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젤 투자자 찾기 | 스타트업이 투자자를 찾는 꿀팁 공개 (스타트업투자, 투자유치, Vc) 답을 믿으세요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엔젤 투자자 찾기 – 스타트업이 투자자를 찾는 꿀팁 공개 (스타트업투자, 투자유치, VC)“?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스프링살롱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1,828회 및 좋아요 36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엔젤 투자자 찾기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스타트업이 투자자를 찾는 꿀팁 공개 (스타트업투자, 투자유치, VC) – 엔젤 투자자 찾기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영상속에 나온 사이트 정보
1. 모태펀드 출자펀드 찾기 : http://fundfinder.k-vic.co.kr/rsh/rsh/RshMacFndInq
2. 더브이씨 : https://thevc.kr/
3. 디캠프 페이스북 페이지 : https://www.facebook.com/dcamp.kr/
4. 본엔젤스 페이스북 페이지 : https://www.facebook.com/bonangelsventurepartners/
#스타트업 #투자유치 #VC #벤처캐피탈 #스프링살롱 #스타트업꿀팁 #스타트업투자

엔젤 투자자 찾기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투자자 리스트 안내 – 벤처기업협회

투자단계, 투자규모, 투자자 (대분류), 투자자 (소분류), 홈페이지 * 클릭시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SEED단계 ~ Pre-A 단계, 10억 미만, 엔젤투자자, 개인투자조합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venture.or.kr

Date Published: 5/10/2021

View: 7512

엔젤투자자 찾기

엔젤투자자 찾기는 VC나 엑셀러레이터 만나기보다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첫번째로 엔젤투자자는 VC나 엑셀러레이터처럼 전문투자자, …

+ 더 읽기

Source: snuangel.org

Date Published: 12/10/2021

View: 8670

한국엔젤투자협회

지난 8년간 초기기업을 투자하면서 효율적이면서 정확한 프로세스를 찾기 위한 시행착오를 … 아시아 엔젤투자자 글로벌 포럼 및 부산 지역 우수 스타트업 IR 행사.

+ 여기에 표시

Source: test.narangdesign.com

Date Published: 2/29/2021

View: 9957

현업 투자자가 알려주는 스타트업 투자자 500명 찾기 꿀팁

상담도 할 수 있고 엔젤리더스포럼 행사에서 공개적인 IR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벤처투자마트는 매월 1일부터 10일까지 투자유치 희망기업을 선착순으로 …

+ 더 읽기

Source: www.venturesquare.net

Date Published: 2/10/2022

View: 6436

엔젤투자자찾기 | 티피아이 인사이트

태그: 엔젤투자자찾기. 전체보기 · TPI Insight · 경영지식 · 고객사 인터뷰 · 리더십 · 마케팅 · 미분류 · 스터디 · 자기계발 · 조직/문화 · 컬럼 · 트렌드 · 핫이슈.

+ 여기를 클릭

Source: www.tpiinsight.co.kr

Date Published: 10/3/2022

View: 1012

스타트업이라면 알아야 할 투자 관련 사이트 모음 – 비긴메이트

투자자, 펀드, 스타트업, 투자 데이터 등은 물론 벤처캐피탈의 투자 집행 랭킹, 스타트업 … (사)한국엔젤투자협회에서 운영하는 엔젤투자지원센터는 엔젤투자자들과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beginmate.com

Date Published: 9/1/2021

View: 4579

엔젤투자자, 엔젤투자지원센터, 엔젤매칭투자펀드, 적격 엔젤 …

초기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엔젤투자자 엔젤투자자(Angel Investor)란? … 엔젤투자를 받고 싶으나, 투자자를 찾기 어려운 스타트업 창업자는 매달 초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better-together.tistory.com

Date Published: 9/28/2022

View: 170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엔젤 투자자 찾기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스타트업이 투자자를 찾는 꿀팁 공개 (스타트업투자, 투자유치, VC).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이 투자자를 찾는 꿀팁 공개 (스타트업투자, 투자유치, VC)
스타트업이 투자자를 찾는 꿀팁 공개 (스타트업투자, 투자유치, VC)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엔젤 투자자 찾기

  • Author: 스프링살롱
  • Views: 조회수 11,828회
  • Likes: 좋아요 369개
  • Date Published: 2020. 6. 19.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eRMQNIZ6xmM

현업 투자자가 알려주는 스타트업 투자자 500명 찾기 꿀팁

벤처스퀘어 대표가 직접 큐레이션해주는 스타트업 북마크 시리즈 세번째.

창업자들에게 받는 질문 가운데 가장 빈도수가 높은 것이 ‘투자’와 관련된 것이고 그중에서 도대체 투자자들은 어디에 있고 어떻게 연락해야 하느냐는 것이다.

창업자에게 사업계획이 있고 팀으로 모였으며 설립자본금을 확보해서 본격적인 회사 운영을 시작할 때부터 투자 유치를 목적으로 한 활동에 나서야 한다.

흔히 스타트업 CEO 입장에서 회사 소개서와 사업 계획서, 그리고 투자제안서(IR ; Investor Relations)문서를 같은 것이라 생각하는 경향이 많은데 엄연히 말하면 세 문서는 다른 목적을 갖고 있다. 회사 소개서는 회사의 설립 목적과 팀 구성, 사업 분야를 소개하는 문서이고 사업계획서는 충분히 엄밀한 자료조사를 거쳐 미래 우리 사업이 얼마나 차별적이고 좋은 성과를 얼마나 빨리 낼 수 있는지에 집중한다면, IR문서는 투자자 입장에서 이런 회사에 얼마나 투자를 하면 얼마나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을지 확신을 갖게 만드는 설득논리를 담고 있어야 한다.

회사소개서를 겸한 투자제안서든, 사업계획서를 겸한 투자제안서든 투자자에게 보여질 문서가 준비됐다면 투자자를 찾아야 한다.

현재 가장 좋은 투자자 만나는 방법은 주위에서 아는 사람을 통한 연결이다. 물론 가장 비과학적이며 괜한 관계 설정으로 향후 계획적인 투자유치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지인을 통한 투자자 연결은 가급적 충분한 신뢰관계 속에서 정상적인 통로를 거치는 것이 좋다.

투자유치 단계나 규모는 확정적이진 않지만 크게 씨뿌리는 단계를 의미하는 ‘시드(Seed)’, 기술개발에 매진하면서 벤처캐피탈에서 받는 ‘시리즈A, B, C’ 단계, 그리고 충분히 회사가 커져서 인수합병(M&A)이나 기업공개(IPO)를 목적으로 하는 ‘프리IPO’ 단계 등으로 부른다.

규모로는 시드는 10억원 미만 정도, 시리즈 A부터는 10억원 이상 500억원 미만 정도, 프리IPO는 다양한 금융적인 옵션이 붙으며 기업공개 직전 마지막 지분 이동을 위한 작업에 쓰일 돈이 들어온다. 작년에 벤처펀드 결성이 9조원을 돌파했다는 뜻은 9조원 이상의 돈이 투자되기 위해 모여 있다는 뜻이다.

씨 뿌리는 농부, 엔젤은 어디서 어떻게 만나나?

투자하는 주체로 보면 시드 단계에는 창업자들 개인을 비롯한 지인, 그리고 우리 사업에 관심 있는 엔젤 등이라서 ‘엔젤 라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법적으로는 일반 개인이 벤처기업에 직접 투자하거나 개인투자조합에 출자한 돈이 벤처기업에 투자되면 출자자 개인은 3,000만원까지 100%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이렇게 투자해서 3년 동안 보유한 주식을 나중에 팔더라도 양도소득세가 비과세되는 정책이 있어서 최근 들어 개인들이 직접, 또는 개인투자조합에 출자하는 수가 많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개인들 가운데 전문개인투자자, 흔히 전문엔젤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자격을 등록제로 운영하고 있다. 무분별한 투자자 범람과 투자자 보호와 세제혜택을 투자자들에게 부여하기 위해 자격을 구분하는 것이다.

전문적으로 개인 투자업을 하는 사람들은 둘로 나눌 수 있는데 스타트업에 주로 투자하는 투자형 전문엔젤(전문개인투자자)과 금융상품에 주로 투자하는 금융형 개인전문투자자로 구분된다. 명칭이 많이 헷갈린다.

전문개인투자자는 벤처투자촉진법에 의거한 자격으로 최근 3년 동안 투자금 합계가 1억 원 이상의 투자 실적을 보유하고 상장사 대표이사 출신이나 2년 이상 투자심사업무를 하거나 3년 이상 투자관련 업무를 수행한 경력이 있는 경우도 이 자격을 부여 받을 수 있다.

전문개인투자자를 비롯해 개인 엔젤들은 회사 설립시 공동창업자로 자본금 납입을 하거나 첫번째 투자로 1,000만원에서 1억원 정도 수준에서 투자한다.

개인전문투자자의 경우 증권사 같은 금융투자회사가 심사해서 자격을 부여한다. 주요 자격 요건으로는 순재산 5억원 이상(부부합산, 부동산 관련 금액 제외)과 소득 1억원 이상(부부합산시 1.5억원 이상), 변호사나 회계사 등 전문가 자격증을 보유한 사람들로 다양한 금융 상품에 좀더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고 특히 지분형 크라우드펀딩에도 무제한 투자가 가능하다.

그럼 이들은 어디에 있을까?

개인 엔젤의 경우 개인정보라서 공개되지 않는다. 따라서 우회적으로 접근해야 하는데 그 첫번째는 엔젤투자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벤처투자마트’를 통해 엔젤에게 소개될 기회를 얻는 경우다. 상담도 할 수 있고 엔젤리더스포럼 행사에서 공개적인 IR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벤처투자마트는 매월 1일부터 10일까지 투자유치 희망기업을 선착순으로 접수하여, 투자자-기업 간 1:3 상담회를 운영하고, 초기 기업의 사업계획서 작성하는 방법 등 기업의 투자유치 역량 강화를 위한 컨설팅 진행한다.

개인 정보를 바로 보긴 어렵지만 개인들이 모여 있는 엔젤클럽이란 모임의 공식 소개 리스트는 준비돼 있다. 엔젤클럽은 당초 활발하게 운영하다가 시들해지는 곳도 있고 최근 설립되어 적극적인 투자활동에 나서는 곳들도 있다. 엔젤클럽 구성원들마다의 특색이 있어서 재무적인 투자만 관심이 있는 엔젤, 사회 각 영역의 네트워크를 제공해주는 엔젤, 경영에 참여하고자 하는 엔젤 등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다. 또한 구성원들이 바라는 분야나 투자 참여도가 상당히 차이가 난다는 점에서 세심하게 접근하는 것이 좋다.

엔젤클럽과 개인투자조합 연락처는 모두 엔젤투자지원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사이트에서 개인투자조합 결성 현황도 볼 수 있다. 개인투자조합의 경우 보통은 1억 이상 20억 이내인 경우가 많고 투자 한 건당 5000만원~3억원 수준의 투자를 한다.

스타트업 전문 투자 활동가, 액셀러레이터와 벤처캐피탈 누구에게 연락할까?

한국의 벤처투자는 30년 전부터 벤처캐피탈이 주도했다면 지금의 스타트업은 액셀러레이터가 주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액셀러레이터는 자생적으로 만들어진 스타트업 지원 및 투자 민간 회사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창업기획자라는 법률용어로 불리며 등록 요건이 별도로 마련돼 있다.

작년 말 기준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부에 등로된 액셀러레이터 수는 357개에 이른다. 이 가운데 72%가 상법상 주식회사로 일반 기업으로 시작했지만 스타트업 보육과 투자를 전문으로 하기 위해 만들어진 회사라고 할 수 있다. 그외에 벤처캐피탈이라 불리는 창업투자회사나 신기술사업금융회사(신기사), 신기술창업사관학교(신창사) 등도 액셀러레이터 등록을 마쳤다. 사단법인나 재단법인,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같은 비영리법인도 액셀러레이터의 범주에 속한다.

액셀러레이터는 개인투자조합에서 회사이면서 운영조합원 자격을 가질 수 있으며 최근에는 벤처투자조합을 결성할 수 있도록 제도가 마련돼 있다. 이들은 주로 1억원에서 5억원 정도의 투자를 진행하며 개별적으로 10억원 이상의 투자를 집행하기도 한다.

창업기획자 전자공시 시스템에도 각 기업별 세무 정보가 나와 있는데 딱히 유용한 정보가 정리돼 있진 않다.

K-Startup 홈페이지에서 창업기획자 등록현황에서 내용을 살펴보는 것이 훨씬 편하다. 액셀러레이터라는데 여기에 등록돼 있지 않다면 의심해봐도 된다.

대부분의 액셀러레이터는 자사 홈페이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제안서 접수용 메일을 공개해놓고 있다.

357개 액셀러레이터 가운데 전문분야에 해당될 경우 콜드메일을 보낼 수 있으며 많은 액셀러레이터들이 정부 액셀러레이션 프로그램 사업의 운영위탁사로 활동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접촉할 기회가 많을 것이다.

액셀러레이터 가운데 꽃이라 할 수 있는 기관들은 역시 TIPS 운영사다. 정부의 기술사업화 지원 사업 가운데 가장 관심도가 높은 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 TIPS 운영사들은 TIPS 프로그램 공식 사이트에 모여 있다. [TIPS 운영사 목록]

TIPS 운영사로부터 1억원 이상의 투자를 받을 경우 스타트업을 TIPS 프로그램에 추천할 수 있고 이렇게 추천된 스타트업이 선정되면 2년 동안 최대 5억원까지의 R&D 자금을 지원 받을 수 있게 된다. 창업팀의 지분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는 물론 R&D 성공시 지원금의 10%만 정부에 되돌려주면 되기 때문에 스타트업에게 선호도가 높다. 다만, 기술력을 갖춘 사업 과제를 갖고 있어야 하며 기업 가치가 너무 낮아도 창업팀 지분 보장 때문에 문제가 있고 기업가치가 너무 높아도 TIPS 지원하는 것이 무리일 수 있다. 최근들어 팁스의 인지도와 인기가 높아지면서 TIPS 본 프로그램보다는 적은 지원을 하는 프리팁스(Pre-TIPS) 프로그램과 TIPS를 졸업하고도 추가적인 사업화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포스트팁스(Post-TIPS) 제도도 마련돼 있다.

올해부터는 예산이 2,683억원에 달하고 지원 과제도 500개로 지원이 늘었으며 서면평가만으로 우수 평가를 받으면 대면평가를 면제하는 패스트트랙 제도도 생겼다.

이 사이트에서는 간단한 자가 진단 후 팁스 운영사에게 선별적으로 최대 3개까지 투자제안서를 제출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마련돼 있다.

그렇다면 벤처캐피탈에게는 어떻게 투자제안서를 보내야 할까?

가장 먼저 들를 곳이 있다. 우리나라 벤처캐피탈 70%를 먹여살리는(?) 곳이라는 한국벤처투자 사이트다. 한국에서 벤처캐피탈이 펀드를 경쟁력 있게 결성할 수 있도록 정부의 재원을 활용하여 모태펀드를 구성, 민간 벤처캐피탈이 이 자금을 기초로 민간의 자본을 합쳐서 벤처펀드를 만들 수 있도록 해주었기 때문이다.

거두절미하고 현재 모태펀드로 출자받은 펀드의 모든 내용을 담고 있는 사이트가 있다. 모태펀드 출자펀드 찾기 기능이다. 이 사이트에서는 각 목적별 펀드가 구성돼 있고 운영사가 어디인지 목록화 돼 있다.

현재 모태 출자펀드는 누적 기준으로 917개에 29조 8,931억원이 결성되었고 현재 운용중이 펀드만 691개에 23조 9,876억원에 달한다. 이를 통해 투자받은 기업은 7,804개이며 23조 1,227억원이 투자됐다.

이 사이트에서 주의깊게 볼 것은 결성일과 투자 소진율, 그리고 존속 기간이다. 보통 펀드가 만들어지면 빠르게 투자하고 회수시까지 시간을 두고 존속 기간이 끝나기 전에 회수에 들어간다.

따라서 결성액보다 투자금액이 현저히 작으면 활발하게 투자활동을 하고 있다는 말이고 존속기간의 절반이 넘었는데도 투자금액이 결성총액보다 많이 적으면 투자를 빨리 마무리지어야 한다는 뜻이다. 벤처캐피탈은 보통주 투자와 우선주 투자를 주로 하지만 펀드의 만기가 다가오면 전환사채(CB)로도 자금을 소진하는 경우가 많다. 조건이 불리하긴 하지만 투자 결정이 빠르고 추후 지분보호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정부가 정책적으로 모태펀드를 만들었다면 금융권에서 이에 버금가는 펀드출자용 펀드(fund of fund)인 한국성장금융 운용펀드가 있다. 역시 여기도 펀드 출자를 공지하고 벤처캐피탈과 각종 금융사들이 이 펀드를 받아서 민간 자본을 매칭해서 투자펀드를 결성하는 구조로 돼있다.

한국성장금융이 운용하는 펀드는 사회투자펀드, 정책형뉴딜펀드, 핀테크혁신펀드 등 규모가 크고 정책과 금융 분야의 이해관계로 만든 펀드가 많다.

한국벤처캐피탈협회 회원사 목록에 154개사 벤처캐피탈 정보가 있다.

한국초기투자기관협회 회원사 목록에도 45개사 초기 투자에 집중하는 투자기관들 목록 정보가 모여 있다.

네가 왜 거기서 나와? 의외의 투자자들

기업들에게 신용보증을 통해 대출을 받게 해주는 기관인 신용보증기금이 U-Connect Online 을 통해 파트너 52개 전문 투자사와 함께 스타트업에게 투자요청을 보낼 수 있는 서비스를 운영중이다. 신용보증기금도 퍼스트펭귄, 네스트 프로그램 등을 통해 스타트업에 직접 투자하는 기관이다.

신용보증기금과 마찬가지로 보증기관인 기술보증기금 역시 투자연계 보증을 통해 기보엔젤파트너스를 운용중이며 기술보증기금 홈페이지에서 로그인한 뒤 [디지털지점]-[창업·투자]-[엔젤투자연계보증] 또는 [VC 투자매칭 특별보증] 등의 메뉴에서 전문 투자자 들을 기보엔젤파트너스, 또는 기보 VC파트너스 현황이란 리스트가 올라와 있다. 벤처스퀘어는 기보엔젤파트너스로 가입돼 있는데 이 투자 기관들이 투자하고 추천하면 보증비율을 100%, 보증료 면제 등의 혜택을 준다. 여기 기술보증기금 역시 좋은 투자처일 경우 직접 보증과 연계하거나 벤처투자와 연계하여 직접 투자하기도 한다.

이 두 신용기관 파트너들 명단만 입수해도 연락처 구하는 건 쉬운 일이 된다.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주사를 통한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들 역시 스타트업에 관심이 많다. 대기업의 지주사에서 직접 벤처캐피탈을 차려 오픈 이노베이션을 할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로 허용된 것으로 이미 만들어진 롯데벤처스를 비롯해 바뀐 제도 첫 사례인 GS그룹의 GS벤처스를 시작으로 대기업들의 스타트업 투자 전문 조직들이 속속 만들어질 예정이다.

지주사 CVC 설립, GS 다음은 LG·SK ?…벤처투자 ‘쩐의 전쟁’ – 머니투데이 (mt.co.kr)

스타트업이 스타트업 투자에 나서는 경우도 있다. 크라우드 펀딩 회사인 와디즈는 와디즈벤처스를 설립해 활동중이다.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 스타트업들은 공격적으로 자신만의 생태계를 확장하기 위해 다른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선택을 한다. 이는 스타트업을 앞세워 새로운 투자를 하는 재무적 투자자의 용인이 있었기 때문이다. 우아한형제들이 그랬고 야놀자, 중고나라, 컬리, 당근마켓 등이 그런 대표 선수들이다.

데카콘 반열에 오른 토스 역시 총 10억원 투자를 하겠다며 ‘파운드(FOUND)’라는 스타트업 경진대회를 열어 지원자를 오는 23일까지 모집중이다.

참고로 최근 스타트업과 투자자를 연결하겠다며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들이 나오고 있는데, 정보가 협소하고 업데이트되지 않았으며 공인된 자료가 아니라는 점에서 이글에서는 자세히 소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스타트업으로서 다른 스타트업과 투자자들이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지 살펴볼 호기심이 생긴다면 아래 사이트를 방문해보길 바란다.

혁신의숲 https://innoforest.co.kr/

더브이씨 https://thevc.kr/

넥스트유니콘 https://www.nextunicorn.kr/

벤처스퀘어 같은 스타트업 뉴스 사이트에서 등장하는 투자 유치 소식에서 투자자들의 회사명을 기록해두는 것도 방법이다. 이 글에서 투자자들의 연락처를 목록화 해서 공유하고 싶지만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직접적인 연락처 공개가 금지돼 있어서 이렇게 찾아서 재조합하는 방법을 알려줄 수밖에 없는 점 안타깝다. 하지만 적어도 누가 법적으로 정식 투자자인지 정도는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투자 유치 활동 하기 전 알아야 할 자료와 정보

투자 유치하기 전 사실 창업자는 투자자에게 무엇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난감하다. 투자자의 언어로 이야기해야 하는 평생 창업자가 투자자로부터 투자 유치를 몇 건이나 하겠나. 하지만 투자자는 그게 본업이라서 수 백 건의 투자 계약 진행의 경험을 갖게 된다. 그러니 투자자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먼저, 무료로 나눠주고 있는 책자를 소개한다.

엔젤투자 알아야 성공한다(개정판) [PDF 다운로드]

스타트업 투자유치 전략 [PDF 다운로드]

투자계약 해설서 핸드북 만화책 [PDF 다운로드]

Seed 기업을 위한 투자계약서 해설서 [PDF 다운로드]

최근들어서 각종 창업경진대회, 액셀러레이션 프로그램, 데모데이, 피칭데이 등의 형식으로 좀더 대중적인 형식의 공개 행사에서 회사 소개를 하는 과정에서 현장에 참석한 투자자와의 자연스러운 네트워크도 이뤄지고 있으니 이런 기회를 놓치지 않는 것이 좋다.

각종 스타트업의 성장 스토리, 스타트업 투자 유치 소식과 스타트업 생태계 전반의 칼럼을 모은 뉴스레터를 받아 볼 수 있는 벤처스퀘어 뉴스레터에 가입하자. 이메일 주소만 입력하면 신청이 완료된다.

벤처스퀘어는 투자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와 칼럼을 소개한 바 있다. 이번 기회에 다시 읽어보자.

티피아이 인사이트

VC들이 선호하는 엔젤투자 분야 7가지

독일의 이동형 검사 로봇소프트웨어 솔루션 개발업체. 그리고디스토피아 미래를 그린영국 드라마 ‘블랙미러’ 언뜻 전혀 관련 없어 보이는이 둘은 ‘로봇 개’라는공통점을 공유하는데요. 드라마 블랙미러 중하나의 에피소드에는로봇 개 무리가 등장합니다. 그리고 이 로봇들은‘에너지로보틱스’사의개…

엔젤투자자, 엔젤투자지원센터, 엔젤매칭투자펀드, 적격 엔젤 투자자

반응형

초기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엔젤투자자

엔젤투자자의 모든 것

엔젤투자자(Angel Investor)란?

엔젤투자자는 좋은 아이디어나 기술력은 있으나 제품이 없고 시장성이 확인되지 않아 투자를 받기 어려운 창업 초기 단계의 기업에게 직접 자금을 투자해주는 개인 또는 투자자 그룹(클럽)을 의미하고, 엔젤 투자자가 제공하는 투자 자금을 엔젤 캐피털(angel capital)이라고 합니다.

엔젤투자자(Angel Investor)

아이디어와 기술력은 있으나 자 금이 부족한 예비 창업자, 창업초기단계(early stage) 기업에 투자하고 경영 자문도 하면서 성공적으로 기업을 성장시킨 후 투자 이익을 회수하는 개인투자자

(사)한국엔젤투자협회

엔젤투자자는 초기 스타트업에게 자금을 투자하고 받은 주식을 보유하다 기업이 성공적으로 성장하여 IPO를 하거나 M&A를 할 경우, 주식을 매각하여 투자 원금과 이익을 회수(Exit)하게 됩니다.

엑시트 자세히 →스타트업 엑시트(exit), 기업 공개(IPO), 인수합병(M&A), 에크하이어(Acqhire)

제대로 된 제품도 없고 시장성도 확인되지 않은 초기 단계에서 기업의 장래성을 예측해 투자하는 만큼 엔젤 투자는 실패 확률이 높은 반면, 성공 했을 때는 투자한 금액의 수백배 이상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전형적인 하이리스크 하이리턴(High Risk, High Return)의 투자 형태입니다.

엔젤 투자의 유래

1920년 경 미국 브로드웨이에서 많은 오페라 공연이 제작되었으나, 어떤 오페라는 작품성이 있음에도 자금이 부족해 공연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당시 이런 오페라에 이름도 밝히지 않고 자금을 지원해준 돈 많은 후원자들 덕분에 오페라 공연을 성공적으로 끝낼 수 있었습니다. 오페라 공연 후에 자금을 지원해준 후원자들에게 ‘천사들’ 덕분에 공연을 잘 치를 수 있다는 감사의 의사표시를 하면서 엔젤 투자자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처럼 초반에 엔젤 투자는 재능은 있으나 자금은 없는, 오페라나 연극 공연을 하는 예술인들에게 투자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1960년대 미국 실리콘 밸리에서 많은 기업들이 탄생하면서, 기술력은 있지만 돈이 부족한 창업 초기 기업에게 자금을 지원해주는 개인들이 등장했습니다. 이때 브로드웨이 오페라를 후원해준 것처럼 기술력 있는 초기 스타트업을 지원해주는 돈 많은 개인들을 ‘엔젤 투자자’라고 부르면서, 엔젤 투자자가 지금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엔젤투자자의 특징

엔젤 투자자는 ‘자기 돈’으로 개인 혼자 또는 몇 명이 엔젤 클럽을 만들어 직접 투자를 하거나, 개인투자조합에 간접 투자를 합니다(벤처캐피털은 자기 돈이 아닌 공모한 타인의 돈으로 투자합니다).

자기 돈으로 투자를 하기 때문에 창업 기업의 성장을 자기 일처럼 생각하며 자신의 경험과 인맥을 동원해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2000년대 벤처 창업으로 성공한 경험이 있는 기업가형 엔젤 투자자가 등장하면서 자금 투자와 함께 자신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멘토링을 해주면서 스타트업 생태계를 활성화시키는데 큰 기여를 했습니다.

미국의 엔젤 투자 현황

엔젤 투자가 시작된 미국은 실리콘 밸리가 있는 캘리포니아주 뿐만 아니라 미국 전역에 엔젤투자가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미국의 엔젤 투자 연구소인 Angel Resource Institute에 따르면, 2019년 미국의 엔젤 투자 규모는 약 43억 달러(약 4조 3천억 원)에 달합니다.

미국의 엔젤 투자 현항 및 투자 규모(출처:Angel Resource Institute)

국내 엔젤 투자 현황

우리나라도 1990년대 말 벤처 붐을 타고 엔젤 투자가 활성화 되었던 시기가 있었지만 오래가지 못했습니다.

2000년대 초반 미국을 시작으로 닷컴 버블이 꺼지면서 코스닥 시장이 붕괴되고 잘 나가던 IT 회사들이 무너지면서 엔젤 투자의 장기 침체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다 2010년 이후 청년 창업이 많아지고, 벤처를 경영해 본 경험이 있는 소위 창업가형 엔젤투자자들이 등장하면서 엔젤 투자 시장이 새롭게 활력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정부에서도 엔젤투자 활성화를 위해 2011년 엔젤투자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엔젤투자매칭펀드를 결성했습니다. 이후 엔젤 투자자에 대한 세제 해택, 전문 엔젤 투자자 등록제도, TIPS 사업 추진 등 엔젤 투자 지원제도를 운영한 결과 2009년 346억 원에 불과했던 엔젤 투자가 2018년에는 5,538억 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엔젤투자추이

엔젤투자지원센터

2011년 설립된 엔젤투자지원센터는 엔젤투자자를 발굴˙육성˙관리하고, 엔젤투자자와 창업 초기 기업의 정보, 엔젤 투자 현황 등 엔젤 투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엔젤 투자자와 창업 초기 기업 간의 투자 매칭 등을 통해 엔젤투자와 관련한 종합적인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엔젤투자지원센터는 (사)한국엔젤투자협회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엔젤투자를 받고 싶으나, 투자자를 찾기 어려운 스타트업 창업자는 매달 초 엔젤투자지원센터가 개최하는 벤처투자마트를 통해 투자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엔젤투자지원센터

엔젤투자매칭펀드 : 스타트업을 위한 1+1 투자지원사업

엔젤투자매칭펀드는 모태펀드가 출자하고 한국벤처투자가 운용하는 펀드입니다. 모태펀드는 정부의 기금과 예산으로 결성된 자금을 직접 투자하지 않고 벤처캐피털이 운용하는 펀드에 투자하기 때문에 펀드를 위한 펀드(Funds of funds)라고도 합니다. 2005년 벤처기업법에 따라 중소벤처기업부의 주도로 한국모태펀트가 만들어졌고 한국벤처투자같은 모태편드운용사가 투자를 결정합니다.

엔젤투자매칭펀드도 모태펀드의 투자를 받아 한국벤처투자에서 운용하며 투자를 결정합니다.

엔젤투자매칭펀드는 엔젤투자자가 투자한 초기창업기업에 추가 투자를 해주는 일종의 1+1 투자지원제도입니다.

일정 요건을 갖춘 적격 엔젤 투자자가 초기창업기업에 투자를 한 후, 엔젤 투자자가 엔젤투자매칭펀드에 매칭투자를 신청하면 한국벤처투자가 해당 초기창업기업을 방문하고 평가하여 투자 적격 여부를 심사합니다.

투자 적격 판정을 받으면 한국벤처투자는 엔젤 투자자가 투자한 금액의 1~ 2.5배(기업당 1회 최대 2억 원)까지 초기창업기업에 투자를 합니다.

예를 들어, 엔젤 투자자가 A 스타트업에 5천만 원을 투자하고 엔젤투자매칭펀드를 신청해 A 스타트업에 매칭 투자가 되면 한국벤처투자로부터 최대 2억 원까지 추가 투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엔젤투자 매칭펀드 운용체계(출처: 한국엔젤투자협회)

적격 엔젤투자자만이 엔젤투자 매칭펀드를 신청할 수 있고, 전격 엔젤투자자의 유형에 따라 매칭 투자를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다르기 때문에 엔젤 투자를 받으려는 스타트업은 투자자가 적격 엔젤투자자인지, 어떤 유형의 엔젤 투자자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엔젤투자매칭펀드를 악용하는 이른바 블랙엔젤*도 있기 때문에 투자를 받을 때 유의해야 합니다.

*. 실제 투자는 하지 않으면서 매칭펀드를 받기 위해 투자한 것처럼 꾸미는 ‘가장납입’ 후 벤처기업으로부터 투자유치에 대한 수수료를 챙기는 브로커들

적격 엔젤 투자자

중소벤처기업부의 위임을 받아 엔젤투자지원센터가 관리하는 적격 엔젤 투자자(Accredited angel investor)는 크게 개인형 엔젤 투자자와 법인형 엔젤 투자자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법인형 엔젤 투자자는 액셀러레이터와 같이 초기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기관들입니다.

법인형 적격 엔젤 투자자(출처: 한국벤처투자)

개인형 엔젤투자자

흔히 엔젤 투자자라고 말할 때는 개인형 엔젤 투자자를 의미합니다.

개인형 엔젤투자자는 ① 한 명의 개인 자격으로 엔젤 투자를 하는 형태(개별 엔젤 투자자와 전문 엔젤 투자자)와 ② 다수의 개인들이 모여 조직(그룹)의 자격으로 엔젤 투자를 하는 형태(엔젤 클럽과 개인투자조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구분 개인형 적격 엔젤 투자자 개인 투자 개별 엔젤 투자자 전문 엔젤 투자자 그룹 투자 엔젤 클럽 개인투자조합

개별 엔젤 투자자(적격 개인 투자자)

엔젤투자지원센터에 따르면 개별 엔젤 투자자는 “창업 초기 중소기업에 투자와 경영지도를 해주는 개인 투자자로서 엔젤투자지원센터에 등록된 자”입니다. 개별 엔젤 투자자로 등록하기 위해선 최근 2년간 비상장 기업에 2,000만 원 이상 신주 투자실적이 있거나, 엔젤투자지원센터가 실시하는 적격 엔젤 양성 과정을 이수하거나, 코스닥 상장사 등의 대표이사 경력을 보유한 기업가로서 벤처기업협회 등의 기관 추천을 받아야 합니다.

개별 엔젤 투자자 등록 현황(출처: 엔젤투자지원센터)

전문 엔젤 투자자(전문 개인 투자자)

엔젤투자지원센터에 따르면 전문 엔젤 투자자는”중소벤처기업부장관으로부터 전문엔젤투자자 확인서를 발급받고 유효기간(2년)이내인 개인 투자자”를 의미합니다.

기존에 확인제로 운영되었던 전문 엔젤 투자자 제도는 2020년 새로 제정한 벤처투자법에 따라 등록제로 변경되었습니다.

전문 엔젤 투자자는개별 엔젤 투자자보다 전문적으로 엔젤 투자에 대한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해 도입한 자격으로 ,벤처투자법이 정한 요건*을 충족한 개인으로서 중소벤처기업장관에게 전문 개인 투자자로 등록한 개인 투자자를 의미합니다. 전문 엔젤 투자자는 전문성을 검증하기 위해 2년마다 자격을 갱신해야 합니다.

*. 과거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약칭: 벤처기업법) 및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던 요건이 2020년 8월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약칭: 벤처투자법)이 제정되면서 이관되었습니다. 전문 개인 투자자 등록 요건은 벤처투자법 제9조 제2항 및 시행령 제4조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전문 엔젤 투자자로 등록하기 위해선 ① 최근 3년간 1억 원 이상의 신주 투자실적을 보유하고, ② 변호사, 공인 회계사 등의 경력이 있거나 엔젤투자지원센터가 실시하는 전문 개인 투자자 교육 과정을 이수해야 합니다.

전문 엔젤 투자자 등록 현황(출처: 엔젤투자지원센터)

2020년 12월 말 기준으로 전문 엔젤 투자자는 183명이고 그 명단은 엔젤투자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명한 전문 엔젤 투자자로는 이택경, 류중희, 김철환, 신창연 등이 있습니다.

엔젤 클럽(엔젤 네트워크)

엔젤 클럽은 창업초기기업에 투자와 경영 지도를 해주는 개인 투자자들의 모임으로서, 엔젤투자지원센터에 등록하고 엔젤활동실적을 보유한 클럽을 의미합니다.

엔젤 클럽으로 등록하기 위해선 ① 회장, 총무 등의 조직을 갖추고 최소 5인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고, ② 최근 2년 간 2,000만 원 이상의 투자 실적을 보유한 사람이 1인 이상이거나, 엔젤투자지원센터가 운영하는 투자교육을 이수한 자가 2인 이상이어야 합니다.

등록 이후 분기별 1회 이상 클럽활동에 대한 보고 및 연 1회 이상 신주 투자실적(5천만 원 이상)이 있어야 합니다.

2020년 12월 말 기준 엔젤 클럽은 240개이며 엔젤 클럽 목록은 엔젤투자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엔젤 클럽에는 고벤처 엔젤 클럽, 오아시스 엔젤 클럽, AI 엔젤 클럽, 초기 매쉬업 엔젤스 등이 있습니다.

2011년 결성된 고벤처 엔젤 클럽은 현재 한국엔젤투자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고영하가 클럽장을 맡고 있는 엔젤 클럽입니다.

개인투자조합

개인투자조합은 벤처기업과 창업기업에 출자하기 위해 벤처투자법 제12조(2020년 8월 이전에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3조)에 따라 설립된 조합으로, 중소기업벤처부에 등록된 소규모 투자조합입니다.

개인투자조합은 자본력이 크지 않은 개인 투자자들도 조합을 결성하여 직접 벤처기업과 창업기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만든 제도입니다.

개인 투자 조합으로 등록하기 위해선 ① 출자금 총액 1억 원 이상, ② 출자 1좌의 금액 100만 원 이상, ③ 조합원수 49명 이하, ④ 업무집행조합원의 출자지분 5% 이상, ⑤ 존속 기간 5년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개인투자조합은 사실 투자의 한 형태로, 일정한 요건을 충족한 전문 개인 투자자나 엔젤 클럽, 액셀러레이터 등이 조합원이 되어 자금을 모으고 개인투자조합을 통해 간접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2020년 10월 말 기준 1,373개의 투자조합이 결성되었습니다.

개인투자조합 결성 현황(출처: 엔젤투자지원센터)

반응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엔젤 투자자 찾기

다음은 Bing에서 엔젤 투자자 찾기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스타트업이 투자자를 찾는 꿀팁 공개 (스타트업투자, 투자유치, VC)

  • 스타트업
  • 스프링살롱
  • 투자
  • startup
  • investment
  • Korean startup
  • korea
  • 창업
  • 스타트업 투자
  • 창업아이템
  • 벤처캐피탈
  • 엔젤투자

스타트업이 #투자자를 #찾는 #꿀팁 #공개 #(스타트업투자, #투자유치, #VC)


YouTube에서 엔젤 투자자 찾기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스타트업이 투자자를 찾는 꿀팁 공개 (스타트업투자, 투자유치, VC) | 엔젤 투자자 찾기,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냉장고 브랜드 추천 | 한번 사면 10년? 20년 쓰는 냉장고 추천 베스트5 인기 답변 업데이트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