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공기업 A 매치 | [잔송Tv] 회계사Vs금융공기업 승자는?? 315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금융 공기업 a 매치 – [잔송TV] 회계사VS금융공기업 승자는??“?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CPA지한송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6,147회 및 좋아요 34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금융 공기업 a 매치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잔송TV] 회계사VS금융공기업 승자는?? – 금융 공기업 a 매치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금융 공기업 a 매치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취업하자, 공기업!] 금융 공기업 A매치, B매치 차이점은?

A매치는 주요 금융 공기업이나 국책 은행이 10월 셋째 주 전후로 같은 날 시험을 치르면서 생긴 용어이다. 이날 입사 시험이 진행되는 기업들을 A매치라고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edupolnews.com

Date Published: 3/5/2022

View: 8821

A매치 금융공기업 종류와 연봉 합격스펙 총정리 – 알려줄게 정보

A매치 금융공기업 종류 및 연봉정보 · 1. 한국은행(한은) · 2. 금융감독원(금감원) · 3. 한국거래소 · 4. 한국예탁결제원(예결원) · 5. 한국수출입은행 · 6. KDB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knowhowbong.tistory.com

Date Published: 7/6/2021

View: 7231

‘A매치’ 금융공기업, 그게 뭐에요? – 블로그

‘A매치’라는 용어는 흔히 스포츠 경기에서 많이 쓰이는데요. 정식 국가대표팀 간의 경기를 말합니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유래되어 같은 날 필기시험을 …

+ 여기에 보기

Source: blog.naver.com

Date Published: 9/14/2021

View: 8422

금융 공기업 A 매치 | 금융공기업 다니는 현직자와 인터뷰 …

A매치 금융공기업은 대한민국의 금융시장을 선도하는 금융공기업 8곳을 의미하며, 보통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한국거래소, … +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ppa.covadoc.vn

Date Published: 7/14/2022

View: 1856

금융 공기업 A매치에 대하여 알아보자 (취준생은 알 수 없는 …

필자의 자기소개서 첨삭을 받고싶다면? https://kmong.com/gig/340755 낮은 스펙으로 금융 공기업, 금융권, 대기업에 취업시켜 드립니다.

+ 더 읽기

Source: jenehoon.tistory.com

Date Published: 8/25/2021

View: 5295

9월 24일 ‘금융권 채용 A매치’ 열린다 – 전자신문

금융권 A매치는 주요 금융 공공기관이 신입직원 필기시험을 모두 한날 한시에 보면서 붙여진 별칭이다. 금융 공공기관들은 한국은행이 날짜를 잡으면 일정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etnews.com

Date Published: 10/8/2021

View: 2837

금융공기업 A매치,B매치 뜻과 순위 (ft.일정)

금공 A매치와 B매치 일정은 어떻게 될까? 금융공기업 A매치에 속하는 금융공기업이나 은행들의 경우 10월 셋째주 전후로 필기시험을 보게 된다. 같은 날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more-money-no-problems.tistory.com

Date Published: 6/20/2022

View: 260

금융 공기업 a매치 b매치, 이렇게 구분해요! – 블로그잡스

금융 공기업 a매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금융 공기업 a매치가 무엇인지, 평균 연봉은 얼마인지 알게 될 겁니다. 금융 공기업 a매치의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blogjobs.tistory.com

Date Published: 9/11/2021

View: 7487

가이드 – 유니스터디

공기업-금융분야에서는 A매치라는 유행어가 있습니다. 사실 A매치는 국가대표간 성인팀 경기를 뜻하는 단어로, …

+ 더 읽기

Source: www.megafine.co.kr

Date Published: 5/22/2022

View: 4969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금융 공기업 a 매치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잔송TV] 회계사VS금융공기업 승자는??.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잔송TV] 회계사VS금융공기업 승자는??
[잔송TV] 회계사VS금융공기업 승자는??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금융 공기업 a 매치

  • Author: CPA지한송
  • Views: 조회수 46,147회
  • Likes: 좋아요 343개
  • Date Published: 2020. 10. 10.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BA3wbbQ3PQI

[취업하자, 공기업!] 금융 공기업 A매치, B매치 차이점은?

[사진 =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EPN 교육정책뉴스 왕보경 기자] 수많은 취업 준비생들이 선망하는 공기업, 그중에서도 금융 공기업은 높은 연봉과 안전성으로 인기가 높다.

취업 시장은 꽁꽁 얼어붙은 침체기이지만, 금융권 취업 시장은 생각보다 활발하게 채용이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가 기업의 구조조정이나 보증과 같은 금융 지원 업무를 급증시켰다. 금융권에서는 이를 담당할 현장 실무 인력을 충족하기 위해 대규모로 채용 인원을 늘리고 있다.

금융 공기업의 분류와 A매치, B 매치, 연봉 등에 대해 알아보자.

금융 공기업 분류

수많은 공기업이 있는 것처럼 금융 공기업의 종류도 다양하다. 심지어 A매치와 B매치로 구분 짓기도 한다. 금융 공기업은 기획재정부 지정 공공기관 여부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 가능하다.

① 기획재정부 지정 공공기관

한국투자공사, 한국예탁결제원, 한국벤처투자, 예금보험공사, 우체국금융개발원, 서민금융진흥원,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한국산업은행,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수출입은행, 중소기업은행, 한국주택금융공사, 신용보증재단중앙회, 농업정책보험금융원

② 기획재정부 비지정 공공기관

금융보안원,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금융결제원, 코스콤,

③ 지장정부 출자출연기관

서울신용재단, 서울신용재단을 포함한 각 지역의 신용보증재단

A매치 VS B매치

금융 공기업 취준생들은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지정으로 기업을 나누기보다는 A매치와 B 매치로 구분한다. 공식적인 구분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필기시험 날짜를 기준으로 A매치와 B 매치를 나눠 부른다.

A매치는 주요 금융 공기업이나 국책 은행이 10월 셋째 주 전후로 같은 날 시험을 치르면서 생긴 용어이다. 이날 입사 시험이 진행되는 기업들을 A매치라고 묶어 부르고, 나머지 기업들을 B 매치라고 한다.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산업은행, 예금보험공사 등이 A매치에 속하고 B 매치에는 기술보증기금, 자산관리공사, 기술보증기금, 주택도시 보증 공사, 신용보증기금 등이 있다. 같은 날 입사 시험을 진행할 경우 생길 수 있는 인사 공백을 막고 필기시험 문제 유출 방지를 위해 이와 같은 방식이 시행되고 있다.

우대 자격증

금융 공기업에 지원할 때 가산점이 부여되는 자격증이 있다. 경영, 경제, 회계에 관련된 자격증을 취득해두면 입사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직무와 관련된 지식을 쌓을 수 있다. 또 현장 실무에서도 진급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토익 점수, 한국사, 컴퓨터 활용능력, 인턴 경험을 기본으로 하고 전산세무회계 자격증, AFPK, 재경관리사와 같은 자격증을 취득해 둔다면 추가적인 가산점을 얻어 입사 시 유리할 것이다.

전산세무회계 시험은 세무회계분야의 실무 능력 평가를 위한 시험이다. 전산세무와 전산회계로 분야가 나뉘고, 1급과 2급이 있다. 시험의 난도는 전산 세무가 회계보다 높다. 두 시험 모두 이론과 실기 시험이 진행되고 100점 만점 중 70점 이상인 경우 합격한다.

AFPK는 재무 설계업무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성을 보여주는 금융 자격증으로 자격증 취득에 많은 시간을 쏟아야 한다. 인터넷 강의 기준 140시간 이상의 교육과정을 수료하고 시험을 치러야만 자격증이 주어진다.

재경관리사는 재무회계, 세무회계, 원가관리회계 지식과 실무능력을 갖춰 재경 전문가로서의 자격을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자격증이다. 전산세무 자격증 1급과 비슷한 수준으로 문제가 출제되고, 3개 과목별 40문항씩 출제된다.

연봉은?

금융 공기업은 안정성이 보장되고 연봉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금융 공기업 평균 연봉은 신입사원 초봉을 기준으로 평균 3800만 원이다. 신용보증기금이 평균 초봉 4천7백만 원대로 가장 높은 금액을 보였다. 기술보증기금 4천6백만 원, 한국수출입은행 4천5백만 원, 한국예탁결제원 4천5백만 원, 한국자산관리 공사가 4천4백만 원 대이다.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회사는 ‘신의 직장’이라고 불리는 한국거래소이다. 한국 거래소의 평균 연봉은 1억 1,496만 원으로 집계됐다. 한국투자공사의 평균 연봉도 1억여 원이 넘는다. 신용보증기금도 9천6백만 원, 예금보험공사가 9천1백만 원으로 높은 연봉을 지급하고 있었다.

시험 방식은?

[사진 =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금융감독원 2022 채용에서 90명 이내의 사원을 모집한다. 금융감독원의 채용 시험은 1차·2차 필기시험과 두 번의 면접으로 진행된다.

1차 필기는 NCS 기반의 직업기초능력 시험이다. 객관식으로 진행되는 1차 시험은 의사소통 능력과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한다. 1차 필기 성적과 제출된 영어 성적을 9 대 1로 종합하여 고득점자 순으로 최종 합격자의 10배수를 선발한다.

이후 2차 필기시험이 진행된다. 시험은 경영학, 법학, 경제학, IT 등 전공과 관련된 주관식 평가와 논술 평가로 구성돼 있다. 2차 필기에서는 채용 인원의 2배수를 선발한다. 이후 필기 전형 합격자를 대상으로 두 번에 걸친 면접고사를 진행한 뒤 최종 합격자를 발표한다.

[사진 = 한국은행 홈페이지]

한국은행에서도 신입사원 모집 공고를 게시했다. 한국은행은 2022년도 모집에서 50명 이내의 직원을 모집한다. 한국은행은 서류 합격자를 대상으로 필기시험을 실시한다. 필기시험 과목은 전공 학술 시험과 논술로 구성돼 있다. 전공 학술 분야 시험은 분석형, 서술형, 논문형으로 출제된다.

경제학·경영학·법학 등 지원 분야의 지식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 평가한다. 논술 시험은 경제나 금융 이슈, 인문학 등과 관련하여 출제된다. 이후 집단 토론, 심층 면접 등 을 진행한 후 최종 합격자를 발표한다.

금융 감독원과 한국은행을 제외한 다른 금융 공기업들도 비슷한 방식으로 채용이 진행된다. NCS를 기반으로 한 전공 문제를 출제해 업무 적합도를 평가하는 방식이다.

현금 흐름표, 대손상각에 대한 빈칸 채우기 같은 단답형 문제가 출제되기도 하고, 주가를 구하는 계산 문제, 시장 세분화 요건의 장단점을 서술하는 형식으로 다양하게 문제가 출제된다. 기업 별로 어떤 NCS형 문제를 출제하고 있는지 기업의 모집 요강을 잘 살펴봐야 한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금융감독원을 포함한 모든 공기업에서는 블라인드 채용을 진행한다. 출신 학교를 유추할 수 있는 항목을 자기소개서에 적시해서 안되며, 지원서 접수 시 학교를 유추할 수 있는 메일을 사용하는 것도 금지이다.

A매치 금융공기업 종류와 연봉 합격스펙 총정리

반응형

A매치 금융공기업 종류와 연봉 합격스펙

문과분들의 꿈꾸는 신의 직장인 금융공기업, 그중에서도 급이 나눠져 있는데 보통은 A매치 B매치로 나눠서 부릅니다. 오늘은 A매치 금융공기업에는 어떤 기업이 있는지와 초봉, 연봉 정보, 합격 스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A매치 금융공기업은 어떤 곳인가?

금융공기업은 10개가 넘는 곳이 있는데 특히나 문과분들이 입사하고 싶어 하는 A매치 금융공기업은 경쟁률이 엄청나고 필기시험 난이도는 전문 자격증 1, 2차 시험 난이도로 공부해야 할 정도로 힘든 곳도 있습니다. A매치 금융공기업만을 위해 수년간 취업 준비를 하는 분들도 있을 정도니까 말이죠.

A매치 금공 준비생, 합격스펙

보통 A매치 금공을 준비하는 분들은 대부분 정해져 있습니다.

행정고시, 회계사 공부를 하던 사람

경제, 경영학과

타 전공이지만 경제 쪽 취직을 원하는 사람

A매치 금융공기업을 준비하는 분들은 대부분 이렇게 경제, 경영분야에 ‘공부 좀 한다’라고 하는 분들이 많이 지원하고 그만큼 경쟁이 엄청나게 박 터진 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필자도 공대 전공으로 금융업에 종사하고 있지만 저희 회사에도 A매치 준비를 하다가 중앙회에 합격하여 들어온 케이스도 많은 것 같습니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A매치 금융공기업에 입사하신 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거르려고 거른 것은 아니지만 고학벌분들이 정말 많다고 합니다. 그만큼 공부하는 방법에 능통한 사람들이 합격한다는 얘기겠죠? 😑

A매치 금융공기업 종류 및 연봉정보

1. 한국은행(한은)

한국을 대표하는 은행인만큼 지인들의 부러움과 넓은 어깨, 위엄을 자랑할 수 있는 곳입니다. 그러나 업무 강도도 상당히 높으며 일하는 것에 비해 연봉이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알리오 자료에 의하면 한국은행 신입사원 초봉은 5,000만 원 평균 연봉은 9,500만 원 정도라고 합니다. 평균 연봉은 계약직이나 낮은 연차의 분들이 많아서 낮게 책정된 것으로 보입니다.

2. 금융감독원(금감원)

다음은 이름만 들어도 멋진 금융감독원입니다. 금융공기업 중에서 타 금융기관을 규제, 감사하는 기관으로 감사가 나온다고 하면 걱정이 되는 곳입니다. But 감금원. 퇴사 후에도 각종 금융기관이나 중앙회 등에 검사, 감독이사 등으로 취직을 할 수 있어서 경력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

그러나 금융감독원(금감원) 초봉은 4,500만 원 평균 연봉 9,000만 원으로 높은 축에 속하지는 않습니다. 명예직이라고 생각해도 될 것 같네요

3. 한국거래소

A매치 금융공기업 중에서 가장 선호하는 기업 중 한 곳인 한국거래소입니다. 한국거래소는 주식시장을 운영하는 등 한국의 시장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곳입니다. 그렇다 보니 생각보다 업무강도가 강하지 않다는 소문이 자자해서 모두가 입사하고 싶어 하는 곳입니다.

그리고 한국거래소 초봉 4,800만 원 평균 연봉 1억 1,500만 원 정도로 금융공기업 중에서 가장 많은 연봉을 받는 기업 중 하나기 때문에 모두가 가고 싶어 하는 곳입니다.

4. 한국예탁결제원(예결원)

한국 예탁결제원도 A매치 중에서 한국거래소와 비슷하게 모두가 입사하고 싶어하는 기업 중 한 곳입니다. 증권예탁결제제도를 운영하는 곳으로 유가증권 거래를 하면 이 곳에 예탁했다가 며칠 뒤에 실제로 주식을 산 것으로 처리되는 업무를 하는 곳입니다. 정확히 무슨 일을 하는 곳인지를 모르겠지만, 남들이 내가 무슨 일을 하는지 모르는 곳이 좋은 직장이라고 했습니다.

한국예탁결제원 초봉은 4,700만 원 평균 연봉 1억 1,100만원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나 부산에서 근무할 가능성이 거래소보다 높아서 선호도가 다시 낮다고 합니다. 그래도 갈수만 있다면 저도 가고싶습니다.

5.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수출입은행은 국내에서 진행되는 수출입, 해외투자 등에 필요한 금융, 자금을 제공하는 국책은행입니다. 그렇다보니 영어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공계 직무도 적당히 뽑는 것 같습니다. 수출입은행 초봉 4,600만원 평균연봉 1억 500만원으로 꽤나 높은 편에 속합니다.

6. KDB산업은행(산은)

산업은행은 국내외에서 진행되는 각종 산업들에 필요한 금융을 제공하는 국책은행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KDB산업은행, 산은 초봉은 5,000만원 평균연봉 1억 1,200만원으로 거래소와 비슷한 연봉을 받는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산업은행은 낮은 연차일 때 지방근무를 해야한다는 리스크가 존재하기도 해서 수도권에만 있고 싶은 분들은 기피하는 경우가 있으며, 업무강도가 낮은 편은 아니라 조용히 편하게 일하고 싶은 분들은 꺼리는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구성원분들이 산업은행에 다니면서 불평하는 것을 본 적이 없으니 좋은 회사임에 틀림없습니다.

7. 한국무역보험공사(무보)

한국무역보험공사는 무역이나 대외거래가 발생하는 위험을 담보하기 위해 무역보험제도를 운영하는 기관으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입니다. 한국무역보험공사, 무보 초봉은 4,300만원 평균연봉 9,430만원으로 꽤나 높은 편에 속합니다. 부럽습니다.

8. 한국예금보험공사(예보)

한국예금보험공사, 예보는 우리들이 은행에 예치하는 예적금을 보호해주기 위해 있는 공기업입니다. 흔히 은행에 5,000만원까지는 예금자보호가 된다고 하는 문구를 많이 보셨을 것입니다.

예금보험공사(예보) 신입 초봉은 4,340만원 평균연봉 9,100만원으로 타 A매치 금융공기업보다 연봉이 적은 편입니다. 그렇지만 일이 그렇게 많지는 않아서 A매치에 간신히 들어가고 있는 기업이라고 합니다.

기타 금융기업

위에서 소개한 A매치 금융공기업 외에도 숨어있는 알짜 금융기업들이 많습니다. 금융결제원, 금융보안원, 무역협회나 금융투자협회 같은 각종 협회들도 정말 좋은 직장이라고 합니다. 물론 협회는 그 곳에서 커리어를 쌓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조용히 들어가서 평생 다니는 곳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정리

오늘은 A매치 금융공기업들의 종류와 간단한 설명, 초봉 연봉 정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A매치 금융공기업에 대해서 글을 적다보니 저도 A매치 한국거래소나 산업은행 같은 멋진 회사로 옮기고 싶다는 생각도 들긴 하네요. 물론 제가 다니고 있는 회사도 나쁘지 않지만요 😥

다음번 글에서는 A매치가 아닌 B매치 금융공기업 종류와 연봉 정보들에 대해서 다뤄볼게요

그럼- 안녕-

봉-바-🙋🏻‍♂️

[함께 읽으면 좋은 포스팅]

건설사 GS건설 현대건설 채용 연봉 초봉 합격스펙

연예인 매니저 평균연봉 월급 생활 정리

2021년 공무원, 경찰, 소방 봉급표 총정리 (Feat. 2022년 예상 봉급)

기술보증기금 채용 후기 (Feat. 이공계 자소서, 필기, 면접)

반응형

금융 공기업 A 매치 | 금융공기업 다니는 현직자와 인터뷰 해봤습니다 204 개의 베스트 답변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금융 공기업 A매치에 대하여 알아보자 (취준생은 알 수 없는 정보들을 바탕으로)

반응형

필자의 자기소개서 첨삭을 받고싶다면?

https://kmong.com/gig/340755

필자의 면접 컨설팅을 받고싶다면?

https://kmong.com/gig/344176

※ 필자가 들은 정보를 바탕으로 전달을 하겠다. 그래서 많은 기업에 대해서 자세하게 작성할 순 없고 복지나 그런 부분에 대해서 두리뭉실하게 말하겠다.(전해 들은 부분이 많이 때문에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다. 그러니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정정하겠다.)

어제(2021.09.11)은 A매치데이였다. 다들 잘 보았는가? 필자가 금융 공기업 A매치에 들어온 뒤로, 동기들에게 많은 정보들을 들었다. 나는 IT 직렬이라 그렇게 많은 준비를 하지 않았지만, 문과생인 동기들은 관심을 가지고 어느 정도 오랫동안 준비한 것 같았다.

금융 공기업 A 매치를 준비하는 사람들

일단 문과에서 금융공기업 A매치에 들어오려고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정해진 케이스가 있는 것 같다.

– 행정고시 준비하다 온 케이스

– 경제학과

– 경영학과

– 그 외 학과이지만 경제쪽 공부를 많이 한 케이스

– 회계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회계법인에서 일을 하다 이직을 원하는 경우

– 변호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로펌에서 일을 하다 이직을 원하는 경우

뭐.. 어떻게 보면 모든 문과 계열이 다 포함되는 사항일 수 있으나… 대체로 저렇게 나뉘는 것 같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A매치에 합격한 사람들을 보면 SKY가 정말 많다. 블라인드 채용임에도 불구하고. 그만큼 SKY가 너무 월등히 뛰어나서, 라기보다 기존에 공부하던 습관을 보유하고 있던 사람들이기도 하고 노력까지 많이 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더욱더 많이 올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필자의 동기 중 70% 정도가 SKY 출신이다)

그리고 특정 학교같은 경우 몇 금공 A 매치 기업에 대한 면접 족보도 보유하고 있다. 그래서 지금까지 봤던 면접 질문 목록들을 정리해서 후배들에게 물려주고 있다고 들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인맥을 넓힌다거나 스터디를 통해 여러 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좋을 수 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개인적으로는 면접 스터디나 필기 스터디 모임에 참여하여 다양한 사람들과 만나 그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좋고, 그 사람의 지인이 이미 입사한 사람이라면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여 추천하는 바이다.(시간이 좀 많다면)

왜 금공 A매치를 선호할까?

아주 간단한 이유이다. 보통의 경우 정년보장 + 워라밸(물론 부서마다, 기관마다 다르다) + 높은 연봉(개인적으로 삼성전자 다니는 친구와 비교해보았을 때 무선사업부 같은 메이저 부서가 아니라면 평균적으로는 더 높다) 를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에 선호한다. (하지만 금융공기업 같은 경우 지방이전 이슈는 항상 걱정되는 부분 중 하나이다)

요즘 네카라쿠배 + 토당 등 많은 사람들이 언급하는 IT 기업들이 있다. 네카라쿠배 같은 경우 돈은 당연히 더 많이 준다. 올해 임금인상이 많이 이루어지면서 신입이 원천징수 7천~중반 정도 받는다고 들었다. 하지만 근속연수가 대부분 5년~6년 사이이다. 업무가 보통 많을 뿐더러 성과 위주다 보니 스트레스가 더 높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필자가 금공 A매치 2차면접을 볼 당시 옆 자리 사람은 네이버 6년차 개발자였는데, 경력 산정이 안되는 지금의 회사로 신입으로 들어오려 했었다.

(IT한정) 그렇기 때문에 본인의 성향이 진취적이라면 네카라쿠배를 가서 기술력을 계속 발전시키는 것이 맞고, 그냥 무던히 회사 쭉 다니면서 자신의 취미도 즐기고 좀 워라밸을 챙기고 싶다면 금공 A 매치로 방향을 잡는 것이 맞다. 그러니 이런 차이는 알고 시작해야 한다.

각 기업별 특징

해당 정보는 지인들을 통해서 전해 들은 이야기이다. A매치가 아니더라도 비슷한 느낌이면 작성하였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동기들이 엄청 칭찬하는 타 기관들도 함께 넣었다. 공기업은 아니더라도 대부분 정년 보장되는 회사들이다.

한국증권금융

취준생 입장에서는… 생소할 수도 있는 기업이다. 하지만 내가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 유일하게 더 좋은 회사를 꼽자면 단 하나. 이곳이다. 일단 3년 차에 원천징수 1억을 찍었다고 들었다.(작년 기준) 그리고 업무 강도도 낮은 편이라 들었으며, 해당 기업의 퇴사율은 정말 낮다고 하였다. 아마 A매치의 A매치이지 않을까 싶다. 한증금은 공기업이 아니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근간한 기업이다. 만약 해당 기업의 면접을 보러 가게 되면, 해당 법률에서 한증금과 관련된 항목들을 숙지하고 가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공기업이 아니다 보니 국가 정책의 눈치를 상대적으로 덜 보게 된다. 사기업의 장점과 공기업의 장점을 합쳐놓았다고 생각하면 된다. 여의도 근무이다.

금융감독원

말이 필요 없는 기업이다. 누가 “너 어디다녀?”라고 물어본다면, 바로 “응, 나 금감원 다녀” 이 한 마디로 모든 걸 설명해 줄 수 있는 기업이다. 주요 업무는 금융위의 업무(권한?)를 위임받아 금융기관에 대한 각종 규제와 감사를 하는 곳이다.(그래서 필자는 금감원의 감사가 무섭다 ㅠㅠ). 그만큼 큰 명예를 가지고 있고, 퇴사 후에도 해당 경력으로 업무를 할 수 있는 길이 있는 편이라고 한다.

그러나 연봉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다들 위에서 증권금융 보고 헉! 하고 왔겠지만, 금감원은 그렇지 않다. 원징 초봉이 4500정도의 4천중반, 5년차는 6천대, 10년차 8천정도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업무의 성격 상 명예와 보람이 있다는 평이 절대적이다. 하지만 업무 강도가 높은 편이라, 장난스레 감금원이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있다. 그리고 신입 공채로 들어가도 경력 산정이 되는 것으로 알고있다. 이는 큰 장점으로 생각한다. 마찬가지로 여의도 근무이다.

한국은행

한국은행도 금감원과 비슷한 성격이다. 연봉이 그리 높은 편이 아니다. 시중은행보다 낮은 편이며, 초봉은 원징 5천정도로 알고 있다. 하지만 역시 중앙은행으로서의 위엄은 높디높다. 업무들도 대부분 보람이 있는 업무이고, 누구나 들으면 알 수 있는 기업이다. 하지만 내부 직원들은 불만이 많다고 알고 있다. 그래도 퇴직 후에도 금감원과 마찬가지고 따로 벌이를 구하는 것이 수월하다. 본부는 시청역 근처에 있다.

한국거래소

흔히들 직장인들에게 갓래소라고 불리운다. 거래소도 정말 좋은 기업이나, 금감원의 감사로 인해 초봉을 많이 줄였다. 원천징수로 4800정도로 알고 있다. 하지만 2년 차에는 급격히 증가하여 7200 정도라고 들었다. 그 후에는 이런 미친듯한 상승폭을 보여주진 않으나, 그래도 금융기관 중에서는 거의 최상위권의 연봉을 받고 있다. 업무 강도는 잘 모르겠으나, 그리 높지는 않다고 들었다. 위치는 여의도, 부산에 존재한다. 부산에서 초반에 5년? 정도 근무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어 민감한 분들은 꺼려할 수 있다.

KDB산업은행

사실 해당 회사에 대한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지 않다. 연봉은 거래소 바로 밑 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친구의 말을 빌리자면 산업은행 같은 경우는 업무가 많다고 한다. 하지만 역시 해당 회사 재직자들이 만족하며 다니고, 업무 역시 지루하지 않고 자부심을 가지고 할 수 있다고 들었다. 정보가 적어 죄송… 아! 그리고 해당 회사는 가끔 특수 직렬을 뽑을 때가 있다. 전기 같은? 만약 그런 분들에게는 정말 한전보다 훨씬 좋다고 자부할 수 있다.(한전다니는 친구를 두었기 때문에…) 본점은 여의도에 있다. 하지만 지역 순환 근무 가능성이 있다.

예금보험공사

사실 예금보험공사가 조금 애매한데… 연봉이 그리 높지 않은 편으로 알고 있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보다 연봉이 적은 것으로 알고 있고, 채용인원도 소수로 알고 있다. 법에 관심이 있다면 해당 기관에서의 업무 성격이 잘 맞을 것이다. 워라밸은 뛰어난 편으로 알고 있다. A매치 중에서도 약간… 끝자락에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조직이다. 위치는 종각역 근처에 있다.

예탁결제원

개인적으로 충분히 A매치 급에 들 수 있는 기업이라 생각한다. 필자의 회사에 예결원에 다니다 온 선배가 있었는데, 말을 들어보면 연봉도 거래소보다 약간 덜? 혹은 동급? 으로 받지만 매우 준수한 기업으로 들었고, 단점이라면 부산에서 근무를 할 확률이 높다는 점이다. 부산에 연고지가 있는 분들은 최고의 선택이 될 수 있다. 업무의 성격 상 커리어에 좋지 않을 수 있다.

SGI서울보증보험

여기 기업 역시 A매치는 아니지만, 그 급이라고 생각이 드는 곳이다. 해당 기업은 잘 모르나, 연봉은 상위권이다. 8년 차에 1억 정도라 한다. 하지만 여러 단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https://www.teamblind.com/kr/post/%EC%84%9C%EB%B3%B4%EB%B3%B4-%EC%A7%84%EC%A7%9C-%EC%A2%8B%EC%9D%80%ED%9A%8C%EC%82%AC%EA%B0%99%EC%9D%80%EB%8D%B0-DABPYTsP

해당 링크를 참고하면 될 것 같다. 업무 성격 상 마찬가지로 커리어를 기대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금융결제원, 코스콤, (금융보안원)

IT 직렬에게는 최고의 직장들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곳이다. 물론 네이버나 카카오처럼 진취적인 분들에게는 맞지 않을 수 있겠지만, 나는 워라밸 즐기며 금융 기관에서 개발도 좀 해보고 싶고 높은 연봉에 정년 보장을 해보고 싶다! 하면 맞는 기업이다. 연봉은 거래소 정도이거나 이상으로 알고있다.(금융보안원 제외) 그렇기 때문에 해당 글을 읽고 있는 독자가 IT 직렬이라면, 나는 정말 강력 추천하는 기업이다. 다른 금융 회사들은 IT가 주요 업무가 아니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현업 부서의 을로 생활할 수 있다. 하지만 위의 기업들은 그렇지 않고 자부심을 가지고 일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적극 추천하는 바이다. 워라밸은 당연히 부바부이지만, 찐 IT 회사보다는 훨-씬 편하다. 금결원과 코스콤은 보통 5년차 8천정도, 8~9년차에 1억 가까이 받는 것으로 보인다.

금융보안원은 상대적으로 정보가 너무 없어… 대략 초봉을 듣기로는 6천정도로 알고 있다. 워라밸도 좋은 편이고, 대신 정보보안을 하는 사람이 뽑힐 확률이 더 크다는 점? 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각종 협회

대부분 협회를 많이 모를 텐데, 여기서 협회는 무역협회, 금융투자협회, 생명보험협회, 은행연합회, 손해보험협회 등을 뜻한다. 개인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회사 중에서 무역협회가 가장 좋다. 워라밸과 연봉이 가장 높은 편으로 알고 있고, 그다음이 금융투자협회, 은행연합회, 생명=손해 순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필자의 회사에서도 무역협회는 좋은 직장으로 종종 언급되는 곳 중 하나이다. 하지만 영어를 매우 잘해야 된다는 점! 영어에 자신이 있다면 도전해 보는 것도 좋다. 협회들은 대부분 정보가 많이 없으나, 알아본 바에 의하면 금융기관 탑 급 정도라 한다. 거래소와 비슷할 것 같다. 그래서 A매치 급이라는 평이 대부분이다.(실제로 A매치에 있다가 협회 신입으로 이직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 협회는 커리어의 무덤이다. 물론 부서 바이 부서겠으나, 보통의 업무가 커리어를 쌓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그래도 협회의 인지도가 높지 않지만 좋은 복지와 근무 요건 때문에 숨겨진 신의 직장이라고 불리운다.(취준생들에게 강력 추천한다. 하지만 뽑는 시기가 정해져 있지 않고, 채용 인원도 비교적 소수이다.)

기업 선정 기준

이 글을 읽는 독자가 만약 취준생이라면, 각 기업들을 고르는 데에 기준이 필요하다.

1. 명예

2. 성장가능성(업무 성격)

3. 워라밸

4. 급여 및 복리후생

5. 회사 미래 비전

6. 근무지 및 지방이전 이슈, 지방 순환 근무

각 기업마다 대충 언급은 했지만, 기업의 성격이나 업무를 꼭 파악하고 가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 모두 나열하긴 어려우니, 기업 조사를 할 때 꼭 법을 보고 서치를 했으면 좋겠다. 위에 언급한 대부분 기관들은 법에 해당 기관이 하는 업무들, 설립 목적 등이 적혀있기 때문에 면접을 본다면 매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건 꿀팁이다. 꿀팁

마무리

사실 이 많은 기업 중 단 한 곳에라도 들어간다면, 당신은 정말 고생도 많이 했을 것이고 똑똑한 사람일 것이다. 그리고 운도 어느 정도 작용했을 것이다. 그러니 위 회사들을 보며 자신이 가고 싶은 회사의 기준을 잡고, 그 회사 위주로 준비하면 좋을 것 같다. 어차피 A매치 데이에 자신이 보러 갈 곳만 볼 수 있기 때문에… 미약하지만 본인의 선택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반응형

9월 24일 ‘금융권 채용 A매치’ 열린다

올해 하반기 금융 공공기관 신입직원 채용 큰 장이 선다. 시중은행 등 민간 금융회사가 수시 채용으로 방향을 바꾸고 디지털 인재 채용에 집중하고 있어 금융권 취업을 준비하는 이들에겐 금융 공공기관 공채가 가뭄의 단비다.

다만 정부가 공공기관 구조조정 칼을 빼 들어 채용 규모는 지난해보다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이달 중 올해 신입직원(종합기획직원) 채용 공고를 내고 다음 달 서류전형을 거쳐 오는 9월 24일 필기시험을 치를 예정이다.

올해 금융 공공기관 신입직원 채용 필기시험인 ‘금융권 A매치 데이’는 오는 9월 24일 토요일이 될 전망이다. 금융권 A매치는 주요 금융 공공기관이 신입직원 필기시험을 모두 한날 한시에 보면서 붙여진 별칭이다. 금융 공공기관들은 한국은행이 날짜를 잡으면 일정을 최대한 맞춰 시험을 함께 치르는 관행이 있다.

제각각 시험을 보면 중복 합격자가 나올 수 있는데 이를 미연에 방지하겠다는 취지다. 지난해엔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한국수출입은행, IBK기업은행, 예금보험공사, 한국거래소가 같은 날 시험을 진행했다.

이번 A매치 관전 포인트는 채용 인원이다. 지난해 하반기 KDB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한국주택금융공사를 포함한 9개 금융 공공기관은 약 600명을 선발했는데 올해는 새 정부가 구조조정을 천명한 만큼 채용 규모가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채용 규모는 미정이다. 각 공공기관은 선발 인원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채용 인원이 줄면 경쟁률은 더 올라갈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시중은행 등이 수시 채용을 늘리고 있고 정보기술(IT)과 디지털 인재 채용을 확대하면서 경영경제 등 문과 인재들이 더더욱 금융 공공기관 채용에 목매고 있다”며 “금융 공공기관 채용 규모마저 줄어들면 가뜩이나 어려운 금융권 취업이 ‘하늘의 별 따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산업은행이 취업준비생에게 예전만큼 인기를 끌지도 관전 포인트다. 영향력과 연봉 수준은 업계 최고지만 현 정부 들어 본점을 서울에서 부산으로 이전하는 이슈 등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어서다. 지난해 산업은행 직원 평균 연봉은 1억1370만원으로 금융 공공기관 중 가장 높았지만 이런 고연봉에도 산업은행에서 올해 상반기에만 40명이 퇴사했다. 연평균 퇴사자가 40명 정도인 걸 감안하면 상반기에만 이미 한 해 퇴사자 수만큼 나간 것이다.

금감원이 옛 명성을 회복하느냐도 또 다른 관전 포인트다. 금감원은 2010년대 들어 민간 금융회사의 영향력이 커지고 검사·감독 힘이 빠지면서 상대적으로 비인기 회사로 밀렸었다. 그러다 새 정부 출범 후 검사 출신 원장이 취임하면서 금감원 목소리에 다시 힘이 들어가면서 명예회복에 나설 태세를 보이고 있다.

[표] 지난해 하반기 주요 금융 공공기관 채용 규모

김민영기자 [email protected]

금융공기업 A매치,B매치 뜻과 순위 (ft.일정)

요즘 구직자나 취직자들은 돈만 많이 주는 곳보다는 안정적인 직장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사기업 보다 공기업의 인기가 더 좋은 편이다

공기업에도 종류가 정말 많아서, 공기업에 따라 선호도가 달라진다. 공기업 중에서도 선호도가 좋은 곳이 금융공기업이다

금융공기업 또는 공기업 취직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알수도 있겠지만, 금융공기업에도 A매치와 B매치로 기업들이 나뉜다. 어떤 기업들이 각 그룹에 속하는지, 그리고 왜 A매치와 B매치로 나눈 것이지 알아보겠다

금공 A매치,B매치 차이

금융공기업 A매치와 B매치는 신입사원을 채용할 때, 기업에서 보는 시험일자(시험날짜)를 기준으로 나눈 것이다.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A매치와 B매치로 나눈 것은 아니고 수험생이나 직장인들 사이에서 쓰이는 용어다

A매치끼리, 그리고 B매치끼리 시험날짜가 같은데 이렇게 하는 이유는 시험유출을 막기 위해서다. 또한 여러군데 붙어서 인재의 유출을 막기위해서 시험일정을 다르게 해둔 것이라고 한다

금융공기업 A매치,B매치

시험일정

금공 A매치와 B매치 일정은 어떻게 될까?

금융공기업 A매치에 속하는 금융공기업이나 은행들의 경우 10월 셋째주 전후로 필기시험을 보게 된다. 같은 날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이 기업들을 A매치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리고 이 때 필기시험을 보지 않는 나머지 기업들을 금융공기업 B매치라고 부른다

금공 A매치,B매치 기업

금융공기업 A매치 기업

금융공기업 A매치는 금융공기업 중에서도 인기가 많은 편에 속한다. 경쟁률도 매우매우 높지만, 필기시험 난이도 또한 높은 편이다. 그래서 일반 기업 취직하듯이 준비하면 붙기가 힘들다

실제로 금융공기업만 고집해서 취준을 하다가 취업을 제 때 못하는 경우도 있을 정도다

금공 A매치 기업 종류는 아래와 같다

*한국은행 (한은)

*금융감독원 (금감원)

*한국거래소

*한국예탁결제원 (예결원)

*한국수출입은행

*KDB산업은행

*한국무역보험공사 (무보)

*한국예금보험공사 (예보)

금융공기업 B매치 기업

금융공기업 B매치에 속해있는 기업들은 아래와 같다

*한국주택금융공사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자산관리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금융결제원

*한국벤처투자

*한국투자공사

금융공기업 A매치,B매치

초봉 및 연봉

금공 A매치의 경우 초봉은 4000-5000만원, 평균연봉은 1억이 넘는다

금공 B매치의 경우 초봉은 4000-5000만원 , 평균연봉은 8000-9000만원 정도 된다

금융공기업 A매치에 속하는 기업들의 평균연봉이 더 높은 편이지만, 금융공기업 B매치 연봉또한 공기업 치고 매우 높은편이다. 또한 금공 B매치 중에서도 기술보증기금이나 신용보증기금은 평균연봉이 9000만원 이상이다

이번 글에서는 우리나라 공기업 종류와 평균연봉 및 초봉에 대해 알아봤다. 또한 A매치/B매치에 속하는 금융공기업들에 대해 정리해봤다

블로그에 우리나라 대기업 연봉 순위에 대한 글도 있으며, 은행원들의 평균연봉에 대한 글도 있으니 궁금하다면 아래의 글을 한번씩 읽어보길 바란다

[함께 보면 좋은글]

우리나라 대기업 연봉 순위 정리

은행원 평균연봉 및 월급 정리

대학병원 인턴 및 레지던트의 연봉과 월급은?

금융 공기업 a매치 b매치, 이렇게 구분해요!

반응형

금융 공기업 a매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금융 공기업 a매치가 무엇인지, 평균 연봉은 얼마인지 알게 될 겁니다.

금융 공기업 a매치의 지식이 필요하면 모두 읽어주세요.

이제 아래에서 전부 알려드리겠습니다.

금융 공기업 a매치 b매치 정의 알아보아요.

금융 공기업 a매치 b매치의 구분은 사전적인 정의와 같은 것이 아닙니다.

취업준비생과 공기업 입장에서 구분하기 편하도록 만든 용어인 셈이지요.

무엇을 구분하는 용어인가요?

금융공기업 a매치는 주요 금융공기업이나 국책은행들이 매년 10월 셋째주 같은날에 시험을

치르면서 생긴 용어입니다. 고연봉과 안정적인 일자리로 “신의 직장”으로까지 불리기도 하죠.

그래서 그들이 같은 날에 치르는 시험을 국제 축구 경기에 빗대서 “A매치”라고 부릅니다.

주로 한국은행이 일정을 정하면 다른 금융공기업과 기관들도 그 일정에 맞추는 식이지요.

같은날 시험을 보지 않을 경우 한 사람이 주요 금융공기업이나

국책은행들에 모두 시험을 치르게 될 수 있습니다.

만약 복수로 합격하게 되어 한 곳을 선택해 입사하게 된다면,

나머지 금융공기업들은 인사공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금융공기업 a매치 b매치를 구분하는 이유는 필기시험 날짜가 언제인지를 구분하는 것입니다.

구체적인 점을 살펴보면 이러합니다.

금융공기업 및 공공기관으로 주로 지목되는 기관은 아래와 같습니다.

– 한국은행, 한국주택금융공사, 금융감독원,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예탁결제원, KDB산업은행, 한국투자공사,

IBK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기술보증기금, 예금보험공사, 신용보증기금,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

이 외에도 지역신용보증재단이나 금융과 보증을 주 업무로 하는 기관도 포함됩니다.

정부에서 실질적인 의사결정은 총괄하지만 형식상으로는 사기업이거나 비영리사단법인인 경우도 있어요.

– 한국거래소, 금융결제원, 서울보증보험, 한국증권금융, 건설공제조합, 신용보증재단 등

이렇게 금융공기업들의 숫자가 많고 같은 날 모든 시험을 치를수는 없기에 편의상 a매치 b매치로 나눈 것이죠.

금융공기업 a매치 그룹이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산업은행, 한국거래소, 예금보험공사 등의 해당 기업들과

같은 날 시험이 있다면 A매치 그룹이라고 부릅니다.

금융공기업 b매치 그룹이란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주택금융공사, 자산관리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등의 B매치에

해당하는 금융공기업과 같은 시험을 본다면 B매치 그룹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이제 금융공기업 a매치 b매치라고 부르는 이유를 이해하시겠나요?

금융공기업 1인당 평균 연봉 (2019년 정규직 기준) –

1. 한국예탁 결제원 : 1억 1074만원

2. KDB산업은행 : 1억 988만원

3. IBK기업은행 : 1억 411만원

4. 한국수출입은행 : 1억 205만원

5. 신용보즘기금 : 9425만원

6. 예금보험공사 : 8911만원

7. 한국주택금융공사 : 8692만원

8. 한국자산관리공사 : 8199만원

9. 서민금융진흥원 : 6364만원

금융 공기업 전체 평균 연봉 : 9363만원

전체 공기업 평균 연봉 : 6779만원

정리

2021년에도 금융공기업을 목표로 도전하는 취준생들이 많을 것 같아요.

사실 2020년은 금융공기업 a매치라는 단어가 무색한 해 였는데요,

2019년 금융공기업 a매치 기업은 11곳이였던 반면에, 2020년에는 코로나로 인해 4곳이 함께 봤어요.

그래서인지 a매치라고 부르는 것이 조금은 과하게 느껴졌던 2020년이였지요.

올해에는 빨리 코로나가 종식되어 기업들에게도 훈풍이, 취준생들에게도 훈풍이 부는 한해되었으면 좋겠어요.

금융 공기업 a매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정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하트(공감), 댓글을 부탁드립니다.

반응형

(1) 공기업 서열? 금융 공기업?

일부 취업 관련 커뮤니티들을 보면 매년 공기업/공무원별 서열을 정하곤 한다. 서열의 기준은 작성자마다 다르지만(연봉 / 복리후생 / 근무조건 / 성장가능성 등)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서열을 나누고 그에 대해 갑론을박 하는 것은 아마도 자신이 목표로 하고 있는 곳이 어느 정도 인지 가능해 보고 싶어 하는 마음과 취업준비의 치열함을 잠시나마 잊고 싶어 하는 마음이 담겨 있지 않을까 한다.

(2) 금융 공기업 A매치?

공기업-금융분야에서는 A매치라는 유행어가 있습니다. 사실 A매치는 국가대표간 성인팀 경기를 뜻하는 단어로, 공기업 중 특히 인기가 많은 금융권 공기업을 A 매치라 부르곤 한다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낮은 기업을 B매치라고 부르기도 한다.)

공기업간 중복지원으로 과도한 경쟁을 줄이고자 합동채용이라는 이름으로 상/하반기에 집중적으로 채용을 진행하곤 하며, 이중 하반기 합동채용 기간에 공기업 ( 금융 ) 분야가 집중 되어, 이를 두고 A매치라고 부르곤 한다.

(3) A매치는 어떤 기업들이 있나요?

금융 공기업 A매치 기업은 시험 난이도/연봉/수행 업무 등에 따라 10~12개 내외의 기업으로 분류한다. 금융공기업은 수행업무/분야에 따라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중소벤처기업부등의 산하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조직구성/사업의 범위/운영 등이 모두 주무기관의 관리하에 운영되고 있다.

(4) 금융 공기업(A매치) 채용 어떻게 진행되나요?

공기업의 경우 기관별로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아래와 같이 3단계 전형을 거쳐 입사자를 선발한다. 1차 서류전형의 경우 입사지원자의 기본사항(입사지원서/필요 자격조건)을 통해 2차 전형(필기고사)응시자를 선별하는 과정으로 필요조건 충족시 통과하는 경우가 많다. 2차 필기전형의 경우 크게 3가지 요소(NCS/전공픽기/논술)로 합격자를 선별한다.

지금까지 공기업과 금융 공기업(A매치)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금융 공기업 취업을 목표로 하는 수험생을 위한 기관별 채용 전형/대비 방법은 취준 가이드 4탄에서 본격적으로 다루도록 하겠다.

[메가파인 취준 가이드 시리즈]

> 취준 가이드 1탄 – 네 꿈은 무엇인가요?

> 취준 가이드 2탄 – 공기업 분석

> 취준 가이드 3탄 – 금융 공기업(A매치)의 모든 것

> 취준 가이드 4탄 – NCS? 전공필기? 뭣이 중한디?

> 취준 가이드 5탄 – 금융공기업 합격을 위한 전략적 학습계획

키워드에 대한 정보 금융 공기업 a 매치

다음은 Bing에서 금융 공기업 a 매치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공공 기관 포스터 | 또 공기업에 \"자산 팔아라\", 이번에는 수도권만 골라서 (2022.08.15/뉴스데스크/Mbc) 모든 답변
See also  국민 연금 수령액 표 | 내가 받는 국민 연금! 전체 수급자 중, 어느 정도 수준에 해당하나? 답을 믿으세요

See also  샤넬 클래식 스몰 미듐 | 샤넬 클래식백 스몰 미듐 사이즈 비교👗스타일링에 따른 착용샷까지! 고민은 오늘부로 끝!🖐🏻 상위 147개 베스트 답변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잔송TV] 회계사VS금융공기업 승자는??

  • 금융공기업
  • 회계사
  • 회계법인
  • 수출입은행
  • 산업은행
  • 예금보험공사
  • 한국자산관리공사
[잔송TV] #회계사VS금융공기업 #승자는??


YouTube에서 금융 공기업 a 매치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잔송TV] 회계사VS금융공기업 승자는?? | 금융 공기업 a 매치,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