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플라스틱 기업 |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지구를 살리는 기술 – 한국화학연구원 황성연 박사 [브라보 K-사이언티스트] / Ytn 사이언스 상위 31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바이오 플라스틱 기업 –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지구를 살리는 기술 – 한국화학연구원 황성연 박사 [브라보 K-사이언티스트] / YTN 사이언스“?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YTN 사이언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7,819회 및 좋아요 802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이스트만케미칼, 듀퐁, 바이엘, 상품명“에코플 렉스”의 바스프 저팬 등 선진기업들이 바이오 플 라스틱 시장에 참여하면서 기술개발이 급속히 진 전되고 있다. 해외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 주요 기 업에서는 바이오 기반 고분자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제품 생산을 위해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바이오 플라스틱 기업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지구를 살리는 기술 – 한국화학연구원 황성연 박사 [브라보 K-사이언티스트] / YTN 사이언스 – 바이오 플라스틱 기업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 황성연 /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 화학연구센터장
열다섯 번째 주인공!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 화학연구센터장 황성연 박사!
우리나라의 일일 플라스틱 배출량 약 6,400t! 그야말로 플라스틱 공화국이라고 불러도 될 만큼 사용량뿐만 아니라 버려지는 플라스틱의 양도 많은 것이 현실이다.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 화학연구센터장인 황성연 박사는
수백 년이 지나도 썩거나 분해되지 않는 석유계 플라스틱을 대신할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을 연구하고 있다.
2016년 연구소가 개소된 이래 4년만인 지난 2019년 4월, 생분해성 플라스틱 개발에 성공한다. 이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만든 제품은 일반 플라스틱의 기능과 동일하거나 오히려 물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토양에 묻을 경우 6개월이면 물과 이산화탄소로 100% 분해되어 자연으로 돌아가는 친환경적인 소재로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다.
황 박사 연구팀은 이에 그치지 않고 지난 2017년에는 원유정제공장에서 발생하는 황 폐기물을 활용해 상처가 나거나 잘려도 원상복구 가능한 자가치유 소재를 만들었다. 최근 그는 개발된 자가치유 소재로 아주 특별한 제품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지구를 살리는 기술을 완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그의 열정을 함께 들여다보자.
대한민국 과학을 이끌어가는 과학자들의 연구와 삶을 들여다보며
그들을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394\u0026s_hcd=\u0026key=202004280925028159

바이오 플라스틱 기업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생분해 플라스틱에 투자하는 기업들 매거진한경 – 한국경제

화이트 바이오는 식물 등 생물 자원을 원료로 산업용 소재 또는 바이오 원료 등의 물질을 생산하는 산업을 뜻한다. 석유 화학 소재를 대체하는 친환경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magazine.hankyung.com

Date Published: 10/9/2021

View: 7810

안코바이오플라스틱스

국내 최고 생분해플라스틱 기업. … 친환경 소재 중심 기업인 ANPHAT 社와의 파트너쉽을 통해 국내 최고 생분해플라스틱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져나가고 있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an-korbio.co.kr

Date Published: 11/12/2021

View: 612

국내 기업, 친환경 플라스틱 어디까지 – 팍스넷뉴스

그 중 바이오 기반 생분해 플라스틱 분야에서 속도를 내고 있는 기업은 CJ제일제당, LG화학이다. 바이오 기반 생분해 제품은 친환경 원료로 만들어 탄소의 …

+ 여기에 보기

Source: paxnetnews.com

Date Published: 10/1/2021

View: 206

“30조 친환경 시장 잡아라”…썩는 플라스틱 개발에 기업들 ‘합종 …

양사는 2023년부터 3HP 시제품을 생산해 생분해성 소재 등 다양한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이들 회사는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 석유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joongang.co.kr

Date Published: 8/21/2022

View: 8627

환경도 살리고, 수익도 창출하는 ‘바이오 플라스틱’ 전세계적으로 …

국내의 경우, 정부출연 연구기관과 기업들을 중심으로 바이오 플라스틱 연구개발이 활발해지는 중이다. CJ제일제당은 내년 양산을 목표로 바이오 생분해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impacton.net

Date Published: 3/28/2021

View: 385

No.1 친환경 생분해성 플라스틱, 바이오 플라스틱 전문 제조 …

KBF(Korea Bio Foam)은 친환경 생분해성 플라스틱, 바이오 플라스틱 전문 제조 업체로 국내 유일 PLA Foaming, PLA 발포, 비발포, PLA 발포시트 등 친환경 패키징 제조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koreabiofoam.com

Date Published: 2/12/2021

View: 6099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개발·보급 확대…유망기업 30억원 지원

정부가 미래 유망산업인 화이트바이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소재와 제품화 기술개발에 속도를 낸다.

+ 여기에 보기

Source: www.korea.kr

Date Published: 9/5/2021

View: 9928

바이오 플라스틱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바이오 플라스틱은 원료, 분해 메커니즘, 생산방법에 따라 생분해 플라스틱,. 산화 생분해 플라스틱, 바이오 … [그림] 바이오플라스틱 전후방 산업과 관련 기업.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innopolis.or.kr

Date Published: 6/2/2021

View: 6400

LG화학 新먹거리 `바이오 플라스틱` 키운다 – 매일경제

美 대형 곡물社 ADM과 제휴 연산 7만5천t 규모 공장 설립 100% 생분해 플라스틱 생산 국내기업 첫 수직계열화 구축.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mk.co.kr

Date Published: 11/28/2021

View: 645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바이오 플라스틱 기업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지구를 살리는 기술 – 한국화학연구원 황성연 박사 [브라보 K-사이언티스트] / YTN 사이언스.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지구를 살리는 기술 - 한국화학연구원 황성연 박사 [브라보 K-사이언티스트] / YTN 사이언스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지구를 살리는 기술 – 한국화학연구원 황성연 박사 [브라보 K-사이언티스트] / YTN 사이언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바이오 플라스틱 기업

  • Author: YTN 사이언스
  • Views: 조회수 47,819회
  • Likes: 좋아요 802개
  • Date Published: 2020. 4. 27.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YwLv2Kzi83o

‘생분해 플라스틱’에 투자하는 기업들

생물 유래 소재 활용해 땅속에서 자연 분해…CJ제일제당·LG화학 등 선점 나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일회용품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8월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시자원순환센터에서 관계자들이 플라스틱 재활용 쓰레기를 정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CJ제일제당의 인도네시아 파수루안 바이오공장.(사진=CJ제일제당)

SK지오센트릭과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PBAT’ 시장 진출과 선점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사진=한국경제신문)

빈 페트병부터 테이크아웃 커피 컵, 배달 음식통까지 플라스틱 쓰레기가 넘쳐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팬데믹(세계적 유행) 이후 이러한 현상은 더 악화됐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배달과 포장이 많아지면서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도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다.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플라스틱 제품의 양은 연간 4억4000톤으로 추정된다. 흔히 플라스틱이 썩는 데 500년이 걸린다고 말하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플라스틱은 미생물이 분해할 수 없기 때문에 언제 썩을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500년이 걸릴 수도 있고 그 이상의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세계 각국은 각종 협약을 통해 플라스틱 생산량과 소비량을 줄이려고 노력해 왔다.하지만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온라인 쇼핑과 음식 포장 및 배달의 증가로 플라스틱의 양이 더 늘어나기 시작했다. 2021년 플라스틱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한국의 폐플라스틱 배출량도 코로나19 사태 이전보다 14.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간의 노력이 무색하게 플라스틱의 양이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배출된 플라스틱 중 단 13%만이 재활용된다. 나머지는 소각되거나 매립되는데, 두 방법 모두 환경적으로는 ‘옳지 않다’는 것이 중론이다. 플라스틱의 올바른 처리 방법을 찾는 것은 인류가 공동으로 해결해야 할 숙제가 됐다.소각이나 매립이 환경에 해가 된다면 플라스틱의 처리 방법은 두 가지의 선택만이 남아 있다. 재활용하거나 애초부터 자연 분해되는 플라스틱을 소비하는 것이다.그동안 재활용에 초점을 맞춰 왔지만 플라스틱 재활용에는 엄청난 비용이 든다. 이에 따라 자연에서 스스로 분해되는 ‘생분해 플라스틱’이 최근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업계에서는 글로벌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이 향후 5년 내 3조원 이상의 규모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유럽과 중국 등을 중심으로 친환경 규제가 늘고 있고 환경 보호가 곧 인류의 건강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술력의 진화로 재활용 비닐로 시작된 생분해 소재가 빨대·페트병·포장재·섬유에 이르기까지 활용도가 높아진다는 점도 이 시장을 키우고 있다.환경 보호의 필요성을 절감한 글로벌 기업들도 생분해 플라스틱을 적극 사용 중이다. 코카콜라는 2030년까지 전체 페트병의 50%를 친환경 원료로 만들겠다고 공표했다. 나이키도 친환경 재생 소재로 만든 운동화를 출시하는 등 수백조원에 이르는 1회용·범용 플라스틱 시장이 친환경 소재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은 기술력을 집약해 친환경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에 너도나도 뛰어들고 있다.최근 해양 생분해 플라스틱 생산으로 주목받는 기업은 CJ제일제당이다. 한국만 해도 석유와 화학 기업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는 이 시장에서 식품 기업인 CJ제일제당이 두각을 나타내는 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우선 CJ제일제당은 자사의 식품을 포장할 때 쓰는 플라스틱 제품을 교체하기 위해 이 시장에 뛰어들었다고 분석할 수 있다. 하지만 CJ제일제당은 더 큰 시장을 보고 있다. 생분해 플라스틱 소재의 생산을 통해 궁극적으로 ‘화이트 바이오’ 산업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화이트 바이오는 식물 등 생물 자원을 원료로 산업용 소재 또는 바이오 원료 등의 물질을 생산하는 산업을 뜻한다. 석유 화학 소재를 대체하는 친환경 사업 분야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이 화이트 바이오 사업의 주력 제품이 CJ제일제당이 개발한 100% 해양 생분해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 ‘PHA’다. PHA는 친환경 플라스틱을 만드는 데 매우 중요한 소재다. PHA에는 미생물이 식물 유래 성분을 먹고 세포 안에 쌓아 놓는 고분자 물질로, 토양과 해양을 비롯한 모든 환경에서 분해되는 특성이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생분해 플라스틱인 PLA가 특정한 공정을 거쳐야만 분해되는 반면 PHA는 바닷물 속에서도 100% 생분해되는 세계 유일의 소재다.생분해 소재 중에서 유일하게 해양에서 생분해가 가능하고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 PHA는 CJ제일제당을 비롯해 미국 대니머, 일본 카네카 등 전 세계에서 오직 극소수의 기업만이 생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시장에서 CJ제일제당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CJ제일제당은 2021년 말 인도네시아 파수루안에 있는 바이오 공장에 PHA 전용 생산 라인을 신설하고 연간 5000톤 규모의 대량 생산 체제를 갖췄다. 이 공장의 주력 품목인 아미노선과 PHA 생산에는 미생물 발효 기술이 공통적으로 사용돼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 CJ제일제당에 따르면 본격적인 생산 전임에도 불구하고 유럽 등 유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초기 양산 물량을 뛰어넘는 5000톤 이상을 선주문해 안정적인 물량 확보와 함께 시장 공략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유럽과 일본 등 주요 시장에서 해양 생분해가 가능하고 기존 소재의 단점을 극복한 CJ제일제당의 PHA에 대한 높은 수요가 확인됐다”고 말했다.석유 화학과 소재 기업들도 생분해 플라스틱 소재를 만드는 데 뛰어들고 있다. 특히 생분해 플라스틱 생산이 고도의 기술력을 요하는 만큼 기업들은 기술 협력을 통해 향후 이 시장의 ‘게임 체인저’가 되기 위한 전략을 설계하고 있다.SK이노베이션의 친환경 화학 사업 자회사인 SK지오센트릭과 코오롱인더스트리가 2021년 12월 22일 손잡고 친환경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개 ‘PBAT’를 상업 출시한다고 밝혔다.PBAT(Polybuthylene Adipate-co-Terephthalate)는 자연에서 미생물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는 친환경 플라스틱 제품이다. SK지오센트릭과 코오롱인더스트리는 2021년부터 PBAT 공동 연구·개발(R&D)을 진행해 왔다. 그결과 2021년 4월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후 시제품 생산과 ‘환경 표지 인증(EL724&)’을 획득하고 8개월 만에 상용 제품을 출시하게 됐다.SK지오센트릭은 PBAT의 원료를 공급하고 보유한 마케팅 역량과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판매처를 지속 확대해 나간다. SK지오센트릭은 PBAT의 주요 원료이자 각종 섬유·플라스틱·전자 화학 물질 제조에 사용되는 1, 4-부탄디올(1, 4-Butanediol)을 한국에서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다.한국 최고 수준의 폴리에스터계 제품 생산 기술을 가진 코오롱인더스트리는 SK지오센트릭에서 제품 원료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아 최적의 온도와 소재 혼합 비율 등 양 사의 기술력을 접목한 고품질의 PBAT를 구미 공장에서 생산한다.일반 플라스틱 제품이 자연 분해되는 데 100년 가까이 소요되는 반면 PBAT는 매립 시 6개월 이내 90% 이상 분해되는 높은 친환경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다. 빠른 분해 속도와 유연성으로 각종 일회용 봉투, 농업용 멀칭 비닐(토양의 온도나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농업용 비닐) 등에 활용된다. 특히 단단한 성질을 가진 옥수수 전분에서 추출한 친환경 소재인 PLA나 전분 등 다른 소재와 결합 시 기존 플라스틱 필름과 유사한 강도를 가지게 되고 인쇄성과 가공성이 높아 패키징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에 PBAT는 자연 토양에서 퇴비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거에 어려움을 겪는 기존 농업용 필름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PBAT 구미 공장의 생산 능력은 연 3000톤 규모다. 환경 규제 강화와 함께 생분해성 제품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업계는 글로벌 PBAT 시장 규모가 2020년 22만 톤에서 2025년 80만 톤 규모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SK지오센트릭은 코오롱인더스트리와 2024년까지 연간 6만 톤 규모로 생산 능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LG화학은 2020년 10월 옥수수 성분의 포도당과 폐글리세롤을 활용한 100% 생분해성 신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이는 LG화학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소재로, 합성 수지와 동등하게 투명하면서도 생분해가 가능하다는 게 장점이다.여기에 더해 LG화학은 한국 기업들 중에서는 최초로 미국에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 공장을 건설한다. LG화학은 2021년 9월 글로벌 곡물 가공 기업 미국 아처대니얼스미들랜드(ADM)와 손잡고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조 공장을 세운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미국 시카고 ADM 본사에서 후안 루시아노 AMD 최고경영자(CEO)와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이 합작 법인 설립을 위한 주요조건합의서(HOA)를 체결했다. 양 사는 2025년까지 미국 현지에 연 7만5000톤의 PLA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세운다.PLA는 옥수수에서 추출한 글루코오스(포도당)를 발효·정제해 가공한 ‘젖산(LA)’을 원료로 만든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다. 100% 바이오 원료로 생산돼 식품 포장 용기나 식기류 등에 사용된다. 한국 기업이 미국에 PLA 공장을 세우는 것은 최초다. 2022년 1분기(1∼3월) 중 공장 부지를 선정해 이르면 2023년 착공할 계획이다.이명지 기자 [email protected]바이오산업의 숨은 강자, CJ제일제당-ESG 경영의 ‘핵심’으로 자리 잡은 플라스틱 감축

국내 기업, 친환경 플라스틱 어디까지

[팍스넷뉴스 정혜인 기자] 우리나라 기업들이 하나 둘 친환경 플라스틱 시장 문을 두드리고 있다. 그 중 바이오 기반 생분해 플라스틱 분야에서 속도를 내고 있는 기업은 CJ제일제당, LG화학이다. 바이오 기반 생분해 제품은 친환경 원료로 만들어 탄소의 발생을 줄이기도 하고 생분해까지 가능해 세계 플라스틱 시장에서 가장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CJ제일제당은 ‘바이오 기반 생분해 플라스틱’ 중 PHA의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CJ제일제당의 바이오사업부문은 2016년 미국 메타볼릭스의 PHA 관련 기술을 112억원에 인수하면서 친환경 플라스틱 분야에 뛰어들었다. 미국 메타볼릭스의 기술을 기반으로 꾸준히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에 5000톤 규모 PHA 생산시설을 짓고 2022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LG화학 역시 바이오 기반 생분해 기술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PLA(옥수수 전분 원료로 만든 친환경 수지)를 연구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옥수수 성분의 포도당과 폐글리세롤을 활용해 바이오 함량 100%인 생분해성 소재의 개발을 마무리했다. 친환경 소재로는 어려운 투명성을 구현해내는데도 성공했다. 현재는 각 센터별로 개발하고 있는 기술들의 상용화를 검토하고 있는 단계다.

“30조 친환경 시장 잡아라”…썩는 플라스틱 개발에 기업들 ‘합종연횡’

세계 각국이 탄소 저감 정책을 시행하면서 국내 주요 석유화학 기업들이 썩는 플라스틱 등 친환경 신소재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미국·중국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퇴출이 본격화하면서 친환경 소재 시장의 성장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이종업계 간 협업도 활발해지고 있다.

SKC·대상·LX인터내셔널, 친환경 신소재 개발

화학·소재업체 SKC와 식품업체 대상, 종합상사 LX인터내셔널은 합작법인을 세우고 친환경 신소재 개발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SKC는 지난 23일 이사회를 열고 대상·LX인터내셔널과 설립하는 합작회사에 총 1040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대상은 400억원, LX인터내셔널은 360억원을 각각 출자할 예정이다.

합작법인은 2023년 상업화를 목표로 국내에 연간 생산량 7만t 규모의 시설을 세울 계획이다. 이는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를 생산하는 글로벌 제조사 가운데 두 번째로 큰 규모다.

SKC는 지난해 한국화학연구원으로부터 고강도 PBAT 기술을 도입해 양산 기술을 개발하는 등 사업화를 준비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합작회사에 고강도 PBAT 양산 기술과 운영 노하우, 연구개발 역량을 제공할 예정이다. 대상은 발효 역량을 활용해 향후 PBAT 주요 원료를 친환경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로 대체해 공급하기로 했다. LX인터내셔널은 해외 마케팅 역량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제품 판로를 개척한다.

기존 PBAT는 단기간에 땅속에서 100% 분해되지만 잘 찢어져 용도 확대에 한계가 있었다. 반면 고강도 PBAT는 나무로부터 추출한 나노셀룰로스를 보강재로 활용해 일반 플라스틱 수준의 강도를 갖는다. 이로 인해 빨대와 비닐봉지, 농업용 비닐제품(멀칭필름) 등 분해가 잘 안 되는 일회용 플라스틱 상품의 대체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SKC 관계자는 “이미 20여곳의 고객사와 시험을 통해 상업 적용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SKC는 농협경제지주·함양농협·일신화학과 함께 농업용 생분해 비닐제품 시범 사업을 하고 있다. SKC가 고강도 PBAT 소재를 제공하고, 일신화학이 생분해 멀칭필름을 만들어 함양군 양파 재배단지에 공급하는 구조다. 농작물 재배 토양을 덮는 멀칭필름은 경작 후 수거해 처리해야 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생분해성 제품을 활용하면 환경문제는 물론 인력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된다.

GS칼텍스·LG화학, 생분해 플라스틱 원료 개발

GS칼텍스와 LG화학은 친환경 플라스틱 원료 개발을 위해 손을 잡았다. 두 회사는 지난 18일 하이드록시피온산(3HP) 양산 기술 개발과 시제품 생산을 위한 공동개발협약(JDA)을 체결했다. LG화학이 개발한 3HP는 바이오 원료인 포도당과 비정제 글리세롤(식물성 오일 유래)의 미생물 발효 공정을 통해 생산하는 친환경 물질이다. 3HP로 만든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미생물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기 때문에 미세플라스틱과 같은 환경오염 물질을 남기지 않는다.

LG화학 관계자는 “3HP는 기저귀에 쓰이는 고흡수성수지(SAP)와 도료·접착제·코팅제·탄소섬유 등 다양한 소재의 원료로 사용 가능해 시장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양사는 2023년부터 3HP 시제품을 생산해 생분해성 소재 등 다양한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이들 회사는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 석유화학 연료와 화학제품 등을 만드는 화이트 바이오 분야에서 협업하고, 지속가능한 바이오 생태계 실현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생분해 소재 시장은 최근 유럽 중심의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규제 강화와 폐플라스틱 이슈 확산 등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한 시장조사업체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약 25만톤 규모였던 글로벌 PBAT 시장은 2025년 약 50만 톤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중국과 미국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퇴출을 본격화하면서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SKC는 잠재수요가 200만t을 상회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21조원 규모인 글로벌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은 연평균 23% 성장해 2026년 34조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석화업계 관계자는 “전 세계적인 저탄소 정책 기조 강화로 정유·화학 제품의 수요가 크게 줄고 있다”며 “고부가가치 친환경 제품 개발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환경도 살리고, 수익도 창출하는 ‘바이오 플라스틱’ 전세계적으로 인기

폐플라스틱 폐기물이 증가하는 가운데, 친환경적인 바이오 플라스틱 인기가 전세계적으로 뜨겁다./ 픽사베이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전 세계 연간 플라스틱 생산량은 1950년 200만 톤에서 2015년 3억 8000만 톤으로 190배 이상 증가했다. 부패하지 않는 영속성을 지닌 플라스틱 생산량이 늘어난 만큼, 폐기물 양산은 피해갈 수 없다. 그런데 최근 미국 국립과학공학의학원(NASEM) 조사에 따르면, 이 중 800톤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 토양을 넘어 해양 생태계까지 교란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플라스틱 대체제로 ‘바이오 플라스틱’의 인기가 전세계적으로 뜨거워졌다. 바이오 플라스틱이란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과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통칭한다.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은 옥수수, 사탕수수 등 식물 유래 자원을 원료로 한 플라스틱을 가리키며,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폐기 후 일정 조건에서 물과 이산화탄소로 완전히 분해되는 ‘썩는 플라스틱’을 의미한다.

바이오 플라스틱은 기존 플라스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성을 가진 소재지만, 탄소 배출 저감 및 유기 재활용, 폐기물 관리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포장재, 소비재, 농업ㆍ원예, 코팅ㆍ접착제 등 다양한 제품군으로 생산이 가능한다.

물론 단점도 있다. 종류에 따라 옥수수·사탕수수·미생물·석유화학 등 원재료가 다르며 그에 따라 폐기물 문제, 비싼 가격, 탄소배출 저감량 미미 등이 야기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술 혁신 등으로 환경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가격도 저렴한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이 활성화되고 있다.

유로피언 바이오플라스틱(European Bioplastic)에 따르면, 바이오 플라스틱은 전 세계적으로 약 211만톤(2020년 기준)이 생산되고 있으며, 2025년까지 연평균 6.4% 증가해 287만톤 생산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올해 들어 미국, 유럽연합(EU) 등 선진국은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고 탄소 저감을 촉진하려는 목적으로 바이오 플라스틱 산업에 보다 주목하고 있다. 기존 화학산업의 소재를 식물 등 재생가능한 자원을 이용하거나 미생물, 효소 등을 활용하여 바이오 기반으로 대체하는 산업(연료, 플라스틱, 개인 생활제품 등)으로, 이미 바스프(BASF), 듀퐁(Dupont) 등 글로벌 석유화학 기업들은 바이오기업과 협력해 전략적 기술제휴 등으로 산업을 주도해 나가고 있다. 또 미국‧유럽 등을 중심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됨과 동시에 바이오 플라스틱 R&D 등의 지원이 확대되고 있다.

비단 선진국뿐 아니라 개도국에서도 바이오 플라스틱의 인기는 뜨거워지고 있다. 인도의 경우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이 2019년 2억850만 달러(2451억원)로 연평균 23.91%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5년에는 7억5460만 달러(8871억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다수의 기업들이 바이오 플라스틱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2020년에는 미국 버클리대에 소재한 기업 라이고스(Lygos)와 인도 푸네에 소재한 프라지(Praj Industries)가 양해각서를 체결하여 인도에서 유산(lactic acid)를 생산하기로 하였는데 이는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이라는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의 원료로 활용된다.

2019년에는 폴리락트산의 글로벌 기술 리더인 ‘토탈 코비온(Total Corbion PLA)’이 인도의 폴리머 및 화학품 제조업체 ‘콩칸(Konkan Speciality Poly Products)’사와 협력하여 인도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에 진출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KOTRA는 최근 ‘인도 바이오플라스틱 시장 현황’ 분석을 통해, 인도의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 성장을 주도하는 원동력으로 정부의 정책, 소비자들의 환경문제 인식 증가, 기업들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강조, 기술 안정화, 그리고 비용 감소 등을 꼽았다. 정책지원, 기업참여 의지, 소비자 인식 증대라는 삼박자가 맞물려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인도에서 부상하는 바이오 플라스틱 최종소비재 제품들은 3D 프린팅, 장난감 등 아동용품, 유아용품, 식품포장용 PLA 필름, 위생용품 등으로 다양하며, 앞으로 보다 사용이 확대될 전망이다.

국내의 경우, 정부출연 연구기관과 기업들을 중심으로 바이오 플라스틱 연구개발이 활발해지는 중이다. CJ제일제당은 내년 양산을 목표로 바이오 생분해 플라스틱 시범 생산에 들어갔다. 개발중인 이 생분해 플라스틱은 땅속에서 썩는데 100년 이상 걸리는 일반플라스틱과 달리 약 4개월이면 흔적 없이 분해가 가능하다.

코오롱인더스트리와 SK종합화학은 지난해 공동 연구에 나선 결과 땅에 묻으면 6개월 내에 자연 분해되는 친환경 생분해 플라스틱 소재 PBAT(자연으로 돌아가는 생분해성 소재)를 개발했다. 또한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최근 미국 ‘오리진 머티리얼스(OriginMaterials)’와 사업 협력 계약을 체결하고 양 사가 보유한 바이오 플라스틱 제조 기술을 결합해 석유화학 PET 시장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친환경 플라스틱을 선보일 계획 중에 있다.

No.1 친환경 생분해성 플라스틱, 바이오 플라스틱 전문 제조 업체

기능성 부여, 유해성 원천배제 등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친환경 산업을 리드합니다.

PLA는 발포가 가능한 KBF만의 원료로 재탄생 합니다.

재활용이 가능하며 소각하더라도 다이옥신, 매연 등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매립시 퇴비화 조건에서 미생물에 의해 물, 이산화탄소, 분해성 유기물로 완전 분해되어 자연으로 돌아갑니다.

매년 재배가능한 식물에서 추출한 포도당으로 젖산을 만듭니다.

PLA(Polylactic Acid)는

사탕수수와 옥수수 등 식물성 원료 100%로 만들어지며, FDA 인증을 받은 친환경 생분해성 수지입니다.

세계적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중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최초로 재생가능한 자원으로부터 상업화를 시킨 생분해성 수지입니다.

일반 플라스틱을 대체하여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폐기 시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되어 퇴비화 후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개발·보급 확대…유망기업 30억원 지원

정부가 미래 유망산업인 ‘화이트바이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소재와 제품화 기술개발에 속도를 낸다.

고부가가치 품목을 발굴해 연구개발(R&D) 지원을 강화하고 유망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에는 3년간 최대 30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열린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범부처 바이오산업 혁신 태스크포스(TF)가 마련한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 전략’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화이트바이오는 기존 화학산업의 소재를 식물 등 재생 가능한 자원을 이용하거나 미생물, 효소 등을 활용해 바이오 기반으로 대체하는 산업이다. 최근 미국, 유럽연합(EU) 등 선진국에서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해결, 탄소 저감 등을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화이트바이오의 핵심인 바이오플라스틱은 옥수수와 같은 식물 바이오매스 등을 이용해 만든 플라스틱으로, 자연에서 분해되지 않는 일반 플라스틱과 달리 토양 중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된다.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코르크로 만들어진 텀블러.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국내에서는 석유화학(SK, LG화학 등) 및 발효전문(CJ제일제당, 대상 등) 대기업 중심으로 기술 확보를 위해 노력중이나 일반 플라스틱에 비해 2~3배 높은 가격, 협소한 국내 시장 등 사업화 부진으로 대규모 투자에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친환경’을 기반으로 성장하는 산업인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시장창출 지원으로 민간 투자를 견인할 필요성이 있고 다양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통한 산업 확장을 위해 정부 R&D 지원 확대 및 상용화를 저해하는 규제 개선의 필요가 있으며 ‘신산업’으로 자리매김 하기 위한 혁신 인프라 구축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바이오플라스틱 개발·보급 확대를 통한 순환경제 실현을 위해 먼저 PLA, PBAT 등 이미 상용화된 생분해성 소재를 활용한 포장재, 생활편의용 제품 등 15종의 바이오플라스틱 제품 개발을 추진한다. 중장기적으로는 바이오 기반 차세대 소재 개발을 위해 균주개발-공정개발-대량생산-제품화 등 전주기 R&D 지원에 나선다.

아울러 실증사업을 벌여 효용성을 검증한 뒤 바이오플라스틱 사용을 단계적으로 확대, 수요를 창출할 계획이다.

1단계 실증사업에서 환경성·생분해도 등을 평가한 후 지자체와 연계, 단계적으로 사용 확대 방안 강구하고 실증사업 추진 상황 및 기술개발 속도, 환경성 등을 고려, 단계적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사용 지원 로드맵을 마련할 방침이다.

대상품목은 산업부, 농식품부, 해수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CO2 저감, 퇴비 처리 등 환경적 유용성이 높은 바이오매스 기반 플라스틱 제품을 중심으로 품목을 검토하고 2∼3배 높은 가격을 고려, 해수부의 자망·통발 등 생분해성 어구 24종 보급 지원과 같은 재정지원 방안도 검토한다.

바이오플라스틱 인증제 운영도 현실화해 생분해성 수지 제품의 환경성과 위해성 확인·검증과 함께 토양에서의 생분해도만 시험하던 것을 수계, 해양 등으로 생분해 조건 기준을 다양화한다.

소비자 대상 신뢰도 높은 정보제공을 위해 바이오화학소재 공인인증센터 구축 사업을 통해 생분해성 및 바이오매스 함량 등을 전문적으로 시험평가 할 수 있는 기관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바이오플라스틱 보급 속도에 맞춰 폐기물 관리를 위한 전주기 처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일반 플라스틱과의 분리배출 유도, 연 1t 규모의 소규모 실증 처리시설 구축에 이어 장기적으로는 별도 처리시스템(매립·소각·에너지회수 등)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한 화이트바이오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의 밸류체인 강화에 나서 바이오 기반 벤처기업과 함께 섬유·화장품·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군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개발 지원을 강화한다.

아울러 유전체에서 원하는 부위의 DNA를 정교하게 편집할 수 있는 기술인 유전자가위 등 바이오 신기술을 적용한 화이트바이오 제품의 개발 촉진을 위해 위해성 심사와 생산 승인 등 절차를 간소화할 계획이다.

바이오안전성 확보를 위한 (유전자변형생물체법에 따른)위해성심사가 신소재를 개발하는 소규모 기업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평가 자료 준비 등 심사 진입 지원 및 가이드라인도 제공한다.

산업 초기 형성단계에서 국내 산업 생태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기업 간 연대와 협력도 강화한다.

식품, 화학, 농업, 환경 등 다양한 전후방 이종 산업과 네트워킹할 수 있도록 ‘화이트바이오 연대협력 협의체’를 구축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해 사업화 지원도 병행할 방침이다.

바이오화학산업은 바이오기술과 화학공정기술 두 분야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화할 수 있는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하므로 생명공학·화학 등 관련 전공 석박사생 대상 화이트바이오 제품개발 및 산업화 관련 기술교육 인력을 연간 15명에서 30명으로 늘리는 등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중소기업의 특허 취득 및 해외시장 개척을 지원한다.

또한 지식재산권 창출 및 해외시장 개척 지원에 나서 상용화에 성공했으나 기업 영세성으로 인해 사업화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특허청에서 지원하는 지식재산권 창출 전략 개발 사업을 활용해 지원하고 개별 기업 대상 핵심 IP 회피, 우수 IP 설계 등 지원 및 해외 특허 출원시 소요되는 대리인 비용, 출원 관납료 등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바이오화학 소재 공인인증센터(울산), 4D 바이오 융합소재 산업화 지원센터(충북) 등 지역별 특성을 반영해 소재 고도화, 시제품 생산, 시험·평가 등 상용화 기반을 구축하는 지역 인프라를 통해 아이디어 상용화를 지원하고 바이오 기반 대체소재 분야를 포함, 녹색기술 분야 기업을 선정해 3년간 최대 3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융합산업과(044-203-4396), 기획재정부 신성장정책과(044-215-4551)

LG화학 新먹거리 ‘바이오 플라스틱’ 키운다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위치한 곡물 기업 `아처 대니얼스 미들랜드` 본사에서 13일(현지시간) 후안 루치아노 ADM 회장(왼쪽)과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이 PLA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주요조건합의서(HOA)를 체결한 뒤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 = LG화학]

LG화학이 전 세계 4대 곡물 가공기업으로 꼽히는 미국 ‘아처 대니얼스 미들랜드(Archer Daniels Midland·ADM)’와 손잡고 100%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에 나선다.양사가 미국에 바이오 플라스틱 합작공장을 설립하는 것으로, 원료부터 제품 생산까지 아우른다.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을 위해 미국에 통합 기지를 구축하는 것은 국내 기업 중 LG화학이 최초다. 최근 친환경 소재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낙점한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이 코로나19 이후 처음 오른 미국 출장길에서 큰 결실을 거뒀다는 평가가 나온다.LG화학은 13일(현지시간)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위치한 ADM 본사에서 바이오 플라스틱 합작법인(JV) 설립을 위한 주요조건합의서(HOA)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후안 루치아노 ADM 회장,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등이 직접 참석했다.양사는 2025년까지 미국에 연산 7만5000t 규모의 PLA(Poly Lactic Acid) 및 LA(Lactic Acid) 생산 공장을 건설한다. 내년 1분기에 본 계약 체결을 앞두고 있으며, 2023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PLA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옥수수에서 추출한 포도당(글루코스)을 발효·정제한 LA가 원료로 쓰인다. 100% 바이오 원료이다 보니 식품 포장 용기, 식기류 등 음식용 플라스틱에 주로 사용된다. 일정 조건을 갖추면 미생물 등에 의해 수개월 내에 자연 분해된다.시장조사업체 등에 따르면 글로벌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은 2021년 12조원에서 2026년 34조원 규모로 연평균 2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LG화학은 이번 합작공장 설립으로 PBAT에 이어 PLA까지 연이은 친환경 플라스틱 생산 체제를 갖추게 됐다.PBAT(Poly 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는 석유 기반의 합성 플라스틱으로 자연에서 산소, 열, 빛 반응으로 빠르게 분해된다. LG화학은 PBAT 생산을 위해 최근 티케이케미칼과 손잡고 2024년 본격 양산에 나서기로 했다. 앞서 지난달 대산공장엔 연산 5만t 규모의 PBAT 공장을 착공했다. PLA는 옥수수·사탕수수 등에서 나온 포도당을 원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수지로, LG화학은 이번 합작공장 설립을 통해 2025년 양산 체제를 갖추게 됐다.LG화학은 PLA 생산을 기반으로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설 예정이다. 신 부회장은 “양사 합작법인 설립은 환경과 사회를 위한 지속가능한 사업 구조로의 전환을 이끌 것”이라며 “지속가능 선도 기업으로서 탄소중립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들을 적극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이윤재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에 대한 정보 바이오 플라스틱 기업

다음은 Bing에서 바이오 플라스틱 기업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지구를 살리는 기술 – 한국화학연구원 황성연 박사 [브라보 K-사이언티스트] / YTN 사이언스

  • YTN사이언스
  • 브라보 K-사이언티스트
  • 생분해성
  • 자가치유
  • 친환경
  • 팜껍질
  • 억새
  • 안심스티커
  • 바이오플라스틱
  • 한화연
  • 다큐
  • 다큐멘터리
  • 휴먼 다큐
  • 인간 극장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지구를 #살리는 #기술 #- #한국화학연구원 #황성연 #박사 #[브라보 #K-사이언티스트] #/ #YTN #사이언스


YouTube에서 바이오 플라스틱 기업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지구를 살리는 기술 – 한국화학연구원 황성연 박사 [브라보 K-사이언티스트] / YTN 사이언스 | 바이오 플라스틱 기업,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대형 마트 순위 | 그래프로 보는 국내 대형마트 점포수 순위(1993년~2019년) 125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