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 대명사 예문 | 영어회화 문장연습 – 관계대명사(That/Who/Which)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및 듣기 실습 [한영자막] 매일 영어를 공부하세요! 기초영어, 기본영어, 왕초보영어, 영어공부 23191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관계 대명사 예문 – 영어회화 문장연습 – 관계대명사(that/who/which)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및 듣기 실습 [한영자막] 매일 영어를 공부하세요! 기초영어, 기본영어, 왕초보영어, 영어공부“?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영어말하기-Speak English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6,112회 및 좋아요 17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관계 대명사 예문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영어회화 문장연습 – 관계대명사(that/who/which)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및 듣기 실습 [한영자막] 매일 영어를 공부하세요! 기초영어, 기본영어, 왕초보영어, 영어공부 – 관계 대명사 예문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영어회화 문장연습 – 관계대명사(that/who/which)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및 듣기 실습 [한영자막]안녕하세요? 영어말하기 채널에 Ben입니다.
이번 영상은 관계대명사에 관한 영어말하기 연습입니다.
관계대명사 that, who, which를 활용하여 긴문장도 잘 이야기할 수 있도록 연습해보세요.
그럼 같이 열심히 영어공부해요!

매일 영어를 공부하세요! 기초영어, 기본영어, 왕초보영어, 영어공부

관계 대명사 예문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관계대명사 종류, 관계대명사 역할, 관계대명사 예문

1) 관계대명사 who · 1. I met the girl. + She worked at the bank. · 2. I know a man. + He can speak five languages. · 3. She has a friend. + Her mother is a …

+ 여기에 표시

Source: min-amable.tistory.com

Date Published: 9/1/2022

View: 3560

주격 관계대명사 예문 – 유리면봉

여기서 관계대명사라는게 등장합니다. 두 문장을 하나로 합쳐주는 접속사 역활(관계)과 중복되는 명사/대명사를 대신해주는 명사(대명사)..

+ 더 읽기

Source: grateful-life.tistory.com

Date Published: 11/26/2021

View: 4175

영문법 관계대명사 개념 정리, 관계대명사 총 정리, 관계대명사 …

2, 관계대명사 분류 … I know a girl.(나는 한 소녀를 알고 있다.) She is a nurse.(그녀는 간호원이다.) … I know a girl and she is a nurse. 이고 …

+ 여기를 클릭

Source: koreanfoodie.me

Date Published: 6/12/2022

View: 2174

관계대명사 that – 잉글리쉬 큐브

관계대명사 that ; I want a house that had a large garden. 나는 넓은 정원이 있는 집을 원한다. ; He met the woman that he liked once. 그는 한때 좋아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englishcube.net

Date Published: 6/27/2022

View: 3875

관계대명사 that 사용 – 배워보자 영어

관계대명사 that 사용 … ex) She is the woman who helped me yesterday. = She is the woman that helped me yesterday. … ex) This is the book which I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arinabi.tistory.com

Date Published: 4/29/2022

View: 8294

관계대명사 간단 해석 (who/which/that) – 영어 너 도대체 모니

@ 문장에서의 관계대명사의 역할은? · [참고] 관계대명사 that 관련 · 예문을 몇 가지 더 보면.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ilikeen.tistory.com

Date Published: 2/26/2021

View: 346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관계 대명사 예문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영어회화 문장연습 – 관계대명사(that/who/which)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및 듣기 실습 [한영자막] 매일 영어를 공부하세요! 기초영어, 기본영어, 왕초보영어, 영어공부.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영어회화 문장연습 - 관계대명사(that/who/which)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및 듣기 실습 [한영자막] 매일 영어를 공부하세요! 기초영어, 기본영어, 왕초보영어, 영어공부
영어회화 문장연습 – 관계대명사(that/who/which)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및 듣기 실습 [한영자막] 매일 영어를 공부하세요! 기초영어, 기본영어, 왕초보영어, 영어공부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관계 대명사 예문

  • Author: 영어말하기-Speak English
  • Views: 조회수 6,112회
  • Likes: 좋아요 175개
  • Date Published: 2021. 4. 7.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8H260ohQTzw

관계대명사 총정리 – 관계대명사 종류, 관계대명사 역할, 관계대명사 예문

반응형

오늘은 관계대명사에 대해 총정리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관계대명사의 종류(who, which, that, what 등)’와 ‘관계대명사 역할(주격, 소유격, 목적격)’을 다양한 예문을 통해 공부해 보도록 합시다.

관계대명사에 관한 문제는 내신 문제를 비롯하여 각종 시험에도 자주 출제되는 것은 물론이고,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잘 이해해야 독해할 때도 쉽고 빠르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의 선행사가 무엇인지 그에 따른 동사는 무엇인지 잘 파악할 수 있어야, 긴 문장 또는 수능 독해 지문에서도 글의 내용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 종류

관계대명사 총정리

1. 관계대명사란?

: 두 문장을 하나로 연결하는 접속사와 대명사의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① I’ve visited the house. – 나는 집을 방문했다.

② The house stands on the hill. – 집은 언덕 위에 있다.

①번 문장과 ②번 문장을 한 문장으로 합칠 수 있습니다.

· I’ve visited the house which stands on the hill.- 나는 언덕 위에 있는 집을 방문했다.

( which – the house를 선행사로 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이렇게 두 개의 문장을 주격 관계대명사 which를 사용하여 한 문장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는 who, which, that, what 등이 있으며, 문장에서 담당하게 되는 역할에 따라 주격 관계대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 소유격 관계대명사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2. 관계대명사 종류

선행사 주격 목적격 소유격 사람 who who(m) whose 사물, 동물 which which whose, of which 사람, 동물, 사물 that that – 선행사 포함 what what –

· 관계대명사 주격 who, that, which 역할 차이점 예문

· 관계대명사 목적격 who(m), that, which 역할 차이점 예문

반응형

위에서도 말했듯이 관계대명사는 <접속사+대명사>의 역할을 하고,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who lives next to my house)이 형용사처럼 선행사(the man)를 수식합니다. 선행사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관계대명사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위에 표는 꼭! 암기하셔야 합니다.

· Mr. Cook is the man who lives next to my house.

– Mr.Cook 은 내 옆집에 사는 남자이다.

(선행사는 the man – 사람 이기 때문에 주격 관계대명사 who를 썼습니다.)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의 역할에 대해서 다양한 예문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계대명사 who, which, that, what 순서로 공부해 볼게요.

1) 관계대명사 who

1. I met the girl. + She worked at the bank.

-> I met the girl who worked at the bank. (주격)

: 나는 은행에서 일하는 여자애를 만났다.

2. I know a man. + He can speak five languages.

-> I know a man who can speak five languages. (주격)

: 나는 5개 국어 하는 남자를 안다.

3. She has a friend. + Her mother is a Filipino.

-> She has a friend whose mother is a Filipino. (소유격)

: 그녀는 어머니가 필리핀 사람인 친구 한 명이 있다.

4. I want to meet the boy. You’re talking about him.

-> I want to meet the boy who(m) you’re talking about. (목적격)

: 나는 네가 말하고 있는 남자아이를 만나고 싶다.

5. The woman is my mother. + You met her in the library.

-> The woman who(m) you met in the library is my mother. (목적격)

: 네가 도서관에서 만난 여자는 나의 엄마이다.

2) 관계대명사 which

1. He likes shoes. They are made in Italy.

-> He likes shoes which are made in Italy. (주격)

: 그는 이탈리아에서 만들어진 신발을 좋아한다.

2. Look at the dog. Its leg is long.

-> Look at the dog whose leg is long. (소유격)

= Look at the dog of which leg is long. (소유격)

: 다리가 긴 개를 봐!

3. I watched a few movies. The director made them.

-> I watched a few movies which the director made. (목적격)

: 나는 그 감독이 만든 영화를 몇 편 보았다.

이해를 돕기 위해 여기까지 두 문장을 관계대명사 – who, which를 활용하여 한 문장으로 만들었는데요, 독해 문제 / 수능 문제에서는 어떻게 활용되는지 쉬운 예문 하나 보면서 확인해 봅시다.

고등문법 관계대명사

위에 예시문은 아주~~~ 기본 중에 기본인 문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관계대명사의 기본적인 기본기가 잘 쌓여 있어야, 오늘 배운 내용에서 더 깊게 들어가도 헷갈리지 않아요.

위에 문제에서 정답은 who일까요? whose일까요?

넵! whose입니다. 선행사는 사람(my son) 이기 때문에 who/whose 모두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그다음에는 관계대명사가 들어있는 문장, 즉 관계대명사 절을 확인해야 합니다.

dream(주어) + is(동사) + to be ~ photographer(보어)의 구조입니다. 완벽한 2 형식 문장 이므로, 명사 dream을 수식할 수 있는 소유격 whose 가 와야 합니다.

<해석>

우리 아들은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사진작가가 되는 게 꿈인데, 종종 나를 사진 찍기에 좋은 곳으로 데려간다.

이제 관계대명사 that과 what 이 남았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과 what도 문장 속에서 쓰임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관계대명사 문법

3) 관계대명사 that

– who 또는 which 대신에 쓸 수 있습니다.

1. She has a friend that does volunteer work at a hospital.

(주격 관계대명사 who대신 that사용 가능)

= She has a friend who does volunteer work at a hospital.

: 그녀는 병원에서 자원봉사를 하는 친구 한 명이 있다.

2. I lost the watch that I had borrowed from my sister.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대신 that사용 가능)

= I lost the watch which I had borrowed from my sister.

: 나는 언니가 빌려준 시계를 잃어버렸다.

관계대명사 that은 who 또는 which 대신 쓸 수도 있지만, that만을 주로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토익시험에도 종종 나오는 문제로 관계대명사 that을 자주 쓰는 경우를 암기해 두면, 선행사만 보고도 0.5초 만에 풀 수 있습니다 🙂

★관계대명사 that을 주로 쓰는 경우★

1) 선행사가 사람 + 동물(사물) 일 경우

· I saw the the girl and the dog that were lying on the grass.

– 나는 풀밭에 누워있는 소녀와 강아지를 보았다.

2) 형용사의 최상급, 서수, all, no, every, the same, the only, the very, the last 등이 선행사를 수식하는 경우

· Cleaning the room is the last thing that I want to do.

– 방청소는 내가 제일 하고 싶어 하는 일이 아니다. (방청소는 내가 제일 하기 싫어하는 일이다.)

· My girlfriend does something that bothers me.

– 내 여자 친구는 나를 귀찮게 하는 행동을 한다.

3) 의문사 who, which, what 으로 시작하는 의문문일 경우

· Who is the woman that is wearing a hat?

– 모자를 쓰고 있는 여자는 누구니?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경우

오늘의 마지막 관계대명사 what입니다.

4) 관계대명사 what

관계대명사 what 은 다른 관계대명사와 달리 선행사를 포함하는 관계대명사 로 the thing(s) which(that)의 의미입니다.

What = the thing(s) which(that)

<관계대명사 what의 특징>

1. what 앞에는 선행사가 없다.

2. what의 뒤 문장은 불완전하다.

3. 명사절을 이끌며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1. What he says is true. (주어 역할)

– 그녀가 말하는 것은 사실이다.

2. That’s what I want to do. (보어 역할)

– 그것이 내가 하고 싶은 것이다.

3. Can you tell me what you have in mind? (목적어 역할)

= Can you tell me the thing that you have in mind?

– 네가 생각하고 있는 것을 나에게 말해줄 수 있니?

728×90

아래 그림에 있는 두 문장에서 관계대명사 that과 what이 온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까요?

관계대명사

· Neil Armstrong was the first person that walked on the moon.

– 닐 암스트롱은 달에 걸어 다닌 최초의 사람이었다.

관계대명사 that이 들어가야 하는 이유는?

선행사 the first person에서 서수 the first가 있기 때문에 관계대명사 that을 써야 합니다.

· What he wanted was to go into space.

– 그가 원했던 것은 우주에 가는 것이었다.

관계대명사 what이 들어가야 하는 이유는?

1) what 앞에 선행사가 없다.

2) what 명사절은 주어 역할 ( What he wanted / was ~ )

3) what 뒤는 he(주어) + want (동사)의 불완전 절 – want는 타동사로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임에도 불구하고 목적어 없음

관계대명사 총정리라 공부할 내용이 조금 많았던 것 같지만, 영어 문법에서 정말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반복해서 공부해야 합니다.

오늘 공부한 관계대명사의 용법은 기본 중의 기본 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의 종류와 역할은 꼭! 복습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오늘도 영어공부를 하는 모든 분들을 응원하며! 다음 포스팅에서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카카오 채널을 추가하시면

매일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여러분의 광고 클릭과 카카오톡 채널 추가는 저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추가로 꼭! 공부하세요>

· 관계대명사 that Vs. 접속사 that

· 관계대명사 계속적 용법, 예문

· 관계대명사 계속적 용법 Vs. 한정적 용법

· 관계대명사 that Vs. 관계대명사 what / 접속사 that Vs. 관계대명사 what

반응형

유리면봉과 시나브로 시나브로

안녕하세요,

오늘은 관계대명사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죠. 관계대명사….정말 정말 정말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초급에서는 조금 어렵다고 생각될수는 있겠지만 이 관계대명사를 사용할 수 있다면 다양한 문장을 만드는데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 이건 말하기, 쓰기, 읽기, 듣기에서 정말 자주 접할 수 있기 때문에 꼭 이 관계대명사를 익히실 수 있기를 권장합니다.

관계대명사라는건…간단히 이야기 하자면 두개의 문장을 하나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거예요. 간단한 문장을 예로 들어볼게요.

I like that girl + She is a cheerleader I like that girl . + She is a cheerleader

(나는 그 소녀를 좋아한다 + 그 소녀는 치어리더이다)

이 두문장이 아래와 같이 한문장으로 변신하는거죠…관계대명사라는것을 사용해서…

“I like that girl that(who) is a cheerleader”

(난 치어리더인 그녀를 좋아한다)

그럼 관계대명사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죠.

여기서 질문….관계대명사는 왜 필요하죠?

간단히 이야기 하자면 두 문장을 하나로 합쳐서 사용할 때 이 관계대명사라는걸 사용해요. 영어는 중복되는걸 별로 안좋아하기 때문에 두 문장을 하나로 줄이면서 중복되는 명사/대명사도 관계 대명사라는걸로 대체해버리는거죠.

지금 무슨말인지 이해못해도 괜찮습니다^^

이제부터 하나씩 차례차례 살펴보죠. 두 문장을 하나로 만든다…그렇다면 뭐가 필요하죠?? 그렇습니다…바로 문장과 문장을 연결해주는 접속사가 필요하겠죠. 접속사에는 and, but, because, since등 다양하게 있죠…

그럼 우선 위 두 예문을 전치사를 이용해서 하나의 문장으로 만들어볼까요?

I like that girl and she is a cheerleader

전치사 and를 이용해서 하나의 문장으로 만들었습니다. 여기까지는 이해 되시죠?

자~ 이렇게 문장을 연결해놓고 보니까 문장에서 that girl과 she가 동일인으로 중복되는군요. 영어는 중복되는걸 안좋아한다고 했잖아요? 그럼 이 중복되는 명사/대명사를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요? 여기서 관계대명사라는게 등장합니다. 두 문장을 하나로 합쳐주는 접속사 역활(관계)과 중복되는 명사/대명사를 대신해주는 명사(대명사)…이게 바로 관계대명사입니다.

이때 중복되는 명사중 관계대명사 앞에 위치하는 중복되는 명사를 “선행사”라고 합니다. 이 예문에서 that girl이 선행사가 되겠죠?

관계대명사에는 간단하게 who/which/that등이 있는데요 이걸 마구잡이식으로 쓴는 건 아니구요 간단한 규칙이 있답니다. 하지만 결코 어렵지 않습니다. 아래 두 단계 확인 작업만 거치면 어떤 관계대명사를 써야 하는지 쉽게 알 수 있답니다.

그 간단하지만 아주 중요한 두가지 체크 포인트는 바로……아래와 같습니다!!!

관계대명사를 만드는 방법 첫째, 선행사가 사람인지, 사물인지 확인하세요

둘째, 관계대명사 자리가 주어자리인지 소유격자리인지 또는 목적격 자리인지를 확인하세요 이렇게 두가지를 확인하고 아래 표에서 알맞은 관계대명사를 고르면 됩니다. 선행사=사람 선행사 = 사물 둘다 사용가능 주격 who which that 소유격 whose of which/whose – 목적격 who(m) which that 그럼 다시 우리가 보던 예문을 가지고 관계대명사를 한번 만들어보죠. I like that girl and she is a cheerleader 첫째, 선행사가 사람인가요 사물인가요? 그렇죠..that girl=사람 입니다. 그렇다면 선택의 폭이 위 테이블에서 아래와 같이 줄어듭니다. Who / Whose / whom중 하나를 쓰면 되겠군요…. 둘째, 관계대명사가 주격인지 소유격인지 목적격인지 어떻게 알수 있을까요? 이건 관계대명사 뒤에 오는 문장에서 주어/목적어/소유격중 어떤게 빠졌는지 보면 됩니다. (she) is a cheerleader 우리는 she가 중복되기 때문에 관계대명사로 대신할거라서 이제 관계대명사로 연결된 문장에서는 she는 사라지게 될거예요…그럼 she를 뺀 상태에서 뒷문장을 보겠습니다. is a cheerleader 이 문장에서 주어/목적어/소유격중 빠진게 뭐죠? 그렇습니다..주어가 없습니다. 문장이 is 라는 Be동사로 시작하기 때문에 be 앞엔 주어자리임을 알 수가 있죠. 그렇다면 아래와 같이 주격에 선행사가 사람인 경우….바로 관계대명사 WHO를 쓰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접속사(and) + 대명사(she)를 관계대명사 Who 로 사용해서 하나의 문장으로 만들어버리는거죠. 이렇게 관계대명사라는것을 통해서 두개의 문장을 하나로 합치면서도 중복되는 (대)명사를 없앨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문장 해석할때에는 관계대명사 뒷부분에서 앞에 있는 선행사를 아래와 같이 꾸며주면 됩니다. 다시 말해서 뒤에서 앞으로 해석을 하는거죠. 그래서 해석은 “나는 치어리더인 저 소녀를 좋아해” 이렇게 하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여기에서 Who는 관계대명사이지 의문대명사가 아니기 때문에 “누구”라고 해석하지 않는답니다 ^^ 그럼 관계대명사인지 의문사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그 구분법은 포스팅 마지막 부분에서 공유해드리도록 할게요 ^^ 꼭 포스팅 끝까지 보고 놓치지 마세요!!! 그리고 위에 있는 관계대명사 표를 보시면 선행사가 사람이면서 주격일때 who 대신 that 도 같이 쓸 수 있는걸 알수가 있습니다. 실제로 who 대신에 that을 더 자주 쓰기도 한답니다. 참고로 that은 소유격 빼고는 선행사가 사람인지 사물인지에 상관없이 쓸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우리 입장에서는 that이 덜 신경쓰고 사용할 수 있어서 좋겠죠? ^^ 예문을 좀 더 보기로 해요. Let’s go to the restaurant + The place serves seafood Let’s go to a restaurant which(that) serves seafood —> The restaurant가 선행사로 사람이 아니죠, 그리고 뒷 문장은 serves라는 동사로 시작이 됐으니 관계대명사는 주격을 써야겠죠. 그래서 which 또는 that을 사용하면 되겠네요. 해석은 그 식당에 가자..식당은 식당인데 어떤 식당이죠? 해산물을 파는 식당…그럼 해산물을 파는 그 식당에 가자! 이렇게 식당이라는 선행사를 뒤에 관계대명사 절이 수식/꾸며주면 되겠죠? I have a sister + She lives in Seoul I have a sister who(that) lives in Seoul —> 이 문장에서 중복되는 명사/대명사는 a sister와 She이고 선행사는 a sister로 사람이군요, 그리고 뒤 따르는 문장은 lives.., 동사입니다. 그래서 여기에 쓸 수 있는 관계대명사는 선행사가 사람이면서 주격인 who 또는 that을 사용하면 되는거죠 ^^ 마지막으로 여러분 순서입니다. 아래 문장들을 관계대명사로 만드는 연습 한번 해보시겠어요? I have read this book + it’s about movies I like that women + she can play the piano I like this camera + it’s very handy 정답은 바로… 자 그럼 아래는 It serves you right(쌤통이다/꼴~좋다/넌그래도싸) 라는 표현을 영영사전에서 찾아본겁니다. 여기에도 관계대명사가 쓰이거든요…. 이처럼 관계대명사는 정말로 자주 그리고 유용하게 쓰이니까 관계대명사를 조금 편하게 만들 수 있는 수준이 될 수 있도록 문장 만드는 연습 꼭 많이 해보시기를 권장합니다.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것일수는 있지만 문장을 만들지를 못하는데 스피킹을 할 수 있다? 이게 국내파 영어학습자에게 가능할까요? 저는 아니라고 봅니다. – used to say that you think someone derseves something unpleasant that happens to them because they have been stupid or unkind 관계대명사 who vs 의문사 who 구별을 어떻게 하죠? 마지막으로 who가 의문사로 쓰인건지 관계대명사로 쓰인건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 궁금하지 않으세요? ㅎㅎ 아래 두 문장으로 해결해드리겠습니다. 예문 1) I don’t know who did this.

did this. 예문 2) I don’t know the man who did this. 예문이 두개가 있고 두 문장에 who가 사용되었네요. 하지만 하나는 의문사, 하나는 관계대명사입니다. 어떤게 의문사이고 어떤게 관계대명사일까요? 정답은…예문 1)은”난 누가 그걸 했는지 모르겠어…라는 의문사로 쓰였구요, 예문 2)는 난 그걸 한 남자를 모른다..라는 관계대명사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렇다면 구분 방법은….. ?? 우리가 적절한 관계대명사를 선택할때 2가지 확인사항이 있었죠? 그중 첫째가 뭐였죠? 바로 선행사가 사람이냐 사물이냐를 확인하는거였죠….맞습니다…이 선행사가 열쇠입니다. 관계대명사앞에는 선행사가 있어야 합니다! 히자만 의문사앞에는 선행사가 없습니다. 다른 한가지는 관계대명사 앞은 문장이 완전하고 의문사 앞 문장은 불안전합니다..즉 문장의 요소중 하나가 없다는거죠. 예문1)을 보면 I don’t know…나는 모른다… know는 타동사(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이기 때문에 뒤에 목적어와 따라와야 합니다. 하지만 그 바로 뒤에 who가 왔죠..즉…이 who 문장앞은 불완전한겁니다. 그래서 이건 의문사인거죠..해석을 해보면…나는 누가 이짓을 했는지 모른다….결국 know에 대한 목적어 자리에 who did this…라는 명사절(절이라 함은..주어+동사로 이루어진것을 의미합니다)이 왔네요. 반면에 관계대명사절은 해석할때 뒤에서 앞에 있는 선행사를 꾸며준다고 했잖아요..?? 일반적으로 형용사가 명사를 꾸며줍니다. 그런데 그 형용사가 형용사가 아닌 “주어+동사”로 이루어진 절일 경우에는 형용사절이라고 하죠…결국 관계대명사절은 앞에 있는 선행사를 꾸며주니까 형용사절인거죠…명사절이 아니라는 이야기죠..이게 두 문장의 차이입니다. 선행사 있고 없고….. 문장이 완전하고 불환전하고…. 어때요? 복잡한 듯 간단하죠? 관계대명사는 복잡해 보이지만 알고보면 엄청 쉽습니다. 하지만 사용빈도 및 활용도는 정말 높죠..그래서 이 관계대명사는 영어학습자들의 집중공략 대상이 되어야 합니다. 오늘은 관계 대명사 주격에 대해서만 간단하게 알아봤습니다. 다음에는 소유격/목적격에 대한것도 따로 살펴볼 예정이구요 그다음에는 좀 더 깊이있게 들여다 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관계대명사 다음편 기대해주시고 또 찾아주세요…감사합니다 ^^

다른 영어표현 배우기

2020/02/26 – [Learning English/쉬운 영어문법] – 쉽게 배우는 to부정사 – 명사적 용법(목적어 자리)

2020/02/28 – [Learning English/영어회화 표현] – Barking up the wrong tree – 헛다리짚다, 잘못짚다, 번짓수를 잘못 찾다 영어표현

내용이 유익했다면 “공감” 부탁드리고 다른 영어표현도 많이 있으니 구독하셔서 자주 들러주세요 ^^. 그럼 오늘하루도 즐겁게~~ 보내세요!! – 유리면봉 –

영문법 관계대명사 개념 정리, 관계대명사 총 정리, 관계대명사 핵심 요약, 관계대명사 예문

1. 관계대명사란 ?

일종의 대명사로서 문장의 어떤 단어를 받아 접속사의 역할을 해가면서 그 말을 뒤에 나오는 절(clause)에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데 사람과 사물에 대한 두 가지의 관계대명사가 있다.

2, 관계대명사 분류

1) 사람에 대한 관계대명사

I know a girl.(나는 한 소녀를 알고 있다.)

She is a nurse.(그녀는 간호원이다.)

이 두 문장을 연결시키려면

I know a girl and she is a nurse. 이고 그런데 영어에서는 세계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반복을 싫어한다. 즉 a girl과 she이고 그래서 이 반복되는 말들을 짧은 문장에 겹쳐 사용할 필요가 있겠느냐 해서 다음과 같이 고쳐 쓴다.

I know a girl and she is a nurse.-a) I know a girl who is a nurse.-b)

b)문에서 who는 a)문의 a girl and she를 합쳐가지고 두 문장을 관계연결 시켰다고 하고 a)문에서 she가 주격이므로 b)의 who를 주격 관계대명사라고 하는 것이다.

Who is this girl? (이 소녀는 누구입니까?)

윗문에서는 who가 있고 문미에 (?)가 있다. 이 who는 의문대명사라고 한다.

b)의 해석 (나는 간호원인 한 여인을 알고 있다.)

여기서 girl을 선행사라고 하고 또 관계대명사 이하의 절은 선행사를 수식하므로 형용사절이 되는 것이다.

I know a girl.

Her father is a doctor. 이 두 문장을 연결시키려면

I know a girl and her father is a doctor.

여기서는 a girl과 her가 같은데 her는 소유격이다. 그래서 이번에는 소유관계대명사를 써서 연결시키면

I know a girl whose father is a doctor.(나는 아버지가 의사인 소녀를 알고 있다.)

I know a girl. Tom loves her.

위의 두 문장을 접속사를 사용하여 연결시키면 I know a girl and Tom loves her .

윗 문장에서는 같은 것이 a girl과 목적격인 her이다. her는 문미에 있다. 문미에 있지만 두 문장을 연결시키는 접속사의 구실을 관계사가 하는 것이니까, 이 her를 whom(목적격)으로 a girl 다음에 붙이면 된다.

I know a girl whom Tom loves. 여기서 her대신 whom을 써가지고 위치만 변경시켰기 때문이다.

(나는 Tom이 사랑하는 여인을 안다.)

2) 사물에 대한 관계대명사

I have a book. It is interesting.

위의 두 문장을 일반 접속사로서 연결시키면 I have a book and it is interesting.

여기서 a book 와 it이 같고 it이 일반사물이니까 that 또는 which를 사용하면 된다.

I have a book that (또는 which) is interesting.(나는 재미있는 책 한 권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다음 사물의 소유격은 좀 복잡하다.

I have a book. Its cover is red.

The cover of it is red. 두 문장을 연결시키면

a)-I have a book and its cover is red. 가 되기도 하고,

b)-I have a book and the cover of it is red. 가 되기도 한다.

a)에서는 a book와 its가 같고 b)문에서는 a book 와 it이 같기 때문에 관계대명사도 이대로 여러 가지로 변해서

a) I have a book whose cover is red.

b) I have a book the cover of which is red of which the cover is red. 도 된다.

(나는 표지가 빨간 책을 한 권 가지고 있다.)

사물의 목적격 I have a book.

She bought it for me. 두 문장을 연결시키면

I have a book and she bought it for me.

여기서 a book와 it이 같다. it는 목적격이다. 타동사 bought 다음에 나왔기 때문이다. it이 a book와 떨어져 있지만 연결시키는 관계대명사를 쓰면 앞으로 당겨 나와서 a book 다음에 들어간다.

I have a book that (또는 which) she bought for me.

(나는 그녀가 나에게 사준 책 한 권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목적격에는 동사의 목적격과 전치사의 목적격이 있다. 즉

I like him . I am fond of him .

동사 like의 목적격 전치사 of의 목적격

그래서 이번에는 전치사의 목적격을 다루어 보기로 한다.

I have a book.

She is fond of it. 두 문장을 연결시키면

I have a book and she is fond of it .가 된다.

a book와 it이 같다. 그래서 it를 관계대명사로 고쳐 a book 다음으로 연결시키면 전치사는 다음에 목적어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어서

I have a book of which she is fond. 또는

I have a book which she is fond of. 가 된다. (나는 그녀가 좋아하는 책을 한권 가지고 있다.)

3) 관계대명사의 종류와 변화

종류 용도 격 주격(…가) 소유격(…의) 목적격 (…에게, …을) who 사람 who whose whom which 사물 which whose(of which) which that 사람, 사물 that ― that what 사물 what ― what

4) 선행사와 수의 일치

관계대명사의 인칭, 수는 선행사에 의해 정해진다.

Everybody loves a boy who is kind. (누구나 친절한 소년을 좋아한다.)

단수 단수동사

3. 관계대명사의 생략

1) 타동사의 목적격 일 때

This is the book (that) I bought yesterday. (이것은 내가 어제 산 책이다.)

※ that는 타동사 bought의 목적격

2) 전치사의 목적격 일 때

This is the doll (which 또는 that) she is fond of. (이것은 그녀가 좋아하는 인형이다.)

※ which 또는 that 는 전치사 of의 목적격

3) 선행사가 유도부사절의 주어일 때는 주격이라도 생략

There is a woman at the door (who) wants to see you.

(당신을 만나고자 하는 여인이 문에 있다.)

※ 위의 문장에서 at the door는 부사구이고 선행사는 a woman이고 there is 는 …가 있다, 없다 할 때 사용되는, 즉 실제로는 아무런 의미도 없이 문장을 이끌어가는 유도 부사절이고 a woman의 관계사가 주격인 who라서 생략이 불가능하나 선행사 a woman이 유도부사절의 주어이기 때문에 주격이라도 생략이 가능한 것이다.

She is one of the greatest poets (that) there are in the world.

(그녀는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시인 중에 한 사람이다.)

※ 선행사 the greatest poets가 there are in the world의 주어이기 때문에 that이 주격이라도 생략이 가능하다.

4) 보어인 경우도 생략이 가능

She is not the woman (that) she was two years ago.(그녀는 2년 전의 그녀가 아니다.)

※ two years ago는 부사구이고 that이 she was의 보어이기 때문에 생략이 가능하다.

4. 전치사 +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가 전치사의 목적어일 경우에는 그 전치사와 합쳐서 뒤따라 나오는 절의 앞으로 온다. 가령,

This is the house. He was born in the house.

윗문에 in the house에서 the house는 in의 목적어이고 관계대명사는 전치사의 목적격인 which를 사용해서 in과 which가 합쳐서 뒤따라 나오는 절의 앞으로 오게 된다.

This is the house in which he was born. (○) 전치사는 문미로 돌릴 수 있다.

This is the house which he was born in. (○) 집이 사물이므로 that을 쓰기도 한다.

This is the house that he was born in. (○)

그러나 관계대명사 that 앞에는 어떠한 전치사도 못온다.

This is the house in that he was born. (×) (이것은 그가 태어난 집이다.)

관계대명사가 생략되면 전치사는 전부 문미로 간다. 그리고 관계대명사 that 앞에는 전치사가 못온다.

This is the house he was born in.

5. that 만을 써야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사람이든 사물이든 that만을 사용한다.

a) 선행사에 최상급이 붙는 경우

This is the best book that I have read this year.(이것은 금년에 내가 읽은 것중 제일 좋은 책이다.)

b) 선행사에 서수가 오는 경우

She is the first woman that arrived here.(그녀는 여기에 도착한 첫 번째의 여인이다.)

c) 선행사에 the only가 붙은 경우

He is the only foreigner that I have ever spoken to.

(그는 내가 지금껏 얘기를 걸어본 유일한 외국인이다.)

d) 선행사에 the same이 오는 경우

This is the same watch that I lost yesterday.(이것은 내가 어제 분실한 바로 그 시계다.) (동일물)

e) 선행사에 the very가 오는 경우

This is the very thing that I want to have.(이것은 내가 갖기 원하는 바로 그 물건이다.)

※ very fine (매우 훌륭한, fine=형용사) the very thing(바로 그 물건, thing=명사)

f) 선행사에 no가 오는 경우

There is no man that doesn’t know her name.(그녀의 이름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g) 선행사가 all(대명사) 또는 all + 명사(all은 형용사)가 오는 경우

All that glitters is not always gold.(반짝이는 것이라고 해서 모두 금은 아니다.)

h) 선행사가 사람과 동물인 경우

Look at the man and the dog that are crossing the bridge.

(다리를 건너고 있는 사람과 개를 보시오.)

I) 문장 앞에 의문대명사, who, which가 나오는 경우

Who that has read Shakespeare’s works can forget their fascination?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읽어본 사람으로서 누가 그 매력을 잊을 수 있겠는가?)

6. 관계대명사의 두 가지 용법

① 한정적 용법

관계대명사다 뒤의 문장을 이끌어 선행사의 내용을 수식, 한정하는 용법을 말하며 관계대명사 앞에 (,)가 없다.

I want a tutor who is good at English grammar.(나는 영어문법에 능한 개인 강사를 원한다.)

※ a tutor 에 내용이 who is good at English grammar로 한정된다는 뜻이다.

② 계속적 용법

계속적 용법에 있어서는 선행사의 내용을 한정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그 절이 부가되어 있으며 계속적 용법에서는 관계대명사 앞에 (,)가 있고 한정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절은 종속절이고 따라서 그 문장은 중문이 되며 관계대명사 that는 한정적 용법에만 사용되고 계속적 용법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계속적 용법은 다음의 4가지로 접속사의 의미로 분류된다.

a) I met a boy, who showed me the way.

(나는 한 소년을 만났는데 그는 나에게 그 길을 가르쳐 주었다.) who = and he

b) We will ask Mr. Carter, who knows French well.

(우리는 카터씨에게 묻겠다. 왜냐하면 불어를 잘 알고 있으니까.) who = as he

c) I offered him money, which he refused.(나는 그에게 돈을 주었으나, 그는 거절했다.)

which=but he refused it (it=which)

d) The old man, who was poor was very honest.(그 노인은 비록 가난하나 매우 정직했다.)

who=though he

※ that에는 계속적 용법이 없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which를 사용한다. 또한 계속적 용법 which는 선행사로서 단어 뿐 아니라 구, 절을 받기도 한다.

He told me to see a doctor, which I did.(그는 나에게 의사를 보라고 했는데 나는 그것을 했다.)

※ 여기서 which=to see a doctor

He suddenly returned from abroad, which I didn’t know at all.

(그는 갑자기 해외에서 귀국했는데 나는 그것을 전혀 몰랐다.)

※ 여기서 which는 앞 문장 He suddenly returned from abroad. 전체이다.

7. what(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 의 용법

what는 그 자체 안에 선행사를 포함하고, 관계대명사로서 that(those), which, the things which 또는 all that으로 고쳐 쓰기도 한다. 즉

This is the book . I bought it yesterday. 여기서 관계대명사를 써서 두 문장을 연결시키면

This is the book that I bought yesterday. – a) (이것은 어제 내가 산 책이다.)

즉 내가 어제 산 책이라고 해서 책을 명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번에는

This is all . (또는 the things)

I bought it yesterday. 여기서 관계대명사를 써서 두 문장을 연결시키면

This is all (or the things) that I bought yesterday. – b) (이것은 내가 어제 산 전부(것들)이다.)

a)에서는 산 것이 책인데 b)에서 전부, 것들이라고 해서 산 것이 무엇인지 명확히 밝히지를 않고 있다. 이와 같이 명확하지 않는 것을 뭐 어렵게 선행사를 쓰고 또 관계대명사를 쓸 필요가 있겠느냐 싶어서

This is all (the things) that I bought yesterday.

This is what I bought yesterday. 라고 고친 것을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라 부르고 선행사는 명사이다. 그래서 이 what이하를 명사로 취급하니까 다음과 같이 명사의 역할 그대로 주어, 보어, 목적어로 사용할 수가 있고 문장 가운데 what이 나오고 문미에 (?)가 없으면 전부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로 보면 된다.

What I bought yesterday is this book. (주어)

(내가 어제 산 것은 이 책이다.)

This book is what I bought yesterday . (보어) (이 책은 내가 어제 산 것이다.)

She likes what I bought yesterday . (동사 likes의 목적어)

(그녀는 내가 어제 산 것을 좋아한다.)

She is fond of what I bought yesterday . (전치사 of의 목적어)

Father made me what I am . (목적 보어) (아버지는 나를 오늘의 나로 만드셨다.)

8. What 의 관용구

① She is charmed by what he is , not by what he has .

(그녀는 그의 재산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의 인격에 의해 매혹되었다.)

② Reading is to the mind what food is to the body.

(독서와 정신에 대한 관계는 음식과 육체에 대한 관계와 같다.)

Reading is to the mind as food is to the body. 로 쓰기도 한다.

③ He lacks what is called common sense.(그는 소위 상식이 없다.)

what we call

what they call

※ what 다음에 능동태가 되건, 수동태가 되건 call과 연결되었으면 무조건 ‘소위’예요.

④ He is clever, what is better still, very handsome.

(그는 영리한데 더욱 좋은 것은 미남이기까지 하다.)

※ what is worse∼더욱 나쁜 것은

what is better(worse) still에서는 better still, worse still만 쓰기도 한다.

⑤ What with illness and(what) with poverty, he is miserable. (원인)

(몸도 아프고 가난하기도 해서 그는 불행하다.)

⑥ What by threat, and what by entreaty he attained his goal. (수단)

(협박도 하고 탄원도 해서 그는 그의 목표를 달성했다.)

9. 복합 관계대명사

다음과의 예문을 잘 비교해 봅니다.

I will give you the thing that I have in my pocket.

I will give you what I have in my pocket.(나는 너에게 나의 주머니 속에 가진 것을 주겠다.)

I will give you any thing that I have in my pocket.

긍정문에 anything은 ‘무엇이라도 전부’라는 뜻이다. 이럴 때 anything that 대신에

whatever를 쓰고 이와 같이 관계대명사 (that제외)지만 ever를 붙인 것을 선행사를 포함한 복합관계대명사라고 한다. 즉, I will give you whatever I have in my pocket.

Give this coin to anyone who wants it.

=Give this coin to whoever wants it.(이 동전을 원하는 사람에게 라면 아무에게나 주어라.)

You may take anyone that you like.

You may take whichever you like.(당신이 좋아하는 것이면 아무 것이나 가져도 좋다.)

(주의 사항)

He is fond of her .(그는 그녀를 좋아한다.)

(전치사) (목적어)

윗문에서 her는 전치사 of의 목적격이다.

I gave a book to a him .

전치사 목적어

윗문에서 him은 전치사 to의 목적어이다.

whoever(a)

You may give this book to wants it.

전치사 whomever(b)

(당신이 원하는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이 책을 주어도 좋다.)

여기서 to는 전치사이고 그 목적격으로서 마땅히 whomever가 와야 하겠지만 다음 두 가지 이유로서 whoever가 와야 된다.

첫째 wants it 의 주격이 필요한데 그 주격으로서는 whoever가 와야 되고 또 whoever는 any-one who를 줄여 쓴 것이기 때문에 to의 목적격으로서 anyone이 가능하기 때문에 윗 문에서는 a)가 맞는 문장이고 b)는 틀리다. 다음에서

whoever(a)

You may invite you like 에서는 you like의 목적격이 필요하기 때문에 b)가 맞다.

whomever(b)

(당신은 당신이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를 초대해도 좋다.)

10. 의사 ( 유사 ) 관계대명사

원래는 접속사이던 것이 도중에 관계대명사로 전환된 것으로 as, than, but이 있고 as 와 than은 주격과 목적격으로, but는 주격만 있다.

1) as

① Choose such friends as will benefit you. (such∼as, 주격)

(너에게 이익을 줄 그러한 친구를 택하라.)

※ friends가 사람이고 주격이기 때문에 who라야 되겠지만 such 때문에 as를 써야 한다.

② I have the same watch as you have. (the same∼as, 동종류, 목적격)

(나는 네가 가진 것과 동종류의 시계를 가지고 있다.)

※ water가 사물이라서 that 또는 which라야겠지만 the same 때문에 as를 써야 한다.

(주의)

I have the same watch that you lost yesterday. (동일물)

(나는 네가 어제 잃어버린 바로 그 시계를 갖고 있다.)

③ As many men came are as welcome. (온 사람은 다 환영한다.)

※ men 이 사람이고 주격이라서 who가 와야겠지만 As 때문에 다음에도 as가 와야한다.

※ He is as brave a soldier as ever shouldered a rifle.

(형용사) (명사)

(그는 지금까지 어깨에 소총을 걸어 메었던 군인 중에서 가장 용감한 군인이다.)

as∼as 가운데 윗 예문처럼 형용사 + 명사가 나오면 내용은 최상급으로 번역된다.

④ She is absent, as is often her case. (앞 문장 전체가 선행사, 주격)

(그녀는 결석했는데 그것은 그녀에게 종종있는 경우다.)

※ 선행사는 관계대명사 앞에 나오는 것이 상례이나 의사 관계대명사 as는 선행사 앞에 나오는 수도 있다.

As is often the case, she is absent. -a) (그녀에게 가끔 있는 경우인데 그녀는 결석이다.)

※ As it is fine today we will go on a picnic. -b)

(오늘은 날씨가 좋기 때문에 우리는 소풍을 갈 것이다.)

a)에서는 As다음에 주어가 없다. 그것은 As가 주어(주격)로 접속사의 역할을 겸하기 때문이고 b)에서 As다음에 it라는 주어가 있다. 이 As는 접속사이다.

2) then

① She always has more money than is necessary. (주격)

(그녀는 언제나 필요이상의 돈을 가지고 다닌다.)

※ money가 사물이라서 that 또는 which를 써야겠지만 more가 있기 때문에 than을 쓰는 것이고 than이 주격이라서 is가 곧바로 나온 것이다.

② She always has more money than she needs. (needs의 목적격)

(그녀는 그녀가 필요로 하는 것 이상의 돈을 가지고 다닌다.)

3) but

but이 의사 관계대명사로 사용되는 경우는 no, not, never, scarcely, hardly 의 부정어가 나오고 but 다음에 주어가 없다. but자체가 주격 관계대명사이니까, 그리고 but이하의 의미는 부정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부정의 의미이다.

There is no boy but know her name .

부정어 관계사 부정의 의미

=There is no boy that doesn’t know her name.

=Who is there but knows her name? (그녀의 이름을 알지 못하는 소년이 아무도 없다.)

※ Who is there ? 는 누가 있느냐고 묻는 것이 아니라 누가 있겠는가? 즉, 아무도 없다라는 부정을 표시하는 수사의문문이다.

=Every boy knows her name. (모든 소년은 그녀의 이름을 안다.)

이중부정은 긍정이다.

<다른 예>

There is no man but loves his own country.

= There is no man that doesn’t love his own country.

= Who is there but loves his own country?

= Everyman loves his own country. (자신의 조국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11. 관계형용사

She spoke to me in French. -a) I could not understand it. -b)

대명사

I could not understand that language. -b’)

지시형용사

먼저 a)와 b)를 연결시키면 French와 it이 같으므로

She spoke to me in French, which I could not understand.

(그녀는 나에게 불어로 말을 걸었는데 그것을 나는 이해할 수 없었다.)

a)와 b’)를 연결시키면

She spoke to me in French, which language I couldn’t understand.

(그녀는 나에게 불어로 말을 걸었는데 그 언어를 나는 이해할 수 없었다.)

여기서 which는 양쪽문장을 관계 연결시키면서 language에 대해서는 형용사의 구실을 했으므로 which를 관계형용사라고 하면 된다.

You may take whichever book you like. (whichever은 복합 관계 형용사로서 book을 수식)

(너는 네가 좋아하는 책 어느 것이나 가져도 좋다.)

I gave him what money I had.

= I gave him all the money that I had. (나는 내가 가졌던 돈 전부를 그에게 주었다.)

I gave him what a little money I had. (나는 내가 가졌던 약간의 돈 전부를 그에게 주었다.)

I gave him what a few books I had. (나는 내가 가졌던 몇 권의 책을 전부 그에게 주었다.)

12. 관계대명사의 이중제한

이것은 선행사가 하나인데 접속사 없이 관계대명사 두 가지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There is no one that I know who is as wise as you.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내가 아는 사람으로서 당신만큼 현명한 사람은 없다.)

Is there any book that you have which is as interesting as this?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당신이 가진 책으로서 이것만큼 재미있는 어느 책이 있습니까?)

13. 관계대명사와 삽입 절과의 관계

The man turned out to be a cheat. -a) (그 남자는 사기꾼으로 판명되었다.)

I thought he was a gentleman. -b) (나는 그가 신사라고 생각했다.)

I thought him to be a gentleman. -b’) (나는 그를 신사인 것으로 생각했다.)

a) + b)이면 같은 단어가 the man과 he이고 he는 주격이므로

The man who I thought was a gentleman turned out to be a cheat.

삽입절

+—————+

(내가 신사라고 생각한 그 사람은 사기꾼으로 판명되었다.)

이번에 a) + b’)이면 the man과 him이 같고 him이 목적격이므로

The man whom I thought to be a gentleman turned out to be a cheat.

thought의 목적격

(내가 신사인 것으로 생각한 그 사람은 사기꾼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삽입절은 주로

I think∼

I believe∼

I find∼

I am sure∼ 등이 해당된다.

14. 관계 대명사와 관계부사의 관계

This is the village. -a) (이것이 그 마을이다.)

She was born in it. -b) (그녀는 거기서 태어났다.)

She was born there. -b’) (in it = there 부사구)

a)와 b)를 합치면 the village와 it이 같고 it앞에 in이 있으므로

This is the village in which she was born. (이곳은 그녀가 태어난 마을이다.)

그러므로

장소 + in(on, at) which = where

시간 + in(on, at) which = when

이유 + for which = why

방법 + in which = how(이상 부사에서 자세히 설명)

배워보자 영어 :: 관계대명사 that 사용

● 관계대명사 that의 사용

1. 주격 관계대명사 who대신 사용 가능

예문)

ex) She is the woman who helped me yesterday.

= She is the woman that helped me yesterday.

2. 주격 관계대명사 which대신 사용 가능

예문) ex) This is the book which I borrowed from James.

= This is the book that I borrowed from James.

3.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대신 사용 가능

예문) ex) That is the man who(m) I saw yesterday. = That is the man that I saw yesterday.

4.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대신 사용 가능

예문)

ex) The book which I am reading is very interesting.

= The book that I am reading is very interesting.

Tip) 소유격 관계대명사의 경우 that으로 전환이 불가능하다.

5. 관계대명사 that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예문)

ex) Look at the man and his dog that are running there.

Tip) who 또는 which는 사용할 수 없다.

예문) ex) He is the only baseball player that I know. Tip) who(m) 또는 which는 사용할 수 없다. 6. 관계대명사 that 사용시 주의해야 할 부분 1) 관계대명사 that 앞에는 전치사를 사용할 수 없다. 2) 관계대명사 that 앞에는 ,를 사용할 수 없다. 즉 관계대명사는 계속적용법의 사용이 없다.

관계대명사 간단 해석 (who

관계대명사 간단 해석 (who/which/that)

영어 관계대명사는 문법적으로나 말할 때는 쓰기에 그리 쉽지는 않지만, 해석할 때는 의외로 간단합니다.

관계부사의 해석도 마찬가지

저의 경우, 중/고등학교 다닐 때는 이러한 쉬운 해석법을 배우지 못했지만, 요즘에는 아마 학교에서도 대부분 이런 식으로 관계사를 해석할 겁니다.

@ 먼저, 관계대명사에 대해 간단히 보면

관계대명사는 기본적으로 who, which, that이 있으며, 또 관대 who의 목적격으로는 whom이 있는데, 일상에서는 whom 대신 who를 많이 씁니다.

또, 소유격으로는 사람, 사물 둘 다 whose 를 많이 씀 (of which는 좀 딱딱한 표현)

관계대명사 what의 경우는 이와 성격이 많이 다른 데 (특징 : 관대 what에 선행사 the thing이 포함되어 있음)

the thing은 우리말로 하면 ‘것’이라고 해석됩니다.

@ 문장에서의 관계대명사의 역할은?

관계대명사는 문장 내에서 앞에 나오는 명사를 보충해주는 ‘형용사절’ 역할은 하는 데, 예외적으로 관대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문장 내에서 ‘명사절’ 역할을 합니다.

즉,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할 수 있음

관계대명사 해석방법 정리 1편

1편은 기본적인 관계대명사인 who/ that / which의 해석법

모두 ‘어떤’으로 처리하면 말이 매끄럽고 해석속도도 빨라짐

[참고] 관계대명사 that 관련

관대 that은 선행사가 사람일 때나 사물일 때, 모두 쓸 수 있지만, who (사람)와 which (사물)을 구분해서 써주면 상황에 따라 의미 전달이 분명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말이을 빨리 나오게 하려면 that으로 통일해도 괜찮음

@ 예문을 통해 연습하기

I love 민수 who you liked before.

나 민수 사랑해 (어떤?)

네가 예전에 좋아했던..

■ 이 문장의 경우를 보면

‘난 민수를 좋아해’로 문장이 끝나도, 말이 되지만, 관계대명사는 이렇게 앞에 나오는 말을 뭔가 보충해 주고 싶을 때 씁니다. (이게 바로 관대를 쓰는 이유)

관계대명사는 뭔가 보충해줄 때 쓴다는 점 꼭 기억해두기 (관계부사도 마찬가지)

I’m going to buy a phone which you have now.

나 전화기 살거야 (어떤?)

네가 지금 갖고 있는..

When did you buy the laptop that you used before.

너 노트북 언제 샀어? (어떤?)

네가 예전에 사용했던..

■ 예문을 몇 가지 더 보면

Did you get the book which you ordered last week?

너 그 책 받았어? (어떤?)

네가 지난주에 주문했던..

I’m looking for my wallet that I’ve lost just before.

나 내 지갑 찾고 있어 (어떤?)

내가 조금 전에 잃어버린..

This is my girlfriend who always helps me.

이쪽은 내 여자친구야..

(어떤?) 날 항상 도와주는..

@ 관련글 더 보기

관계대명사 기본내용 간단 정리

관계부사도 별로 어렵지 않음

영어 가주어, 진주어 해석방법

반응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관계 대명사 예문

다음은 Bing에서 관계 대명사 예문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영어회화 문장연습 – 관계대명사(that/who/which)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및 듣기 실습 [한영자막] 매일 영어를 공부하세요! 기초영어, 기본영어, 왕초보영어, 영어공부

  • 영어 말하기 및 듣기 실습
  • 매일매일 영어듣기
  • Kendra's Language School
  • 엄청 유용한 영어 표현
  • 짧은 영어 구분 배우기
  • 유창한 영어 회화
  • 영어말하기
  • 영어듣기
  • 영어공부
  • 프랭크쌤영어
  • 효율적인 영어 듣기 트레이닝
  • 구슬쌤영어

영어회화 #문장연습 #- #관계대명사(that/who/which)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및 #듣기 #실습 #[한영자막] #매일 #영어를 #공부하세요! #기초영어, #기본영어, #왕초보영어, #영어공부


YouTube에서 관계 대명사 예문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어회화 문장연습 – 관계대명사(that/who/which)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및 듣기 실습 [한영자막] 매일 영어를 공부하세요! 기초영어, 기본영어, 왕초보영어, 영어공부 | 관계 대명사 예문,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구글 홈 Pc | 컴퓨터를 원격으로 켜고 끄는 Iot Pcie 카드 (구글홈, 시리 가능) 97 개의 자세한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