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콘텐츠 기획서 | [Ncs] 영상촬영 01 영상콘텐츠 기획하기 8691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영상 콘텐츠 기획서 – [NCS] 영상촬영 01 영상콘텐츠 기획하기“?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NCS 직무특강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7,774회 및 좋아요 166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영상 콘텐츠 기획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NCS] 영상촬영 01 영상콘텐츠 기획하기 – 영상 콘텐츠 기획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 기획의 시작
– 기획안 작성하기
– 기획안 작성 방법
– 콘티와 스토리보드의 중요성

영상 콘텐츠 기획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영상 콘텐츠 기획과 구성 – 환경교육포털

어떤 영상을 만들지, 큰 그림을 잡아놓은 계획안. •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서’. – 누구에게 보여줄지. – 몇 분짜리 프로그램인지. – 장르는 뭔지.

+ 여기를 클릭

Source: www.keep.go.kr

Date Published: 11/2/2021

View: 1556

영상 제안서를 써보다! :: 영상 기획안 작성 샘플 – Daham

그리하여 우리는 이런 기획의도를 가지고, 이러이러한 콘텐츠를 기획하였다- … 다만 영상 기획서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운 부분은,

+ 여기에 표시

Source: modudaham.tistory.com

Date Published: 10/4/2022

View: 6889

간단 기획서

① 본 기획서는 [SNS(유튜브, 인스타그램)에 송출된 광고 영상 콘텐츠] 를 위한 기획서입니다. ② 실제 영상 촬영은 스튜디오(컨셉 스튜디오 가능)에서 진행됩니다.

+ 여기를 클릭

Source: www.hongik.ac.kr

Date Published: 5/13/2022

View: 9660

[콘텐츠기획] YouTube 인터뷰 영상 기획하기 – WANUAL

유튜브 인터뷰 영상 기획/촬영하기. 필자는 취미로 유튜브 영상 제작을 시작해서 흥미를 발견하여, 현재는 유튜브 영상 콘텐츠 회사에 인턴으로 근무 중이있다.

+ 여기를 클릭

Source: wanual.gitbook.io

Date Published: 10/6/2021

View: 4004

콘텐츠 기획안 작성요령

콘텐츠 기획안 작성요령 … 기획의도 (이 콘텐츠를 기획하게 된 목적) … 콘텐츠 구성안, 혹은 내용 순서 ( 영상콘텐츠를 어떤 내용, 순서로 구성했는지 정리하시면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tu.ac.kr

Date Published: 8/1/2021

View: 9120

[이 과장의 영상콘텐츠 제작기 3]_도대체 기획이 뭐야?

이 과장에게 익숙한 기획서는 해외시장개발, 혹은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한 기획서였으니까요. 그런 것이라면 논리적 비약이나 타당성 문제를 어렵지 않게 …

+ 여기에 표시

Source: contents-garden.tistory.com

Date Published: 4/24/2021

View: 6647

콘텐츠 제작 기획안 예시 – 서울시 50플러스포털

콘텐츠 제목, 남편이랑 일주일 동안 1,000 조각 퍼즐 맞추기 도전! 소재 및 주제, 취미. 장르, 일상영상. 컨셉 및 기획 의도. * 작품 컨셉 및 구성, 타겟층, …

See also  장혜진 양궁 선수 결혼 | 리우 양궁 2관왕 장혜진 결혼 축시 모든 답변

+ 여기에 표시

Source: www.50plus.or.kr

Date Published: 6/12/2022

View: 8519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영상 콘텐츠 기획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NCS] 영상촬영 01 영상콘텐츠 기획하기.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NCS] 영상촬영 01 영상콘텐츠 기획하기
[NCS] 영상촬영 01 영상콘텐츠 기획하기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영상 콘텐츠 기획서

  • Author: NCS 직무특강
  • Views: 조회수 17,774회
  • Likes: 좋아요 166개
  • Date Published: 2018. 4. 17.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YCtzYS_JP_8

영상 제안서를 써보다! :: 영상 기획안 작성 샘플

기획에서 원고작성까지,

제가 익숙한 작업들은 인쇄를 바탕으로 한 분야들입니다.

잡지를 통해서 경력을 시작해

단행본이나 잡지 등의 출판물, 브로슈어나 리플릿 같은 것을

만들어왔기 때문이죠.

그래서일까, 아이디어를 내고 내용을 정리할 때에도 종이를 많이 씁니다.

그러다 올해 초 영상회사와 함께 일을 할 기회가 생겼습니다.

처음에는 걱정도 했고, 얼레벌레 실수도 많이 했습니다.

(아. 시행착오는 지금도 계속 겪는 중입니다.)

첫 번째 프로젝트 때에는 근 몇 년만에 다시 철야를 했습니다.

(그리고는 바로 몸살. 골골-대며 일주일을 보냈죠. T_T)

크게는 두 번정도 고쳐쓰고, 자잘하게는 지속적으로 조금씩 수정을 계속 했어요.

쓰면서 느낀 점은,

클라이언트가 있는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브로슈어 기획안이나 영상 기획안이나 결국 클라이언트를 설득하고,

내용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작성된다는 점이었습니다.

방향성에 대한 논의를 하고, 제작에 대한 약속을 하는 것이기도 하구요.

다만, 표현 방식이 그리고 사용하는 언어가 조금 다르다는 것이 차이라면 차이랄까요.

인쇄 분야, 그 중에서도 사보나 브로슈어 제작기획안을 예로 들자면

앞단에서 클라이언트의 니즈를 짚어주고, 시장환경에 대한 분석을 제시합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이런 기획의도를 가지고, 이러이러한 콘텐츠를 기획하였다-

정도가 뼈대라 할 수 있겠네요.

기획된 콘텐츠는 개별 기사를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

어떤 소재를 다루게 될 것인지 등에 관한 내용으로 정리하여 채워집니다.

그래서 대개 페이지 구성표를 쓰게 되죠.

처음 일을 맡을 때는 머릿속이 하얗습니다.

영상 기획서의 경우에는, 페이지 구성표 대신

시나리오 혹은 콘티로 작성을 하게 됩니다.

각각의 씬에 대한 적절한 이미지와 내용에 관한 설명,

그리고 자막이나 내래이션도 함께 제시됩니다.

다만 영상 기획서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운 부분은,

영상은 연속적이고 동적인 데 반해

스틸 사진으로 이루어진 기획서 상의 씬 표현을

클라이언트가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죠.

어떤 경우에는 “걍 러프하게라도 영상으로 함 보여주면 안되요?”라는 요구가 있을 수 있지만,

이럴 땐 “일단 기획서를 통해서 전달된 내용상의 문제가 없는지 파악하고 진행여부를 알려달라”는

설득이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편집 자체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작업이고,

소스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가편집의 가편집본은 완성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괜히 수정의 쓰나미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죠.

완결된 기획안은 일종의 약속이기도 합니다. 제작자와 발주자가 동의하는.

아래에 공유한 제안서는 첫 번째 프로젝트 때 작성했던 제안서 중 하나입니다.

우리 회사가 잘 할 수 있는 점을 강조하고,

그래서 우리가 어떤 영상을 어떻게 만들겠다라는 내용이 주입니다.

이 회사는 25주년을 기념한 영상 제작을 의뢰했는데,

20주년에 제작했던 영상이 있어서 이와 비교한 기획안을 작성했습니다.

구성은 산수기호를 이용해서 챕터를 나누어주었지만,

결국 이대로는 진행되지 못했어요.

그리고 여러 시행착오 끝에 납품은 마무리가 되었지요.

첨부한 파일은 이 때 작성했던 것인데,

회사 이름이나 기타 좀 걸리는 부분들은 삭제한 자료입니다.

그리고 @_@ 디자인은 따로 디자이너가 잡아준 게 아니라서

(제가 해서요.) 조금 구릴 수 있어요.

영상_제안서_sample.pdf 다운로드

[이 과장의 영상콘텐츠 제작기 3]

기획. 언제든 어디서든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도대체 기획이 뭘까요?

분명한 사실은 이 과장이 작성하거나 평소에 익숙하게 접했던 기획서와 영상 제작사에서 가지고 오는 기획서는 많이 다를 거라는 점입니다. 이 과장에게 익숙한 기획서는 해외시장개발, 혹은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한 기획서였으니까요. 그런 것이라면 논리적 비약이나 타당성 문제를 어렵지 않게 짚어낼 수 있겠지만, 영상 제작을 위한 기획서를 보고 어떤 이야기를 할 수 있을지가 적잖이 고민인 이과장입니다.

모든 프로젝트의 출발에는 기획서가 있다!

기획에 대한 정의는 참으로 다채롭습니다. 서점에 갈 때마다 새로운 제목의 기획 관련 책이 눈에 띈다는 건, 다들 기획 때문에 고군분투하고 있다는 의미이겠죠. 여기에서 기획의 정의를 규명하는 바다로 뛰어들고 싶지는 않습니다. 꽤 확신을 가지고 말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든 프로젝트의 출발에는 기획서가 있다는 것이겠지요.

영상 기획서 역시 정해진 정답은 없을 겁니다.

다만 영상 제작사의 입장에서 기획서란, 클라이언트가 있는 프로젝트의 경우에 (영상 제작 에이전시니까 거의 그렇다고 봐야겠죠..)

“우리는 클라이언트의 필요를 이렇게 파악했고, 이를 위해 필요한 영상의 성격은 이러하며, 때문에 컨셉은 이렇게 찾았고, 대략 비슷한 느낌의 영상은 이러한 것이 있습니다. 이대로 진행을 할까요?”

라고 묻는 것이 첫 발이라는 것입니다. 다른 제작사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저희는 그렇습니다.

그러면 좀 더 구체적으로 영상기획안의 내용을 살펴볼까요?

*클라이언트의 필요(니즈) = 영상 제작 배경 및 조건

이 부분은 사실 명확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에 대한 공통의 인식을 확인할 겸 제작을 하게 된 배경이나 목표, 결과물 등 에이전시가 이해한 프로젝트의 개요를 한 번 짚고 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간혹 결과물의 수량이나 제작 언어 등이 차이가 날 때가 있거든요.

* 영상의 성격, 컨셉 = 제작 방향

제작 방향을 고민하고, 신박하면서도 효과적인 솔루션을 찾는 것이 가장 어렵지만 즐겁고 또 가장 중요한 지점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근 영상 트렌드가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같은 범주의 회사들은 어떤 영상을 만들었는지에 대한 파악이 필요합니다.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드러내고 싶은 회사의 캐릭터’와 ‘영상의 사용 목적’이겠습니다.

저희는 여러 가지를 복합적으로 고려해 만든 방향을 ‘컨셉’ 혹은 ‘컨셉 워드’로 다듬어서 고객에게 제시합니다.

보통은 각기 다른 방향으로 A안과 B안의 두 가지를 제안합니다. 둘 중에 골라주시면 좋은데, 꼭 두 가지 컨셉을 섞어달라는 고객님들이 계셔서 간혹 곤란할 때가 있죠. 그럴 때 가급적이면 내부적으로 논의해보신 후에 한 가지로 골라주십사 부탁을 드립니다. 영화가 아닌 이상, 최근의 영상은 전력질주해야하는 단거리 경주 같아서 한 번에 두 가지 컨셉을 소화하다보면 이도저도 아닌 영상이 되어버리기 때문이죠.

*대략 비슷한 느낌의 영상 = 레퍼런스

앞에서 다루는 내용들은 상당히 추상적이고 모호합니다. 그래서 에이전시가 지향하는 제작방향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과정이 필요한데, 초반 단계에서는 레퍼런스 영상들을 통해 이를 제시합니다. 중요한 함정은 대개 외국의 멋진 레퍼런스 영상이나 대기업 영상의 경우, 촬영이나 효과 등에 보기보다 엄청난 예산이 들어갔다는 점입니다.

에이전시 입장에서는 이 부분에서 항상 내적인 갈등이 있습니다. 어쨌든 최상의 결과물을 보여줄 것인지, 아니면 예산 안에서 최선의 결과물을 보여줄 것인지 하는 것이죠.

시나리오를 어떻게 해독할 것인가?

만약 이 과장이 이렇게 받은 첫 번째 기획서에서 방향을 제대로 잡았다고 판단해 컨셉 중 하나를 선택한다면 (혹은 두 가지를 섞어달라고 하더라도… T-T 흑흑) 다음 단계는 실제 제작계획을 짜는 것입니다.

이 단계의 기획서에는 ‘시나리오’라는 다른 이름도 있습니다.

제작 초기에는 많은 클라이언트가 시나리오 해독에 어려움을 겪곤 했습니다. 지금은 나름대로 영상 콘텐츠가 확산된 덕분인지 이전만큼은 아니지만 어쨌든 시나리오만을 보고는 컨펌을 할 수 없다는 말로 어려움을 호소(?)하시는 분들도 계시죠.

시나리오는 대개 씬넘버 / 영상 설명 / 자막 &그래픽 / 오디오 정도로 구분됩니다.

영상 설명

영상에 대한 설명은 찍고자하는 장면 묘사, 카메라의 움직임 등이 표현됩니다.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부분이지만, 얼마나 구체적으로 보여줄 것인지는 역시 예산과 연결이 됩니다. 제작예산이 크고, 제작 이후에도 광고비 등 추가적인 예산이 들어가는 TVCF의 경우에는 콘티 작가를 고용해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이미지를 제시합니다. 여기에 카메라의 움직임까지 디테일하게 표현하는 경우도 있구요.

반면, 기업 홍보영상이나 바이럴 영상의 경우 이 단계가 많이 간소화됩니다. 이전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 각 씬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제시하기도 했었는데요. 오히려 이것 때문에 오해의 소지가 생기는 면도 없지 않아서 최근 저희는 간략한 스크립트 타입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물론, 시나리오 컨펌 후에 촬영 준비를 할 때는 더 디테일한 씬 리스트를 별도로 준비하게 됩니다.

자막 & 그래픽

말 그대로 영상 위에 들어갈 글자나 그래픽 요소를 표시하는 것입니다. 중요한 내용을 강조하는 모션 타이포, 과정을 보여주는 도식화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오디오

오디오는 나래이션과 배경음악으로 구분됩니다. 대부분 나래이션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데요.

초창기 기업, 기관 홍보영상을 만들 때 종종 생기곤 했던 문제는 컨펌 과정에서 나래이션에 없는 내용을 자꾸자꾸 추가하시는 것이었죠. 영상은 시각과 청각이 공존하는 콘텐츠이기 때문에, 영상에 적합한 정보와 청각으로 전달하기에 적합한 정보를 잘 구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음성 정보인 나래이션은 길어질수록 시청자에게 명확하게 전달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나래이션으로는 중요한 내용, 큰 부분만 짚고 디테일한 부분은 영상으로 보여주는 편이 좋습니다.

이런 기본적인 양식을 알고 있다고 해도, 실제로 처음 시나리오를 받으면 한 눈에 잘 된 것인지 파악하기가 어렵기는 한 것 같습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은 무엇? 바로 상상력과 소통하려는 자세입니다.

시나리오를 받아든 이 과장은 다시금 살짝쿵 멘붕이 되겠지만, 그럴수록 적극적으로 에이전시 및 감독에게 많이 묻고 대답하기를 권합니다. 왜냐하면 시나리오 단계가 지나야 본격적인 프로덕션 단계, 촬영에 돌입할 수 있거든요.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는 촬영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요?

키워드에 대한 정보 영상 콘텐츠 기획서

다음은 Bing에서 영상 콘텐츠 기획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애플 워치 배지 | Bomlog | \"매일 115층 계단 오르기\" 애플워치로 기록해보았다 / 운동 2주 챌린지 / 알고 보니 애플워치 활동 배지 모으기 / 운동 브이로그 320 투표 이 답변
See also  정관장 둘 루스 | 3분만에 둘러 보는 조지아 둘루스 한인타운 [애틀랜타Tv] 21016 좋은 평가 이 답변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NCS] 영상촬영 01 영상콘텐츠 기획하기

  • 기획
  • 아이디어
  • 스토리보드
  • 기획안
  • 카메라 워크
  • 콘셉트
  • 브레인스토밍 기획
  • 본질
  • 요소 기획
  • 작성 기획안
  • 작성
  • 방법 전문가
  • 인터뷰
  • 영상콘텐츠
  • tip
  • 콘티
  • 촬영 준비
[NCS] #영상촬영 #01 #영상콘텐츠 #기획하기


YouTube에서 영상 콘텐츠 기획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NCS] 영상촬영 01 영상콘텐츠 기획하기 | 영상 콘텐츠 기획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