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랄 인증 마크 | 한국에 침투된 이슬람교…그 위험성은? [Goodtv News 20210812] 15 개의 자세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할랄 인증 마크 – 한국에 침투된 이슬람교…그 위험성은? [GOODTV NEWS 20210812]“?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GOODTV NEWS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693회 및 좋아요 8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할랄 인증 마크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한국에 침투된 이슬람교…그 위험성은? [GOODTV NEWS 20210812] – 할랄 인증 마크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오늘 첫 소식은 한국에 침투한 이슬람교에 대한 보도입니다. 이슬람하면 극단 테러조직을 연상케하지만 일각에선 종교가 아닌 문화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이슬람 음식 할랄푸드일 텐데요. 이슬람 세력이 급속도로 팽창하면서 많은 사회적 문제로도 확산하고 있습니다. 김예지 기잡니다.
흔히 즐겨 먹을 수 있는 수입 과자들입니다. 모두 근처 편의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지만 뭔가 다른 점이 있습니다. 식품 뒷면에 보이는 각국의 할랄 인증 마크가 눈에 띕니다. 할랄 인증을 받은 식품들입니다. 할랄은 아랍어로 ‘허용’을 뜻하는데 할랄푸드는 이슬람의 율법대로 만들어진 식품을 이릅니다.
국내에서 할랄푸드 등 이슬람 문화가 인식되기 시작한 건 지난 2015년 정부가 아랍에미리트와 ‘할랄 식품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후입니다. 당시 전세계 무슬림 인구는 18억 명으로 할랄 식품 시장 규모가 1,500조원인데 따른 블루오션 시장을 선점해야 한다는 명분이었습니다. 그 이후 이슬람은 비즈니스와 문화가 결합된 형태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이런 현상에 대해 할랄푸드를 단순히 문화현상으로 받아들이기엔 무리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슬람 신자인 무슬림들이 할랄푸드를 먹는 이유가 이슬람 경전인 코란의 내용을 따른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만석 선교사 / 한국장로교총연합회 이슬람대책위원장)
무함마드의 행동이 무슬림들의 삶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거든요. 무함마드가 했던 말과 행동 전부 전투행위에요. 이슬람 코란 구절에 평화와 평등을 가르치는 구절이 단 한 구절도 없어요. 이슬람들의 숫자가 늘어나면 위험해진다는 얘기죠.
이슬람 인구 증가는 성범죄 증가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2016년 독일 쾰른 지역에서는 이슬람 난민들이 여성을 집단 성폭행해 497명이 성폭력 피해 신고를 했고, 영국 로더럼 지역에서는 1997년부터 2013년까지 1,400명의 미성년자가 무슬림 남성들로부터 성적학대를 당했습니다.
이슬람 전문가들에 의하면 이슬람의 집단 성폭행 악습은 ‘타하루시’가 원인으로 공공장소에서 벌어지는 불특정 다수에 의한 성폭행을 뜻합니다. 이슬람 교리는 이러한 집단 성폭행 놀이를 관행으로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만석 선교사 / 한국장로교총연합회 이슬람대책위원장)
그들은 교리 자체가 음란해요. 성행위가 삶의 모티브가 되고 율법을 지켜가면서 얼마든지 성을 즐길 수 있는 그런 사회를 만들어 놨어요.
또한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의 심각한 테러는 2000년대 이후 전세계적으로 진행돼 왔습니다. 지난 2016년 이슬람의 최대 종교의식인 라마단의 종료를 앞두고 방글라데시 수도 다카와 이라크 수도 바그다드에서 벌어진 IS의 자살폭탄 테러로 여성, 어린이 등 무고한 민간인이 100명 넘게 숨지는 사건이 발생하며 전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었습니다.
이슬람 테러의 위험성은 국내사례를 통해서도 드러납니다. 2015년, 불법체류자 A씨(32)가 본인 페이스북에 자폭 테러를 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가 경북에서 체포되거나, 지난해 국내 체류 무슬림 2명이 주한 프랑스대사관에 협박전단을 게시해 검거된 적도 있습니다. 국내 무슬림의 증가를 우려하는 이윱니다.
이슬람 증가에 대한 대책 없이 방치할 경우, 국가 보안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정부의 대처가 필요해보입니다.
GOODTV NEWS 김예지입니다.
세상을 복음의 빛으로 ‘GOODTV NEWS채널 ‘입니다!
* 방송시간
GOODTV NEWS

● 본방 : 월 ~ 금요일 21:50
● 재방 : 화 ~ 금요일 06:50 / 토요일 06:00
● 삼방 : 화 ~ 금요일 12:00 / 토요일 14:00
* GOODNEWS 제보 방법
● 제보전화 : 02-2639-6446
● 제보e-mail : [email protected]

* 시청방법
– IPTV: KT Olleh TV 234번, SKB Btv 303번, LG U+ 273번
– 위성TV: KT 스카이라이프 186번
– 케이블: Btv 케이블 224번, LG헬로비전 289번, 딜라이브 303번,
HCN 545번(서울), NIB 남인천방송 406번, GCS 푸른방송 160번,
CCS충북방송 191번, JCN울산중앙방송 208번, KCN 금강방송 797번
– 인터넷: www.goodtv.co.kr
– 모바일:’ GOODTV 기독교복음방송’ 검색 후 앱을 다운 스마트TV: 스마트TV 검색창에서 “기독교방송” 검색 후 앱을 다운

할랄 인증 마크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HALAL – 중국검험인증그룹

인증 마크. 할랄 인증은 사전컨설팅을 통해, 진출하려는 국가에 적합한 인증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국가와 종파 간 견해와 문화차이로 인해 할랄 인증이 통합되지 …

+ 더 읽기

Source: ccickorea.com

Date Published: 9/1/2022

View: 3321

UAE 할랄 인증 현황 – Kotra 해외시장뉴스

Keyword #UAE #할랄 #인증 #식품 #화장품 #의약품. – UAE, 세계 할랄 종주국 … IHCC 할랄인증마크 부착 시 요구사항 준수 필. 웹사이트. 및 연락처.

+ 여기에 보기

Source: news.kotra.or.kr

Date Published: 8/15/2022

View: 8026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할랄 인증 마크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한국에 침투된 이슬람교…그 위험성은? [GOODTV NEWS 20210812].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한국에 침투된 이슬람교…그 위험성은? [GOODTV NEWS 20210812]
한국에 침투된 이슬람교…그 위험성은? [GOODTV NEWS 20210812]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할랄 인증 마크

  • Author: GOODTV NEWS
  • Views: 조회수 2,693회
  • Likes: 좋아요 81개
  • Date Published: 2021. 8. 12.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UChEfoUI2yo

생수에도 할랄 마크 부착…할랄 인증은 ‘상품 판단 기준’

JAKIM(말레이시아 이슬람 개발국)인증 라벨이 할랄식품/사진=쿠알라룸푸르 수산물 수출지원센터© News1

왼쪽 위쪽부터 시계방향으로 JAKIM(말레이시아 이슬람 개발국), MUI(인도네시아 율법학자 위원회), 아랍에미리트, 한국 할랄 로고/자료=한국해양수산개발원-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아랍에미이트 할랄 인증 절차 및 기준© News1

© News1이은현 디자이너

© News1 방은영 디자이너

할랄 식품 시장규모 및 주요 무슬림 국가의 수산물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주목받지 못한 이들 국가가 새로운 수산물 수출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자료에 따르면 주요 무슬림 국가들의 수산물 소비는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해 총 수산물 공급량 증가율이 전 세계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대표적 할랄 시장인 아랍에미리트 및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의 경우 1인당 연평균 수산물 소비량이 세계 평균을 상회하고 있다.이런 할랄국가로의 진출을 위해서는 할랄인증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우리나라는 1964년 설립된 한국 이슬람교 중앙연합회(KMF)에서 1980년대부터 할랄인증을 실시하고 있으며, 싱가포르의 MUIS와는 2011년도에 그리고 말레이시아 JAKIM과는 2013년도에 교차 인증을 체결했다.할랄 인증기관은 현재 전 세계에 300여개가 존재하고 있지만 각 국가별, 기관별 할랄 인증 기준에 차이가 있으며, 상호 교차인증 허용도 제한적이다.이슬람협력기구(OIC)는 이러한 국가별, 기관별 차이를 해소하고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할랄 공통 표준 인증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회원국인 여러 무슬림 국가들의 할랄 주도권 쟁탈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임경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해외시장분석센터장은 “국내 수산물 및 수산식품이 무슬림 국가 진출을 위해서는 국가별 수산물 소비 특성, 할랄 인증 정보 수집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국가별 맞춤형 수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또 “할랄 인증 취득은 아직 국제 표준이 마련되지 않고 상호 인증도 제한적인 만큼 수출대 상국에 따른 탄력적 접근이 요구되며, 수산물 및 수산식품의 양식·가공 장소, 원료, 과정 등에 대한 업체의 철저한 분석·평가가 선행될 필요하다”고 덧붙였다.하지만 할랄시장은 우리나라 수산물수출의 편중화를 완화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으로 무슬림 국가에 대한 적극 검토가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최근 주요 무슬림 국가의 수산물 수입 규모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의 이슬람협력기구(OIC) 회원국에 대한 수출 실적도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최근 우리나라 수산업계도 할랄인증을 취득하거나 인증에 관심을 가지는 업체가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종교적, 문화적 관습이 다른 세계로의 진출에는 여러 가지 애로 사항도 나타나고 있다.국내 업체에게 할랄인증을 비롯한 국제인증을 지원하고 있는 한국수산회에 따르면 할랄 심사시 업계의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수산가공식품에 들어가는 부재료의 증빙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수산회 수출지원팀 박상훈 과장은 “수산물은 할랄 원료로서 원물에 대한 애로사항은 없으나, 가공식품에 첨가하는 첨가물을 구하거나 증빙하는데 애로사항이 있다”며 “예를 들어 효소를 사용할 때 미생물을 키우기 위한 배지(미생물 먹이)를 증명하기 위해 공급업체에게 할랄 원료 증빙서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또 “대부분 할랄 원료 증빙이 안된 상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증빙을 요구해도 준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박 과장은 이어 “이슬람력에서의 9월인 라마단기간에 인증을 준비하는 업체는 라마단 기간에 할랄 취득 진행을 할 수 없는 애로사항이 있다”고 말을 이었다.한국수산회 조사에서는 할랄 심사 시 원‧부재료 첨가 증빙내용과 함께 알코올 첨가여부도 가장 많은 질문 사항 중 하나로 집계됐으며, 간혹 무슬림이 기도할 수 있도록 기도방이 있는지 여부를 질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등 주요 무슬림국가에서는 수산가공품을 유통·판매할 경우 반드시 할랄 인증 마크를 부착해야한다.수협중앙회 조사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무슬림은 수산식품 소비 시 할랄 인증에 민감함 편으로 나타났으며, 할랄 상품에 대한 위생·안전 신뢰도는 96.4%, 96.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우경 수협 수산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는 심지어 마시는 생수에도 할랄인증 마크를 부착하는 경우가 있다”며 “이는 현지인들의 상품에 대한 인식”이라고 강조했다.김 위원은 또 “현지에서는 수산물과 같은 할랄 식품도 인증마크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서 신뢰가 다르다”며 “할랄 인증은 그 상품에 대한 판단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고 귀띔했다.이어 “해양수산부를 비롯한 우리 정부도 할랄 인증에 많은 지원들을 하고 있다”며 “수산물의 경우 무슬림 국가를 목표로 하지 않더라도 수출 다양화를 위해서라도 할랄인증을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이와 맞물려 인도네시아는 2019년 10월부터 자국 내 유통 판매되는 모든 식품, 의약품, 화장품에 할랄인증 취득 여부의 라벨링 표시의무화 제도를 시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라벨링 표시사항 내용 중 추가적으로 할랄인증제품, 비할랄인증제품, 돼지고기성분을 라벨에 구분해 표시하도록 해야 한다.하지만 이러한 인도네시아의 ‘할랄의무화표시 관련 법규 및 시행규칙’ 등은 아직 발표되지 않아 국내 수산물 수출 업체들은 수출준비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해졌다.bsc9@

HALAL – 중국검험인증그룹

대상 품목

이슬람국가에 진출하기 위한 식품, 화장품, 의류 및 완구 등 모든 제품에 적용됩니다. 단, 이슬람 율법에 따라 금기시되는 *하람(Haram) 성분 포함시 대상 품목에 제외됩니다.

*하람 : 이슬람 성서 코란(Koran)과 예언자 무함마드의 언행에 근거하여 이슬람 율법에 금지된 것

[캠퍼스 꿀팁] 할랄식품, 할랄인증마크, 할랄푸드에 대해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서울 4팀 아띠랑입니다. 해마다 이슬람교도, 무슬림들의 숫자가 늘고 있다고 해요. 하지만 타 종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우리나라는 이슬람 교에 대해 많이 알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에요. 만약 우리가 그들을 만나기 전에 조금은 그들의 문화를 알고 만난다면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지는 않겠죠? 그래서 오늘 포스팅 주제는 무슬림들의 음식 ‘할랄푸드’입니다.

– 할랄푸드가 무엇일까요?

할랄푸드는 이슬람교도인 무슬림들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을 통칭합니다. 여기서 ‘할랄(Hala)’ 이라는 의미가 아랍어로 ‘허용된 것’ 이라는 뜻을 담고있습니다. 이와 반대 의미는 ‘하람(Haram)’입니다.

과일, 야채, 곡류 등 모든 식물성 음식과 어류, 어패류 등의 해산물을 포함하는데요. 돼지고기, 개, 고양이 등의 동물, 자연사했거나 잔인하게 도살된 동물은 먹을 수 없습니다.

– 그렇다면 돼지고기 말고 소고기나 닭고기는 먹을 수 있나요?

정답이 맞다가 되려면 조건이 있습니다. 고기의 경우에는 도축 방식이 이슬람교의 교리에 맞아야 합니다. 정신이 맑은 성인 무슬림이 알라의 기도문을 외우면서 단칼에 가축의 목구멍을 절단해야 한다는 다히바(Dhabiha) 법에 따라 도축을 한다면 이는 할랄푸드입니다. 또한 가공, 포장, 보관, 운송 등 유통과정에서도 하람과 분리, 취급받아야 합니다.

– 할랄푸드 인지 아닌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한국 이슬람 중앙회 인증 말레이시아 JAKIM 인증 미국 IFANCA 인증

<출처: 각 기관>

위와 같은 ‘할랄마크’가 부착되어 있는 제품이라면 할랄푸드입니다!

▲ 할랄 인증을 마친 고기류

과자에도 할랄마크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 우리나라에서 할랄푸드를 사먹으려면 어떻게 해야하죠?

채소, 과일, 생선 류는 일반 슈퍼마켓에서 사도 무방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 외에 고기나 다른 제품들을 사기 위해서는 이태원의 할랄마켓으로 갈 수 밖에 없다고 합니다. 가까운 마트를 가지 못하고 이태원까지 가야하니 약간 번거롭긴 하죠!

이태원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모스크(이슬람 사원) 이 있습니다.

이슬람 사원은 복장 규정이 있으니 방문하실 때 참고해 주세요

할랄시장은 전 세계 푸드 시장의 16%을 차지한다고 합니다. 무시 못 할 수치이기 때문에 현재 우리나라 기업들의 할랄 시장 진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최근 발표된 미래유망직업에 할랄인증컨설턴트가 있는 것처럼, 할랄 푸드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것이죠!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을 찾는 만큼, 우리도 그들의 문화를 먼저 이해하고 다가가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일부 극단주의자가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모든 무슬림들에게 너무 고정관념을 갖기보다는 한 발짝 다가가는 것은 어떨까요?

글쓴이

HALAL 인증

HALAL인증 (이슬람율법 적합제품인증)

정의

이슬람율법(Shariah)에 따라 허용된 것을 의미하는 할랄(HALAL)은 이슬람국가의 정부 또는 민간기관이 주도하여 제품이 이슬람 율법에 어긋나지 않은 제품임을 인증하는 제도

개요

할랄 인증은 최근 식품뿐 아니라 패션, 화장품, 의약품, 관광 및 물류 산업까지 범위를 확장하고 있으며 신앙을 중시하는 이슬람 사회에 진출하기 위한 필수요건입니다. 전세계 약 18억 명 무슬림이 분포된 57개 이슬람 국가의 할랄 인증은 점차 인증기관이 정부기관으로 이관됨에 따라 의무화되고 있습니다. 인증에 종교적 기준을 더한 할랄 인증제도는 점차 이슬람 국가에 진출하는 기업에 무역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대상품목

이슬람국가에 진출하기 위한 식품, 화장품, 의류 및 완구 등 모든 제품에 적용됩니다. 단, 이슬람 율법에 따라 금기시되는 *하람(Haram) 성분 포함시 대상 품목에 제외됩니다.

* (하람)이슬람 성서 코란(Koran)과 예언자 무함마드의 언행에 근거하여 이슬람 율법에 금지된 것

인증마크

* 인증마크는 인증기관에 따라 상이함

제출서류

– 할랄 인증 신청서

– 사업자등록증

– 실제품 샘플

– 제조공정도와 제품 생산절차

– 성분·원재료의 목록 및 포장패키지(복합성분은 각 함량별로 표기)

– 제품 시험성적서(필요 시)

– 공장 배치도 및 주변 지도

– 동물성원료 사용시 할랄인증서 또는 도축증명서

– HACCP·ISO·CGMP·GHP 등 보유한 인증서

– 제조공정에 주정 사용시 생산품의 에탄올 함량 0.5% 이내인 분석 확인서

– 기타서류 : 방사능검사 시험성적서, Non-GMO 확인서, 중금속 & 잔류농약 & 화학물 시험성적서 등

관련 기관

(할랄 인증기관) UAE 아랍에미레이트 할랄 인증기관

적용국가

이슬람국가 및 할랄수입지역(아랍에미레이트, 미국, 캐나다,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등)

적용법규 및 규격

– UAE.S 2055-1:2015[할랄 식품]

– UAE.S 2055-4:2014[할랄 화장품] 등

– UAE.S 993-[Slaughterhouse 할랄 도살]

소요기간

6개월~1년

소요비용

제품특성별 변동. 문의요망

인증절차

공장심사

– KTR 한국심사원은 신청 제조업자 공장 품질시스템 심사 및 필요시 샘플을 채취하여 시험을 하고 시험의 결과 여부에 따라 제품인증 지속여부가 결정된다.

– 모니터링에 해당하는 샘플 테스트 비용은 모두 제조업자가 부담함.

갱신

– (해당시) 공장심사를 1년에 1회 정기공장심사를 수행한다.

– 갱신을 위해서는 업데이트 된 공인성적서를 인증서 만료 날짜로부터 1개월 전까지 제출하여야 함.

통상·규제 – KOTRA 해외시장뉴스

– UAE, 세계 할랄 종주국을 목표로 교차 인증 및 글로벌 인증기관 승인 확대 중 –

– ESMA 승인 한국 할랄 인증기관 통해 UAE 할랄 발급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 –

할랄이란?

할랄(Halal)이란 아랍어로 ‘허용된 것’을 의미하며 이슬람 율법 샤리아(Shariah)에 따라 무슬림이 먹고 쓸 수 있는 모든 것을 총칭한다. 하람(Haram)은 할랄의 반대말로 ‘금지된 것’을 의미하며 돼지고기, 동물의 피, 죽은 고기, 이슬람식 도축 방식인 다비하(Dhabihah) 방식으로 도축한 고기가 아닌 것, 술 등이 해당된다.

무슬림들에게 할랄은 단순히 종교적 영역이 아닌 라이프스타일로 이제는 그들의 경제 활동 전반에 영향을 미쳐, 식품에만 집중됐던 할랄의 개념이 화장품, 의류 등 소비재와 관광, 물류, 제약 등 다양한 산업으로 점차 확장되고 있다. 더불어 단순히 제품만이 아니라 원자재, 생산, 보관, 유통 등 전과정에서 이슬람 윤리에 반하는 사항이 없어야 하며 할랄 제품이 아닌 제품과 함께 보관, 유통되지 않았다는 할랄 무결성을 증명해야 한다.

UAE의 할랄 인증제도

2014년 1월, UAE 표준측량청인 ESMA가 국제 수준에 부합하는 UAE 단일 할랄 규격기준(UAE Scheme for Halal Products)을 제정했다. UAE의 할랄 표준은 육류 식품에서 비육류 식품, 화장품 등으로 점차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육류 및 육가공품을 제외한 제품은 할랄 인증 취득 의무 대상이 아니며 인증의 유효기간은 3년이다. UAE 할랄 마크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UAE 내각 결의안 No. 10/2014의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할랄 인증 취득과 별도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준수 요건은 다음과 같은 표준을 통해 규정하고 있으며 상세 내용은 ESMA를 통해 구매하여 확인할 수 있다.

표준번호 표준제목 UAE.S 2055-1 : 2015 할랄 식품 – 파트1 : 일반 요건 UAE.S 2055-2 : 2016 할랄 제품 – 파트2 : 할랄 인증기관에 대한 일반 요건 UAE.S 2055-3 : 2016 할랄 제품 – 파트3 : 할랄 인정기관에 대한 일반 요건 UAE.S 2055-4 : 2014 할랄 제품 – 파트4 :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 제품에 대한 일반 요건 UAE.S GSO 2468 : 2015 할랄 식품 상품 혹은 화물 물류체인서비스 관리 시스템 일반 요건 UAE.S GSO 2469 : 2015 입고(Warehousing) 및 관련 활동에 대한 관리 시스템 일반 요건 UAE.S GSO 2470 : 2015 유통관리 시스템 일반 요건 UAE.S 5024 : 2018 할랄 환대 서비스 UAE.S GSO 993 : 2015 이슬람 율법에 따른 도축에 대한 일반 요건

자료 : halal.ae

UAE 단일 할랄 규격기준을 제정, 관장하는 기관인 ESMA는 글로벌 인정기관(HAB, Halal Accreditation Body)을 선정하여 할랄 인증기관(HCB, Halal Certification Body)을 평가, 인정할 수 있는 권한을 위임했다. 이렇게 선정된 인정기관이 인정한 인증기관이 실질적인 할랄 인증 발급 및 마크 부착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8월 5일 기준 총 55개의 할랄 인증기관이 ESMA에 등록되었다.

ESMA가 승인한 한국의 인정기관으로 한국인정지원센터(KAB, Korea Accreditation Board)가 있으며, 국제할랄인증지원센터(IHCC, International Halal Certification Center)는 ESMA가 승인한 최초의 한국 할랄 인증기관이다. 또한 할랄협회(KOHAS)는 ESMA의 공식 승인 기관은 아니나, ESMA가 승인한 글로벌 할랄 인증기관 IFANCA와 할랄인증 동시발급(TLS, Two Logos System) 협약을 체결하여 단일 기관 기준의 절차와 비용으로 2개 인증(KOHAS와 IFANCA)을 동시 발급하고 있으며, 신청 기업이 희망할 경우 ESMA 할랄 인증 발급도 단독 혹은 동시 진행이 가능하다.

ESMA 할랄 마크

자료 : halal.ae

한국 할랄 인증기관을 통한 ESMA 할랄 인증 발급정보

1) 국제할랄인증지원센터 (IHCC, International Halal Certification Center)

인증범위 ㅇ 상하기 쉬운 동식물성 가공제품 – 동물 및 가금류 도축, 계란, 유제품, 어류제품, 신선주스, 신선∙보존과일, 신선∙보존채소 등 ㅇ 실온보관∙유통기한이 긴 가공제품 – 통조림, 스낵, 음료, 파스타, 밀가루, 설탕, 소금 등 ㅇ 화장품 취득절차 ① 신청서 제출 ② 신청서 검토 ③ 계약 검토 ④ 1단계 심사 (현장 방문) ⑤ 2단계 심사 (현장 방문) ⑥ 시정조치 및 확인 ⑦ 인증서 발급 ⑧ 사후관리심사 ⑨ 갱신심사 소요기간 신청 품목, 규모 등에 따라 상이 구비서류 – 사업자등록증 혹은 영업등록증 – Halal, HACCP, GMP, ISO 9001 그리고/또는ISO 22000 인증서 – 시험성적서 또는 제품성분분석검사 (CoA) – 기술사양 또는 품목제조보고서 – 설비배치도 – 제조공정도 – 제조프로세스 설명서 – 제품 라벨 내용 – 라벨디자인 (외관 디자인 볼 수 있는 이미지) – 공장주변지도 – HACCP 혹은 ISO 매뉴얼 인증비용 신청 품목, 규모 등에 따라 상이 할랄마크 – IHCC 할랄인증마크 부착 시 요구사항 준수 필 웹사이트 및 연락처 – 웹사이트 : www.ihcc.co.kr – 전화번호 : 02-2088-5632 – 이메일 : [email protected]

자료 : IHCC

2) 할랄협회 (KOHAS)

인증범위 ㅇ 제조플랜트 – 식품, 건강식품, 화장품, 개인(위생)용품, 의약품, 의료기기, 도축 및 도계 등 ㅇ 할랄서비스 – 외식업, 숙박업, 물류업, 운송업, 관광업 등 취득절차 ① 상담접수 ② 신청서 접수 ③ 인증계약 – KOHAS와 IFANCA 각각 계약 체결 ④ 인증료 납부 소요기간 약 3개월 + α (ESMA 인증 취득 시) 구비서류 ㅇ 제조플랜트 제출서류 – 신청서 – 회사 소개서 – 사업자등록증 – HACCP, ISO, FSSC, GMP 등 기타 인증서 – 공장 도면 (전체, 생산라인) – 제품 스펙/ 품목제조보고서 – 제품제조공정도 – 제품포장디자인 (제품라벨 포함) – 알코올시험성적서 (제품생산시, 알코올이 첨가되는 경우) – 재료의 할랄 인증서 (제품생산시, 할랄인증을 받은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 기타서류 (요청 시 제출 요망) ㅇ 서비스업(외식업) 제출서류 – 신청서 – 회사 소개서 – 사업자등록증 – 영업장 도면 (전체, 조리실) – 메뉴 정보 (메뉴, 제조업체, 제품명 등) – 메뉴(음식) 사진 – 재료의 할랄 인증서 (조리 시, 할랄인증을 받은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 할랄 서비스 관련 교육 이수증 ㅇ 서비스업(호텔/숙박업) 제출서류 – 신청서 – 회사 소개서 – 사업자등록증 – 영업장 도면 (전체, 객실) – 음식을 제공하는 경우: 조리 시설에 대한 할랄 인증서 – 무슬림 고객 응대 메뉴얼 – 할랄 서비스 관련 교육 이수증 ㅇ 서비스업(물류/운송업) 제출서류 – 신청서 – 회사 소개서 – 사업자등록증 – 영업장 도면 – 차량 등록증 – 공정흐름도 – 할랄 관리 메뉴얼 – 화물 출입 목록 – 할랄 서비스 관련 교육 이수증 ㅇ 서비스업(관광/기타) 제출서류는 개별 안내 ㅇ ESMA 인증 신청 시 추가서류 요청 가능 인증비용 ㅇ KOHAS, IFANCA 인증 : 4000달러 내외 (400만원 내외) – 인증서는 KOHAS와 IFANCA 복수 발급되나, 인증비용은 1건으로 청구 ㅇ ESMA 인증 : 약 1,500-2,000만원 (신청료, 감사출장비, 마크 사용료) 할랄마크 – 동시 발급 웹사이트 및 연락처 – 웹사이트 : www.kohas.or.kr – 전화번호 : 02-553-7801 – 이메일 : [email protected]

주 : 인증 비용 및 소요기간은 신청 품목, 규모 등에 따라 상이

자료 : KOHAS

UAE 정부의 할랄 산업 육성 정책

UAE는 이슬람 경제수도가 되겠다는 포부와 함께 2013년에 두바이이슬람경제개발센터(DIEDC, Dubai Islamic Economy Development Centre)를 설립했다. 이어 할랄 관련 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자 2019년 10월, 두바이공항프리존(DAFZA, Dubai Airport Freezone)과 DIEDC의 협력 하에 할랄무역∙마케팅센터(HTMC, Halal Trade and Marketing Centre)를 역내 최초로 설립했다. 본 센터는 시장정보(Marketing Intelligence), 할랄준수(Halal Compliance), 성장지원(Growth Support) 컨설팅을 통해 할랄 제품 및 서비스 제조, 공급, 유통 업체를 집중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과 더불어 중동지역 최대 할랄 산업 박람회인 Halal Expo를 매년 두바이에서 개최하고 있다. 본 박람회는 2017년에 50개국 4,000여 명의 참관객을 유치했으며, 참관객들은 할랄 식품산업, 할랄 환대산업, 이슬람 금융 등 할랄 경제 주요 분야에 주목했다. 2020년 9월 말 무렵 개최 예정이었던 Halal Expo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연기되어 2021년 9월 28일부터 29일까지 양일간 개최될 예정이다.

UAE 할랄 산업 현황

2018년 기준 전 세계 무슬림 인구는 18억 명이며 그 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2030년 무렵엔 22억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OIC(이슬람협력기구) 국가의 연간 GDP는 2016년 이래로 성장 속도가 다소 더뎌졌으나 3%대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어, 세계 할랄 산업의 규모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OIC 연간 GDP 성장률 추이

(단위 : %)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세계 3.6 3.4 3.4 3.8 3.6 3.3 3.6 N/A OIC 4.2 3.7 4.4 3.8 3.1 2.4 3.8 3.7

주 : 2019년부터 전망치

자료 : OIC Economic Outlook 2019

한편, UAE의 총인구는 약 천만 명으로 내수시장규모가 작은 편이나, OIC 국가 중 1인당 GDP 2위로 구매력이 높은 편이다. 더불어 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를 잇는 지리적 이점과 발달된 물류 인프라를 통해 자국 내 생산, 수입된 제품을 인근 국가로 활발히 재수출하며 역내 할랄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주요 이슬람 경제 국가

자료 : Global Islamic Economy Report 2019/2020

1) 식품 시장

2018년 기준 전 세계 무슬림의 식품 소비액은 1조 3,700억 달러로 추산되며 이는 전년대비 5.1% 증가한 수치이다. 이후 연평균 6.3%씩 증가하여 2024년엔 그 규모가 2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UAE의 식품 시장규모는 2018년 기준 약 165억 달러이며 2024년엔 223억 달러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할랄 인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육류 및 가금류 시장규모는 2018년 기준 40억 달러를 상회하며 전년대비 3.2%의 성장률을 보였다. ESMA에 따르면, 2019년 한 해 동안 발급된 ESMA 할랄 인증은 식품 6,581건, 도축장 80건이며, 할랄 마크는 식품에 45건, 도축장에 1건 발급됐다.

UAE 식품 시장규모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식품 15,957 16,488 16,756 17,580 18,303 19,371 20,815 22,310 육류 및 가금류 3,916 4,040 4,103 4,298 4,465 4,711 5,041 5,380

주 : 2020년부터 전망치

자료 : Fitch Solutions

UAE의 할랄 인증은 육류 및 육가공품이 아닐 경우 강제 취득 대상이 아니지만 취득했을 경우 마케팅적 효과가 있어 취득을 선택하는 기업이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UAE 내 주요 할랄 식품

제품예시 제품정보 – 기업명 : IFFCO Group (UAE) – 제품 : 닭고기 850g – 가격 : 22.3 AED (약 6 USD) – 기업명 : Khazan (UAE) – 제품 : 훈제 비프 스트립 250g – 가격 : 20 AED (약 5.4 USD) – 기업명 : Sadia (브라질) – 제품 : 치킨너겟 400g – 가격 : 15.25 AED (약 4.1 USD) – 기업명 : Al Kabeer (UAE) – 제품 : 치킨 사모사* – 가격 : 11 AED (약 3 USD) * 사모사(Samosas)란 삼각형으로 빚어 기름에 튀긴 인도식 만두 – 기업명 : 종가집 (한국) – 제품 : 포기김치 500g – 가격 : 39.5 AED (약 10.7 USD) – 기업명 : 삼양 (한국) – 제품 : 라면(5pc) – 가격 : 28.6 AED (약 7.7 USD) – 기업명 : CJ (한국) – 제품 : 불고기향 김(3pc) – 가격 : 8.8 AED (약 2.4 USD)

자료 : Carrefour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2) 화장품 시장

2018년 기준 전 세계 무슬림의 화장품 소비액은 전년대비 4.9% 증가한 640억 달러로 추산되며 2024년에는 그 규모가 950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UAE의 미용 및 퍼스널 케어 시장규모는 2018년 기준 22억 달러였으며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수축되었다가 2024년에 22억 4천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UAE 미용 및 퍼스널 케어 시장규모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규모 2,195 2,230 2,268 2,146 2,160 2,182 2,209 2,243

주 : 2020년부터 전망치

자료 : Euromonitor

식품에 집중됐던 할랄에 대한 인식이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까지 확장되어 돼지에서 추출한 젤라틴이나 알코올 등이 첨가되지 않은 할랄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천연, 유기농 원료를 사용한 화장품과 동물 실험을 배제한 제품에 대한 수요 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아직까지 화장품에 대한 할랄 인증 취득은 선택사항이나 시장 진입 브랜드가 증가하고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할랄 인증을 취득하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UAE는 평균연령이 낮은 편이며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 외모관리나 트렌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젊은 무슬림 여성 소비자의 수요에 발맞춘 할랄 화장품 개발을 통해 보다 전략적인 시장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일례로 하루 5차례 예배를 보고 예배 전에 손, 발, 얼굴 등을 씻는 세정 의식인 우두(Wudu)가 생활화된 무슬림에 대한 문화, 종교적 이해를 바탕으로 개발된 할랄 매니큐어가 있다. 물이 투과되지 않아 완벽한 세정이 어려운 기존 매니큐어를 물로 쉽게 씻어낼 수 있거나 투수성, 통기성(breathable) 있는 제품으로 개발해 미와 종교생활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강조하며 소비를 이끌어 냈다.

UAE 내 주요 할랄 화장품

제품예시 제품정보 – 기업명 : Dabur (인도) – 제품 : 헤어 트리트먼트 – 가격 : 19.8 AED (약 5.3 USD) – 기업명 : Dabur (인도) – 제품 : 헤어 오일 – 가격 : 11.3 AED (약 3.1 USD) – 기업명 : Inglot (폴란드) – 제품 : 통기성 있는 매니큐어 – 가격 : 39 AED (약 10.5 USD) – 기업명 : Tuesday in love (캐나다) – 제품 : 마스카라 – 가격 : 62 AED (약 16.74 USD)

자료 : Carrefour, amazon.ae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3) 의약품 시장

2018년 기준 전 세계 무슬림의 의약품 소비액은 920억 달러로 추산되며 2024년에 1,34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UAE의 의약품 시장규모는 2018년 53억 달러에서 2024년에 73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UAE는 산업다각화의 일환으로 제조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제약을 핵심 분야 중 하나로 적극 육성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수입의약품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UAE 의약품 시장규모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규모 5,321 5,909 6,179 6,445 6,717 6,994 7,277

주 : 2020년부터 전망치

자료 : Fitch Solutions

할랄 제약 시장은 잠재력이 매우 큰 시장이긴 하나, 의약품에 대한 할랄 인증 취득 절차가 매우 까다롭고 비용이 커 다소 더딘 속도로 개발되고 있다. 그럼에도 연질캡슐 등에 사용되는 동물성 젤라틴의 대체재나 할랄 백신에 대한 수요가 계속되어 제약업계의 진출 도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시사점

할랄 산업 성장의 한계로 계속해서 언급되는 부분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할랄 인증이 부재하며 국가별로 표준이 상이하여 여러 국가로 수출을 진행할 경우 부득이하게 할랄 인증을 각기 다른 기관에서 중복으로 발급받아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한계 개선과 세계 할랄 종주국을 목표하고 있는 UAE는 자국 표준에 부합하는 글로벌 인증기관들을 계속해서 선정하고 있으며 기관 간 교차 인정을 확대하고 통합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영향으로 한국 인증기관을 통한 UAE 할랄 인증 발급이 가능해져 한국 기업의 할랄 인증 취득이 보다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아직까지 한국이슬람중앙회(KMF), 한국할랄인증원(KHA) 등 일부 한국 기관은 ESMA 승인 기관에 포함되지 않아 해당 기관에서 발급한 인증이 UAE에서 인정되지 않고 있지만 향후 확대 인정될 가능성이 있다.

자료 : Global Islamic Economy Report 2019/2020, OIC Economic Outlook 2019, Fitch Solutions, Euromonitor, IHCC, KOHAS, ESMA, 언론 보도 자료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키워드에 대한 정보 할랄 인증 마크

다음은 Bing에서 할랄 인증 마크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한국에 침투된 이슬람교…그 위험성은? [GOODTV NEWS 20210812]

  • The bible
  • Paster
  • Religion
  • goodtv
  • Goodtv
  • GOODTV
  • christian
  • church
  • Jesus
  • GOD
  • CTS
  • CBS
  • CGNTV
  • C3TV
  • CCHANNEL
  • korea
  • 하나님
  • 예수님
  • 성경
  • 기독교
  • 기독교방송
  • 방송
  • 방송사역
  • 미디어사역
  • 미디어선교
  • 굿티비
  • 씨쓰리티비
  • 씨티에스
  • 씨비에스
  • 씨지엔티비
  • 씨채널
  • CLTV
  • 씨엘티비
  • 말씀
  • 뉴스
  • NEWS
  • 소식
  • 기쁨
  • 사랑
  • 행복
  • 소금
  • 데일리
  • 위클리
  • 신문
  • 바다
  • 글로벌
  • 선교
  • 북한
  • 자유
  • 은혜
  • 생명
  • 영혼
  • 사람
  • 메세지
  • 메시지
  • 향기
  • 단비
  • 성령
  • 이단
  • 사이렌
  • 금주의
  • 요절송

한국에 #침투된 #이슬람교…그 #위험성은? #[GOODTV #NEWS #20210812]


YouTube에서 할랄 인증 마크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에 침투된 이슬람교…그 위험성은? [GOODTV NEWS 20210812] | 할랄 인증 마크,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키위 효능과 부작용 | 키위 효능과 부작용 잘 알고 드셔야해요~ 11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