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 이익률 계산 | 얼마나 남나? 초간단3초 이익율 계산법 공개 205 개의 베스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영업 이익률 계산 – 얼마나 남나? 초간단3초 이익율 계산법 공개“?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전축TV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1,745회 및 좋아요 134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영업이익률 (Operating Profit Margin, OPM)의 정의
  1. 기업의 영업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영업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눠서 계산
  2. OPM이 높을수록 좋지만 그 원인을 파악하는게 중요함(일회성 이익/비용, 회계기준 변경 등)

Table of Contents

영업 이익률 계산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얼마나 남나? 초간단3초 이익율 계산법 공개 – 영업 이익률 계산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정확하고 초간단한 3초 이익율 계산법
누구나 쉽고 정확하고 간단하게 알수 있다
세는돈 관리를 확실하게해서 부자되자
의외로 모르는 사람 틀리는 사람이 많다

영업 이익률 계산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영업이익이란? 영업이익률 계산 방법 – 희망이야기

영업이익을 구하는 공식은 매출액 – 매출원가 – 영업비용으로 계산이 이루어지는데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제외해주면 매출총이익이 됩니다. 하지만 …

+ 여기를 클릭

Source: layhope.tistory.com

Date Published: 3/20/2021

View: 3742

영업이익률이란? 영업이익률 계산 방법

영업이익률이란 내가 붕어빵 팔아서 벌어드린 총 매출액에서 순수 내 이익이 몇%인지? 퍼센테이지로 몇인지를 나타내는것 입니다. 예를 들겠습니다. 내가 …

+ 여기를 클릭

Source: stockfree.tistory.com

Date Published: 10/23/2022

View: 8540

매출액영업이익률 계산 – 네이버 블로그

영업외수익과 비용이 제외된 순수 영업이익에 대해 즉 판매마진이 얼마인가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되는겁니다. 우선, 매출액영업이익률 계산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3/6/2021

View: 6484

영업이익 이란? 영업이익률 계산 방법 – 내돈더하기

영업이익은 매출총이익에서 판관비를 제외한 금액이며, 영업이익률 계산 방법은 영업이익에서 매출액을 나눈 뒤 100을 곱하면 퍼센트가 나온다. 영업 …

+ 여기를 클릭

Source: hbyeol31.tistory.com

Date Published: 2/14/2021

View: 1429

[IFRS 시대, 영업이익률 계산]기타영업손익 빼라 – 아이투자

5. 부채비율은 어떻게 계산할까? 영업이익률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를 알아보는 지표입니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itooza.com

Date Published: 11/10/2022

View: 8923

건전한 영업 이익률 (Operating Profit Margin) 이란 무엇일까요?

총 이익은 회사의 수익성에 대한 다소 단순한 관점이므로 영업 이익은 총 이익에서 모든 간접비, 관리 및 운영 비용을 빼서 계산합니다. 예를 들면 임대료 …

+ 더 읽기

Source: oopapa.tistory.com

Date Published: 3/28/2022

View: 1937

영업이익률 (Operating Profit Percentage) 요약 및 포럼

영업이익률의 계산은 단순하다. 판매액에서 판매된 제품의 원가와 모든 판매일반관리비를 차감한다. 차감한 결과를 판매액으로 나눈다.

+ 여기에 보기

Source: www.12manage.com

Date Published: 6/9/2022

View: 5948

이익 계산하는 방법 알아보기 – 브런치

사업이익을 계산하는 첫 번째 단계부터 알아보자. … 순영업손실의 측면에서 사업체는 투자자로부터 받은 추가 투자금이나 대출로 운영비용을 지불 …

+ 여기에 표시

Source: brunch.co.kr

Date Published: 11/7/2021

View: 839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영업 이익률 계산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얼마나 남나? 초간단3초 이익율 계산법 공개.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얼마나 남나? 초간단3초 이익율 계산법 공개
얼마나 남나? 초간단3초 이익율 계산법 공개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영업 이익률 계산

  • Author: 전축TV
  • Views: 조회수 11,745회
  • Likes: 좋아요 134개
  • Date Published: 2019. 12. 14.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Fk-SNoWz8-U

영업이익이란? 영업이익률 계산 방법

반응형

반갑습니다. 주식투자 블로그 희망이야기입니다. 이번에는 영업이익이란? 무엇인지와 영업이익률 계산 방법에 대한 칼럼을 준비했습니다. 회사는 수익을 내야하는 집단이기에 여러가지 수익을 얻는 경로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본업이 얼마나 탄탄하게 이익을 내고 있는가가 중요합니다. 건설업이라면 건설에 따른 이익이 얼마나 되는지, 반도체 제조사라면 반도체 판매로 인한 이익이 얼마나 되는지처럼 본업에 얼마나 충실하고 꾸준히 성과를 내고 있는지는 주식 투자에 무척 중요한 요소 입니다. 영업이익이란 이것을 체크해볼 수 있는 지표이며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마진율이 얼마나 나오는지는 영업이익률 계산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저도 기업을 분석할때 참고를 많이하는 지표이며 저는 아무리 순수익이 높다하더라도 영업이익이 낮고 영업이익률이 낮은 기업은 투자를 피하고 있습니다. 대다수 단기적인 수익성과일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영업이익이란? 영업이익률 계산 방법 알아보기

영업이익을 구하는 공식은 매출액 – 매출원가 – 영업비용으로 계산이 이루어지는데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제외해주면 매출총이익이 됩니다. 하지만 정확한 영업이익을 계산하려면 판매비, 관리비가 포함된 영업비용까지 제외해주게되면 영업이익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즉 영업이익이란 회사가 영업을 하면서 벌어드리고 사용한 모든 항목을 계산해주면 영업활동으로 수익이 얼마나 났는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죠.

절대로 영업이익과 순이익을 혼동하시면 안됩니다. 어찌보면 비슷한 수익항목이니 다를게 없겠지라고 생각하실 수 있으신데 영업이익이 +이더라도 실제순이익은 – 인 경우도 있고 영업이익이 -이더라도 실제순이익은 +인 경우도 있습니다. 확실히 구분되는 이유를 설명드리겠습니다.

경영권 분쟁으로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한진칼 주식의 재무제표입니다. 영업이익은 흑자이지만 당기순이익은 적자입니다. 그 이유는 당기순이익을 계산해줄떄에는 영업이익에 영업외수익과 손실을 합산해서 계산해주기 때문입니다. 본업이 아닌 다른쪽으로 훌륭한 수입원을 가지고 있는 것인지, 아니라면 되려 번돈을 까먹는 요소가 있는지 파악해볼 수 있습니다.

당기순이익이란 : 의미와 확인방법

영업이익률 계산 방법은 구해진 영업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누고 100을 곱해 %를 구하시면 됩니다. 즉 총매출액대비 영업이익의 수준이 어느정도냐에 따라서 마진율이 얼마나 좋은지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큰 상장회사부터 작은 구멍가게까지 영업이익률 계산이 빠지지 않을만큼 중요도가 높습니다. 이익률이 좋으려면 원가마진이 좋거나 판매비 관리비가 적게 운영을 한다는 의미로 다른 경쟁회사와 비교해보면 얼마나 경쟁력이 있는지 단번에 알아낼수 있습니다.

실제 투자 예시 –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계산 이용방법

위에서 소개드렸던 한진칼의 포괄손익계산서를 가져와보았습니다. 매출총이익 9,748,508,581에서 판매비와관리비(영업비용) 3,744,748,900을 뺴주면 영업이익이란 6,003,759,681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기업분석에 궁금증이 드실 것 입니다. 도대체 판매비와 관리비가 무엇이길래 저렇게 많은 금액이 사용되는걸까요?

영업이익이란 위에서 확인할 수 있는 판매비와 관리비에 포함되는 항목을 모두 제외 해주어야만 합니다. 제품이나 건물을 보유하고 있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가치가 줄어들어 가격을 반영한 것이 감가상각입니다. 그외의 임차료나 공과금, 광고선전비등은 이해가 쉬움으로 넘어가고 어렵게 느껴지는 단어 4가지를 정리해보았습니다.

급여 : 기업이 판매와 관리활동에 종사하는 임직원에게 지급하는 인건비

복리후생비 : 국민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 식대 등

연구비 : 신제품의 연구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대손상각비 : 회수 불가능한 매출채권 상각으로 발생한 손실

따라서 기업의 영업이익이란 분석과정에서 각 제외항목들을 유심히 보셔야 합니다. 영업이익이 적어진 이유가 신제품의 출시로 인한 연구비의 급증이나 사업의 규모를 확장하기 위해 신규직원들을 많이 채용하면 판관비의 증가로 영업이익이 줄어들어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래를 위한 투자가 감점요인이 되지는 않겠죠.

제가 올해 투자로 관심 있는 기업 중 하나로 삼성SDS의 재무제표입니다. 18년도 기준 매출액 100,342 / 영업이익 8,774 X 100으로 영업이익률 계산시 8.74%라는 것을 알 수 있고 매출액 규모와 반도체 업종에 비해 무척 마진율이 좋습니다. (동종업계의 영업이익률과 비교해서 얼마나 해자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 꾸준히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점진함과 동시에 당기순이익도 올라가니 훌륭하네요.

재무제표 보는법 (주식투자 기업분석 방법 총정리)

기업분석에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재무제표 보는법을 참고해보세요. 투자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주식투자가이드북을 읽어보시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주식투자 모든 정보 총정리 보러가기 주식투자 가이드북

반응형

호랭이의 무사어판 투자 연구소

주식투자에 있어 영업이익률이란 것은 참으로 중요 합니다. 사실 매출액의 규모도 중요하지만,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이 얼마인가가 더 중요하다고 저는 생각 합니다.

오늘은 가치투자를 위한 기업의 영업이익률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계산을 해야하는지와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의 차이는 무엇인지에 대해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저평가우량주 무료추천 보러가기 클릭!

무사어판 블로그 손님인 박카수님께서 엠플러스라는 종목의 영업이익률에 대해서 질문을 주셨는데요. 엠플러스, 신흥에스이씨라는 종목을 예를 들면서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에 대해 설명드릴테니 아래 글을 끝까지 읽어 주십시오.

기업의 영업이익이란?

또 붕어빵 이론을 들고 나와봅니다. 여러분들이 붕어빵을 판다고 칩시다. 붕어빵에 필요한 밀가루, 팥, 기름, 가스, 설탕, 전기세등은 붕어빵 판매를 위한 판매관리비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렇게 만든 붕어빵을 판 금액은 합쳐서 매출액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매출액에서 위에 설명한 붕어빵을 만들기 위한 부재료들을 뺀게 바로 영업이익 입니다.

즉 판매에 필요한 재료비와 관리비를 뺀 순수 내 이익이 바로 영업이익인 셈이죠.

영업이익률이란?

영업이익률이란 내가 붕어빵 팔아서 벌어드린 총 매출액에서 순수 내 이익이 몇%인지? 퍼센테이지로 몇인지를 나타내는것 입니다.

예를 들겠습니다. 내가 붕어빵을 팔아서 번 돈이 10만원 입니다. 이 10만원에서 붕어빵을 만들기 위해 투자된 팥값, 기름값, 가스값, 설탕값, 밀가루값 8만원을 뺍니다. 그렇게 계산을 하니 2만원 입니다.

그럼 순이익 2만원이 총매출액 10만원에서 몇프로인지를 보는겁니다. 만약 위의 공식대로라면 붕어빵 장수 호랭이의 붕어빵 영업이익률은 20%가 되는것 입니다.

2만원(영업이익) / 10만원(매출액) * 100 = 20%(영업이익률)

당기순이익이란?

당기순이익은 영업이익에서 기타수익, 금융수익을 더하고, 여기에 기타비용들과 금융원가를 뺀 최종 순수 내 이익금을 말합니다.

당기순이익 이란?

위에 표는 엠플러스의 20년도 사업보고서중 포괄손익계산서 입니다. 18기를 보시면 영업이익이 10,046,553,518원 입니다. 약 100억원 인데요.

영업이익에서 기타수익, 금융수익등을 모두 더하고 기타비용이나 금융원가등을 빼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이 나옵니다. 여기에 법인세비용을 더해주면 당기순이익이 나오는겁니다.

특히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은 코스닥 종목을 투자하실 때 매우 중요한데요. 코스피에는 적용되지 않지만 코스닥에는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의 규모가 자기자본의 50%이상 최근 3년중 2년이면 관리종목 지정 사유가 되기 때문 입니다.

영업이익률 실제 계산해보기

앞서 보여드렸던 엠플러스의 포괄손익계산서를 아래에서 다시 보여드립니다.

엠플러스 포괄손익계산서

엠플러스는 2020년도(18기)에 매출액 158,540,804,701원에 영업이익 10,046,553,518원을 기록 하였습니다. 매출액 1585억원에 영업이익 100억원 정도라 보시면 되겠죠?

그럼 앞서 설명드린 공식을 대입해서 계산해 봅시다.

10,046,553,518 / 158,540,804,701 = 0.063

0.063 * 100 = 6.3

즉 엠플러스의 20년도 영업이익률은 6.3% 인것 입니다. 전년도와 전전년도 대비 영업이익률이 100% 이상올라주고 있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같은 저평가우량주 2차전지 관련주인 신흥에스이씨 포괄손익계산서를 보시겠습니다.

신흥에스이씨 사업보고서중 연결포괄손익계산서

신흥에스이씨의 12기(2020년도) 영업이익률을 여러분들이 직접 계산해 보십시오. 위의 공식을 토대로 말입니다. 그럼 9.5%라는 영업이익률이 나옵니다.

영업이익률이 얼마여야 적당한걸까?

앞서 설명드린 신흥에스이씨의 영업이익률은 9.5%, 엠플러스의 영업이익률은 6.3% 입니다. 그럼 이 수치가 과연 높은걸까요? 국민우량주 삼성전자의 20년도 영업이익률이 15%가량 됩니다.

그럼 2차전지 관련주를 예로 들었으니 국민 전기차부품 대장주 삼성SDI를 예를 들어볼까요? 20년도기준 삼성SDI의 영업이익률은 5% 입니다.

LG화학의 영업이익율은 6% 입니다. 굴지의 기업들도 이정도의 수치 입니다. 물론 단순히 영업이익률을 가지고 투자를 하면 안됩니다. 왜냐하면 주식투자는 미래의 성장성과 기대감이 숫자로 주가에 반영이 되기때문이죠.

그러나 회사가 매출액 대비 얼마의 영업이익률을 보여주고 있는지는 가치투자에 빼놓을 수 없는 하나의 중요한 지표는 확실합니다. 맹신해선 안되나 그렇다고 무시해서도 안될 중요한 지표 입니다.

영업이익률뜻과 영업이익률 계산방법 글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로그인이 필요 없는 ♡버튼 부탁드리며, 잘 보시면 포스팅내에 돈되는 좋은 자료들이 곳곳에 숨어있으니 한번 둘러보시면 도움되실 겁니다. ‘무릎에 사서 어깨에 판다’ 언제나 무사어판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주식투자에 도움이 되는 글

[주식/주식 공부 및 정보] – 배당금 높은 주식 쉽게 찾는 방법

[주식/주식 공부 및 정보] – 개인 공매도 모의투자 교육신청 방법

[주식/종목 집중 분석] – 주식 기업 현금보유액 얼마인지 조회 방법

[주식/주식 공부 및 정보] – 남은 전환사채(CB) 및 BW 잔량 확인하는 방법

[주식/주식 공부 및 정보] – 주식소각이란 무슨 뜻? (자기주식소각)

728×90

매출액영업이익률 계산

기업에서 영업활동을 통해 수익률을 계산하는 지표는 정말 다양합니다.

그 중에서도 오늘은 가장 기본이 되는 매출액영업이익률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업외수익과 비용이 제외된 순수 영업이익에 대해 즉 판매마진이 얼마인가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되는겁니다.

우선, 매출액영업이익률 계산 방법은 간단합니다.

손익계산서만 읽을 줄 알면 바로 계산이 가능하죠.

어떤 원리로 영업이익이 나오는지 먼저 확인해 보겠습니다.

손익계산서에서,,,

매출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매출총이익 – 판관비 = 영업이익

여기서 영업외수익과 영업외비용을 가감하고 법인세비용을 제하면 당기순이익이 산출되는 것이죠.

허나, 영업이익은 위에서 설명드렸다시피 영업외적인 수익과 비용 계산 전에 순수 경영활동에서 얻어지는 이익을 말하는 겁니다.

매출액영업이익률 계산 = 영업이익 / 매출액 X 100

위 손익계산서를 놓고 계산해 보면,,,

121,877,308,005(영업이익) / 1,012,430,708,140(매출액) X 100 = 12.04%

주식투자등에서도 중요하게 활용되는 지표인데요.

회사에 영업에 문제가 있는데 당기순이익은 + 로 보여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죠.

예를들어,,,

매출액 100 영업이익 10 영업외수익 60 영업외비용 20 이라는 회사가 있다면,,,

이 회사의 당기순이익은 50으로서 영업이익 보다 5배다 더 높게 나타나고 있죠.

(물론, 법인세는 고려하지 않고 단순하게 계산해 본 겁니다.)

고로 당기순이익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게 아니라,

일시적으로 영업외수익(고정자산 매각 등)이 높은건 아닌지 잘 살펴보는게 중요합니다.

매출액순이익률 계산은 아래 포스팅 참고 하세요.

http://blog.naver.com/yllove797979/220510351286



영업이익 이란? 영업이익률 계산 방법

반응형

오늘은 주식공부를 하면서 많이 들어는 봤지만 정확히 무엇인지 몰라서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영업이익에 대해 알려드릴까 합니다. 영업이익이란 무엇인지, 영업이익률은 어떻게 계산하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업이익이란?

영업이익 = 매출총이익 – 판관비

영업이익이란 매출총이익에서 판관비를 제외하고 남은 금액을 말합니다. 그럼 처음 보는 용어가 한 둘이 아닐 텐데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 뒤 영업이익률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매출총이익 이란?

매출총이익(매출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한 금액입니다. 매출액은 저번시간 주당 매출액과 함께 공부했으니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내용을 참고하시면 되며, 매출원가란 매출을 올리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말하며, 상품 및 제품의 매입액이나 제조 원가를 말합니다.

판관비란? (판매비와 관리비)

기업의 판매와 관리, 유지등에 발생하는 비용을 말합니다. 판관비에는 급여와 복리후생비, 감가상각비, 임차료, 광고선전비, 통신비, 제세공과금, 보험료, 소모품비 등이 있습니다.

반응형

영업이익률 계산 방법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액) × 100

이제 모든 용어는 다 공부했으니 위의 공식을 보면 무엇이 어떻게 돌아가는 건지는 아실 거라 생각됩니다. 영업이익에서 매출액을 나눈 금액에 100을 곱하면 영업이익률이 나오는구나 하고 알 수 있겠죠. 그럼 더욱 이해하기 쉽도록 예를 들어 직접 한번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사진은 네이버의 주요재무정보 중 한 부분입니다. 2021년도의 매출로 계산을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업이익 13,547 ÷ 매출액 67,754) × 100 = 영업이익률(%) 19.99 가 나옵니다. 굳이 계산을 해보지 않아도 포털사이트에 검색으로 다 확인해볼 수 있으며, 오늘은 어떤 식으로 영업이익률이 구해지는지 알아보기 위함입니다.

그러므로 영업이익률은 매출액에 대비해 영업이익 수준이 어느정도이냐를 수치로 나타내서 마진율이 얼마나 좋은지 알아보고 판단할 수 있는 좋은 지표가 되는 것입니다. 이 영업이익률이 높으려면 매출총이익이 높아야 하고, 판관비도 적어야 하므로 운영을 실속 있게 잘해야 가능한 것입니다. (이걸 알려주려고 멀리 돌아왔다)

요점정리

영업이익은 매출총이익에서 판관비를 제외한 금액이며, 영업이익률 계산 방법은 영업이익에서 매출액을 나눈 뒤 100을 곱하면 퍼센트가 나온다. 영업이익률(%)이 높으려면, 매출총이익이 높아야하며, 판관비는 낮아야 하므로 영업이익률이 높으면 실속 있는 경영을 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반응형

[IFRS 시대, 영업이익률 계산]기타영업손익 빼라

[편집자주: 5월 30일 연결재무제표 작성기업의 보고서 제출을 마지막으로 IFRS(국제회계기준)가 전면 도입된 첫 해, 첫 번째 재무제표가 모두 공시됐습니다. 생소해진 재무제표에 애써 익힌 투자지표들을 어떻게 계산해야 할지 난감할 때가 많은데요. 아이투자에서는 IFRS 재무제표의 주요 투자지표 계산법에 대해 5회에 걸쳐 기사를 연재합니다.]

1. PER는 어떻게 계산할까?

(▶바로가기)

2. PBR은 어떻게 계산할까?

(▶바로가기)

3. ROE는 어떻게 계산할까?

(▶바로가기)

4. 영업이익률은 어떻게 계산할까?

5. 부채비율은 어떻게 계산할까?

IFRS 재무제표에서 영업이익률을 구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기타영업손익이 영업이익에 포함돼 있다는 것입니다.

종류

영업이익률 계산

비고

연결재무제표(138社)

보정 영업이익률 = 보정 영업이익 ÷ 매출액

보정 영업이익 = 영업이익 – 기타 영업손익

자회사 실적 포함. 모회사만의 실적을 구하려면 별도재무제표 수치 이용함. 별도재무제표(1300社)

개별재무제표(300社)

* 괄호 안은 작성기업의 수

(자료: 아이투자)

영업이익률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를 알아보는 지표입니다.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경쟁력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가운데 하나로 우리나라 상장기업 전체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약 8%입니다. 영업이익률은 산업별로 차이가 있으며 같은 업종에 속한 기업과의 비교를 통해 특정 기업이 가진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기타영업손익은 외환 관련손익, 유형자산 처분손익 등 종전에는 영업외손익에 속하던 항목 중 일부가 영업이익에 반영되면서 생긴 재무항목입니다. IFRS에서는 기타영업손익의 산출을 기업의 판단에 맡기고 있어 기업마다 산출 기준이 다르므로 영업이익을 구할 때 기타영업손익을 빼줘야 같은 기준으로 통일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편의상 영업이익에 기타영업손익을 빼준 것을 ‘보정 영업이익’, 보정 영업이익으로 구한 영업이익률을 ‘보정 영업이익률’이라고 표현했습니다.현대상선과 KSS해운의 사례를 통해 보정된 영업이익률을 구해보겠습니다.현대상선은 1분기 275억원의 영업손실을 내 영업이익률 -1.6%를 기록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는 기타영업수익 47억원과 기타영업비용 297억원이 포함됐습니다. 따라서 보정 영업이익률을 구하려면 영업손익에서 기타영업손익을 뺀 보정 영업이익으로 계산해야 합니다.기타영업손익 = 기타영업수익 – 기타영업비용 = 47 – 297 = -250(억원)보정 영업이익 = 영업이익 – 기타영업손익 = -275 – (-250) = -275 + 250 = -25(억원)즉 현대상선은 종전 기준에 비춰보면 275억원이 아닌 25억원의 영업손실만 기록한 것입니다. 이에 맞춰 보정된 1분기 영업이익률은 -1.6%에서 -0.1%로 손실 폭이 줄어듭니다.1분기 보정 영업이익률 = 보정 영업이익 ÷ 매출액 = -25 ÷ 16977 = -0.1%이번엔 같은 해운업에 속한 KSS해운의 영업이익률을 구해보겠습니다. KSS해운의 1분기 영업이익은 192억원으로 무려 82%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지만, 여기에는 149억원의 기타영업수익이 포함돼 있습니다. 보정 영업손익을 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기타영업손익 = 기타영업수익 – 기타영업비용 = 149 – 0 = 149(억원)보정 영업이익 = 영업이익 – 기타영업손익 = 192 – 149 = 43(억원)즉 KSS해운은 종전 기준으로 192억원이 아닌 43억원의 영업이익을 낸 것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보정된 1분기 영업이익률은 82%가 아닌 18%입니다.1분기 보정 영업이익률 = 보정 영업이익 ÷ 매출액 = 43 ÷ 235 = 18%주석을 찾아보면 기타영업손익의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현대상선의 경우엔 선박처분손실이, KSS해운은 선박처분이익이 기타영업손익으로 기록돼 영업이익에 포함되면서 영업이익률이 변동됐습니다.이 밖에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기업은 자회사의 실적이 반영돼 영업이익률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도 주의할 점입니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3년간 연간 13% 초반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지만, 자회사의 실적이 포함된 2011년 1분기 영업이익률은 11%에 그쳤습니다. 종전 기준과 동일한 영업이익률을 구하려면 연결재무제표와 함께 제출되는 현대모비스의 별도재무제표를 활용해야 합니다. 별도재무제표는 사업보고서에서 연결재무제표 다음에 기재돼 있습니다.(단위: 억원)자회사의 실적이 제외된 현대모비스의 매출액은 3조8358억원이고, 영업이익은 5550억원입니다. 기타영업손익은 -100억원이므로 보정 영업손익은 5650억원이 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계산한 현대모비스의 보정 영업이익률은 14.7%(5650 ÷ 38358)가 되어 전년보다 증가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IFRS에서는 연결재무제표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영업이익률도 자회사 실적이 포함된 연결재무제표 수치를 바탕으로 구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하지만 아직 도입한지 얼마되지 않아 충분한 데이터가 없으므로 과거 자료와의 비교를 위해 별도재무제표를 활용해 영업이익률을 구할 수 있습니다.

건전한 영업 이익률 (Operating Profit Margin) 이란 무엇일까요?

반응형

투자자는 회사의 영업 이익률을 경쟁 업체의 영업 이익률 또는 스탠더드 앤 푸어스 (S & P) 500 지수와 같은 벤치 마크 지수와 비교합니다.

예를 들어, S & P 500의 2018 년의 4 분기 평균 영업 이익률은 10.31 %이었습니다. 따라서 어떤 회사가 10.31 % 보다 높은 영업 이익률을 가지고 있었다면 전체 시장을 상회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평균 이익률은 산업마다 크게 다르다는 점을 고려해야합니다.

영업 이익률은 투자자와 분석가가 회사를 평가할 때 사용 하는 주요 수익성 비율 중 하나입니다. 영업 이익은 세금과 이자를 제외한 거의 모든 고정 및 변동 비용을 지불하고 난 이후에 회사에 반환되는 수익 금액을 나타내므로 회사가 비용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관리하는지에 대한 좋은 지표로 간주됩니다.

영업 이익률이 보여주는 것

영업 이익률은 사업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모든 비용을 고려한 후 기업이 1 달러의 수익을 1 달러의 이익으로 얼마나 효율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영업 이익률 계산에는 수익과 영업 이익의 두 가지 구성 요소가 있고, 이 수익성 메트릭은 회사의 영업 이익을 총 수익으로 나눠서 계산합니다.

수익은 회사 손익 계산서의 가장 위에 보여지는 항목입니다. 수익 또는 순매출은 상품 또는 서비스 판매로 인해 발생한 총 수입을 반영합니다. 수익은 주요 영업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플러스 현금 흐름만을 나타냅니다.

영업 이익은 손익 계산서 아래에 나타나는 총 이익의 파생물입니다. 총 이익은 매출에서 판매 품목 생산과 관련된 모든 비용을 뺀 값으로,이를 매출 원가 (COGS)라고합니다.

총 이익은 회사의 수익성에 대한 다소 단순한 관점이므로 영업 이익은 총 이익에서 모든 간접비, 관리 및 운영 비용을 빼서 계산합니다.

예를 들면 임대료, 공과금, 급여, 직원 혜택 및 보험료와 같은 사업 운영에 필요한 모든 비용이 제외됩니다.

영업 이익률 계산 방법

영업 이익을 총 수익으로 나눔으로써 영업 이익 마진은보다 정제 된 척도가됩니다. 영업 이익은 달러로보고되는 반면 해당 이익 마진은 각 수익 달러의 백분율로보고됩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영업 이익률 = 영업 이익 / 총 수익 x 100

회사의 운영 효율성을 평가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시간에 따른 회사의 운영 마진을 살펴보는 것입니다.

늘어나는 영업 마진은 비용을 잘 관리하면서 이익을 증가시키는 회사를 의미합니다. 업계 평균 또는 전체 시장 이상의 마진은 재무 효율성과 안정성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업계 평균 이하의 마진은 이 추세가 지속되거가 악화될 경우 경기 침체 또는 재정적 어려움에 대한 재정적 취약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영업 이익률은 산업과 부문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예를 들어 소매 의류 산업의 평균 영업 마진은 통신 부문의 평균 영업 마진보다 낮습니다.

대형 체인 소매 업체는 엄청난 판매량으로 인해 더 낮은 마진으로 기능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소규모 독립 기업은 비용을 충당하면서도 수익을 내기 위해 더 높은 마진이 필요합니다.

출처: Apple 10-K

Apple은 위의 통합 10K 명세서에서 볼 수 있듯이 2020 년 9 월 26 일로 끝나는 회계 연도에 662 억 달러의 영업 이익과 2740억 달러의 총 수익을 보고했습니다.

따라서, 2020년 애플의 영업 이익률은 24.15% (662 / 2740 달러) 입니다. 이는 2019년보다 개선된 성과입니다.

출처: TD Ameritrade

결론

지속적으로 건전한 수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영업 이익에 달려 있습니다.

기업은 영업 이익률을 사용하여 성장 추세를 파악하고 불필요한 비용을 정확히 파악합니다. 이러한 불필요한 비용은 비용 절감 조치를 통해 제거되어 수익을 향상시킵니다.

회사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투자자는 동일한 산업 내의 다른 회사와 재무 제표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영업 이익률은 효과적인 비즈니스 전략을 개발하는 데 유용 할뿐만 아니라 투자자를위한 비교 지표 역할도합니다.

출처: investopedia “What Is a Healthy Operating Profit Margin?”

반응형

영업이익률 (Operating Profit Percentage) 요약 및 포럼

요약

영업이익률이란 무엇인가? 정의

영업이익률은 다른 예외적 항목이나 포괄적 수입(comprehensive income)의 효과를 제외한 순전히 정상적인 운영을 통한 수익을 보여준다.

영업이익률은 기업이 정상적인 운영을 통해 수익을 내는 정도를 보여준다. 인위적인 이익으로 기록되는 자산판매 또는 특별거래에 의존하는 것과 반대된다.

영업이익률 계산. 공식

영업이익률의 계산은 단순하다. 판매액에서 판매된 제품의 원가와 모든 판매일반관리비를 차감한다. 차감한 결과를 판매액으로 나눈다.

엄밀하게 영업적인 결과와 관련된 비율을 얻기 위해서는 이자수입과 이자비용을 제외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항목들은 영업적인 특징보다는 재무적인 의사결정에 관련된 것이기 때문이다.

영업이익률 계산에서 사용되는 총비용은 특별거래, 자산처분 등을 제외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이것들은 지속적인 영업과는 무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시그(SIG) 영업이익률 시그(SIG).

시그(SIG)

모범 사례 영업이익률에 대한 최고 평점 토론 주제. 여기에서 가장 가치있는 아이디어와 실용적인 제안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전문가 팁 Operating Profit Percentage에 대한 고급 통찰력 (영어). 여기에서 전문가의 전문적인 조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정보 출처 영업이익률 에 대한 다양한 정보 출처. 여기에서 자신의 강의 및 워크샵에 사용할 파워 포인트, 비디오, 뉴스 등을 찾을 수 있습니다.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 Ratio Analysis Ratio Analysis, Finanical Statement Analysis

This presentation provides insights in Financial statement and ratio analysis, and includes the following sectios: 1. F … Operating Profit Percentage Diagram Determining the return from standard operations

Download and edit this 12manage PowerPoint graphic for limited personal, educational and business use. Republishing in …

추가 연구 링크 영업이익률다음과 관련된 다른 유용한 소스로 자동으로 이동합니다 .

뉴스 영화 프리젠 테이션 서적 플라톤 학파 사람들 더

영업이익률 관련개념 : Gross Profit Percentage [매출총이익률, 총수익률]

다른 페이지로 이동: 재무와 투자

관리 방법, 모형 및 이론 더

이익 계산하는 방법 알아보기

비즈니스에서는 무엇보다 이익이 최우선이다. 총수익에서 비용을 제외한 이익은 주어진 기간 내에 사업을 통해 만들어낸 돈의 액수이다. 일반적으로 이익이 많을수록, 재투자하거나 보유할 수 이익도 더 많아진다. 이익에 대한 정확한 판단은 재정의 건전성 판단의 필수 요소이다.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어떻게 매길 것인지를 결정하고 종업원에게 월급을 얼마나 줄 수 있는 지 판단하는 등 많은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사업이익을 계산하는 첫 번째 단계부터 알아보자.

1. 사업이익 계산하기

-총 수입으로 시작하기.

이익을 제대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회계기간(분기, 반기, 연도별) 동안의 수입계가 필요할 것이다. 해당 기간 동안 상품 또는 서비스 매출액을 더하는데, 상품 판매, 서비스 제공, 멤버쉽 가입비 등 다양한 곳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정부기관의 경우는 세금, 사용료, 자원에 관한 권리 양도 등을 포함될 것이다.

정확한 수입액을 알기 위해서는 환불이나 분쟁 등으로 고객에게 돌려주어야 하는 금액을 공제해야한다는 점을 기억하자.

다음의 예를 따라 살펴보면 사업수익 계산과정이 더 쉬울 것이다. 소규모의 출판사업을 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지난 달에 2,000만원 상당의 책을 판매하였다. 지적 재산권 양도로 700만원을, 소매점 프로모션 제품 판매대금으로 300만원을 받았다. 여기까지가 수입원 전부라면, 총수입은 20,000,000 +7,000,000 + 3,000,000 =30,000,000원이 되는 것이다.

-총 사업비용 계산하기.

사업비용은 사업영역이 어떤 유형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사업 총비용은 회계기간 동안 사업상의 모든 지출 합계를 말하는데, 사업운영 중에 분야별로 발생하는 비용의 자세한 세부항목은 아래와 같다.

앞의 예에서 3,000만원의 수입을 발생시키기 위해, 1,300만원을 소비하였다면, 총수입에 대한 대가로 1,300만원을 쓴다는 것이다.

-총수입에서 총비용 빼기.

총 수입과 비용의 정확한 값을 안다면, 이익을 계산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총수입에서 비용을 빼면 이익이 된다. 사업상 이익으로 얻은 금액은 해당 기간 동안 번 돈을 나타내는 것이고, 이 돈은 사업주가 재투자를 하건, 대출금 상환을 하건, 투자자들에게 배당하건, 저축하건 아무튼 원하는 대로 사용할 수 있는 돈이다.

사례에서 총수입과 비용을 정확하게 계산했으므로 사업 이익 계산은 상당히 간단하다. 수입 3000만원에서 비용 1700만원을 빼면 1300만원의 이익을 계산할 수 있다. 사업주인 우리는 더 많은 책을 출판하여 장기적으로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도록 새로운 프린터를 살 수 있다.

-이익의 반대말인 손실(순손실) 기억하기.

통상 적자라고 말하지 않고, 순손실(net loss) 또는 순영업손실(net operating loss: NOL)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만약 당신의 사업이 적자를 일으켰다면, 이것은 그 기간 동안 벌어들인 돈보다 많은 돈을 썼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비즈니스에서 이런 상황은 피해야하지만 사업초기에 피하기 어려운 일이기도 하다. 순영업손실의 측면에서 사업체는 투자자로부터 받은 추가 투자금이나 대출로 운영비용을 지불해야한다.

순손실은 사업이 반드시 잘 안 된다는 의미라고 할 수는 없다. 사업초기에는 이익이 발생하기 전에 사무실 매입, 브랜드 구축 등 일회적 비용 발생이 초래하는 등 순손실로 사업이 진행되는 것이 특이한 일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아마존닷컴은 흑자로 전환하기까지 1994년부터 2003년까지 9년 동안 손해를 보았다.

-수입과 지출에 관한 사업소득신고서로 상담받기.

사업상 이익을 찾기 위한 실제 계산법은 상당히 간단하기 때문에, 회계기간 동안의 사업상이익을 찾는 과정 중 가장 어려운 부분은 수입과 비용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찾는 것이다. 다행히, 대부분의 사업체는 의무적으로 수입과 비용의 자세한 내용을 포함한 회계자료를 공개하도록 되어있다 소득신고서는 회사의 수입원과 비용의 세부내역 뿐 아니라, 회계기간 동안의 총 이익의 결산 가치도 포함하고 있다. 소득신고의 정보를 활용하면, 총이익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업소득서 내용대로 사업상 소득과 비용의 근거를 하나씩 차근차근 잘 살펴보자.

2. 수입과 비용 살펴보기

-순판매액 먼저 파악하기.

회사의 이익은 통상 수입 빼기 비용으로 정의되지만, 수입과 비용의 근거는 다양하다. 따라서 사업상 이익을 계산하기 위해 맨 처음 할 일은 개별 값이 아닌 복수의 수입원과 비용원을 파악해야 하는 것이다. 단편적인 이익을 계산하기 위하여 수입과 비용을 쪼갠다. 순판매에서 시작하자. – 상품과 서비스 판매가에서 환불, 할인 또는 분실 또는 손상된 상품에 대한 차감액 등을 빼자.

사업상 수입과 비용을 세분화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예를 들어보자. 최고급 스니커즈를 생산하는 소규모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고 하자. 이번 분기에 3억5천만원 상당의 스니커즈를 팔았다. 그러나 리콜 때문에 1000만원을 환불해주어야 했으며, 기타 환불과 할인으로 200만원을 사용하였다. 이 경우 순판매액은 350,000,000-10,000,000-2,000,000=338,000,000원이다.

-매출원가 제외하기.

돈을 벌기 위해서는 돈을 써야 한다. 상품은 원자재를 모아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판매할 상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원자재와 노동력은 공짜가 아니기 때문에, 상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돈을 써야하는 것이다. 원가는 매출원가라고 하는데 상품의 제작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원료구입비, 노동력의 대가를 포함한다. 배달, 운송, 판촉비 등의 간접비용은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순판매액에서 매출원가를 공제한 것은 총수익이라고 부른다.

스니커즈 제조회사 예에서 회사가 원단과 고무를 사고, 신발 제조 공장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불해야 한다. 만약 원단과 고무에 3,000만원을 지불했고, 임금으로 분기 중 총 3,500만원을 지불했다면 사업상 총수익은 338,000,000-30,000,000-35,000,000= 273,000,000원이다.

상품을 팔지 않는 사업의 경우(예를 들어 컨설팅 회사의 경우) 서비스원가 개념이 사용된다. 서비스 원가는 당신의 사업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비용을 말하는데, 직접적인 컨설팅 노동력의 대가, 수수료가 포함되지만 그 외 간접적으로 사용된 직원 임금, 임대료, 사용료 기타 간접비는 제외된다.

-운영비용 공제하기.

회사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판매하여 번 돈을 다 써야하는 것은 아니다. 임금을 지불하고, 마케팅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사무실을 유지해야한다. 이러한 비용들을 일괄하여 운영비용이라고 하며, 직접적으로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제조와 실행과 관련되지는 않지만 사업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비용으로 정의된다.

스니커즈 회사의 예에서, 판촉, 관리 등 공장외 근로자에게 총 120,000,000원을 지불하고, 임대료와 전기 가스 등 사용료로 10,000,000원을, 잡지 광고비로 5,000,000원을 사용하였다고 하자. 이것들이 운영비용의 전부라고 가정하면, 273,000,000 – 120,000,000 – 10,000,000 – 5,000,000 = 138,000,000원이다.

-감가상각/감채상각 공제하기.

운영비가 공제된 다음, 감가상각이나 감채상각비용을 공제해야 한다. 감가상각과 감채상각은 비용과 연관은 있지만 비용은 아니다. 감가상각은 시설이나 설비 같이 사용연한이 지나면서 마모와 손상이 불가피한 유체자산가치의 감소를 의미하며, 감체상각은 상표권 및 저작권과 같은 무체재산의 가치 감소를 의미한다. 운영비를 공제한 총액에서 이 비용을 공제하면 총 영업이익이 된다.

스니커즈 회사의 경우 기계의 수명이 10년이고 가격이 100,000,000원이고, 정액감각을 가정하면, 매년 10,000,000원씩 또는 분기당 2,500,000원씩 감가상각을 하면 된다. 그렇다면, 138,000,000원- 2,500,000원으로 영업이익은 135,500,000원인 것이다.

-기타 임시비용 공제하기.

다음으로 통상적인 운영비용에 들어가지 않는 기타 비용을 계산해야할 것이다. 여기에는 대출이자, 대여금 상환, 자산 매입 등 여러 가지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사업전략이 번경되면 회계기간마다 달라질 수 있다.

스니커즈 회사가 초기에 받은 대출을 아직 갚고 있다고 하자. 지난 분기에 1,000만원을 갚았고, 새로운 신발 생산 기계를 2,000만원에 샀다. 말하자면 지난 분기에 임시비용으로 3,000만원을 쓴 공제하면 135,500,000 – 10,000,000 – 20,000,000 = 105,500,000원이다.

-일시적 수입 더하기.

임시비용 분 아니라 일시적 수입도 있을 수 있다. 다른 회사와의 거래, 유형 또는 상표권이나 저작권 등 무형 자산 매각이 이에 포함된다.

지난 분기에 오래된 신발 생산기계를 500만원에 매각하였고, 다른 회사의 광고에 우리의 로고를 사용하도록 허가해주고 1,000만원을 받았다고 하자. 이러한 일시수익으로 총액에 더하면 105,500,000 + 5,000,000 + 10,000,000 = 120,500,000원이 된다.

-세금공제 하기.

마지막으로, 모든 수입과 세금을 계산한 후 최종적으로 세금을 공제해야 한다.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에 의해 여러 형태의 세금이 부과될 수 있다. 또한 세율은 회사가 사업을 하는 곳이나 이익을 얼마나 남겼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하자. 일단 납부한 세금을 공제하고 남은 금액이 순수익으로 사업주가 용도를 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이다

앞의 스니커즈 회사가 세전 수익에 따라 30,000,000의 세금을 부과 받았다면, 120,500,000-30,000,000= 90,500,000원 그러니까 스니커즈 회사가 벌어들인 순수익이 90,500,000원인 것이다. 나쁘지 않다!

3. 팁

운영비용을 반드시 고려하라. 광고비, 카드값, 통신요금 등은 그렇게 많이 들지 않지만 금방 늘어난다.

상품가격을 어떻게 매기느냐가 순이익 마진율을 결정된다는 점을 기억하자. 운영이익을 순수익으로 나누고 그 수를 퍼센티지로 바꾸면 된다. 예를 들어 순판매액이 1,000,000원, 매출원가가 300,000원, 총 운영비용이 200,000원이라면 마진율은 1,000,000 – 500,000 = 500,000; 500,000 / 1,000,000 =0.5 = 50%인 것이다.

금융/경제 관련 좋은 커뮤니티가 있어 공유해봅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영업 이익률 계산

다음은 Bing에서 영업 이익률 계산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얼마나 남나? 초간단3초 이익율 계산법 공개

  • 영업이익율계산법
  • 얼마나남나?
  • 이익율
  • 이익율계산법
  • 정육점 얼마나 버나?
  • 정육점이익율
  • 초간단 이익율
  • 3초이익율

얼마나 #남나? #초간단3초 #이익율 #계산법 #공개


YouTube에서 영업 이익률 계산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얼마나 남나? 초간단3초 이익율 계산법 공개 | 영업 이익률 계산,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일본식 유부초밥 만들기 | 일식집 유부초밥 만들기 Tofu Pouch Sushi いなり寿司 인기 답변 업데이트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