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 와 예술 작품 | 현재의 시선으로 과거 작품을 평가하는 게 옳은가? 예술가와 작품은 어떻게 바라봐야할까? 8691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예술가 와 예술 작품 – 현재의 시선으로 과거 작품을 평가하는 게 옳은가? 예술가와 작품은 어떻게 바라봐야할까?“?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널 위한 문화예술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0,015회 및 좋아요 77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예술가 와 예술 작품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현재의 시선으로 과거 작품을 평가하는 게 옳은가? 예술가와 작품은 어떻게 바라봐야할까? – 예술가 와 예술 작품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현재의 시선으로 과거 작품을 평가하는 게 옳은가?
예술가와 작품은 어떻게 바라봐야할까?

예술가 와 예술 작품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문화칼럼] 예술가와 예술 작품의 가치 – 매일신문

어쨌든 중요한 것은 그들의 삶과 그들의 노래를 통해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혹은 ‘예술가는 사라져도 그들이 남긴 예술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말을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news.imaeil.com

Date Published: 11/18/2022

View: 6151

[예술이란 무엇인가] 예술 작품은 예술가의 흔적이다 … – 양산신문

그리하여 한편의 시와 음악 그리고 그림으로 형상화되어 새롭게 창조된다.그러나 모든 발자국이 다 추억이 되고 예술 작품의 모티브가 되어 작품으로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yangsanilbo.com

Date Published: 11/6/2022

View: 7198

예술가와 작품은 어떻게 바라봐야할까? – 살돈차 블로그

작품 박 펼쳐지는 세계 그리고 작품 속 그려주는 세계 예술 작품은 작가가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을 담아내며 탄생 하죵 환아의 작품 속엔 그 작가가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chakra666.tistory.com

Date Published: 4/17/2022

View: 6874

[평론]예술가와 예술작품의 분리에 관하여 – 낭만음악사 : 논문

[평론]예술가와 예술작품의 분리에 관하여 – 이미경의 “‘<탄 둔 초청 강연회>에 대한 단상’을 읽고”에 대한 코멘트 · 2004.12 · 241 – 247 (7 pages).

+ 여기에 표시

Source: www.dbpia.co.kr

Date Published: 1/28/2022

View: 5496

예술 경영이 예술가와 예술 작품에 미치는 영향

예술 경영이 예술가와 예술 작품에 미치는 영향 – 밀레의 「죽음의 신과 나무꾼」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art management on artists and their works : The …

+ 더 읽기

Source: www.krm.or.kr

Date Published: 12/17/2021

View: 9273

예술가와 예술과 도덕 – 브런치

예술가와 예술 작품의 관계를 논할 때, 나는 그 둘은 전혀 다른 것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물론 예술가가 죄를 지어도 그의 예술 작품이 좋으면 다 …

+ 여기에 보기

Source: brunch.co.kr

Date Published: 7/30/2022

View: 3154

[Opinion] 진정한 예술가란? [사람] – 아트인사이트

예술가에 대한 정의는 예술 활동, 곧 예술 작품을 창작하거나 표현하는 것을 … 가치관, 고민, 생각, 감정들을 멜로디와 가사로 창작해내는 능력을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artinsight.co.kr

Date Published: 10/18/2022

View: 8923

미술경매가 예술가와 예술작품에 미치는 영향 – 밀레의 「만종 …

미술경매가 예술가와 예술작품에 미치는 영향 – 밀레의 「만종」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art auction on artists and their works : The case of Millet’s The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kci.go.kr

Date Published: 11/2/2022

View: 652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예술가 와 예술 작품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현재의 시선으로 과거 작품을 평가하는 게 옳은가? 예술가와 작품은 어떻게 바라봐야할까?.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현재의 시선으로 과거 작품을 평가하는 게 옳은가? 예술가와 작품은 어떻게 바라봐야할까?
현재의 시선으로 과거 작품을 평가하는 게 옳은가? 예술가와 작품은 어떻게 바라봐야할까?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예술가 와 예술 작품

  • Author: 널 위한 문화예술
  • Views: 조회수 20,015회
  • Likes: 좋아요 773개
  • Date Published: 2019. 3. 2.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UgIq_Gfa7uE

[문화칼럼] 예술가와 예술 작품의 가치

1987년 11월 1일, ‘사랑하기 때문에’라는 노래로 유명한 가수 유재하가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1990년 11월 1일, ‘사랑했어요’라는 노래 등 수많은 인기곡을 보유하고 있던 가수 김현식이 세상과 마지막 인사를 나눴다.

대중가요를 부르던 대중예술가들인 그들은 비록 세상을 등졌지만 그들이 부른 노래는 아직도 살아남아서 대중들과 만나고 있는 셈이다. 그들이 부른 노래가 대부분 사랑을 노래하고 있었기에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그들의 노래를 사랑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중요한 것은 그들의 삶과 그들의 노래를 통해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혹은 ‘예술가는 사라져도 그들이 남긴 예술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말을 새삼 다시 떠올리게 되었다.

‘과연 내가 세상을 떠난 후에도 나의 예술은 남아서 사람들을 만날 수 있을까?’라는 궁금증은 결코 예술가 본인이 살아서는 확인할 수 없는 물음이지만 꼭 그렇게 되기를 갈망하는 마음을 지닐 수밖에 없는 것은 예술가의 숙명이다. 그리고 그와 맞물려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예술가 자신이 만들어 낸 예술 작품의 가치이다. 예술가가 나의 예술이 어떤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사람들에게 어떤 평가를 받고 있는지를 무척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당연하다.

‘주변의 시선 따위는 신경 쓰지 않는다’고 말하는 예술가들조차 실제로는 어떤 사람들의 평가나 시선에 내심 민감한 반응을 보이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예술가가 바라는 좋은 평가는 자신보다는 자신의 예술을 향하고 있다. 그래서 예술가들은 ‘사람이 좋다’는 말보다는 ‘예술 작품이 좋다’는 평가를 받고 싶어 한다. 순수예술이든 대중예술이든 그 점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것이 예술가의 삶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예술가가 만든 예술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여러 기준 중에서 가장 계량화가 잘 되어 있고, 많은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준이 돈이다. 예술의 가치를 돈으로 환산한다는 것 자체가 말도 안 되는 소리이자 욕을 먹을 수도 있는 이야기가 되겠지만, 현대사회에서 수많은 사람들에게 돈보다 쉽게 객관화해서 보여줄 수 있는 가치 기준을 찾는다는 것은 쉽지 않다. 그만큼 현대의 예술은 돈의 가치로 환산이 되는 문화산업적인 측면이 강하다.

오늘날의 예술가는 죽어도 그의 작품은 죽지 않고 살아서 돈이 되기도 하니, 예술은 참 굉장한 산업이다. 문학’음악’미술 등의 예술 작품은 ‘저작권’을 통해 예술가의 유족에게 예술 작품의 가치를 인정하고 보상해 주는 저작권료가 돌아가니, 때로는 예술가가 남긴 현금이나 부동산보다도 가치가 큰 유산이 되기도 한다. 또한 살아서 누리지 못했던 영광을 예술가에게 안겨주기도 한다. 이는 단순히 돈의 문제가 아니라 예술 작품의 생명력을 확인하는 의미 있는 일이다. 그래서 많은 예술가는 살아서 빛을 보지 못한 작품이 죽어서라도 그 가치를 인정받았으면 하고 갈망한다. 이것 또한 예술가의 숙명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예술가도 엄연히 하나의 직업이다. 특히 전업 예술가에게 예술은 가족의 생계가 걸린 삶의 현장이며 예술 작품은 그가 생산해 낸 일종의 상품으로 자신의 생계와 다음 예술 작품을 생산하기 위한 보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정신적 만족으로만 굶주린 배를 채울 수는 없다. 그래서 예술도 돈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지원 시스템이 등장했고, 정당한 계약이 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마련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예술가가 하나의 직업으로 인정받으며 살아가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예술가는 돈을 밝히면 안 된다, 예술을 돈으로 보면 안 된다’ 등 사람들이 예술가들을 속박하는 다양한 말들이 있다. 이는 분명히 잘못됐다. 더 이상 기존의 틀에 박힌 이야기로 가난한 예술가를 더욱 굶주리게 하며, 눈칫밥을 먹게 해서는 곤란하다. 예술가들 또한 직업인으로서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자신의 가치와 예술 작품의 가치를 돈으로 환산해 당당히 요구할 수 있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먹고살아야 예술을 하고, 제대로 된 가치를 인정받아야 더 가치 있는 예술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다. 그래야 그 예술 작품이 모두에게 행복을 안겨줄 것이다.

안희철 극작가 [email protected]

[예술이란 무엇인가] 예술 작품은 예술가의 흔적이다

예술이란 창조적 흔적이다. 눈이 오는 날 사람이나 짐승이 지나가면 발자국이 남는다. 우리는 발자국을 보고 누가, 언제, 어느 방향으로 갔는지 짐작할 수 있다. 그 발자국을 통해 정보를 얻고 느낌을 가진다. 그 발자국이 연인의 발자국이면 이내 연인의 모습이나 추억이 재생된다. 그리고 뭉클하고 울컥한 감정에 사로잡히게 된다. 때마침 기억 속에 눈이 오고 그 발자국이 오랜 추억이 된다. 그리하여 한편의 시와 음악 그리고 그림으로 형상화되어 새롭게 창조된다.

그러나 모든 발자국이 다 추억이 되고 예술 작품의 모티브가 되어 작품으로 남는 것은 아니다. 발자국은 자연 발생적이지만 발자국을 소재로 그린 그림은 기교와 혼을 불어넣어서 만든 작가의 흔적이다. 그 속에는 작가의 원근과 명암, 선과 면, 작가만의 독특한 색깔, 작가의 리듬, 하모니, 셈여림, 음정과 박자가 녹아 있다. 또 작가 특유의 비유와 상징이 있다. 그런 장치들이 작가의 혼을 대체하고 신의 음성을 불러들인다. 그 속에 작가는 없어도 독자와 관객은 스폰지처럼 작가를 빨아들인다. 지금 바로 여기서 작가를 만나 작가만의 동굴을 여행하게 된다. 색과 음, 동작과 언어를 음미해 가며 작가의 바다를 건너게 된다.

자연은 신의 흔적이고 예술은 작가의 흔적이다. 우리는 작가의 흔적으로 작가를 만나고 신의 흔적으로 신을 만난다. 우리는 작품을 통해서 비로소 작가가 창작할 당시의 짜릿하고 황홀한 느낌을 흡수하게 된다. 마치 천지창조를 연주할 때와 같은 감동을 받는다. 하지만 그러한 감동을 주는, 예정된 천재로 불리는, 창조적 예술가는 소수에 불가하다. 게다가 작가의 격이 높아지면 작가의 농담이나 몸짓 심지어 낙서까지도 불후의 명작이 된다.

작가는 대중보다 신을 바라보아야 한다. 대중의 박수에 결코 속아서는 안 된다. 어느 시대이든 그 시대를 이끌어가는 창조적 소수가 있다. 창조적 소수가 남긴 흔적은 반드시 창조적 흔적이 된다.

예술가와 작품은 어떻게 바라봐야할까?

작품 박 펼쳐지는 세계 그리고 작품 속 그려주는 세계 예술 작품은 작가가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을 담아내며 탄생 하죵 환아의 작품 속엔 그 작가가

살고 있는 시대에 고민들이 녹아 있는데요 예술은 시대의 거울 인생입니다

빨아서 우리는 어떤 작품을 비평하고 또 분석하면서 당시의 시대상과 시대의

가치관을 발견하기도 하고 예 수렴 빼빼로 시대의 규율을 민감하게 건드리기

도 하는데요 사회가 용인 하지 못한 가치관을 다만 작품들이 논란을 일으킨

카레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죠

때때로 그런 경우 작품의 도덕성이 도마 위에 오르기도 합니다

작품의 도덕성을 따지는 것이 창작의 자유를 해치는 응가 예술작품을

도덕적인 관점에서 평가하는 것이 적절한가 에 대해서 실제로 고대부터 고민이 있었습니다

이런 고민은 크게 도적 주 의 그리고 자율 주의 두 진영으로 나뉘어

대립해 왔는데요 플라톤과 톨스토이는 작품의 도덕성 자체가 미약에 중요한

가치 라 생각했습니다 따라서 도덕적으로 나쁜 작품은 미적으로 도 나쁜

작품 이라 평가하며 창작에 있어 도덕 주 의를 중시 햇죠 1년 오스카

와일드 같은 작가의 경우 예술의 영역과 도적의 영역은 결 개의 영역으로 보았습니다

따라서 도덕적인 관점에서 작품을 평가하는 게 옳지 않다 생각했죠

실제로 각각의 주장은 첨예하게 대립해 왔는데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의 롤리타 같은 작품이 대표적인 경우라 할 수 있습니다

롤리타 는 어린 소년 롤리타 와 의 성애를 그렸는데요

처음 등장했을 당시 부터 작품 속 등장하는 소아 성애 2대의 도 적성

노년이 잃었죠 이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서는 작품의 도덕성 평가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 들었는데요

플립 키 컬컴 레트 및 인종 민족 성 등 소수자에 대해 차별하지 않는

정치적 올바름 의 움직임이 활발해져 있는데요 때문에 문학과 미술 영화와

음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창작물 들에 있어 차별적인 표현을 담고 있는가

는 중요한 화두가 되었죠

차별을 담은 작품이나 차별에 대해 중 감하게 대응하는 작가인데 7 제로

많은 비판이 더해지는 경우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덕분에 문학에도 실제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는데요

의도적으로 수사를 작품의 배역에 고려하거나 차별적 표현해 대체 고치는

등의 방법이 일어나고

이에 대해 몇몇 창작자 들은 창작에 있어 자기 검열이 심해지며 표현의

자유가 영향을 받는다는 주장도 이와 달리 정치적 올바름 의 움직임이

오히려 더 다양한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는 의견도 있죠

모두를 향하는 더 좋은 표현에 찾는 과정에서 새로운 표현을 차별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의 흐름이 창작에 있어서 – 가 아닌 + 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최근 들어서는 새로운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는데요 최근 과거의

작품들을 다시 비평의 대상으로 잡으면서 현재의 가치관으로 재평가 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과거 작품 속 비아 플로 불평등한 사회적 배경을 비판하는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최대 현대의 잣대로 과거의 작품과 작가를 비판하는 것이 너무 과하다 는

의견과 과거의 작품을 비평 함으로써 당시 시대와 현재의 사이를 명확히

알게 된다면 점에서 비평은 필수적 이라는 의견이 서로 대립하고 있죠

더불어 존경받던 작가 개인의 과오가 드러나면서 어떻게 과거 작품 자체에

대한 평가가 다시 이루어지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는데요

작가의 삶과 작품에 대한 평가는 다르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시선과 작가의

도 적성이 작품에 있어서도 중요하단 주연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죠

시선으로 과거의 작품을 평가하는 것이 옳은가

빨간 0 삶 속에 담지 못한 이야기들이 많습니다

현대 예술에 있어 정말 중요한 주제인 만큼 구독자 분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를 마련했어요

뚜렷한 해답 보다 계속해서 새로운 질문들이 전 점수는 널리 한 번 횟수를

오프더레코드 그 두번째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문화예술 매니아들을 위한 놀이터

널리 아무 날 술이 얻습니다

공유하기 글 요소

[평론]예술가와 예술작품의 분리에 관하여 – 이미경의

(이)가 구독하지 않는 논문으로 ‘미리보기’만 가능합니다.

도서관의 ‘원문복사 서비스’를 통해 원문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 서비스 이용방법은 도서관 사이트를 확인해 주세요.

예술 경영이 예술가와 예술 작품에 미치는 영향
– 밀레의 「죽음의 신과 나무꾼」을 중심으로 –

밀레의 「죽음의 신과 나무꾼」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예술 경영이 예술가와 예술 작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본 연구의 결과, 1859년 이 작품의 낙선을 계기로 일어난 밀레 예술 경영의 효과는 즉각적이면서도 지속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860년부터 밀레의 화 …

밀레의 「죽음의 신과 나무꾼」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예술 경영이 예술가와 예술 작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본 연구의 결과, 1859년 이 작품의 낙선을 계기로 일어난 밀레 예술 경영의 효과는 즉각적이면서도 지속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860년부터 밀레의 화가로서 위상이 높아져갔고, 이는 1864년 국전의 1위와 1868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 수상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죽음의 신과 나무꾼」도 1860년 파리 개인 갤러리의 전시를 시작으로 1867년 파리 만국박람회에까지 전시되면서 그 진정한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또한 예술가와 예술 작품을 위한 예술 경영이, 결국 예술 경영에 참여한 기관이나 인물들도 함께 성장시키는 발판이 되었다는 점도 흥미로운 사실이었다. 1859년 당시 신생잡지였던 『조형예술 잡지』는 이후 프랑스 문화예술계를 대표하는 대중 매체로서의 권위를 지니게 되었고, 샤를 블랑 역시 콜레쥬 드 프랑스의 교수와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정되면서 사회적인 위상이 높아졌다. 1859년 미술비평가로 참여했던 폴 망츠 역시 밀레에 관한 비평들을 지속적으로 발표하면서 밀레 전문가로 거듭났고, 화가의 사후 그에 관한 주요 전기의 편집을 담당하여 출판하였다. 이러한 사실들은 밀레 예술 경영에 있어서 예상하지 않았던 부수적인 성과들이었지만, 본 연구수행을 통해서 해당 예술가와 예술 작품뿐만 아니라 예술 경영의 참여자들도 상호 발전할 수 있다는 또 다른 측면에서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밀레와 그의 작품 「죽음의 신과 나무꾼」을 통해 예술가와 예술 작품에 있어서 예술 경영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교육, 사회, 학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발전과 활용을 기대해볼 수 있다.

1) 프랑스 문화예술교육의 증진

본 연구는 우선 프랑스학과 관련된 전공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다. 최근 기존의 불어불문학과에서 프랑스문화학과, 프랑스어문·문화학과 등으로 학과명을 개명하는 대학교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인문대학의 교육이 문학이나 언어학에 국한되기 보다는 다양한 문화를 접목시키는 학제적인 교육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본 연구는 문학이나 언어학에 영화, 미술, 공연예술 등을 접목하는 프랑스 관련 강의에 경영이라는 또 하나의 실천적인 학문을 추가하는 융복합적인 교육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대학교와 같은 정규 교육기관에서 뿐만 아니라 박물관을 비롯한 공공기관이나 사설기관에서도 문화예술경영 교육의 일환으로 활용될 수 있다.

2) 학문적 기여

밀레 연구는 그 대중적 관심에 비해 국내 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2014년 밀레 탄생 200주년 기념으로 출판된 자료들도 새로운 시도의 연구라기보다는 기존 내용의 집약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예술 경영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밀레와 그의 작품 「죽음의 신과 나무꾼」을 분석하여 밀레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예술 경영 분야에서도 19세기 프랑스 예술 경영의 사례 분석은 이례적인 연구로 중요한 지표를 제공할 것이다.

3) 예술가와 예술 작품에 대한 예술 경영의 활성화

최근 한류의 열풍이 고조되면서 한국 문화 예술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역량 있는 한국 예술가들이 국내외로 활발히 활동하면서 세계적인 작가로 성장할 수 있게 하는 조력자 역할의 예술 경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신진 예술가들은 아트 페어나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작품을 알릴 수도 있겠지만, 작품 제작 활동 이외의 영역까지 감당하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는 단기적으로는 이러한 신진 예술가들에게 작품 활동의 방향을 제시하고, 장기적으로는 김환기, 이우환, 박서보 등과 같이 현재 한국을 대표하는 화가들이 미술사에서 보다 확고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예술가와 예술 작품의 예술 경영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예술가와 예술과 도덕

내가 제일 여러 번 읽고 좋아하는 시는 박진성 시인의 <식물의 밤> 이라는 시집에 나오는 <투명> 이라는 시다. 읽어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투명하고 여린 것 같은 이미지에서 강직하게 뿜어져 나오는 필체의 카리스마가 너무나 매력적인 시다. 외국까지 소중하게 가지고 갔던 박진성 시인의 시집은 외국 생활에서 심심한 위로와 재미가 되어주곤 했다. 당연히 내가 좋은 것은 나누고 싶은 마음에 친구한테 이 시인의 시집을 추천해주었는데 “박진성 시인은 최근 문화계 성폭력 추문에 여러번 언급 되어서 본인이 활동 중단을 선언한 대표적인 인물이야..” 라는 답글이 돌아왔다. 무언가 민망한 마음에 몰랐다는 식으로 서둘러 답글을 달았지만 사실은 알고 있었다. 예술가와 예술 작품의 관계를 논할 때, 나는 그 둘은 전혀 다른 것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물론 예술가가 죄를 지어도 그의 예술 작품이 좋으면 다 용서받을 수 있고 좋다 – 라는 것은 결코 아니지만 우리는 참 망나니 같은 사람들의 예술 작품을 아주 오래 전부터 즐기고 있었다. 바그너의 음악 중에서 유태인 혐오가 담기지 않은 음표 하나가 없다는 설이 나올 정도로 바그너는 심각한 유태인 혐오자였다. 화가 카르바지오는 살인자였고 바이런은 근친상간을 즐겼고 플로베르는 미성년 남자아이들에게 돈을 주고 섹스를 즐겼다. 예술가는 그럭저럭 괜찮은 사람일지 몰라도 그 예술가가 창작하는 예술이 도덕적으로 용납받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신물이 나올 정도로 많이 우려먹는 예시지만 미성년자와의 성욕구를 주 소재로 한 롤리타 라는 소설같이 말이다.

사람을 논할 때 도덕적인 잣대를 들이대고 평가할지 언정 예술까지도 도덕적인 잣대를 들이댈 수 있는 것인가에서 나는 예술은 미적 영역 안에서만 평가 받아야한다고 생각한다. 예술이 도덕적인지에 따라서 예술의 가치가 올라가는 것이 아닌 것처럼 예술이 굳이 도덕적일 필요도, 좋은 예술을 만들기 위해 예술가가 도덕적일 필요도 없다 (물론 예술가가 죄를 지었으면 당연히 법원에서 판결을 받고 죗값을 치루어야겠지만). 어떤 그림이 인종차별적 요소가 들어갔다고 해서 감상자까지도 인종차별에 동의할 필요는 없다. 작가의 붓터치와 섬세한 구도나 아이디어를 즐긴다고 해서 그 그림이 품은 인종차별적 이야기까지도 내가 인지하고 이해한다는 것이 동의한다는 의미는 아니니까.

원래 생각했던 것보다는 많이 벗어나는 기분이지만 결국 표현의 자유에 귀결되지 않나 싶다. 일베 동상이 홍대에 올라간다고 해서 분노할지 언정 그것을 부시는 것과 페미니스트들이 여자를 꽃에 비유하는 것이 불편하다 라고 할지 언정 그 비유를 금지해라 라고 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다. 예술가도 마찬가지 아닌가 싶다. 어떤 부도덕한 예술가가 어떤 부도덕한 이야기를 하던 그 이야기를 “하지 말라” 라고 하는 것은 개인의 도덕도, 사회의 도덕도 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절대 다수가 내가 불편하고 내가 싫고 그런 생각이나 부도덕한 짓을 한 예술가가 싫다 라고해서 그 예술가의 목소리와 창작물을 부시고 태우고 억압하는 것은 결국 우리 사회에 있는 한 목소리를 나 편한대로 지우는 것 밖에 되지 않는다.

결론 따위 없지만 박진성 시인 외에도 다른 문학계 성폭행 추문에 관해서 진실이 밝혀지고, 허위사실이 있다면 가려내고 만약 죄가 있다면 떳떳하게 처벌을 받으셨으면 싶다. 그리고 다시 돌아와 글을 쓰신다면, 모두들 전보다 더 성숙해진 필체로 돌아오셨으면 하고 바란다.

[Opinion] 진정한 예술가란? [사람]

진정한 예술가란 무엇일까.

예술가에 대한 정의는 예술 활동, 곧 예술 작품을 창작하거나 표현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이라고 나온다. 사회적 직업으로는 화가, 가수, 시인, 영화감독, 포토그래퍼 등을, 그리고 평범한 사람들과는 다른 발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예술가라고 지칭하는 것 같다.

나는 자신이 생각한 것과, 감성을 예술 작품으로 표현해내는 것이 예술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작사, 작곡에 참여하지 않은 가수들은 예술가가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저 노래를 잘 부르는 기술자가 아닐까? 물론 노래에 담긴 감정을 읽어내고 자신만의 기술로 표현해내는 것도 예술적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나는 그것이 예술 작품을 감상하고 감상문을 쓴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 기술로 사람들에게 감동을 줄 수는 있지만 결국에는 기술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여러 뮤지션 중에서 내가 진짜 예술가라고 생각한 뮤지션은 싱어송라이터와 래퍼이다. 싱어송라이터는 자신이 직접 작사·작곡한 곡을 직접 노래하며 래퍼도 직접 작사하고 그에 맞는 랩을 구상한다. 가치관, 고민, 생각, 감정들을 멜로디와 가사로 창작해내는 능력을 갖추고 있기에 진정한 예술가라고 생각했다.

이런 나의 생각이 2017년, 조영남의 미술 대작 사건 이후로 조금 변하게 되었다. 조영남 미술 대작 사건은 그의 그림을 실제로 그린 대작 화가가 따로 존재하고 조영남은 그림에 대한 아이디어와 구상만을 했으며 대작 화가에게는 실제 그림 값에 비해 터무니없이 적은 돈을 지불하여 화제가 된 사건이다. 미술계에서 이렇게 유명한 작가가 아이디어만을 건네고 무명의 화가들이 그림을 대신 그리는 대작은 흔한 일이라고 한다.

아이디어와 기술 중에 어떤 것이 더 예술에 가까울까? 나는 예술에서 아이디어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렇다면 조영남을 진정한 예술가라고 할 수 있을까? 조영남의 작품을 그린 무명의 화가는 예술가가 아닌 것일까? 조영남 대작 사건과 비슷한 예가 있는데, 미국의 유명한 상업 소설 작가인 제임스 피터슨 작가의 일이다.

그는 플롯만을 자신이 짜고 젊은 작가 지망생을 고용하여 세세한 부분을 쓰도록 하였고 이 사실을 알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 내용이 재미있다는 평을 받으며 인기를 거뒀다. 책이 잘 팔리고 호평을 받은 것은 그 책이 재미있었기 때문이다. 줄거리 뿐만 아니라 그를 풀어가는 실력 또한 좋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본다.

사람들이 보는 것은 작품 그 자체이다. 작품을 만든 동기와 담긴 의미보다는 작품의 구성과 개성, 완성도가 더 중요하다. 예술 작품은 작가가 예술혼을 불태워 창작하는 것 또한 의미 있지만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그럼으로써 평소에는 잘 느끼지 못하던 감동을 느끼게 해주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아이디어만으로는 감상자에게 감동을 줄 수 없다. 예술은 작품을 접할 때 감각 기관을 통해 느껴지는 첫 감흥이 중요한 만큼 작품의 질과 완성도가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면서 예술 작품은 사람의 머리에서 나온 아이디어와 그 아이디어를 녹여내는 기술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여전히 나는 예술가에게는 작품을 구상하고 창작해내는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아이디어를 완성된 작품으로 만들어내고 이를 감상자에게 감동을 느끼도록 전달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예술은 감상자가 작품을 보자마자 홀딱 반하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에 잘 만들어진 하나의 완성된 작품을 만들기 위해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예술가라고 생각한다.

미술경매가 예술가와 예술작품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미술경매가 예술가와 예술작품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만종」의 1889년 경매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만종」은 미국과의치열한 경합 끝에 천문학적인 액수로 프랑스에 낙찰되었다. 경매 직후「만종」의 구매에 호의적이었던 프랑스 여론이 광산 폭발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악화되었고, 주요 언론들은 「만종」의 가치에 대한공방을 벌였다. 결국 프랑스 의회가 「만종」 구매를 위한 지원금을 부결시키면서, 「만종」을 미국에 양도하게 되었다. 이러한 미술경매 역사상유례없는 초유의 사태는 오히려 밀레와 그의 작품들이 재조명되는 계기가 되었고, 주요 관련 자료들도 다수 발표되었다. 1889년 「만종」의경매가 밀레와 그의 작품들에 대한 평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paper, the role of the art auction is studied through French painter Jean-François Millet’s The Angelus. One of the most remarkable events in the history of 19th century art auction, ‘The Secrétan sale in 1889’, has mainly been focused on. Not only because The Angelus was contracted at the absurd price of 553,000 franc, are we giving attention to the event. Having showed interest openly in purchasing the art work, The American Art Association fiercely bid against France but it was in vain. However, the promised financial support was revoked in the France assembly, leading to an unprecedented happening in the art auction history: The Angelus had to be handed over to the U.S. due to the cancelation of the bid. The public opinion was still favorable right after the Secrétan sale, July 1st, 1889. Two days later, the Saint-Étienne mine disaster occurred, getting about 200 people killed and injured. After this accident the public opinion took a sudden turn for the worse. The French press exchanged arguments about The Angelus’ artistic worth. In this social atmosphere The Angelus came into the U.S. possession. When the cancelation of The Angelus’ bid was decided, an introspective voice arose for the loss of the national art piece. As interest increased in the painter Millet, many materials and references were published. The auction of The Angelus in 1889 demonstrated us clearly that two external events as well as the auction itself gave rise to significant changes in the evaluation of artists and their works.

키워드에 대한 정보 예술가 와 예술 작품

다음은 Bing에서 예술가 와 예술 작품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현재의 시선으로 과거 작품을 평가하는 게 옳은가? 예술가와 작품은 어떻게 바라봐야할까?

  • 예술가
  • 예술
  • 미술
  • 이외수
  • 오스카 와일드
  • 화냥
  • 논란
  • 페미니즘
  • 여혐
  • 혐오
  • 여성
  • 류근
  • 문학
  • 작품

현재의 #시선으로 #과거 #작품을 #평가하는 #게 #옳은가? #예술가와 #작품은 #어떻게 #바라봐야할까?


YouTube에서 예술가 와 예술 작품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의 시선으로 과거 작품을 평가하는 게 옳은가? 예술가와 작품은 어떻게 바라봐야할까? | 예술가 와 예술 작품,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인스 타 그램 인플 루 언서 순위 | 🙋‍♀️옷잘입고 싶다면, 참고할만한 아시안 인플루언서들(\"서양인 체형은 감정이입안된다!!인정^^) 일상룩Ootd, 키작녀, 통통녀까지~ 15 개의 자세한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