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란 | 중국의 반격? 희토류 이슈! 희토류란 무엇인가? 상위 187개 베스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희토류란 – 중국의 반격? 희토류 이슈! 희토류란 무엇인가?“?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경제를 말하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7,319회 및 좋아요 196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희토류란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중국의 반격? 희토류 이슈! 희토류란 무엇인가? – 희토류란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미국이 관세도 모자라 중국의 간판 기업 화웨이를 거의 아사상태로 만들어버렸습니다. 거기에다가 드론과 cctv에 환율까지 거의 전방위적인 압박을 펼치고 있습니다. 중국은 미국에 대해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가 마땅치 않은 상황에 그나마 가장 파급력이 큰 카드가 바로 희토류입니다. 현대의 첨단 산업에서 없어선 안 될 정말 중요한 광물자원입니다.
현재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97%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충분히 몽니를 부릴 수 있는 가히 독점생산이라고 해도 부족함이 없죠. 중국이 패권을 가진 희토류! 과연 희토류는 무엇일까요? 지금부터 짭pd와 알아보시지요^^

#희토류 #중국희토류 #미중무역전쟁 #중국의무기 #희토류광산 #자원무기화

희토류란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희토류(REE) – Critical Elements Lithium Corporation

희토류(REE)란 유사한 특성을 가진 17개의 광물류를 말합니다. 희토류는 겉모양은 금속처럼 생겼으나 금속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탄성과 연성이 있습니다.

+ 여기에 보기

Source: www.cecorp.ca

Date Published: 5/3/2021

View: 7056

희토류란? (희토류 원소) – regomarvel

먼저 희토류에 대해 알아보자. · 희토류란? · 많은 사람들이 희토류는 하나의 원소로 · 이루어진 광물로 생각하고 있을 듯하다. · 희토류는 · 주기율표에 배열 …

+ 더 읽기

Source: regomarvel.tistory.com

Date Published: 6/9/2022

View: 5323

[그것이 궁금] 첨단산업 필수재 ‘희토류’란? – 데일리팝

희토류란 원소주기율표상의 제3B족에 해당하는 란탄계열 15개 원소와 스칸듐, 이트륨을 포함한 총 17개의 원소를 의미한다.희토류 원소는 토양 내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dailypop.kr

Date Published: 8/2/2022

View: 5780

미래 산업 핵심 소재? 자원 무기? 희토류란 – 브런치

희토류는 희귀한 광물 자원의 종류를 의미합니다. 희토류는 특정한 자원이 아니라 유사한 화학적 특징을 가진 17개 원소를 하나로 묶어 부르는 말인데요.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brunch.co.kr

Date Published: 10/14/2021

View: 9286

희토류 원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희토류 원소(稀土類元素, 영어: rare earth elements, rare earth metals)는 주기율표의 17개 화학 원소의 통칭으로, 스칸듐(Sc)과 이트륨(Y), 그리고 란타넘(La)부터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7/22/2022

View: 307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광물, 희토류가 뭐길래! – 네이버 블로그

희토류란, 이름 그대로 ‘희귀한 17개의 원소’를 뜻합니다. 희토류의 땅 속 함유량은 ‘300/1,000,000’에 불과한 만큼 그 수가 매우 적기도 하지만, …

+ 여기에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5/28/2021

View: 5812

희토류 이해 | 에드몬드 옵틱스

희토류란 단어를 쓰는 이유는 많이 발견되지 않는 물질들이기 때문이며 희토류는 15종의 란탄족 원소, 스칸듐, 그리고 이트륨을 포함한 17가지 금속을 의미합니다.

+ 여기에 보기

Source: www.edmundoptics.co.kr

Date Published: 12/3/2021

View: 6822

희토류란 무엇인가? 中 97% 수출량 차지 – 전자신문

희토류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희토류란 희유금속 중 하나다. 희귀한 흙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특히 희토류는 란타넘 계역 15개 원소를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etnews.com

Date Published: 2/29/2022

View: 9140

[경제]희토류란 무엇인가? | YTN

희토류는 반도체나 2차 전지 등 전자제품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비철금속 광물입니다.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면서도 열을 잘 전달하는 성질을 가지고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ytn.co.kr

Date Published: 3/12/2021

View: 8372

희토류 소개 – JL MAG

희토류란.. 희토류는 원소기호 57번부터 71번까지의 란탄계 원소 15개와, 21번 스칸듐(Sc), 39번 이트륨(Y) 등 총 17개의 원소를 하나로 묶어 부르는 이름입니다;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jlmag.com.cn

Date Published: 4/28/2021

View: 80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희토류란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중국의 반격? 희토류 이슈! 희토류란 무엇인가?.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중국의 반격? 희토류 이슈! 희토류란 무엇인가?
중국의 반격? 희토류 이슈! 희토류란 무엇인가?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희토류란

  • Author: 경제를 말하다
  • Views: 조회수 7,319회
  • Likes: 좋아요 196개
  • Date Published: 2019. 5. 26.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j8dfFMikJN0

Critical Elements Lithium Corporation

설명 / 역사

희토류(REE)란 유사한 특성을 가진 17개의 광물류를 말합니다. 희토류는 겉모양은 금속처럼 생겼으나 금속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탄성과 연성이 있습니다. 이 광물들은 희토류라는 이름이 붙기는 했지만 상대적으로 지구의 지각에 풍부하게 분포합니다. 또한 이들은 대개 고온 상태나 미분시 화학 반응을 잘 일으킵니다. 희토류에 속하는 세륨은 지구 지각을 구성하는 원소로 구리와 양이 거의 비슷합니다.

19세기 초 발견 당시 광물로는 희귀하다고 해서 희토류란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 이들의 지구화학적 특성 때문에 지구 표면에 매우 고르지 않게 분포하게 되었으며, 이들에 집중하다보면 대개의 경우 채광 사업이 적자로 흐르는 경향이 많습니다.

생산 / 용도

희토류는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전투기, 휴대전화, 배터리, 텔레비전, 저 에너지 전구 및 풍차 등 첨단기술 부문에서 유용하게 쓰입니다. 미국지질조사국이 2010년 말 추산한 REE 산화물의 세계 매장량은 1억 1천만톤으로, 중국이 50%, 독립국가연합이 17%, 미국이 12%, 인도가 2.8%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2010년 희토류 산화물 생산량은 거의 130,000톤에 달했는데, 이는 2,700톤을 추출할 것으로 예상된 인도에 비해 막대한 양이 아닐 수 없습니다. 독립국가연합과 미국, 그리고 세계 5위를 차지한 기타 소수 생산국의 생산량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희토류 수출의 전권을 행사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중국은 이제 미국 및 일본에 대한 수출량을 줄이고 있으며 어쩌면 완전히 중단할지도 모르는 상태에 이르렀습니다. 한 일본 그룹은 2015년 생산에 들어가 정광 23,000여 톤을 생산할 목표 아래, Strange Lake 북방부터 Labrador 경계까지 위치한 프로젝트를 개발하기로 Quebec Exploration 기업과 제휴 계약을 맺었습니다. 토요타, 혼다, 미쓰비시 같은 자동차 제조업체가 희토류의 주요 사용자이며 펜타곤도 이 필수원소를 각종 군사기술용으로 공급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2010년 136,000톤이었던 희토류 수요는 2014년에는 190,000톤에 이를 것으로 예측됩니다.

출처

http://fr.wikipedia.org/wiki/Terres_rares

http://www.mrnf.gouv.qc.ca

희토류란? (희토류 원소)

반응형

먼저 희토류에 대해 알아보자.

희토류란?

많은 사람들이 희토류는 하나의 원소로

이루어진 광물로 생각하고 있을 듯하다.

희토류는

주기율표에 배열된 17개의 원소의 총칭으로

원소기호

21번 스칸듐(Sc)과 39번 이트륨(Y)

그리고

원소기호 57번부터 71번까지의

라타넘계 원소 15개

란타넘(La),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네오디뮴(Nd),

프로메튬(Pm), 사마륨(Sm), 유로퓸(Eu), 가돌리늄(Gd),

터븀(테르븀, 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어븀(Er),

톨륨(Tm), 이터븀(이테르븀, Yb), 루테튬(Lu)

까지의 원소를 말한다.

이들을 묶어 희토류라고 통칭하는 이유는

서로 화학적 성질이 유사하고 광물 속에 그룹으로

함께 존재하기 때문이다.

희토류가 주목받는 것은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되어있고, 건조한 공기에서도 잘 견디며,

열을 잘 전도하는 특징과

상대적으로 화학적, 전기적, 자성적

그리고 발광적 성질을 탁월하게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대사회에서 희토류는

전기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풍력발전, 태양열 발전 등

21세기 저탄소 녹색성장에 필수적인 영구자석 제작에

꼭 필요한 물질이다.

이러한 다양한 장점을 가진 희토류가

채취하기에 적당할 만큼 매장되어 있는 곳을 찾기는 매우 힘들 뿐만 아니라

분리. 정련 및 합금화 과정 또한 어렵기 때문에 생산량이 많지는 않다.

현재 대부분의 희토류가 매장되어 있는 나라는 중국이다.

중국의 등소평이

“중동에 석유가 있다면, 중국엔 희토류가 있다.”

라고 말한 것은

현재 중국이 희토류 시장의 대부분을 독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이 독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희토류가 가지고 있는 외교적 파급력은 막강하다.

2010년 벌어진 일본과 중국 사이의 영토분쟁 사건을 꼽을 수 있다.

한 치의 양보도 없던 두 나라가

중국에서 희토류 수출 금지라는 카드를 꺼내 들자

강경 입장이던 일본이 사과까지 했던 사건으로

희토류가 가진 막강한 힘이 여실히 드러났다.

또한, 중국은 자국 내 희토류 생산량을 제한하고, 수출량을 감축하며,

희토류에 부과하는 세금을 대폭 인상하는 등 희토류를 정부 통제 하에

자원무기화하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희토류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도

국내외 희토류 광산을 직접 개발하는 등 안정적인 희토류 수급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반응형

[그것이 궁금] 첨단산업 필수재 ‘희토류’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희토류란 원소주기율표상의 제3B족에 해당하는 란탄계열 15개 원소와 스칸듐, 이트륨을 포함한 총 17개의 원소를 의미한다.

희토류 원소는 토양 내 매우 드물게 산화물 상태로 산출되지만 제련과 분리가 매우 어려우며 그 산화물도 대다수가 토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희토류 원소(RRE: Rare Earth Element)라고 명명하고 있다.

희토류는 독특한 화학적·전기적·자성적·방사성·차폐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물질과 혼합을 통해 구조·기능·성능을 월등하게 향상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반도체, 초전도체, 고성능 축전지, 디스플레이,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모터 등이 이용되는 첨단산업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핵심원료이다.

Statista.org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세계 희토류 매장량은 산화물 기준으로 약 1억2000만 톤으로 추산된다. 이중 러시아의 매장량은 1200만 톤으로, 중국, 베트남, 브라질 다음으로 높고, 1위 매장량 국가 중국은 약 4400만 톤을 보유하고 있다.

희토류 채광량도 중국이 1위로 2020년 연간 14만 톤을 기록했고, 세계 채광량의 58%를 차지했다. 러시아 채광량은 8000톤을 기록, 세계 1%를 점유했다.

1996년 1월 16일자 러시아 연방 정부령 No.50-R에 따라 희토류는 러시아의 전략 광물 목록에 포함됐다. 러시아는 세계적인 희토류 보유국 중의 하나이며, 하층토에서 추출하는 희토류 생산량도 중국과 견줄만큼 큰 국가이다. 러시아에서 생산되지 않는 희토류는 인회석 섬광석(광석)이며, 로파라이트 유형(세륨족 란타나이드)의 광석에서 추출되는 희토류는 널리 상업화됐다. 2021년 1월 기준 러시아 희토류(산화물)의 확인 매장량(А+В+С1)은 1280만 톤이며, 2020년1월에 입증된 추정 매장량(Р1+Р2+Р3)은 1238만 톤이었다.

러시아의 2021년 기준 희토류 수출규모는 금액 기준 625만 달러로 전년대비 200% 증가했고 중량 기준 567kg을 수출해 전년대비 52% 감소했다. 2021년 기준 1위 수출국은 미국으로 592만 달러(486kg)를 기록했다. 지난 3년 기준으로도 1위 수출국은 미국이며, 2021년 기준 미국의 수출 비중은 94%에 이른다. 2021년 대미 러시아의 희토류 수출액은 전년대비 190% 상승했고 중량 기준 167% 상승했다.

러시아의 2021년 기준 희토류 수입규모는 505만 달러로 전년대비 113%가 증가했고, 반면 중량 기준 9만2940kg을 수입, 전년대비 18% 감소했다. 1위 수입국은 중국으로, 금액과 중량 기준 모두 98%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연도별 희토류 생산량을 보면 미국은 컬러 TV 수요가 폭발한 1960년대 중반 무렵부터 희토류 생산시장에 진입했으나, 후발주자로 나선 중국이 1980년대 말~1990년대 초에 희토류를 매우 저가에 판매하기 시작하면서 미국은 더 이상 이윤을 남길 수 없어 결국 2000년대 초에 희토류의 채굴과 생산을 중단했다.

하지만 2010년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줄이면서 희토류 가격이 급등했고 그로 인해 미국, 호주, 러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및 기타 국가에서 새롭게 희토류를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2018년 미얀마(버마) 생산데이터가 추가되면서 중국, 미국, 호주를 제외한 ‘기타’국가의 생산량이 증가했다.

미국 지질조사국이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2020년 미국이 수입한 희토류 화합물 및 금속의 추정가치는 1억1000만 달러로 2019년 1억6000만 달러에서 크게 감소했다. 미국이 수입한 희토류는 점유율을 기준으로 각각 중국산 80%, 에스토니아산 5%, 일본 및 말레이시아산 4%, 기타 7%이며 에스토니아, 일본 및 말레이시아에서 수입한 희토류는 호주, 중국 및 기타 지역에서 생산되는 광물 및 화학적 중간체에서 파생된 것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국은 2010년대 들어서 다시 희토류를 채굴하고는 있지만, 채굴된 희토류의 가공과정에서 환경오염과 인체유해성 문제가 심각하다는 이유로 본국에서 채굴된 희토류의 거의 대부분을 중국으로 보내서 제련한 후 재수입하고 있으며,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는 희토류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을 정도로 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다. 이 때문에 희토류는 미-중 무역갈등에 따른 관세폭탄도 피해갔을 정도다.

하지만 미-중 무역갈등이 본격화되면서 미국은 각종 행정명령을 마련해 희토류에 대한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자국 중심의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트럼프 전 행정부는 희토류, 우라늄, 티타늄 등 35개 광물을 국가 경제 및 안보에 필수적인 중요 광물로 지정하고 적대국으로부터 중요 광물을 의존하는 것은 미국 안보, 외교정책, 경제에 비상한 위협이라고 규정했다.

또한, 중국이 희토류를 무기화하는 것을 막고 전자 및 방산 등 첨단 핵심산업 분야를 보호하기 위하여 광산업에 국가 비상상태를 선포하였으며, 국방 물자생산법(DPA)을 활용해 희토류 등 중요 광물개발을 조기에 착수하라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이어 출범한 바이든 행정부도 2021년 2월 반도체, 배터리, 희토류, 의약품 등 4개 품목의 공급망 취약점을 100일간 검토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해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공급망 취약점을 파악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는 입장을 보였고 2021년 6월 7일 백악관은 자국 내 희토류 생산을 재개하고 중국산 희토류(특히 네오디뮴)에 대한 무역 규제를 검토한다는 내용의 공급망 보고서 결과를 공개하며 ‘희토류의 무기화’에 나선 중국와 정면 충돌을 예고했다.

백악관의 공급망 보고서에 의하면 미국 상무부는 무역확장법 232 섹션에 따라 네오디뮴(NdFeB) 자석에 대한 수입 조사를 시작할지 여부를 평가할 예정이다.

네오디뮴 자석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자기공명영상(MRI), 정밀유도탄약, 스마트폰, 자동차 모터 및 풍력터빈 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어 방위 및 민간 산업 용도 모두에 중요한 자원으로 현재 거의 독점적으로 중국에서 공급되고 있다. 무역확장법 232 섹션에 따라 조사가 시작되면 미국으로 수입되는 네오디뮴 자석에 대해 국가 보안 관세가 부과된다.

※ 자료 = 해외시장뉴스 KOTRA “러시아의 희토류 산업 동향” , “美, 첨단산업 필수재 희토류 공급망 재편 본격화한다” 보고서 재구성

저작권자 © 데일리팝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미래 산업 핵심 소재? 자원 무기? 희토류란

최근 미국의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희토류 등의 공급망을 새로 구축하겠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등은 미국의 경제 발전에 필요한 핵심 소재, 부품들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죠. 그런데 희토류라는 조금 낯선 단어가 보입니다. 희토류는 무엇이길래 미국이 신경쓰고 있는 것일까요?

희토류는 뭘까?

희토류는 희귀한 광물 자원의 종류를 의미합니다. 희토류는 특정한 자원이 아니라 유사한 화학적 특징을 가진 17개 원소를 하나로 묶어 부르는 말인데요. 영어로는 Rare Earth Element, 줄여서 REE라고 합니다. 희토류에는 스칸듐, 란타늄 등의 원소가 포함되죠. 희토류에 속하는 원소들은 대부분 화학적으로 굉장히 안정적이고 건조한 공기를 잘 견디며 열과 전기를 잘 전도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희토류는 반도체, 연료전지, 전기차 모터에 들어가는 영구 자석, 형광등, 풍력 발전 등 말 그대로 안 쓰이는 곳이 없습니다. 21세기에 가장 핵심적인 자원 중 하나이죠.

희토류는 왜 희귀한가?

희토류는 이름과 달리 사실 존재 자체가 희귀한 원소들은 아닙니다. 전세계에 구리나 아연만큼 희토류가 매장되어 있죠. 희토류가 희귀하다고 평가받는 이유는 채굴과 제련 과정 때문입니다. 먼저 희토류는 원소의 특성상 세계 곳곳에 골고루 퍼져서 분포합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광산처럼 구리가 모여 있고, 철이 모여 있는 그런 형태가 아니라는 것이죠. 그러다 보니 희토류를 채굴하려면 넓은 면적에서 희토류 원소를 가져와야 하는 비효율성이 존재합니다.

게다가 희토류 원소가 포함된 원석을 찾았다고 하더라도, 그 원석 안에서도 희토류는 넓게 퍼져서 분포합니다. 희토류 원소만 빼내려면 이 원석을 녹여서 희토류 원소만 빼내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심지어 이런 과정에서 황산 같은 독성물질이 나오고, 환경오염 물질도 나옵니다. 그래서 많은 국가들이 직접 희토류를 채굴하지 않았고, 자연스럽게 희귀하다는 인식이 자리 잡았죠.

희토류 매장량이나 채굴량에 대한 통계를 잠시 살펴보겠습니다. 희토류는 세계적으로 퍼져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희토류는 전세계에 약 1억 2천만 톤 정도 매장되어 있다고 추정되며, 중국에는 전체의 약 36.7%가 매장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많은 나라들이 희토류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비경제적이라는 이유, 비효율적이라는 이유로 채굴을 적극적으로하지 않아서 희토류 채굴량은 중국이 58%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이 수입하는 희토류의 80%는 중국에서 들어옵니다.

희토류는 사실 자원 무기?

희토류가 희귀하다는 점을 이용해서 중국은 희토류를 자원 무기처럼 사용하기도 했었습니다. 예전 중국과 일본이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다툼이 있었는데, 중국은 2010년에 일본에 희토류 수출을 제한했습니다. 당시 중국은 전세계 희토류 생산의 98%를 담당하고 있었죠. 일본은 다른 국가들에서 희토류를 수입해 위기를 넘겼으나, 중국의 희토류 수출 금지는 희토류를 자원 무기로 사용한 상징적인 사건이었습니다.

최근에도 미국이 반도체 수출을 규제하는 등 중국을 견제하자 중국이 희토류를 사용해 미국에 대응할 수 있다는 예측이 있었는데요. 그러나 중국은 희토류 생산을 늘리고 희토류 수출을 막으려는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2010년보다 중국의 점유율이 많이 낮아졌고 미국이 이미 호주 등 다른 나라들과 적극적으로 희토류 수입 논의를 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현재 미국은 호주의 희토류 업체를 지원해 텍사스에 희토류 가공 시설을 지을 예정이며, 희토류 수입 국가도 넓혀가고자 합니다.

BYTE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mydailybyte.com/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희토류 원소(稀土類元素, 영어: rare earth elements, rare earth metals)는 주기율표의 17개 화학 원소의 통칭으로, 스칸듐(Sc)과 이트륨(Y), 그리고 란타넘(La)부터 루테튬(Lu)까지의 란타넘족 15개 원소를 말한다. 이들을 묶어 희토류로 통칭하는 이유는 서로 화학적 성질이 유사하고 광물 속에 그룹으로 함께 존재하기 때문이다.[1][2] 종종 악티늄족 원소를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

희토류라는 이름이 붙기는 했으나, 불안정 원소인 프로메튬을 제외하면 지구의 지각에 상대적으로 풍부하게 분포한다. 세륨은 68 ppm으로, 지각을 구성하는 원소 중 25번째로 풍부한 원소로 구리와 유사한 양이다. 그러나 지구화학적 성질로 인해, 희토류 원소는 경제성 있는 농축된 형태로는 거의 산출되지 않는다.

광물 형태로는 희귀한 원소이므로 이러한 관점에서 “희토류”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희토류 원소를 포함한 광물 중 처음 발견된 건 스웨덴의 위테르뷔에서 발견된 가돌리나이트이다. 많은 희토류 원소가 위테르비의 지명에서 기원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산지 [ 편집 ]

세계의 희토류 산출량 (1950~2000)

1948년까지는 인도와 브라질의 모래 광산이 희토류의 주요 생산지였다. 1950년대 들어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새로운 희토류의 주요 산지로 떠올랐다. 196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남부의 마운틴패스 광산이 주 산지였다. 현재 인도와 브라질,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도 희토류 원소가 산출되기는 하지만, 세계 희토류 생산지 1위는 중국이다. 중국은 세계 희토류 원소 공급의 37%를 차지하며, 거의 대부분 내몽골 지방에서 산출된다.[3]

가격 [ 편집 ]

다음은 54개 희소 원소의 가격이다. 대부분 2010년 6월 기준이며, 일부는 2009년 또는 1998년 기준이다. USGS와 그 외 자료를 참고하여 달러와 엔을 원으로 환산하였기 때문에,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원소 가격 (원/1g) 백금 64,300 팔라듐 20,200 루테늄 11,900 오스뮴 41,000 이리듐 34,100 로듐 101,000 망간 3.6~3.7 코발트 59~66 바나듐 20 크롬 12~13 니켈 30~32 갈륨 960 몰리브데넘 190~220 인듐 890~960 텅스텐 100~101 스칸듐 20,480 이트륨 50 란타넘(란탄) 15 세륨 13 프라세오디뮴 50 네오디뮴 50 프로메튬 데이터 없음. 사마륨 23 유로퓸 7,370 가돌리늄 450 터븀(테르븀) 740 디스프로슘 314 홀뮴 1,365 어븀(에르븀) 820 툴륨 7,370 이터븀(이테르븀) 1,750 루테튬 8,460 리튬 396 베릴륨 61 붕소 109,200 타이타늄(티탄) 15 저마늄(게르마늄) 1,770~1,910 셀레늄(셀렌) 41 루비듐 13,650 스트론튬 76 지르코늄 113 나이오븀(니오브) 109~123 안티모니(안티몬) 13 텔루륨(텔루르) 164 세슘 19110 바륨 59,000 하프늄 740 탄탈럼(탄탈) 1,780~2,460 레늄 4,230~5,320 탈륨 6,420 비스무트 26~29 토륨 340(산화물) 우라늄 102(산화물) 넵투늄 데이터 없음 플루토늄 4,700,000

활용 [ 편집 ]

희토류가 주목받는 것은 독특한 화학적·전기적·자성적·발광적 특징과 함께 탁월한 방사선 차폐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광섬유 제조에 사용되는 가돌리늄이나 어븀은 미량만 첨가해도 빛의 손실이 일반 광섬유의 1%까지 낮아진다. 터븀을 사용한 합금은 열을 가하면 자성을 잃고 냉각시키면 자성을 회복하는 특성을 이용해 정보를 입력·기록할 수 있는 음악용 MD나 광자기디스크를 만드는 데 이용된다. 이 밖에도 스마트폰, 하이브리드 자동차, 고화질TV, 태양광 발전, 항공우주산업 등 첨단산업에서는 희토류가 안 쓰이는 곳이 없다.[2]

환경 오염 [ 편집 ]

Bayan Obo 광산의 위성사진, 2006.

희토류 원소를 캐고, 정제하고 재활용하는 과정을 섬세히 하지 않을 때 심각한 환경오염이 발생한다. 특히 토륨이나 우라늄을 뽑아내는 과정에서 방사능을 내 뿜는 선광이 그 위험 중 하나이다.[4]유독성의 산성물질이 정제과정에서 사용되는 것또한 문제 중 하나이다.[5] 이러한 희토류를 부적절하게 다루는 것은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는데 2010년 5월, 중국은 자연과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불법광산을 집중단속 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 캠페인은 남부지역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6] 작거나 시골에 있는, 불법적인 광산들은 유독성의 폐기물들을 특히나 물에 버리기 쉽다.[7][8] 그러나 심지어 많은 양의 희토류가 정제되고 있는 몽골리아의 바오토우(Baotou)에서도 많은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있다.[5]

달 의 희토류 [ 편집 ]

달에도 희토류가 많이 매장되어 있다고 들었다. 그러나 중국이 희토류 원소에 대해 무기화시키겠다고 발표하자, 미국과 러시아, 프랑스,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의 달 탐사 활동과 병행하여 희토류 등 달에 매장된 자원을 캐와 우주선을 통해 지구에 반입하겠다는 의지를 내걸게 되는 경우도 있어, NASA, JAXA 등 여러 우주 관련 기관들이 희토류 체굴을 위해 우주 조약의 일부인 달 조약을 만들어 일정하게 채굴하는 범주도 따로 허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는 경우도 있다.

각주 [ 편집 ]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광물, 희토류가 뭐길래!

하지만 희토류 자체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풍력발전, 태양열 발전 등 녹색성장을 위한 영구자석 제작 시에도 약 1kg 정도가 들어갈 만큼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된 금속이며, 열과 전기를 원활하게 전도한다는 특성 덕분에 현대사회에서 필수적인 원소로 널리 사용되고 있죠.

이러한 희토류 시장에서 중국은 약 95%의 매장량과 생산량을 차지하고 있어요. 덕분에 외교문제 시 ‘희토류’라는 강력한 자원무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죠. 실제로 지난 2010년, 중국은 일본과의 센카쿠 열도 분쟁 시에 희토류를 국제 분쟁에 대한 해결 수단으로 사용한 전력이 있답니다. 그리고 이번엔 미국을 상대로 다시 한번 희토류 카드를 사용하기 위해 눈치를 보고 있는 중이죠.

이에 따라 전 세계는 희토류에 대한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희토류 생산을 가동하거나 그를 대체할 만한 기술을 개발하는 데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요. 하지만 희토류의 완벽한 대체재를 찾기란 쉽지 않은 일이에요. 세상에 없던 새로운 소재를 개발해야 하기 때문이죠. 또한 북한에 희토류가 많이 매장되어 있다는 말도 있지만, 그에 대한 개발이 경제적으로나 환경적으로 또 다른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섣불리 결정할 수 없는 일이랍니다. 결국 이는 우리 모두가 중국의 입장을 무시할 수 없는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에드몬드 옵틱스

희토류 이해

희토류란 무엇일까요?

희토류란 단어를 쓰는 이유는 많이 발견되지 않는 물질들이기 때문이며 희토류는 15종의 란탄족 원소, 스칸듐, 그리고 이트륨을 포함한 17가지 금속을 의미합니다. 희토류는 전동 공구부터 스마트폰에 이르기까지의 방대한 가전 제품과 광학, 방위 산업, 자동차, 의학을 포함한 많은 산업 분야에 사용됩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효율적인 분리 방법이 처음 개발된 후 전자 공학 및 여타 기술의 진보로 인해 희토류 소비는 급격히 증가해 왔습니다. 현재 전 세계적인 희토류 수요량은 연간 대략 134,000톤이며 2012년에는 180,000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희토류 이름 기호 주기율표 번호 Scandium Sc 21 Yttrium Y 39 Lanthanum La 57 Cerium Ce 58 Praseodymium Pr 59 Neodymium Nd 60 Promethium Pm 61 Samarium Sm 62 Europium Eu 63 Gadolinium Gd 64 Terbium Tb 65 Dysprosium Dy 66 Holmium Ho 67 Erbium Er 68 Thulium Tm 69 Ytterbium Yb 70 Lutetium Lu 71

광학에서 희토류는 어떻게 사용되나요?

광학 산업에서 희토류의 중요성은 급격히 커지고 있습니다. Lanthanum은 다양한 high index glasses에 사용됩니다. high index glass는 다른 유리 소재와 결합되면 dispersion을 향상시키며 효율 및 화질 개선을 위해 achromats 및 imaging lenses에 사용됩니다. Cerium은 optical glass 생산 공정에 사용되는 일부 연마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lanthanum, gadolinium, 그리고 yttrium을 포함한 희토류에 의존하는 night-vision goggles 및 imaging sensor 등의 다른 많은 광학 부품 및 전자 광학 기기들도 희토류의 영향을 받습니다.

희토류 시장의 현 상황은 어떻습니까?

전 세계적인 공급 부족으로 인해 많은 광학 부품에 사용되는 희토류 물질의 가격이 인상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희토류 물질로 제작되는 유리가 포함되어 있는 일반 사용자용 제품들의 가격이 업계 전반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Edmund Optics는 고품질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계속 공급하기 위해 당사의 공급망 파트너와 생산 공장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현재와 같은 공급 부족 현상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까?

단기적 예측은 어렵습니다. 중국 이외 지역에서의 채굴 확대 계획이 있긴 하지만 미 회계감사국(United State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의 예측에 따르면 인허가 및 법규 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희토류 광산을 재 궤도에 올려 놓으려면 7년에서 15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미국이 자국내 희토류 공급망을 재구축하려면 최대 15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캐나다, 호주, 러시아, 그리고 태평양에서 상당한 희토류 매장량이 발견되었지만 희토류 시장에 아직 영향을 주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Edmund Optics는 어떤 영향을 받고 있습니까?

업계를 선도하는 다른 광학 업체들과 마찬가지로 Edmund Optics 역시 희토류 시장의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당사는 특정 생산 공정과 일부 high index glass에 희토류를 활용합니다. 희토류 공급을 둘러싼 불확실성으로 인해 희토류의 원가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설계에 희토류를 사용한 부품들이 포함되어 있다면 가격 인상을 예상해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제품 가격에 끼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조처를 계속 취해 나갈 것입니다.

희소성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현재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97%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희토류 시장을 중국이 장악하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며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미국이 희토류의 주요 공급 국가였습니다. 한 때 미국은 세계 공급량의 60%를 생산했었습니다. 현재는, 많은 국가들이 거의 전적으로 중국의 수출에 의지하고 있습니다.

다른 시장에서의 독점과 마찬가지로 지배적인 생산자가 생기면 공급 안정성, 그리고 가격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커집니다. 중국 경제와 기술 집약형 산업이 성장해 감에 따라 중국은 자국의 희토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희토류 수출을 줄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 세계 수요가 공급을 초과함에 따라 이미 공급 부족에 대한 공포로 인해 상승하고 있는 희토류 가격은 계속 높아질 것이고 다른 희토류 공급원에 대한 수요도 점차 증가할 것입니다.

참고 자료

“REE – Rare Earth Elements and Their Uses.” Geology.com. Accessed August 1, 2011. http://geology.com/articles/rare-earth-elements/. Rare Earth Materials in the Defense Supply Chain. Washington, DC: U.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2010.

희토류란 무엇인가? 中 97% 수출량 차지

희토류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희토류란 희유금속 중 하나다. 희귀한 흙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특히 희토류는 란타넘 계역 15개 원소를 합친 17개 원소를 가리키는 용어이기도 하다. 이들 원소를 합쳐 희토류라고 한다.

희토류는 화학적으로 안정되면서도 열을 잘 전달하는 공통점이 있다. 이로 인해 합금이나 촉매제, 영구자석, 레이저 소자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고 있다.

희토류의 경우 전기 자동차, 풍력 발전 모터, 액정표시장치 등의 핵심 부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약 97%를 차지하고 있다.

전자신문인터넷 이희진 기자 ([email protected])

희토류란 무엇인가?

[앵커멘트]

이렇게 충북 충주시와 강원도 홍천군에서 발견된, 희토류.

어떤 광물인지 그래픽을 통해서 자세히 전해드리겠습니다.

희토류는 반도체나 2차 전지 등 전자제품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비철금속 광물입니다.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면서도 열을 잘 전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요.

삼파장 전구나 LCD 연마광택제, 가전제품 모터자석, 광학렌즈, 전기차 배터리 합금 등을 만들때도 쓰입니다.

현재 중국이 연간 12만 톤 가량을 생산하면서 세계 생산량의 97%를 독점하고 있는데요.

지난 가을 중국과 일본이 센카쿠 열도를 둘러싸고 충돌했을 때 중국은 희토류 수출을 금지하는 방법으로 일본을 압박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따라 호주와 미국, 캐나다 등 각국도 그동안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문을 닫았던 희토류 광산을 다시 열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우리나라에서도 30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희토류 광맥이 발견되면서 이제 우리나라도 경쟁력을 갖추게 됐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에 대한 정보 희토류란

다음은 Bing에서 희토류란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중국의 반격? 희토류 이슈! 희토류란 무엇인가?

  • 희토류
  • 미중무역전쟁
  • 희토류무기화
  • 자원무기화

중국의 #반격? #희토류 #이슈! #희토류란 #무엇인가?


YouTube에서 희토류란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중국의 반격? 희토류 이슈! 희토류란 무엇인가? | 희토류란,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설현 지코 집 | 5년 만에 불편한 만남, 지코가 설현 만날때 했던 짓 모든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