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한국어 | 재외동포를위한한국어 1 1권 1과 1 함께해요1 Track 1 424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재외동포한국어 – 재외동포를위한한국어 1 1권 1과 1 함께해요1 Track 1“?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Hyunzzang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89회 및 좋아요 4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재외동포한국어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재외동포를위한한국어 1 1권 1과 1 함께해요1 Track 1 – 재외동포한국어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재외동포한국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국제한국어교육재단 – 재외동포용 교과용 도서 및 교재 수요 …

우리말·우리글 교육 국제한국어교육재단이 함께 합니다. · 2022학년도
재외동포용 교과용 도서 및
교재 배송 기간입니다.
. 2022.02.18 – 한국시간기준 …

+ 여기를 클릭

Source: ikefbook.com

Date Published: 6/1/2021

View: 5569

2022년 재외동포 어린이 한국어 그림일기대회 안내 – 외교부

교육부는 대한민국 교육부가 주최하고 국제한국어교육재단이 주관하는 2022년 재외동포 어린이 한국어 그림일기 대회 관련 홍보를 요청해 온바,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mofa.go.kr

Date Published: 8/4/2021

View: 1645

교재 및 부교재 – EUKOS유럽한글학교협의회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범용 3-2 ·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범용 6-1 ·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범용 6-2. 맞춤 한국어 교사용 지도서.

+ 더 읽기

Source: eukos.net

Date Published: 6/14/2022

View: 5296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현황과 연구 동향

본 연구는 재외동포 대상으로 개발된 한국어 교재의 개발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향후 개발될 재외동포 교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kci.go.kr

Date Published: 5/3/2022

View: 4427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에 관한 일고찰 < 한국국어 ... - KISS

재외동포 한국어교육 목적 민족정체성 계승어 상호문화주의 Overseas Koreans Korean language education purpose national entity heritage language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kiss.kstudy.com

Date Published: 7/6/2022

View: 2575

재외동포의 바람직한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제언1) – 국립국어원

그리고 해외의 한글학교와 한국학교의 교사 등. 을 대상으로 하는 해외 현지 연수를 시행하고 있으며, 재외동포 교육용. 교재를 개발하거나 보급하기도 한다. 또 2002년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korean.go.kr

Date Published: 8/30/2021

View: 313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재외동포한국어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재외동포를위한한국어 1 1권 1과 1 함께해요1 Track 1.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재외동포를위한한국어 1 1권 1과 1 함께해요1 Track 1
재외동포를위한한국어 1 1권 1과 1 함께해요1 Track 1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재외동포한국어

  • Author: Hyunzzang
  • Views: 조회수 389회
  • Likes: 좋아요 4개
  • Date Published: 2021. 2. 11.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mGTTnUwu0Kg

2022년 재외동포 어린이 한국어 그림일기대회 안내 상세보기

(한국학교, 한글학교에 재학하지 않는 재외동포 어린이) 그림일기 대회 참가 신청서.xlsx

교육부는 대한민국 교육부가 주최하고 국제한국어교육재단이 주관하는 2022년 재외동포 어린이 한국어 그림일기 대회 관련 홍보를 요청해 온바, 아래와 같이 공지 드립니다.

1) 접수 기간: 2022.06.14.(화) ~ 2022.08.12.(금) 18:00까지 – 한국 도착일 기준

2) 제출 사항

– 참가 신청서

– 그림일기 작품(원본 및 스캔본)

3) 접수 방법

– 한국학교 · 한글학교에 재학 중인 재외동포 어린이는 소속기관에 작품을 제출하고, 소속기관에서는

예비심사를 통해 선정된 작품을 국제한국어교육재단에 제출

– 한국학교 · 한글학교에 재학하지 않는 재외동포 어린이는 국제한국어교육재단에 작품을 제출하고,

국제한국어교육재단에서 예비심사 실시

– 참가 신청서(엑셀 파일) 및 작품 스캔본 이메일 접수 후, 참가 신청서(인쇄본) 및 작품 원본 우편 접수

※ 8월 12일 이후 도착 작품은 심사 대상에서 제외

※ 제출 작품 일체 반환 불가

※ 한국학교 및 한글학교의 경우 예비 심사를 통해 추천

※ 한국학교·한글학교에 재학하지 않는 재외동포 어린이 개별 접수

문의: 국제한국어교육재단 담당자 조올가 과장: 070-7718-8536, 신메림: 070-7718-9084

이메일 주소: [email protected]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현황과 연구 동향

본 연구는 재외동포 대상으로 개발된 한국어 교재의 개발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향후 개발될 재외동포 교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 세계에 거주하는 재외동포의 수는 743만명으로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개발은 한국어의 유지뿐만 아니라 한국민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일이다. 1970년대부터 개발되기 보급된 한국어 교재는 초기에는 내국인용 교재의 사용에서 출발해 현재 지역의 필요에 따른 언어권별 맞춤 교재가 보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재외동포 교재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우선 언어 교재로서 재외동포의 특수성이 반영되지 못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문화 내용에 있어 문화교육이란 측면에서 체계적 접근이 부족했으며 현지 거주국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수업의 현실을 고려한 교재의 활동이나 교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이 주로 지적되어 왔다. 향후 개발될 교재는 기개발된 교재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재외동포들의 언어 생활의 특수성을 고려한 교재가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Korean textbooks developed for overseas Koreans and give implications for future textbooks. The number of overseas Koreans living in the world is 7.43 million,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for them is to provide important data not only for maintaining Korean language but also for maintaining Korean identity. Developed since the 1970s, customized Korean textbooks are currently supplied for the needs of the region, but still lack in meeting diverse needs. Considering the problems raised in the preceding study, it was not developed as a language textbook that reflected the speciality of Koreans living abroad. Many point out that there was a lack of systematic approach in terms of culture education, and consideration for the realities of language classes in the region. Consequently, the study argu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textbooks that take into account the speciality of language life of overseas Koreans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에 관한 일고찰

초록보기 목적: 본 연구는 국어과 융복합교육을 피상적 차원이 아닌 본질적 차원에서 다루고자 한다. 이로써 국어과 융복합교육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그 정체성을 지키면서 교육을 실천해나갈 방법을 모색한다. 방법: 이를 위해 Bruno Latour의 하이브리드 사상을 국어과 융복합교육의 철학적 기반으로 삼고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후 Latour의 세계관을 빌려 국어과 융복합교육이 앞으로 지향해야 할 목적의식이 무엇인지,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 방법론은 어떤 방향성을 가져야 하는지 탐색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국어과 융복합교육은 신(新) 인문학 교육으로서 포스트휴머니즘 감수성의 함양을 지향하고, ‘우회’와 ‘구성’의 사고를 통해 인간과 세계에 대한 관계주의적 통찰력을 갖도록 만들어주는 수업으로 실천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재개념화한 국어과 융복합교육은 미래 세계를 살아갈 보통의 인간 모두에게 필요한 교육, 비인간과 인간의 동등한 공존이 전제된 아름다운 미래 문화를 만들어가는 교육으로서 의의를 갖는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and to find a way to practice convergence education while maintaining that identity.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considered Bruno Latour’s hybrid thought the philosophical basis of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and prior research on this was reviewed. Afterwards, we explored what kind of purpose the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aim for, and what direction the educational methodology should have to realize that sense of purpose. Results: The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oriented toward fostering posthumanism sensibility as a new humanities education. In addition, it should design classes that make it possible to have a relational insight into humans and the world through thinking skills of ‘détour’ and ‘composition’. Conclusion: The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in this article has significance as an education that is necessary for all ordinary human beings who will live in the future world, and an education that creates a beautiful future culture that presupposes the equal coexistence of non-humans and humans.

초록보기 목적: 본 연구는 진로탄력성 교육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백워드 설계 기반 국어과 듣기ㆍ말하기 교육과정 실행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ADDIE 모형 절차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A) 단계에서는 선행연구 고찰, 교육과정 분석을 진행하였다. 설계(D) 단계에서는 전문가 검토 및 문헌 연구를 통해 진로탄력성 측정 설문과 단원 템플릿을 설계하였다. 개발(D) 단계에서는 듣기ㆍ말하기 영역을 중심으로 백워드 설계 기반 진로탄력성 교육 단원을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실행(I) 단계에서는 연구 집단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사 후, 국어 교과 연계 진로탄력성 교육을 실행하였다. 평가(E) 단계에서는 연구 집단에 대한 사후 검사 시행 후 연구 효과성을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독립표본 t 검정, 대응표본 t 검정, 공변량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일부 요소(정서조절ㆍ연결성ㆍ협력)를 제외한 9가지 진로탄력성 요소에서 실험 집단의 유의한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론: 백워드 설계에 기반하여, 국어 교과 연계 진로탄력성 교육을 추진한 본 연구가 학교 현장의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과 진로탄력성 교육 활성화에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actice the backward designbased Korean language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around the linkage to the career resilience education. Methods: i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procedure. At the stage of the analysis (A), it considered preliminary research and analyzed the curriculum. At the stage of the design (D), it designed the unit template and the questionnaire for measured the career resilience, based on the expert review and literature review. At the stage of the development (D), it developed the backward design-based career resilience education unit, around the area of listening and speaking, and tested its validity. At the stage of implementation (I), it conducted the career resilience education around the linkage to Korean language curriculum, after testing the pre-homogeneity of the population. At the stage of the evaluation (E), it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after a post-test of the population, and drew a conclusion. Results: By using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a paired t-test and an analysis of covariance, it tested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The findings show that significant changes in the experiment group can be found from 9 career resilience factors, except for several ones (emotional regulation, connectivity and cooperation). Conclu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a foundation for practicing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activating the career resilience education.

초록보기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듣기ㆍ말하기 교육 내용으로서 초등학교 1-2학년 군과 3-4학년군에 해당하는 소집단 토의 담화의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미국의 자국어 국가공통기준(CCSS)에 제시된 K-5 단계의 1-4학년에 해당하는 소집단 토의 관련 교육 내용과 2015 개정 초등학교 1-2학년군 교과서(국어, 통합)와 3-4학년군 교과서(국어, 사회, 과학)에 제시된 소집단 토의 활동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결과: K-5 단계의 1-4학년 과정에는 소집단 토의와 관련된 교육 내용을 지속적ㆍ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었으며, 검토 대상으로 삼은 교과서에는 소집단 토의 활동이 다양한 목적과 수준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이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1-2학년군과 3-4학년군의 소집단토의 담화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결론: 학생들이 일상과 학습 상황에서 요구되는 소집단 토의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교육 내용을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부터 가르칠 필요가 있다. 모든 학생들이 다양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소집단 토의에서 적극적이고 협력적인 참여자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ducational contents of small group discussion discourse as the contents of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of 1-2 grade cluster and 3-4 grade cluster. Method: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small group discussion discourse for grades 1-4 of K-5 presented in Common Core State Standard(CCSS) of the United States and aspects of the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textbooks(korean, intergrated subject) for the 1-2 grade cluster and textbooks (korean, social studies, science) for the 3-4 grade cluster were reviewed. Results: The 1-4 grades courses in the K-5 stage specifically and systematically dealt with the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the small group discussion discourse, and various levels of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were reflected in the textbooks that were review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resente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small group discussion discourse in the 1-2 grade cluster and the 3-4 grade cluster of elementary school were presented as content goals and achievement criteria. Conclusion: In order for students to have the competence to discuss in small groups required in daily life and learning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teach educational content from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all students can become active and collaborative participants in small group discussion in various contexts.

초록보기 목적: 이 논의에서는 독자의 텍스트 공간에 대한 간-영토화로 이루어지는 텍스트 이해의 특성을 탐구했다. 방법: 들뢰즈와 가타리의 대장장이의 야금술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하였다. 결과: 독자의 텍스트 공간에 대한 영토화는 세가지 형식이 있다. 첫째, 재-영토화는 독자가 텍스트 공간을 정착민들과 같이 다른 독자를 따라 모방적으로 영토화하는 방식이다. 둘째, 탈-영토화는 독자가 텍스트 공간을 유목민들과 같이 자기만의 창의적 방식으로 영토화하는 것이다. 셋째, 간-영토화는 독자가 텍스트 공간을 대장장이와 같이 특정 요소를 매개로 영토화하는 방식이다. 독자의 간-영토화의 특성은 다섯 가지이다. 첫째, 질료로서의 텍스트는 조건에 따라 어떤 의미든 생성하는 다양체이다. 둘째, 텍스트 공간에 대한 독자의 간-영토화는 특정 요소를 찾아 집중된 의미를 생성하는 선별적 탐색성을 갖는다. 셋째, 독자의 의미 생성 방법은 상황에 따라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연속적 가변성을 띤다. 넷째, 독자가 생성한 의미는 내적 속성으로 개별적 특이성을 띤다. 다섯째, 독자의 간-영토화는 특정한 시간과 공간에 한정되지 않는 보편적 편재성을 띤다. 결론: 간-영토화에서 독자는 텍스트 공간의 특정 요소를 중심으로 특별한 의미를 만들어낸다.

Purpose: This discussion explored the property of text comprehension with the reader’s inter-territorialization of the text space. Method: Based on Deleuze and Guattari’s discussion of the blacksmith’s metallurgy. Results: There are three forms of the reader’s territorialization of the text space. First, re-territorialization of text space is to imitate other readers. Second, deterritorialization with nomads is in their own creative way. Third, interterritorialization is through specific factors such as blacksmiths. There are five properties of the reader’s inter-territorialization. First, i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text’s physical manifold. Second, it is the territorialization through selective search. Third, it is a method with continuous variability. Fourth, it is the generation of meaning with individual specificity. Fifth, it is the universal ubiquity of readers who resemble blacksmiths. Conclusion: Inter-territorialization allows the reader to create special meanings around specific elements of the text space.

초록보기 목적: 문법 교육에서 구성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을 탐색한다. 방법: 문법 교육에 관한 예비 교사와 경력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정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그들의 수업과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문법 수업의 학습 목표 설정’과 ‘문법 수업에서 사용하는 담화, 글’의 경우 예비 교사는 이론적 정향에 적확하게 근거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경력 교사는 이론적 경향에 근거하면서도 학습자라는 상황적 정향이 더 우세하게 드러났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교사의 관점이라는 개인적 정향에서 비롯된 것이다. 경력 교사의 담화, 글에 대한 관점에는 읽기 또는 문학 영역과 달리 문법 영역의 경우 사회적 정향이 덜 반영되었다. ‘문법 수업의 교수 학습 방법 설정’은 예비 교사가 탐구 학습이라는 이론적 정향에 근거하는 반면, 경력 교사는 상황적 정향, 경험적 정향, 개인적 정향에 영향을 받았다. 결론: 상황적 정향, 사회적 정향과 경험적 정향은 사회 경험과 교수 경험이 많은 경력 교사에게서 주로 나타났다. 이론적 정향은 예비 교사가 인식하면서도 이론이 실천으로 바뀌면서 오류가 발생하기도 하며, 경력 교사가 의미나 기능을 중요시 하는 최근의 이론에 대해서는 관심이 부족한 것은 교사의 문법 교육에 관한 관점이라는 개인적 정향에서 비롯된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actical knowledge in grammar education. Methods: In order to compare the orientation of practical knowledge of pre-service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on grammar education, their classe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Results: In the case of “setting learning goals in grammar classes” and “discourse and writing used in grammar classes,” pre-service teachers are not based on theoretical orientation correctly. Career teachers are based on theoretical orientation, but the situational orientation of learners is more dominant, which stems from the personal orientation of teachers’ perspectives fundamentally while based on experiential orientation. In the case of “set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grammar classes,” pre-service teachers were based on the theoretical orientation of inquiry learning, while career teachers were influenced by situational orientation, experiential orientation, and personal orientation. Conclusion: In the situational orientation, career teachers were more dominant than pre-service teachers, and social orientation and experiential orientation were mainly found in career teachers with a lot of social experience and teaching experience. Theoretical orientation is strongly perceived by pre-service teachers, but errors occur as theories change to practice. Career teachers are more influenced by situational orientation, social orientation, and personal orientation than theoretical orientation, and they lacks interest in recent theories that value meaning and function, which fundamentally stems from the personal orientation of their perspective about grammar education.

초록보기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학습자의 자기서사 그림책 창작 활동 과정에서 드러난 학습자의 자기 이해 양상을 탐색하는데 있다. 방법: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서사 그림책 창작 지도를 실시한 뒤, 참여자 관찰, 면담 및 비개입 자료를 수집하여 자기 이해 양상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자기서사 그림책 창작 과정에 나타난 학습자의 자기 이해 양상은 첫째, 새로운 자기 자신의 발견이다. 학습자들은 자신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회상하여 네러티브를 구성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에 대한 낯설고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은 글과 그림을 활용하여 자신을 상징적 혹은 은유적으로 표현하여, 자신의 마음이나 기분, 성격이나 태도와 같은 관념적인 의식이나 경향을 파악하였다. 셋째, 자기서사 그림책을 친구들에게 소개하고, 수정 보완해가는 과정을 통해 자신에 대해 다면적으로 파악하였다. 자기 자신을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려는 시도를 하였고, 이는 자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자기서사를 활용한 그림책 창작 교육은 학습자의 자기 이해를 확장하고 자기 정체성을 탐색하는 유용한 활동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문학교육을 통한 학생 주도성 교육의 방안이 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self-narrative picture book creating creation education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literary education in the future society, and to explore the learner’s self-understanding aspects revealed in this process. Methods: To this end, after self-narrative picture book creating education was conducted for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observation, interview, and non-intervention data were collected and self-understanding patterns qualitatively were analyzed. Results: The selfunderstanding aspect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is, first, selfdiscovery through the connection of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recalling experiences, learners discovered the connection between experiences and found a new self. Second, it is self-awareness through symbolic expre-ssion. In the process of expression using picture books, learners showed that they recognized themselves through their own expressions. Third, it is selfexpanding through circular under-standing. In the process of sharing, learners go through a circular under-standing, which is revealed as a form of self-expansion. Conclusion: The education on the creation of self-narrative picture book creatin can be a practical alternative to the education of self-understanding necessary in the literary education.

초록보기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감상과 향유’ 역량 함양을 위한 초등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을 설계하고, 시사점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감상과 향유 역량의 개념 및 특징을 밝히기 위해 선행 연구와 논의를 분석했다. 개발되어 있는 학생들의 감상과 향유 역량 지원을 위한 교수ㆍ학습 자료를 분석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감상과 향유 역량 교육 내용의 구성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감상과 향유 역량 함양을 위한 초등학교 학년(군)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범주 및 하위 내용 요소를 설계하였다. 결과: ‘감상과 향유’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 내용 설계는 학생들이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평가하는 능력, 미디어 생활과 일상생활의 균형을 위해 의미 있는 미디어 생활을 소유하고 누리는 능력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되어야 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중, 감상과 향유 역량의 개념과 특징을 상세히 제시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감상과 향유 역량 함양을 위한 다섯 가지 교육 내용 범주와 각각의 범주에 관한 초등학교 학년(군)별 하위 내용 요소를 도출하여 설계안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cultiva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reciation and enjoyment’ competency and to reveal implications. Methods: Previous studies and discussions were analyzed to elucidat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appreciation and enjoyment competency in media literacy education. By analyz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to support students’ appreciation and enjoyment competency, implications for the compositional direc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s appreciation and enjoyment competency were derived. Based on this, media literacy education content categories and sub-content elements were designed for each elementary school grade to cultivate the ability to appreciate and enjoy. Results: Among the various competencies for cultivating learners’ media literacy, the educational content for cultivating the ‘appreciation and enjoyment’ competencies possesses the ability to correctly understand and evaluate digital media content, as well as a meaningful media life for the balance between media life and daily life. Conclusion: Through this discussi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appreciation and enjoyment competency among media literacy competencies were clarified, and five content categories and sub-content elements for each category were derived for each category.

초록보기 목적: 이 연구는 과정 중심 평가를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에서 살펴보고 과정 중심 평가 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연구되었다. 방법: 이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과정 중심 평가와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을 평가 목적, 평가 대상, 평가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결과: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은 학생의 성취 수준 향상을 위해 교사의 교수 방법에 대한 적절한 변화 및 수정을 평가의 목적으로 보고 있으므로 평가의 대상이 교사와 학생 모두가 된다.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은 또한 평가의 시기를 학습이 일어나는 전 과정이라고 보았다. 과정 중심 평가는 AFL(Assessment for learning) 관점에 비해 학생의 성취 수준 파악을 그 목적에 두고 있고, 평가 대상을 학생으로 국한하였으며, 평가 시기를 수업 중으로 한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과정 중심 평가가 의미 있는 평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 AFL(Assessment for learning)관점에서 얻은 시사점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planned to find out about process-oriented assessment from the perspective of AFL(Assessment for learning).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way to explore other studies. This study compared the assessment purpose, assessment target, and assessment period with respect to process-oriented assessment and AFL (Assessment for learning). Results: The AFL(Assessment for learning) argues that teachers must assessment in order to make appropriate changes to their teaching strategy. And this can increase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Therefore, from this point of view, both students and teachers should be assess. The AFL(Assessment for learning) perspective asserts that assessment is possible in all learning processes. On the other hand, process-oriented assessment is for the purpose of assessment for students, an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ssessment is possible only during class. Conclusion: In order for process-oriented assessment to be a meaningful assessment, the AFL (Assessment for learning) perspective must be readjusted to a concept that reflects more.

초록보기 목적: 이 연구는 시대 환경적인 변화와 국어교육적 요구를 살펴보고 언택트 시대 국어 수업의 설계와 실천 방안을 논의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언택트 시대에는 학습자 주도성 및 자기 결정 학습이 강조되고, 개인의 즐거움 추구와 사회적 관계 능력이 요구되며, 정보의 공유 및 선별 능력이 필요한 것을 문헌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언택트 시대의 수업 환경과 맥락이 변화함에 따라 학습자가 결정하는 수업과 비대면 의사소통을 위한 교육과 환경을 제공하고, 비선형적 수업 과정을 설계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결론: 문제 해결력보다 문제 발견력을 강조하는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학습자의 자기결정력을 중심으로 한 수업 설계와 다양한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 구현할 수 있는 비선형적이고 다선형적인 수업을 구현함으로써 언택트 시대의 국어 수업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times and the nee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discuss the design and practice of Korean language classes in the untact era. Methods: In the untact era, it was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at learner initiative and self-determination learning were emphasized, individual enjoyment pursuit and social relationship ability were required, and information sharing and screening ability was required. Results: As the teaching environment and context of the untact era change, it wa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 and environment for learning and non-face-to-face communication should be provided, and nonlinear instructional courses should be designed. Conclusion: Korean language classes in the untact era can be implemented by designing classes centered on learners’ self-determination and implementing nonlinear and multi-linear classes tha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non-face-to-face class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at emphasizes problem-solving skills.

키워드에 대한 정보 재외동포한국어

다음은 Bing에서 재외동포한국어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즉석 떡볶이 만들기 | 즉석떡볶이 맛집의 비법 그대로! 백종원의 '즉석 떡볶이' 레시피 | [집밥백선생 : 이웃집레시피] Tteokbokki Recipe 최근 답변 126개
See also  수원 정형 외과 | 수원정형외과 정답병원 조기현 원장 인터뷰 최근 답변 186개

See also  김소연이상우집 | (Eng)김소연 월드 #1 [모노튜브] 인기 답변 업데이트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재외동포를위한한국어 1 1권 1과 1 함께해요1 Track 1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재외동포를위한한국어 #1 #1권 #1과 #1 #함께해요1 #Track #1


YouTube에서 재외동포한국어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재외동포를위한한국어 1 1권 1과 1 함께해요1 Track 1 | 재외동포한국어,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