했듯이 동북아역사재단은 역사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를 통해 학문적인 수준을 높여 갈 것이다.-이사장이 일본사 전공자라는 이유로 재단의 방향이 일본연구에 치우치게 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도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나.▲동양사를 전공하게 되면 일본사, 중국사는 동시에 공부해야 한다. 재차 반복하는 것이지만 한 나라의 역사는 그 나라만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이웃 나라와의 상호연관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다. 일본역사가 학술적인 분야의 전공이지만 시야는 한·중·일, 동북아시아 전체를 포괄하고 있다. 내가 일본사를 연구했으니 재단을 일본사 중심으로 끌고 갈 것이라는 것은 그야말로 기우다.기구상으로 봐도 중국연구, 일본 연구 각 1팀과 영해·영토 문제 1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독도와 동해문제가 부각되면서 영해·영토팀에서 일본과 관련된 연구를 하게 되서 일본연구에 더 가깝다는 이야기가 나올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간도문제도 함께 연구 대상이기 때문에 영해·영토팀을 일본팀으로 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간도 문제도 매우 예민한 사안인데.▲중국이 실효적 지배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우리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은 현실적이지도 않고 외교적 마찰로 비화될 염려가 있다. 그러나 간도 문제는 중국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왜곡 문제, 한반도 통일 전후에 대단히 중요하게 쓰일 수 있는 전략적 대응카드인 만큼 간도의 역사와 한국사와의 관계, 간도협약이 국제법적으로 유효한가에 대한 연구는 필요하다고 본다.-동북아역사재단을 어떻게 운영할 생각인가.▲일본과 중국과의 문제에 대응하는 방식이 아니라 한걸음 더 나아가 문제를 예견하면서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역사 문제 해결의 장악능력을 우리가 가져야 겠다.특히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상황에서 재단의 연구업적이 권위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미국의 브루킹스 연구소, 해리티지 재단에서 발표되는 자료는 미국 뿐 아니라 전세계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상당하다. 동북아역사재단도 이에 못지 않는 싱크탱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길 기대하고 있다.-요즘은 동북공정 문제가 핫이슈화 되어 있지만 한일간의 역사문제도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닌데.▲일본과의 역사문제에 대해서는 희망의 사인을 읽고 있다. 일본을 대표하는 보수파 신문이라고 할 수 있는 요미우리 신문이 3년 전부터 ‘일본이 전쟁의 책임을 져야 한다’ ‘신사참배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일본의 전쟁책임을 공식적으로 묻고 있는 상황이다.일본인들 사이에서도 책임있는 세계인으로써 독일처럼 과거 일본정부의 유산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견에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일본국제교류기금(일본기금)의 지원을 받았기 때문에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직에 부적합하다는 일부 시민단체들의 지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내 외증조가 독립운동을 하시다 돌아가셨다. 일본을 제대로 연구하고 알아야 극일도 하는 것이라는 생각에서 일본역사를 전공하게 됐고 마음의 부담없이 장학금을 받았다. 미국이나 영국에서 받는 풀브라이트나 로즈 장학금을 받는 것은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하면서 왜 일본의 경우만 예외가 되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일본기금의 올해 국제교류장려상 수상자로 선정된 것도 연구자에 대한 상으로써 영광스럽게 생각한다. 만약 한국국제교류재단이 주는 상을 다른 나라 학자들이 부끄러워하면 되겠나?내가 몸담았던 서울대 일본연구소가 일본기금의 지원을 받았지만 그 역시 연구에 대한 어떠한 조건도 없다.재단이사장을 맡기 전에 수상자로 내정됐고 동북아역사재단이 일본에 대해 공신력을 갖기 위해서는 이러한 상을 받은 학자를 인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우리 사회 일각에서 갖고 있는 일본에 대한 지나친 피해망상증을 경계하고 극복하는 것이야말로 바른 한일역사 관계를 정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역사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역사교육시스템에 대한 논의가 재현되곤 한다. 역사교육에 대해 한마디 해달라.▲국사가 필수과목이 아닌 교양과목이라는 사실이 매우 실망스럽다. 대학에 입학해서 한국의 역사는 물론이고 세계사 책 한 권 읽지 않고도 졸업을 할 수 있는 실정이다.국사교육도 물론 중요하지만 세계사 교육도 병행되어야 한다. ‘세계 속의 한국’을 지향하면서 세계를 모른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또한 자기 나라의 역사만을 배우게 되면 자칫 국수주의로 경도될 우려가 크다. 역사 교육에 있어서 균형은 매우 중요하다. 세계사를 함께 공부함으로써 균형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다.자국 위주의 편협한 역사인식에서 벗어나 중국, 일본, 세계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하고 있는 한국 역사를 객관적인 안목으로 이해하도록 올바른 교재를 만들고 가르쳐야 한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앞으로 국사편찬위원회 등의 연구 프로젝트를 연계해 이같은 일을 적극적으로 펼쳐나갈 계획이다.-요즘 역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커지면서 역사소설과 영화, 드라마가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난 역사드라마를 보지 않는다. 솔직히 짜증이 나기 때문이다. 역사드라마는 역사적 사실과 픽션이 씨줄과 날줄로 엮여 대중에게 역사를 선보이는 것이다. 그런데 요즘 역사물을 보면 역사적 사실도 픽션화되어버리는 경향이 짙다. 역사 기록이 없는 부분은 충분히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렇지만 역사적 사실은 그대로 인정되어야 한다.서울대 재학생 중에서도 ‘무슨 드라마에서는 그렇지 않던데요’하면서 의문을 제기하곤 한다. 드라마를 역사로 착각하고 그대로 믿는 경우이다.드라마나 영화가 역사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 내는 것은 고맙고 좋은 일이다. 그러나 역사는 제대로 된 역사책을 읽고 공부해야 한다. 작가들 역시 깊이 있는 공부가 필요하다. 재단에서도 앞으로 학생들, 일반인들이 읽을 만한 역사책들을 발행할 계획이다.

北 조선말대사전, 中 동북공정 반박

“고구려..최대 령역은 조선반도의 중부 이북과 료하 상류 류역의 동쪽, 송화강 류역, 흑룡강 하류 류역의 남쪽을 포괄하여 동서로 6,000리, 남북으로 4,000리였다.”(2007년 증보판 ‘조선말대사전’)

북한이 15년 만에 증보한 ‘조선말대사전'(전 3권)을 통해 중국의 고조선.고구려.발해사 왜곡에 맞섰다.

사전은 먼저 ‘고구려’에 대한 설명에서 1992년판에 최대 영역을 “동서로 6,000리, 남북으로 수 천 리였다”고 설명했던 것을, 증보판에서는 “동서로 6,000리, 남북으로 4,000리였다”고 못박고 고구려사 관련 어휘를 대거 새로 실었다.

특히 ‘고구려-한 전쟁’, ‘고구려-위 전쟁’, ‘고구려-연 전쟁’, ‘고구려-수 전쟁’, ‘고구려-당 전쟁’ 등 고구려가 중국 대륙의 외세에 대항해 싸우면서 강력한 국력을 과시한 역사를 집중 소개했다.

북한은 지난 3월 일반 주민을 대상으로 발행한 대중역사서 ‘고구려이야기(사회과학출판사)’를 통해 “최근 어떤 학자들의 논조에…고구려는 중국의 ‘속국’, ‘중국 소수민족의 지방정권’이었다는 괴이한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고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해 강력 반박했었다.

증보판 ‘조선말대사전’은 ‘고구려-수 전쟁’을 “6세기 말~7세기 초 고구려의 군대와 인민들이 수나라의 침공을 쳐물리친 반침략 조국방위 전쟁”으로 정의하고 “고구려 군대와 인민들은 4차에 걸치는 대규모의 침공을 물리치고 커다란 승리를 이룩함으로써 국토를 지켜내고 나라의 위력을 대외적으로 널리 시위하였다”고 강조했다.

또 ‘고구려-당 전쟁’에 대해선 “당나라의 침략에 반대하여 싸운 반침략 방위전쟁. 4차례에 걸치는 전쟁에서 고구려의 애국적인 군대와 인민들은 나라를 지켜내기 위하여 용감히 싸웠다”고 설명하고 그러나 “국왕을 비롯한 통치배들의 무능력과 반역자의 투항행위로 668년 9월에 평양성은 함락됐다”고 덧붙였다.

사전은 특히 ‘고구려국’에 대해 1번 뜻으론 원래의 고구려를 설명하고, 2번 뜻으로 670년대 전반 지금의 황해남도 신원군 장수산성 일대인 한성에 들어선 ‘고구려국’이라고 설명한 뒤 “고구려 멸망 이후 인민들은 반침략 투쟁을 계속하여 당나라의 통치기구인 안동도호부를 료동지방으로 쫓아버리고 사야도(인천 부근 소야도)에 가 있던 고구려왕의 서자 안승을 데려다가 그를 왕으로 하는 고구려국의 재건을 선포하였다”고 부연하기도 했다.

이 밖에 사전에 새로 실린 고구려 관련 용어는 ‘고구려다리’, ‘고구려말’, ‘고구려무덤벽화’, ‘고구려벽화무덤’, ‘고구려석각천문도’ 등이며 발해에 대해서도 ‘발해-당 전쟁’을 비롯해 ‘발해자기’, ‘발해장’, ‘발해5경’ 등을 새로 소개했다.

사전은 또 고조선에 대해서도 ‘고조선-연 전쟁’과 ‘고조선-한 전쟁’ 등을 실어 외세의 침공에 대항한 역사를 부각시켰다.

2007년판 ‘조선말대사전’은 임진왜란 때 함경도 의병의 전승을 기념한 전공비이지만 일제시대에 약탈됐다가 남북 공동의 반환운동 끝에 일본으로부터 돌려받은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에 대해 “일제가 1906년에 일본으로 빼여갔는데 2006년에 되찾았다”고 소개했다./연합

키워드에 대한 정보 동북 공정 반박

다음은 Bing에서 동북 공정 반박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발해가 우리 역사인 근거 l #어쩌다어른 l #tvN인사이트

  • 설민석
  • 한국사
  • 역사
  • 발해
  • 고구려
  • 신라
  • 남북국시대
  • 한반도
  • 어쩌다어른
  • 강의
  • 강연
  • 특강

발해가 #우리 #역사인 #근거 #l ##어쩌다어른 #l ##tvN인사이트


YouTube에서 동북 공정 반박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발해가 우리 역사인 근거 l #어쩌다어른 l #tvN인사이트 | 동북 공정 반박,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카톡 프사 심리 | 헤어진 후 카톡프사에 담긴 심리 다 알려드립니다. 빠른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