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 식혜 만드는 법 | #명태식해만드는법/겨울에 만들어야 제맛이 나는 강원도 향토음식 명태식해/Myeongtaesikhae 294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명태 식혜 만드는 법 – #명태식해만드는법/겨울에 만들어야 제맛이 나는 강원도 향토음식 명태식해/Myeongtaesikhae“?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산골아낙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55,634회 및 좋아요 1,007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서해안에 비하여 소금이 귀한 동해안 지역의 자연환경 떄문이랍니다~
  1. *명태식혜 만드는법,코다리식혜만드는법*
  2. 재료
  3. 코다리 네마리/엿기름가루 찻술로하나
  4. 설탕 한컵/고추가루 300g/마늘 네통/무우 세개
  5. 검은깨/흰깨/대파 조금/찹쌀 한컵/소금 세술

명태 식혜 만드는 법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명태식해만드는법/겨울에 만들어야 제맛이 나는 강원도 향토음식 명태식해/Myeongtaesikhae – 명태 식혜 만드는 법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 명태식해
□ 재 료 : 코다리4마리, 엿기름찻술로 한스푼
설탕한컵, 고추가루300g, 다진마늘
무우 3개, 검은깨(흰깨), 대파조금,
찹쌀한컵, 소금
□ 만드는법
1. 반건조 명태는 머리와 지느러미를 정리한후
1cm로 썰어 준비합니다.
2. 설탕한컵을 코다리 위에 뿌려서 버무려줍니다.
3. 엿기름가루는 찻술하나만 넣어야 합니다..
과하면 명태살이 다삭아 없어져요..
4. 소금 한스푼 넣어줍니다..
5. 고추가루 200g, 다진마늘을 넣어 버무린후 이틀동안 실온에
놓아둡니다..
6. 실온에 놓아둔 명태 하루후 무우채를 썰어서 소금에 절여줍니다.
7. 절인 무우는 바구니에 건져서 물기를 빼줍니다.
8. 하룻밤을 그냥둔후 물기가 빠진 무우를 다시한번 거즈에 싸서
꼭 짜줍니다..
9. 꼭 짜진 무우에 삭혀논 명태를 넣어서 버무려줍니다..
10.남은 고추가루 100g을 넣고 대파와 검은깨를 넣어줍니다.
11.찹쌀로 고두밥을 해서 다시 버무려줍니다..
12.통에 담아 시원한곳에서 5일간 맛을 들입니다..

명태 식혜 만드는 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명태식해 – 브런치

식해와 식혜는 발음이 비슷해서 같은 음식으로 아는 사람이 많지만 전혀 다른 음식이다. 식혜는 엿기름을 발효시켜 만드는 음료인 반면 식해는 생선과 …

+ 더 읽기

Source: brunch.co.kr

Date Published: 9/3/2022

View: 2243

[스크랩] 명태식혜 만드는 법(펌) – 다음블로그

[스크랩] 명태식혜 만드는 법(펌) · 파,마늘,생강,양념을 준비하고 · 명태도 깨끗하게 씻어 큰 가시는 발려 내고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 소금에 약간 절여 …

+ 여기에 보기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11/13/2022

View: 7573

함경도 명태 식혜 만들기 – MY WAY 나의 길

함경도 명태 식혜 만들기 … 명태 무 소금 고춧가루를 준비한다. 여기에 깨소금 다진마늘 생각 식초를 준비한다. 명태의 비늘을 벗겨준다. 명태의 뼈와 살 …

+ 여기에 표시

Source: myway9110.tistory.com

Date Published: 7/21/2021

View: 9693

쉐프케이의 명태식혜 [P21471] – 레시피코리아

함경도 사람들이 속초로 피난와서먹어서전해져온 명태식혜 일명 코다리식혜라고도 하죠. 막국수.회냉면 회무침등으로 다양한 구성을 할수있어서 …

See also  도미노 피자 주문 | [랜선아들] 같은 피자인데도 이렇게 가격 차이가 난다고??!! 28761 좋은 평가 이 답변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recipekorea.com

Date Published: 8/24/2022

View: 8134

명태식혜 – 램프쿡

명태식혜 레시피 조리순서 No1. 1. 절인 명태에 무우와 좁쌀밥, 파토막, 다진 마늘과 생강, 나머지 소금을 두고 버무려 단지에 차곡차곡 담고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lampcook.com

Date Published: 3/22/2021

View: 3318

Không có tiêu đề

[만드는 법] 강릉 지역에서의 명태식해는 꾸덕꾸덕 말린 명태를 토막 낸다. … 밥알이 동동 뜨는 음료인 식혜의 밥만을 떠서 대추 3조각 얹은 식혜밥은 제사상에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rinks.aks.ac.kr

Date Published: 4/2/2022

View: 6937

명태식혜 – 쿠팡!

쿠팡은 로켓배송 – 명태식혜에 대한 검색결과입니다. 명태식혜, 명태회무침, 속초오마니젓갈, 명태식해, 속초명태회무침, 명태회, 명태회무침1kg, 가자미식혜,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coupang.com

Date Published: 6/11/2022

View: 4759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명태 식혜 만드는 법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명태식해만드는법/겨울에 만들어야 제맛이 나는 강원도 향토음식 명태식해/Myeongtaesikhae.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명태식해만드는법/겨울에 만들어야 제맛이 나는 강원도 향토음식 명태식해/Myeongtaesikhae
#명태식해만드는법/겨울에 만들어야 제맛이 나는 강원도 향토음식 명태식해/Myeongtaesikhae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명태 식혜 만드는 법

  • Author: 산골아낙네
  • Views: 조회수 55,634회
  • Likes: 좋아요 1,007개
  • Date Published: 2020. 1. 14.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BkKe1xzPHTs

코다리식혜만드는법 : 네이버 블로그

안녕하세요~풍기댁이예요 ^^

오늘은 강릉지역의 전통음식 명태식혜를 해보았어요~

동해안이 서해안에 비해 젓갈음식이 많이 발달하였는데~

서해안에 비하여 소금이 귀한 동해안 지역의 자연환경 떄문이랍니다~

*명태식혜 만드는법,코다리식혜만드는법*

밥도둑~~~새콤달콤 코다리식혜~~

냉면에 넣어서 먹어도 맛나요~

명태만큼 다양한 이름은 가진 생선은 찾아보기 힘들지요~

생태(싱싱한상태인것), 동태(얼린것), 북어(말린것), 황태(얼고 녹기를 반복한것),

코다리(내장과 아가미를 뺸 반건조 상태), 흑태(검게 말린것), 깡태(딱딱하게 마른것)

정말 많죠??

이중에서 풍기댁은 코다리 식혜를 만들었답니다~

재료

코다리 네마리/엿기름가루 찻술로하나

설탕 한컵/고추가루 300g/마늘 네통/무우 세개

검은깨/흰깨/대파 조금/찹쌀 한컵/소금 세술

코다리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빼고

지느러미등을 가위로 잘라 손질해서

1cm크기로 썰어주세요.

설탕을 한컵을 코다리위에 뿌려서 버무려줍니다.

코다리가 설탕 옷을 하얗게입을정도예요.

찻술로 하나인것 요것은 엿기름가루예요.

딱 한스푼만 넣으셔야돼요.

너무 과하면 코다리살이 다 삭고 없어져요.

소금 한술을 넣고요.

준비한 고추가루 200g을 넣어주세요~

마늘을찧어서 넣고 버무려서

이틀동안 그냥 실온에 둘꺼예요. 뼈까지 삭을꺼예요.

코다리 양념한 하루후 무우 채를 굵게 썰어서 소금에 절여줍니다.

절인 무우를 바구니에 건져서 물기를 빼줍니다.

하룻밤을 그냥둔후 물기가 빠진 무우를 다시 한번 거즈에 싸서 꼭짜줍니다.

꼭짜진 무우에 삭혀논 코다리를 넣구서 버무려줍니다.

남은 고추가루 100g을 넣고 대파와 흰깨도 넣었어요~~

검은깨를 넣고, 찹쌀로 고두밥을 해서 다시 버무려주세요.

이렇게 통에담아 시원한곳에서 5일만 맛을들일꺼예요.

절대 만지지마세요. 비린내가 납니다.

5일후 이렇게 새콤 달콤한 코다리식혜가 완성되었어요.

명태식혜만 있으면 밥한공기는 순식간에 없어진답니다~

명태식혜 맛이 새콤달콤 얼마나 맛있는지는 먹어본 사람만 안답니다~

풍기댁네도 서로 경쟁하듯이 다른 반찬 제껴두고 명태식혜만 입으로 가져간답니다 ㅋㅋ

이상 명태식혜만드는법이였어요~~^^

이웃님들 맛난 저녁드시고 편한 밤보내세요 *^^*

식해(食醢)

식해와 식혜는 발음이 비슷해서 같은 음식으로 아는 사람이 많지만 전혀 다른 음식이다. 식혜는 엿기름을 발효시켜 만드는 음료인 반면 식해는 생선과 곡류로 만드는 일종의 젓갈이다.

곡식의 식(食)자와 생선 살로 담근 젓갈 해(醢)자를 합쳐 표기한 것있다. 식해는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고루 분포하는 음식이다. 한국에서는 함경도 가자미식해 ·도루묵식해, 강원도 북어식해, 경상도 마른고기식해, 황해도 연안식해 등이 알려져 있다. 지방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개 기본재료는 엿기름 ·소금 ·생선, 좁쌀이나 찹쌀 등이다. 여기에 고추 ·마늘 ·파 ·무 ·생강 등 매운 양념이 첨가된다. 한국에서는 17세기 초부터 음식문헌에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중국에는 식해에 얽힌 유명한 일화가 있다. 1079년 북송 때의 시인인 소동파가 필화를 입고 옥에 갇히는 신세가 되었을 때 그를 구해준 음식이 바로 식해였다. 소동파는 아들과 약속하기를, 자신의 목숨이 위태로워지면 그 신호로 밥 대신 식해를 감옥으로 들여보내라고 했다. 그런데 아들이 먼 길을 떠나면서 친척에게 옥바라지를 부탁했는데 이 친척이 그런 사정을 모르고 식해를 소동파에게 보낸 것이다. 이에 낙심한 동파가 마지막으로 진심을 다해 신종(神宗)에게 시를 지어 바친다. 한데 시를 읽은 신종이 깊이 감동하여 그를 사면해주었다고 한다. 잘못 보낸 식해가 시인의 목숨을 살린 셈이다.

식해가 우리나라 문헌에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초다. 찹쌀이나 좁쌀과 엿기름, 소금, 생선이 주재료고 여기에 무와 생강, 파, 마늘, 고춧가루 등 갖은 양념을 넣어 만들기 때문에 주재료인 생선의 종류에 따라 지방마다 즐기는 식해도 달라진다. 경상도에선 마른고기 식해, 강원도에선 북어 식해, 황해도에선 연안 식해, 함경도에선 가자미 식해와 도루묵 식해가 별미다.

요즘은 평창 덕장에서 황태 말리기가 한창이다. 덕장의 반건조 명태로 명태식해를 만들기 좋은 계절이다. 소화가 어려운 분, 밥맛이 없는 분들 밥 반찬으로 좋다.

명태식해

재료 반건조 명태 500g

차조 160g

찹쌀풀 1/2컵

멸치액젓 3큰술

무 800g

배 190g(1/2개)

양파 80g(1/2개)

대파 35g(1뿌리)

마늘 60g(2통)

생강 35g(9쪽)

엿기름가루 2큰술

고춧가루 1컵,

소금

설탕 또는 올리고당

조리방법 1. 차조는 찜솥에서 고슬고슬하게 찐 다음 식혀 놓는다. 2. 반건조 명태는 적당한 크기로 토막을 내어 소금으로 절인다. 3. 무는 채 썰어 소금에 절였다가 물기를 짜 낸다. 4. 절인 명태에서 생긴 물을 따라내고 엿기름가루에 버무려 2~5시간 삭힌다. 5. 배는 강판에 갈아 즙을 내고, 양파는 곱게 채 썬다. 6. 준비한 재료와 고춧가루, 다진 파, 다진 마늘, 다진 생강, 설탕을 넣고 버무려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7. 용기에 눌러 담고 상온에서 2~3일 삭힌다.

dbfch123

재료; 무우 6개, 코다리 12마리, 고추가루 5~6컵, 엿질금, 찹쌀7~8컵, 소금, 멸치액젓, 파, 마늘,생강, 설탕 약간

무우를 채썰어 소금을 약간 뿌려 절여 둡니다.(채 썰면 더 맛있는데 팔목이 아파서 채칼로 했답니다.^^)

파,마늘,생강,양념을 준비하고

명태도 깨끗하게 씻어 큰 가시는 발려 내고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 소금에 약간 절여 둡니다.

찹쌀로 고슬고슬하게 밥을 지은후에

엿질금을 채에 받쳐 고운 가루를 찰밥하고 골고루 섞어서

절여둔 무채에서 물이 많이 생겨서 물은 버리고 꼮 짠 무채와

엿질금하고 섞어둔 찰밥 하고 고추가루 4컵정도에 액젓을 넣고 버무립니다.(액젓+소금..식성에따라..)

절인 명태에도 마늘,생강,고추가루로 버무린 다음

무채와 파를 넣어 잘 버무리면 명태식헤가 완성 ^^ 일주일에서 10일 정도 두었다 먹으면 별미로 맛있게 먹을수 있답니다.

향촌마당카페에서 – 감사합니다.-

출처 : ♬ 꽃향기 **

글쓴이 : 박화자 원글보기 : 박화자

메모 :

함경도 명태 식혜 만들기

함경도 명태 식혜 만들기

명태 무 소금 고춧가루를 준비한다.

여기에 깨소금 다진마늘 생각 식초를 준비한다.

명태의 비늘을 벗겨준다.

명태의 뼈와 살을 분리시켜 준다.

명태살은 손으로 잘게 찢어서

소금 1스푼을 넣고 30분간 재워둔다.

무를 채썰고 소금 스푼을 넣고 10분간 재워둔다

명태살과 소금 식초 5스푼 소금 2스푼

깨소금 다진마늘 생강을 2스푼 넣는다

재료가 붉어질정도로 고추가루를 넣고 묻혀준다.

함경도 명태 식혜 맛또한 별미인데

바로 이것이 명태 식혜이다.

함경도 아지매가 만든 명태 순대와 식혜이다.

명태 알과 입을 벌리고 잇는데

명태살은 한쪽에 있고 대게 맛잇네

명태 살하고 같이 잇다.

영양이 들어잇어서 식혜는 어떤가

위에 올려넣고 새콤달콤 너무 맛잇다.

이북 전통 음식이다. 아주 독특한 함경도식 별미이다.

코다리라고 하는데 찜이다.

많이 얼려놓는다. 미더덕을 찜해 놓는다.

콩나물 양파 미나리 더덕 파를 넣는다.

고추가루 고추장 물엿 파 마늘 꺠소금을 넣는다.

어떤식으로 할거냐면 올려놓는다.

다 짚어넣는다 집어넣고서 양념을 코다리 미더덕찜

뚜껑을 닫고 고추가루 고추장을 넣고

다시마를 조금 넣는다.

깨소금 파 마늘 생강을 넣고 마늘을 조금 더 넣는다

여기에다 설탕을 조그만 집어넣고 하면 물을 약간 집어넣고

뚜껑을 짚어넣는다.

너무 간단하다. 야채에서 물이 많이 나와서 구지 물을

안넣어도 좋다

레시피코리아 외식창업요리

오늘소개한 명태식혜는 전통방식으로 하는것으로 소개하였읍니다

사진은 익지안은 상태입니다 완전히 익혀서 드셔야 합니다.함경도 사람들이 속초로 피난와서먹어서전해져온 명태식혜 일명 코다리식혜라고도 하죠

막국수.회냉면 회무침등으로 다양한 구성을 할수있어서 좋은것갘아요

명태식혜 레시피 북한음식 북한요리 이북음식 이북요리 조리법

김치는 싱싱한 배추와 무우, 오이, 가지, 미나리, 갓 등 남새와 산나물을 기본재료로 하고 거기에 고추, 파, 마늘, 생강, 배, 밤을 비롯한 양념과 과일, 물고기, 젓갈 등을 섞어 만든 고유한 조선민족음식의 하나이다.

우리 인민의 식생활에서 김치는 가장 맛있고 기본적인 부식물로서 조선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김치를 좋아하며 봄, 여름, 가을, 겨울 사시절 가림없이 김치를 담그어 먹고있다. 인구 한사람당 하루 평균 먹는 김치량은 보통 겨울에 0.3~0.4kg이고 여름에는 0.2~0.3kg에 달한다.

남새생산량에서 보더라도 우리 나라 전지역에서 생산되는 남새의 60%이상이 김치가공에 리용되고있으며 특히 가을배추는 80%이상이 김치를 만드는데 쓰이고있다. 김치는 비타민C의 중요한 공급원천일뿐아니라 대개가 다 알카리성식료품으로서 함께 먹는 산성식료품인 밥과 고기, 물고기료리의 영양성분들이 효과적으로 흡수리용되게 한다.

김치는 어느 때 만들어 먹는가에 따라 크게 봄김치, 여름김치, 가을김치, 겨울김치로 나눈다. 봄김치에는 풋김치, 나박김치, 돌나물김치, 참나물김치 등, 여름김치에는 양배추김치, 오이김치, 오이소박이, 파김치 등, 가을김치에는 배추김치, 무우통김치, 보쌈김치, 깍두기 등이 있으며 그밖에 열무김치, 갓김치, 석박김치, 채김치 등이 있다.

김치를 만드는 방법은 시기와 김치종류에 따라 다르다. 김치에서 대표적인것은 통배추김치, 석박김치, 보쌈김치, 동치미, 깍두기, 갓김치 등이다. 우리 선조들이 창조하고 발전시킨 김치는 오늘 조선의 가장 특색있는 민족음식의 하나로 세계에 널리 알려져있다.

식혜는 물고기를 토막쳐 채친 무우와 함께 양념에 버무려서 삭힌 발효음식으로로서 주로 명태, 가재미, 도루메기 등 기름기가 적은 물고기들로 담그는데 오직 우리 나라에서만 만드는 음식이고 조선사람들이 즐겨 먹는 음식이다.

식혜는 명태, 가재미, 도루메기 등 기타 기름기가 적은 물고기로 담그는데 물고기질량에 대해 소금 8~10%, 고추가루 3%, 다진 마늘 1%를 섞어 10~15℃에서 1주일간 익히는 방법으로 만든다. 무우는 물고기와 4:6의 비률로 리용한다.

식혜를 담그어 익히거나 보관하는 과정에 공기와 접촉하면 맛이 심히 떨어지므로 단지뚜껑을 자주 열지 말아야 하며 퍼낸 다음에도 꼭꼭 눌러놓아야 한다. 지방에 따라 식혜를 빨리 삭게 하거나 맛을 더 좋게 하기 위하여 밥이나 길금가루를 넣기도 한다.

식혜의 고유한 맛과 색갈을 내게 하자면 식혜국물을 너무 많이 잡지 말고 건데기가 자박자박하게 담가야 한다. 이렇게 만든 식혜는 새큼한 맛과 향긋한 냄새를 풍기며 음식물의 소화를 돕는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명태 식혜 만드는 법

다음은 Bing에서 명태 식혜 만드는 법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침윤성 유관 암 2 기 | [유방암의 보조치료] 유방암 수술 후의 보조치료 10489 좋은 평가 이 답변
See also  김치 국물 활용 | Oh~ No! 버리면 안돼요! 김치국물 활용요리 11가지~ I Won’T Let You Go! 11 Recipes With Leftover Kimchi Juice 모든 답변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명태식해만드는법/겨울에 만들어야 제맛이 나는 강원도 향토음식 명태식해/Myeongtaesikhae

  • #명태식해
  • #명태식해만드는법
  • #강원도향토음식
  • #korean food

#명태식해만드는법/겨울에 #만들어야 #제맛이 #나는 #강원도 #향토음식 #명태식해/Myeongtaesikhae


YouTube에서 명태 식혜 만드는 법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명태식해만드는법/겨울에 만들어야 제맛이 나는 강원도 향토음식 명태식해/Myeongtaesikhae | 명태 식혜 만드는 법,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