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 그라인더 안전 수칙 | [기술인Tv 건설안전교육자료] 5. 핸드그라인더 사고 14124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핸드 그라인더 안전 수칙 – [기술인TV 건설안전교육자료] 5. 핸드그라인더 사고“?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engineer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1,154회 및 좋아요 57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핸드 그라인더 안전 수칙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기술인TV 건설안전교육자료] 5. 핸드그라인더 사고 – 핸드 그라인더 안전 수칙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본 영상은 어린이가 보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핸드그라인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1. 그라인더 방호커버 사용
2. 안전모 착용
3. 보안경 착용
4. 방진마스크 착용을 해야합니다.
본 영상은 서울시 건설안전본부의 승인을 받았음을 고지합니다.

핸드 그라인더 안전 수칙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그라인더 안전캠페인 – 전동공구

ㅇ 축사에서 핸드그라인더로 철재기둥의 용접부분 절삭작업을 하던중 용접점이 깊어 연삭숫돌이 닿지 … 그러면 제가 생각하는 그라인더의 안전수칙 시작합니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bosch-pt.co.kr

Date Published: 5/30/2021

View: 4621

앵글형 그라인더 사용시 지켜야 할 안전수칙 알아보기

회전체의 빠른 속도에 옷감이 빨려 드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면장갑 및 헐렁한 옷의 착용을 금지합니다. 발열에 의해 부득이하게 장갑이 필요할 시 …

+ 더 읽기

Source: dpg.danawa.com

Date Published: 12/19/2021

View: 5654

[건설현장 전기·공도구 안전관리기준] 핸드그라인더 (feat. 안전 …

[건설현장 전기·공도구 안전관리기준] 핸드그라인더 (feat. 안전관리자 처음인 분들을 위해) · 적용대상 및 작업공종 ·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 …

+ 여기에 보기

Source: bigdata-world.tistory.com

Date Published: 10/6/2021

View: 524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핸드 그라인더 안전 수칙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기술인TV 건설안전교육자료] 5. 핸드그라인더 사고.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기술인TV 건설안전교육자료] 5. 핸드그라인더 사고
[기술인TV 건설안전교육자료] 5. 핸드그라인더 사고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핸드 그라인더 안전 수칙

  • Author: engineer
  • Views: 조회수 11,154회
  • Likes: 좋아요 57개
  • Date Published: 2020. 1. 1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JmHZINWKVP0

핸드그라인더 안전 작업 수칙

핸드그라인더 안전 작업 수칙

1.위험 요인

• 핸드그라인더의 테일커버 내부에서 케이블의 절연이 파괴되면서커버 외측에 접촉되어

누전발생으로 감전되는 사례.

• 연삭숫돌 덮개를 제거하고 작업 중 절단석이나 연마석이 파괴되어 비래된다.

2.안전작업 수칙

• 지정 용도 이외에는 사용을 금한다.

• 비가 올 때, 습한 장소 등에서는 작업을 금한다.

• 화재의 위혐성이 있는 인화성 물질이 있는 장소에선 사용을 금한다.

• 모터의 통풍구는 언제나 막혀있는지 확인하고 열어둔다.

• 작업 중에는 반드시 보안경을 착용한다

• 작업후에는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제거한다.

• 코드를 쥐고 제품 이동시에는 절연 파손의 위험이 있으므로 조심히 취급한다.

핸드그라인더 의 모양

3.사용 전 /중 안전조치

• 절단석이나 연마석에 균열이나 깨지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견고하게

조여졌는지 확인한다.

• 스위치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 플러그를 꽂으면 불의의 사고를 당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OFF 상태에서 연결 한다 .

• 연마석이나 절단석이 가동된 상태로 사용하지 않으면서 방치하지 않는다.

• 핸드그라인더에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면 연마석이나 절단석이 쉅게

마모가 되며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천천히 힘을 가해서 가동한다.

• 핸드그라인더에 무리한 힘을 가하면 모터에 과부하와 모터 소손위험이 있다.

•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절단석으로 사용하게 되면 자르려는 물체와 절단석이

일직선으로 위치한지를 확인하고 절단을 해야된다.

• 핸드그라인더를 연마의용도로 사용 시에는 연마석의 누르는 각도는 15~30로

기울여 작업을 시행하며 연마석의 측면과 상면은 사용하지 않는다.

• 항상 발판은 튼튼하게 유지하고 무리한 자세로 임하지 않는다.

• 절단석과 연마석의 교체시기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최대한 신체와 일직선상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며 작업을 시행한다.

• 사용 후에는 스위치를 끄고서 연마석이 완전히 회전이 멈춘후 에 이동/ 보관한다.

그라인더 작업과 관련된 사고사례

2015년 3월경 서울 중랑구의 한 주민센터 신축 공사현장에서 작업 중이던 인부가 그라인더(빠르게 회전하는 숫돌을 이용해 면을 깎는 기계·연삭기)에 목을 심하게 다쳐 숨지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당시 소방당국은 다친 인부가 2층에서 그라인더를 이용해 건물 난간을 작업하던 중 그라인더 날에 넥워머가 감기면서 화를 당했다고 밝혔고, 목 부위를 심하게 다친 인부는 동료의 119 신고로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을 거두었습니다.

이 사고사례를 통해서 그라인더 작업시 안전수칙을 알아보고, 이와 같은 사고가 또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예방대책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산업현장뿐만 아니라 농촌이나 가정에서도 그라인더로 매년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4인치 그라인더는 10,000rpm ~ 12,000rpm 으로 고속회전 하기 때문에 작업중 날이 부러지거나 회전하는 날에 신체가 접촉하면 바로 상해로 이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기설계 자체에 안전성이 고려되어야 하고, 매뉴얼의 준수와 사용 시 정확한 안전행동이 필요합니다.

[그라인더 제품군 스위치의 종류]

1) 토글 스위치(수동조작 수동복귀)

– 본체의 하단부 전선 바로 옆에 달려 있는 방식

2) 슬라이드 스위치(수동조작 수동복귀, 수동조작 자동복귀)

– 스위치가 몸통의 중앙부에 달려있는 방식

3) 패들 스위치(수동조작 자동복귀)

– 손으로 잡아 눌렀을 때 작동하는 방식

핸드그라인더는 스위치 작동방식에 따라 수동조작 수동복귀 방식, 수동조작 자동복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수동조작 수동복귀 방식의 특성

수동조작 수동복귀 방식은 기기를 놓치거나 회전 날에 의복이나 장갑이 말렸을 때 등,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 되었을 때 전원을 신속히 차단할 수 없어서 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됩니다.

수동조작 자동복귀 방식의 특성

수동조작 자동복귀 방식은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적정 힘을 가하고 있어야만 작동되는 방식으로, 기기를 놓치거나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도 상해로 연결될 개연성이 적어집니다.

하지만, 편의성과 작업성이 우선시되어 자동복귀 방식보다 수동복귀 방식의 그라인더가 훨씬 많이 사용 되고 있습니다. 자동복귀 방식이 일반화되고 사용시 안전행동을 절차화 함으로써 리스크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그라인더에 의한 사고유형은 다양하지만 똑같은 그라인더를 사용하더라도 작업자의 습관화 된 행동과 절차에 따라 리스크의 크기가 달라집니다.

작업이 끝나면 스위치를 끄고 들어 올리는 작업자가 있고, 들어 올리면서 또는 들어 올린 후에 스위치를 끄는 작업자가 있습니다. 회전 날이 돌아가는 상태로 이동하거나 몸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도 있고 콘센트에 전원을 연결할 때 스위치가 On상태인지 Off상태인지 확인을 하지 않고 연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작업자의 행동습관과 다양한 작업환경을 반영한 그라인더 사용시 공통적인 리스트 저감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회전 날이 돌아가는 상태로 이동을 하거나 몸의 자세를 바꿈

▶ 한 손으로 잡고 작업

▶ 미끄러지기 쉬운 장갑을 착용

▶ 그라인더 전선이 걸릴 수 있는 작업 환경

▶ 안전덮개 미부착

▶ 전원 연결시 스위치 상태 미확인

▶ 포인트 작업 완료 후 기기를 들어 올리며 스위치를 조작

사고 분석 결과

유사동종사고의 예방을 위해 수동조작 자동복귀 방식의 그라인더 보편화와 “놓고 켜고, 끄고 들고” 안전행동 절차의 교육이 필요합니다.

“위험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눈에 보이는 것에서 한 단계 나아가

행동을 돌아보고, 주변환경을 살펴보며,

절차상의 문제가 위험을 가져오지 않는지 들여다봐야 합니다.

ⓒS.L.O.W /헌정안전(주) 이미지제공

헌정안전(주) https://hj-safety.co.kr

고속절단기,핸드그라인더 안전수칙

반응형

건축이나 토목현장등 공구로 주로 많이 사용하는 곳에서 고속절단기와 핸드그라인더는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으면 위험에 처하는 일이 발생합니다. 고속으로 회전하는 공구의 특성상 항상 위험이 따르는 작업공구입니다. 고속절단기는 환봉이나 파이프, 여러가지 형강을 절단하는 공구로 반드시 보호구를 착용하고 작업을 합니다. 보호구는 장갑은 물론이지만 보안경이나 귀마개를 착용하고 작업을 합니다.

고속절단기를 사용하기전 점검을 하고 사용하여야 하는데 안전 덮개가 절단재료와 회전축을 안전하게 덮혀있는지 확인하고 바이스에 절단재료가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도 확인합니다. 절단기의 회전속도는 적절한지 확인하고 절단재료의 변형이나 균열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도 안전수칙에 해당합니다.

절단재료를 절단하면서 주의 할 점은 절단재료의 측면사용을 금지하고 회전하는 상태에서 절단재료를 빼거나 넣는 것을 금하고 스위치가 켜져 있는 상태에 전원을 넣는 것은 안됨니다. 주변에 불티가 날리지 안도록 하고 소화기를 비치하는 것도 주의 사항에 속합니다.

핸드그라인더는 주로 거친면을 제거하거나 마무리하며 석재등을 절단하는 작업을 합니다. 핸드그라인더는 보안경은 물론이며 귀마개를 비롯하여 마스크를 착용하고 작업에 들어갑니다.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마석은 균열과 변형이 있는지 확인하고 RPM은 정상으로 회전하는지 확인하고 이중절연 구조인지 확인합니다.

주의 사항으로는 연마석이 마모되어 교체 할 때는 반드시 전원을 끄고 교환합니다. 작업 할 때 물이나 연삭유를 절삭면에 부으면 안되며 연삭시 발생하는 불꽃이나 절삭먼지는 방향을 고려하여 작업을 합니다. 연마석을 교체하고 2~3분간 회전상태를 확인하고 작업을 시작하기 전 시운전을 하는 것도 잊지 않고 사용하는 것도 핸드그라인더 안전수칙에 해당합니다.

고속절단기와 핸드그라인더 안전수칙은 기본으로 반드시 지켜야하는 일이지만 작업을 서두르다 보면 점검을 하지 않고 사용하다 위험에 처합니다.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체는 방심은 금물입니다. 침착하게 작업을 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작업 할 때 물이나 연삭유를 절삭면에 부으면 안되며 연삭시 발생하는

불꽃이나 절삭먼지는 방향을 고려하여 작업을 합니다.

(변기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절삭한 S자형 변기 배수구 절삭)

반응형

앵글형 그라인더 사용시 지켜야 할 안전수칙 알아보기

앵글형 그라인더 사용시 지켜야 할 안전수칙

그라인더는 다른 전동공구에 비해 작고 가벼워 쉽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작업 중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위험한 공구입니다.

1. 그라인더 작업 과정

기기 자체의 결함(벗겨진 전선 등) 확인 → 기기의 전원이 꺼진 것을 확인 → 전원 플러그를 꽂아 공회전하는지 확인 → 전원 플러그를 다시 뽑고 디스크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그라인더에 체결 → 전원플러그를 꽂아 전원을 연결하여 스위치 가동 → 사용 후 전원 스위치를 끄고 전원플러그를 뽑아 날을 분리하고 보관

2. 안전작업 방법

1) 사용 전 안전 조치

● 지정 용도 이외의 사용을 금해야 하며, 전열사고에 대비하여 습한 장소에서 작업을 금해야 합니다.

● 누전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는 물체, 화재의 위험이 있는 물체 등 인화성 물질이 있는 장소에서는 사용을 금해야 합니다.

● 작업중에는 반드시 보안경 및 방진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 코드를 쥐고 제품 이동시에는 절연 파손에 의한 비래(파열사고)위험이 있으므로 조심스럽게 다뤄야 합니다.

●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사고가 킥백입니다. 킥백이란, 강하게 회전하는 날에 의해 작업물이나 공구가 튀어 나가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런 킥백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덮개를 씌우고 보조손잡이를 장착후 작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 회전체의 빠른 속도에 옷감이 빨려 드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면장갑 및 헐렁한 옷의 착용을 금지합니다. 발열에 의해 부득이하게 장갑이 필요할 시 작업용 가죽장갑을 착용해야 하며 그라인더 작업시에는 신체에 가장 가까운 상태로 작업하는 것이 위험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사용 중 안전 조치

● 그라인더 가동 시 작업에 집중해야 하며, 빠른 회전속도에 유의하며 무리한 힘을 주지 않고 천천히 작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빠른 작업은 금물이며, 본체를 두 손으로 잡아 컨트롤해야 합니다.

● 작업 시 움직이는 물체는 단단히 고정하여 작업해야 합니다. 작은 원형 파이프나 중소형 볼트처럼 굴러가기 쉽거나 가벼운 물건은 바이스 또는 클램프로 단단히 고정해야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고 피삭재가 튀는 것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초보자는 7인치 이상의 그라인더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그라인더가 수용할 수 있는 디스크보다 큰 디스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두께가 두꺼운 날을 대신하여, 절삭용 날을 여러개 겹쳐쓰는 것 또한 절대 금물입니다.

● 작업용도에 맞고 품질이 좋은 날을 적정RPM에서 사용해야 하며, 무뎌지거나 소모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날은 과감히 교체해야 합니다. 디스크 교체시 반드시 전원을 꺼야합니다.

● 원칙적으로 그라인더에 적절한 피삭재는 석재와 철재입니다. 이외의 재료를 가공할 때는 용도에 맞는 날을 사용해야하며, 되도록이면 그라인더로 석재 철재 이외의 제품을 다루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그라인더는 절단기(Cutter)와 톱(Saw)이 아닙니다. 그라인더의 가장 주된 용도는 연삭으로, 두꺼운 피삭재나 각도 절단 등의 난이도가 높은 작업시에는 절단용 공구를 사용하는 것이 작업성이 좋고 안전합니다.

● 두꺼운 물체를 절단할 때는 여러번에 걸쳐 작업을 해야합니다.

● 사용 후에는 반드시 날을 분리하고 전원을 꺼야합니다.

● 전원이 켜진 사이에 손에서 기기를 놓치게 된다면, 기기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지는 것이 안전합니다.

<피삭재 비래 및 파열사고> <그라인더 날 파손사고 *보안경 착용사례>

3. 그라인더 스위치 종류

● 토글 스위치 (수동조작 수동복귀)

본체의 하단부 전선 바로 옆에 달려있는 방식으로, 구석진 위치 때문에 외부로부터 영향을 덜 받는 장점이 있지만, 손에서 멀다보니 위급 시 전원을 차단하는데 시간이 조금더 걸리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슬라이드 스위치 (수동조작 수동복귀, 수동조작 자동복귀)

스위치가 몸통의 중앙부에 달려있는 방식으로, 스위치의 위치가 직관적이어서 작업과 위급상황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기기의 보관이나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기기를 발로 밟아 작동되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어, 기기관리에 주의해야 합니다.

● 패들 스위치 (수동조작 자동복귀)

손으로 잡아 눌렀을 때 작동하는 방식으로, 손을 놓는 순간 작동이 멈추기 때문에 가장 안전하지만, 정자세로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집니다. 그러나 가장 안전한 스위치 방식이기 때문에 7인치 이상의 그라인더 모델은 패들스위치를 장착한 경우가 많습니다.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www.danawa.com)

건설안전관리자로 성장하는 공간 :: [건설현장 전기·공도구 안전관리기준] 핸드그라인더 (feat. 안전관리자 처음인 분들을 위해)

적용대상 및 작업공종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목재가공용 둥근톱 기계의 안전기준에 관한 기술상의 지침 [고시 2001-27호]

관리기준

1. 연삭기를 이용한 석 공사, 면갈이 작업시에는 보안경, 방진마스크를 착용

2. 연삭기는 작업 전 1분이상 공회전 후 이상유무를 확인하고 숫돌교체 시에는 3분이상 공회전 후 이상유무 확인

3. 연삭기는 이중 절연구조의 제품을 사용

4. 연삭숫돌은 파괴시험, 충격시험에 합격한 제품을 사용

5. 작업 전 방호덮개 설치여부 확인 및 작업 편의 목적으로 임의해제 후 사용 금지

6. 연삭기를 지면에 내려놓을 시에는 회전체가 완전히 중지되어야 함

키워드에 대한 정보 핸드 그라인더 안전 수칙

다음은 Bing에서 핸드 그라인더 안전 수칙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기술인TV 건설안전교육자료] 5. 핸드그라인더 사고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기술인TV #건설안전교육자료] #5. #핸드그라인더 #사고


YouTube에서 핸드 그라인더 안전 수칙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술인TV 건설안전교육자료] 5. 핸드그라인더 사고 | 핸드 그라인더 안전 수칙,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토마호크 스테이크 유래 | 산속에서 만드는 초대형 토마호크 스테이크 / Giant Tomahawk Steak Making In The Mountains - Korean Restaurant Food 모든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