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 현황 | [고려사이버대 고려특강] 한국어교육의 현황 및 한국어교원자격증의 필요성 – 강현화 연세대 교수 9070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한국어 교육 현황 – [고려사이버대 고려특강] 한국어교육의 현황 및 한국어교원자격증의 필요성 – 강현화 연세대 교수“?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고려사이버대학교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1,544회 및 좋아요 4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한국어 교육 현황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고려사이버대 고려특강] 한국어교육의 현황 및 한국어교원자격증의 필요성 – 강현화 연세대 교수 – 한국어 교육 현황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강사소개: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 경희대 한국어학과 교수
한국외국어교육학회 부회장
문법교육학회 부회장
국어심의회위원
특강내용
국내 각 대학 부설기관을 기준으로 1950년대 처음 시작했던 한국어 교육기관은 2000년대에 120개 기관으로 증가하였고 산업연수제도의 활성화와 결혼이민자 그 외 다양한 형태의 외국인이 한국어 학습을 받고 있으며 양적인 숫자도 증가하였다. 이번 강의에서는 최근 급증한 한국어교육이 실제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현황을 살펴보고,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한국어교사의 필요성에 대해서 짚어본다.

한국어 교육 현황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베트남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발전방향 제언 – NAVER Academic

Ji-Sun Yang, Dong-Hee Park, 2012,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and Proposal of Enhancement, Journal of Korean Language …

+ 여기에 표시

Source: academic.naver.com

Date Published: 7/2/2021

View: 2340

주요 현황 | 재외교육기관포털 – 교육부

40, [투르크메니스탄] 외국어교육정책과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작성자서울대관리자, 날짜2022-01-27, 조회183. 39, [키르기스스탄] 외국어교육정책과 한국어 교육과정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okeis.moe.go.kr

Date Published: 2/29/2021

View: 9483

2021.10.08. 세종학당재단 정종권, 이규림

목차 (베트남 한국어 교육 정책 ). • 베트남 개황 및 한국과의 관계. • 베트남 외국어 교육 전략. • 베트남 내 한국어 교육의 역사 및 현황.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wockl.org

Date Published: 8/2/2021

View: 4553

[논문]베트남 대학교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 현황 분석

베트남 대학교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 현황 분석 원문보기. 응웬 티 레나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전공 국내석사)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scienceon.kisti.re.kr

Date Published: 8/17/2021

View: 6544

국제 언어로서 한국어의 위상

한류를 통한 문화교류와 한류로 촉발된 한국어교육은 가장 전형적인 문화적 … 해외 대학의 한국학 및 한국어학 개설 현황은 한국국제교류재단 통계 …

+ 여기에 보기

Source: kofice.or.kr

Date Published: 6/15/2022

View: 2411

해외 한국어교육 확산을 위한 교육 현황 분석 연구

해외 한국어교육 확산을 위한 교육 현황 분석 연구 -해외 대학 기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State Analysis for the Expansion of Overseas Korean language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kci.go.kr

Date Published: 3/19/2021

View: 6875

한국의 대외 한국어 교육정책의 현황과 개선 방향

대외 한국어교육 정책 현황. 3. 언어정책과 한국어 교육정책. 4. 한국어교육 정책 수립의 핵심 이론. 5. 맺음말. 1. 한국의 국내외 이주와 다문화 상황.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s-space.snu.ac.kr

Date Published: 2/8/2021

View: 5782

2021년부터 한국어가 베트남에서 ‘제 1외국어’의 지위를 얻는다

​지난 11월, 베트남 국가 외국어 계획 운영위원회는 ”제1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과정 설계를 지도하고 있다”라고 밝히면서 “큰 문제가 없으면 내년에 …

+ 더 읽기

Source: veyond.asia

Date Published: 7/14/2022

View: 510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 코리아스칼라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발행기관: 한국어문화교육학회 [The Society for the Education of …

+ 여기를 클릭

Source: db.koreascholar.com

Date Published: 1/11/2021

View: 3262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한국어 교육 현황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고려사이버대 고려특강] 한국어교육의 현황 및 한국어교원자격증의 필요성 – 강현화 연세대 교수.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고려사이버대 고려특강] 한국어교육의 현황 및 한국어교원자격증의 필요성 - 강현화 연세대 교수
[고려사이버대 고려특강] 한국어교육의 현황 및 한국어교원자격증의 필요성 – 강현화 연세대 교수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한국어 교육 현황

  • Author: 고려사이버대학교
  • Views: 조회수 11,544회
  • Likes: 좋아요 45개
  • Date Published: 2012. 11. 19.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tjvGhZcVDYk

[논문]베트남 대학교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 현황 분석

초록

베트남과 한국 간의 수교 이후 양국의 경제ㆍ정치ㆍ문화 교류가 급속히 확대되면서 한국어 통ㆍ번역 인재와 한국 관련 전문가 수요의 증가로 사회적으로 한국 관련 연구 인력이 많이 요구되는 상황이 되었다. 이런 사회적 요구에 따라서 베트남에서는 1993년부터 2014년까지 전공 혹은 비전공으로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21개 대학이 생겨났다. 또 많은 사람이 말하고 있는 한류 (Korean Wave, Hallyu)문화가 베트남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요한 이유가 되기도 한다. 한국 문화가 베트남에 융화되면서 위에 기술하는 양국의 외교관…

베트남과 한국 간의 수교 이후 양국의 경제ㆍ정치ㆍ문화 교류가 급속히 확대되면서 한국어 통ㆍ번역 인재와 한국 관련 전문가 수요의 증가로 사회적으로 한국 관련 연구 인력이 많이 요구되는 상황이 되었다. 이런 사회적 요구에 따라서 베트남에서는 1993년부터 2014년까지 전공 혹은 비전공으로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21개 대학이 생겨났다. 또 많은 사람이 말하고 있는 한류 (Korean Wave, Hallyu)문화가 베트남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요한 이유가 되기도 한다. 한국 문화가 베트남에 융화되면서 위에 기술하는 양국의 외교관계를 서로 협력적인 관계로 유지시켜주고, 그와 더불어 한국어는 베트남의 외국어 시장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생계 수단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베트남 학습자에게 일정수준의 교육과정이 없다면 한국정부 및 한국기관들은 해외에서 한국 문화와 한국어를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하고 발전시키는 결과를 얻지 못할 것이다. 또한 베트남에서 한국어 교육에는 한국어 기능교육 이외에 문화ㆍ경제ㆍ역사ㆍ사상 등과 같은 한국학 교육이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한국과 한국인, 한국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언어뿐만 아니라 한국학 교육도 필요하다. 이 문제가 해결된다면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성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육의 발전방향을 긍정적으로 검토하여 교수법 및 학습방법의 문제점들을 개선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베트남에서는 현재 한국어 교육을 어떤 방향으로 발전시키고 있는지, 또 현재보다 더 높은 수준의 한국어 교육을 제공할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베트남 대학교들의 한국어(학)전공의 한국어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하고자 한다.

국제 언어로서 한국어의 위상

한국어는 이제 하나의 ‘국제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전 세계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7,700만여 명이며 전 세계 언어 중 모어 사용자 수에 따른 한국어의 순위는 14위라 한다.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응시자 급증 시점이 한류가 전 세계에 확산되기 시작한 시기와 거의 일치하는 것을 고려하면 한류와 한국어교육의 연관 관계를 유추할 수 있다. 하지만 잠재적 학습자가 실질적인 학습자로 전환되는 움직임은 제한적임을 알 수 있다. 한국어의 세계화를 위하여 한류를 통해 유입된 잠재적 학습자가 실제 한국어 학습자로 전환되는 정책이나 연구를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잠재적 학습자에게 문화기반 언어교육(culture-based language teaching)과 전 세계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한류를 통한 문화교류와 한류로 촉발된 한국어교육은 가장 전형적인 문화적 교환이면서 또한 효과적인 공공외교라고 할 수 있다.

———————————————————————————————————————————————————————————————

*메인 이미지 출처: KBS NEWS(2019.10.25). 미국 10대 인기 외국어는?…한국어 수강 95% 증가

1. 한국어의 국제적 위상 강화

한국의 국제적 지위 상승, 국내외 상황의 다양한 변화에 따라 한국어 사용자와 학습자가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약 7,700만여 명이며 전 세계 언어 중 모어 사용자 수에 따른 한국어의 순위는 14위라 한다. 해외에서 운영 중인 한국어 보급 기관의 수는 약 2천여 개이며 이 기관들에 등록된 수강생 수는 25만여 명에 이른다. 외국인 학습자를 위해 국내외에서 발간된 한국어 교재는 약 3,400권이며 2018년에 실시한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응시자 수는 329,224명, 합격자 수는 185,624명으로 1997년 2,692명 지원에 711명 합격과 비교해 보면 그 수가 얼마나 증가했는지 알 수 있다.

이처럼 한국어의 세계적 위상이 높아지고 한국어를 외국어 또는 제2언어로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가 많아지기 시작한 것은 국내외 상황 변화와 함께 살펴볼 수 있다. 1959년부터 1980년대 초반은 한국의 경제적 후진성과 더불어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수요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 부재한 시기였다. 이후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들어서 경제 성장과 86아시안게임, 88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 재외동포 2, 3세의 증가, 구(舊)공산권 국가와의 수교 등으로 한국어 학습자 및 교육기관의 증가, 교재의 다양화 등이 이루어졌다. 본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수요자가 증가하고 세계적으로 한국어에 대한 인지도가 상승하게 된 것은 1990년대 후반부터라 할 수 있다. IMF 관리 체제 극복, 2002월드컵의 성공적 개최 등으로 국제 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은 더욱 높아졌고 정부의 외국인 유학생 적극 유치 정책으로 한국어 학습자 수는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더불어 ‘한류’라는 이름 아래 다양한 한국 문화콘텐츠가 세계 시장에서 인기를 얻게 됨으로써 한국어에 대한 해외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타문화를 향유하고자 할 때 일차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언어 사용 능력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한류의 급속한 확산으로 한국문화에 대한 향유 계층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말에 대한 인식도 개선되는 등 한국어의 국제적 위상이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2. 국내외 한국어 교육 현황

2-1. 한국어 관련 기관

1990년대 후반부터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국내외 한국어 보급을 위해 정부 부처별로 지원기관을 설립하여 한국어 교육 관련 사업을 진행 중이다. 국외 한국어 교육은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원, 세종학당), 교육부(한국학교, 한국교육원), 외교부(민간 주도 한글학교)의 3개 부처가 담당하고 있으며, 국내 교육은 문화체육관광부(국립국어원, 국어문화원), 여성가족부(다문화가족지원센터), 법무부(사회통합프로그램 수탁기관), 교육부(다문화교육센터, 다문화대안학교), 고용노동부(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의 5개 부처가 관할하고 있다.

2-2. 국내 한국어 교육

1990년 이후 다양한 상황 변화에 따라 한국어 학습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첫째, 2000년 이후 국가 위상 제고 및 유학생 확대 정책에 힘입어 학습자가 증가하였으며 둘째, 국제결혼으로 인한 다문화가정의 한국어 수요가 확대됐고 셋째, 고용허가제 시행으로 이주 노동자가 늘어났다. 법무부 통계에 따르면 2018년 12월 기준으로 국내 거주 외국인은 약 236만 7천 600여 명으로 2017년 대비 8.6% 증가하였다. 출신국 별로는 한국계 중국인을 포함한 중국이 45.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태국(8.4%), 베트남(8.3%), 미국(6.4%) 등의 순이었다. 국내 체류 외국인의 현재 연평균 증가율(8.4%)이 유지될 경우, 2030년에는 300만 명을 상회하여 전체인구의 5.8%에 해당할 전망이다. 그중 국내 유학생은 2018년보다 2만여 명이 증가한 160,165명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적별로 보면 중국(44.4%), 베트남(23.4%), 우즈베키스탄(4.7%) 등의 순이나 중국의 경우 2017년 55.1%보다 비중이 감소하였으며, 베트남은 2017년 11.85%보다 2배 이상 증가한 23.4%를 차지하였다. 결혼이민자는 2018년 기준으로 159,206명으로 경인 지역에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출신국은 중국, 베트남, 필리핀, 일본 등의 순이다. 국내 거주 외국인과 결혼이민자 등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기관도 다양해졌다. 2018년 기준으로 국내에는 140여 개의 한국어 교육기관이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대학 부속 언어 교육기관이다. 결혼이주민을 위한 한국어 연수(교육)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2019년 기준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총 218개이고 경기도가 30개로 가장 많으며 세종시가 1개로 가장 적다. 국내외에서 한국어 학습자가 증가함에 따라 한국어능력을 평가하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응시자도 증가하였다. 시험 시행 횟수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연 2회에 그쳤으나, 응시자 증가에 따라 그 후 차차 늘어 2015년부터는 연 6회 실시하고 있다. 1997년 2,274명의 응시자로 시작하여 2018년 기준으로 329,224명이 응시해 185,624명이 합격하였다

2-3. 국외 한국어 교육

근래 한국어 교육이 가장 빠르고 크게 확산된 곳은 중국인데 현재는 증가세가 둔화되었다. 일본도 2000년대 급속히 퍼졌다가 현재는 주춤한 상황이다. 반면에 동남아시아의 경우 상호 경제교류가 급증하고 한류 열기가 뜨거워 한국어 학습자 수요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중앙아시아는 1990년 이후 경제적 상호의존성 증가와 한류 열기, 한국 이주 희망자와 귀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급속히 확산된 후 다소 정체기를 겪었으나, 최근 K팝의 인기로 인해 한국어 학습자가 다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해외 중등학교의 정규과정에서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채택하여 교육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지난 1997년, 미국 대입시험(SAT)에 한국어 과목이 포함되었으며 태국에서는 2018년도 대학입학시험에 한국어가 제2외국어 과목으로 채택되었다. 해당 연도 입시에 응시한 5만여 명 중 약 10%가 한국어를 선택할 정도로 그 인기가 높다. 스리랑카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 사업의 일환으로 AL(Advanced Level) 과정에 한국어 교육과정을 새로 포함시켰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입학시험에 한국어가 채택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타슈켄트 한국교육원과 함께 국민교육부 산하 국립교육센터에서 5학년~9학년의 한국어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후 한국어 교사 양성을 위해 한국어교원자격증 취득이 가능한 전문 연수 과정을 개설했다. 한국어의 위상이 국제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여러 나라에서 한국어를 배우는청소년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학, 한국학 전공 강좌 개설 대학은 107개국 1,395개 대학에 이른다. 최근 들어 동남아를 비롯한 제3국가에서도 한국학 및 한국어학과 개설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 지역은 한국과의 경제적 상호의존성이 증가하고 있는 곳이거나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지역이다. 해외 대학의 한국학 및 한국어학 개설 현황은 한국국제교류재단 통계 센터 자료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일본(372강좌), 중국(279강좌), 미국(131강좌), 러시아(37강좌), 대만(36강좌), 태국(34강좌), 베트남(29강좌), 영국(28강좌), 인도(22강좌), 몽골(21강좌), 독일(20강좌), 말레이시아(19강좌), 프랑스(19강좌), 카자흐스탄(17강좌), 캐나다(16강좌), 필리핀(13강좌), 캄보디아(12강좌), 호주(11강좌) 순이다.

해외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대표적 기관은 세종학당과 한글학교다. 세종학당은 문화체육관광부가 관련 정책을 결정하고 세종학당재단에서 주관하는 한국어 보급 기관이다. 외국어 또는 제2언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현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우리 문화를 교육하고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와 달리 한글학교는 재외국민에게 한국어, 한국 역사, 한국문화 등을 교육하기 위해 재외국민 단체 등이 자체적으로 설립한 교육기관이다.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재외 공관의 장에게 등록한 비정규 학교이다. 이외 한국문화원이나 기업체에서 운영하는 한국어 교실이 있다. 한국문화원은 국가 이미지 제고를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와 문화 한국 이미지의 세계 선양을 비롯한 국가 간 문화교류의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업체의 한국어 교실 등은 현지 직원과 한국인 임직원, 한국인 고객과의 의사소통을 위해서 기초 및 생활 한국어 중심으로 운영된다. 이중 대표적인 해외 한국어 교육기관은 세종학당으로 한류 기반의 학습자, 결혼이민자, 고용허가제 근로자 등 한국어를 외국어 또는 제2언어로 학습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관이다. 세종학당은 2019년 기준으로 세계 60개국, 180개소의 학당을 운영하고 있으며 수강생 수는 약 6만 명이 넘는다. 대륙별로 보면 아시아가 22개국 105개소, 유럽 19개국 38개소, 아메리카 13개국 29개소, 아프리카 4개국 4개소, 오세아니아 2개국 4개소이다.

3. 한류와 한국어 그리고 공공외교

문화의 확산은 언어보다 훨씬 강력하고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빠르다. 그리고 다른 나라 사람들에게 문화를 향유하는 사회(국가)에 대해 긍정적 정향을 갖도록 해준다. 문화 향유의 욕구가 강렬해지면 많은 사람이 언어를 학습하게 된다고 한다.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응시자가 급증한 시점이 한류 문화가 전 세계에 파급되기 시작한 시기와 거의 일치하는 점을 생각해보면 한류와 한국어 교육의 연관 관계를 유추할 수 있다. 한류가 한국어 학습을 시작하도록 하는 동기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한류를 통해서 접촉하게 된 드라마, 영화, 노래의 의미를 이해하고 따라 하기 위해서 한국어 학습을 시작하거나 한국 유학을 결정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문화 향유와 언어 학습 사이의 큰 문제는 학습의 진정성과 지속성이다. 일본에서 한류가 확산되는 과정에서 한국어 학습 방송의 시청자와 교재 판매 등은 크게 증가하였지만, 고등학교나 대학에서 정식으로 한국어를 수강하는 학생의 수는 그만큼 늘어나지 않았다. 한류 확산을 통해서 잠재적 학습자가 대규모로 형성되었지만, 여기에는 이들을 진정한 학습자로 전환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잠재적 학습자란 한국어 학습을 본격적으로 하고 있지는 않지만, 한국 문화콘텐츠에 열광하는 이들이다. 일본의 고등학교나 대학에서 K팝이나 한국 관련 동아리를 통해 한국어 학습을 원하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생기기 시작하였고, 취미로 한국어를 공부하는 잠재적 학습자가 나타났다. 일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도 한국어를 공부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한국인과 한국 대중문화에 대해 호감 때문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일본 공영방송《 NHK》는 한글강좌 프로그램에 한류 드라마와 가요 등을 텍스트로 적극 활용한다.

중국에서도 한류 문화 덕분에 잠재적 한국어 학습자가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00명의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25.9%의 응답자가 ‘한국을 여행하거나 언어에 대해 지식을 넓히고 싶기 때문에 한국어를 공부한다’고 응답했고, 25.6%는 ‘한류 때문에 한국어를 공부한다’고 답했다. 응답자 중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에 대해서 대학생들은 한국 여행과 한국어에 대한 관심을 첫 번째 이유로 대답했고 다른 응답자들은 한류를 제일 중요한 이유로 선택했다. 하지만 잠재적 학습자가 진정한 학습자로 전환되는 경우는 제한적임을 알 수 있다. 일본에서는 2002년 <겨울연가> 방영을 계기로 한국어 학습에 대해 관심 있는 사람들의 수가 점점 증가하게 되었다. 하지만 일본 고등학교 중 한국어 강좌를 개설한 학교 수는 2003년 219개에서 2007년 426개로 크게 늘었지만, 한국어 수강생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비율(2003년 6,476명 → 2007년 8,865명)로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한류로 인하여 잠재적 학습자들이 많이 증가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들이 아직 진정한 한국어 학습자로 발전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류를 통해 유입된 한국어 학습자는 언어 습득에 대한 잠재적 욕구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문화의 확산이 언어보다 훨씬 강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에도 잠재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 지속성이 부족하다는 과제가 있다. 따라서 한국어의 세계화를 위하여 한류 잠재적 학습자를 진정한 한국어 학습자로 전환하는 정책과 연구를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잠재적 학습자에게 문화기반 언어교육(culture-based language teaching)과 전 세계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래서 한류 기반 잠재적 학습자를 지속적인 학습으로 유도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과 대중문화 기반 언어교육(popular culture-based language teaching)을 중시하는 ‘한국어 학습 지원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그중에서 특히 ‘한류콘텐츠를 활용한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 교재’ 개발이 시급하다. 한류 기반 교재는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현재 유행하고 있는 한국 드라마, 영화, 음악, 시사적이고 현장감 있는 문화콘텐츠를 한국어 교재에 포함시켜 학습자로 하여금 흥미를 가지고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한류콘텐츠 기반의 의사소통 중심 한국어 교재는 교실에서는 물론 인터넷을 통해서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통합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해서는 외국인 한국어 교수자들이 참여하는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중심의 한국 사회·문화에 관한 디지털 콘텐츠 개발과 이를 유튜브 등과 같은 다양한 SNS를 통해 자유롭고 쉽게 유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4. 나오며

“문화적 교환은 단순히 ‘예술’이나 ‘문화’가 아니라 한 나라의 ‘사고, 연구, 저널리즘, 국가적 논의’를 서로 나누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전통적인 문화 교환의 영역이 이제 새로운 국제 의사소통의 일부가 되었으며, ‘공공외교’의 발달은 문화, 언론, 정보활동 사이의 밀접한 관계 덕분에 이를테면 새로운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현실의 결과로 나타난 현상이다.” 공공외교와 문화교류는 점진적으로 수렴되고 있다. 이렇게 보면 한류를 통한 문화교류와 한류로 촉발된 한국어 교육은 가장 전형적인 문화적 교환이면서 매우 효과적인 공공외교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나라가 이제는 공공외교 정책을 논하면서 국제관계에서 소프트파워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공공외교가 세계 정치구조의 한 부분이 된 것이다. 정부 주도형의 위계적인 시스템이 비국가 행위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조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한류와 한국어 교육을 통한 문화교류는 타국이 가지지 못한 공공외교의 중요한 전략 자산이며 그 가치와 중요성은 점점 증대하고 있다.

글ㅣ양기웅 한림대학교 글로벌협력대학원 원장

유승금 한림대학교 글로벌협력대학원 글로벌한국학과 학과장

(출처 : 한류NOW 2020년 1+2월호)

해외 한국어교육 확산을 위한 교육 현황 분석 연구 -해외 대학 기관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해외 한국어 교육의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 해외 한국어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와 해외 대학의 한국어 교육 현황 조사하고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해외 한국어교육은 그간 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한 민간 차원에서의 지원과 더불어 국가 주도의 사업이 진행되어 왔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증대와 더불어 한류의 확산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한국어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러한 세계적 현상에 부응하기 위해 국가 주도의 해외 한국어 사업이 실시되었다. 해외 환경에서 양질의 한국어교육을 실현하기에는 교육과정 정책에서부터 전문 인력, 교육용 콘텐츠, 교육 제반 시설에 이르기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하겠다. 한국어교육 확대 사업에 대한 국가 차원에서의 체계화 및 실질적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 대학 중심의 한국어 교육 확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한국 국제 교류 재단의 해외 한국학 데이터베이스 분석과 해외 대학 한국어(한국학) 보급 현황 및 실태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This study reviewed preceding studies and analyzed current state of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provide a basic data that utilized in expanding and activating overseas Korean education. So far,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supported not only by private dimension led with domestic college but state-run foundation. From the 2000s, the growing interest in Korea and Korean culture and the spread of Korean wave increased the deman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meet this global interest, a national led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ject was conducted. In the overseas environment, various factors like curriculum policies, professional manpower,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 facilities are limited to realize high quality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ystemization and practical support plan for the expansion proj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at the national level.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the search of resolution to exp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ding from foreign faculty by analyzing overseas Korean studies info of Korea Exchange Foundation and reviewing the preceding studies of offer standing and current state of foreign faculty Korean (Korean study).

2021년부터 한국어가 베트남에서 ‘제 1외국어’의 지위를 얻는다

​지난 11월, 베트남 국가 외국어 계획 운영위원회는 ”제1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과정 설계를 지도하고 있다”라고 밝히면서 “큰 문제가 없으면 내년에 이런 교육 과정이 통과될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부터는 한국어가 베트남에서 제1외국어의 지위를 얻게 된다는 의미다.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베트남 학생

한국어는 지난 2016년부터 베트남 교과과정에 편입됐다. 하지만 당시까지만 해도 한국어는 제2외국어의 지위였다. 베트남에서 제1외국어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선택과목으로 가르치지만 제2외국어는 중등학교부터 가르친다. 일본어는 일찌감치 제1외국어로 사용되고 있었는데 반해 한국어는 그렇지 못했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베트남에서 한국어의 인기는 그 어느 외국어의 인기보다 뒤지지 않는다. 베트남 내 29개 대학에서 1만 6천여 명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으며 한해 1만 5천 명 이상이 한국어능력시험(TOPIK)을 응시하고 있다. 한류 열풍에 힘입어 취미로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도 많아지면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어학당 또한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베트남의 이유 있는 한국어 열풍

베트남에서 한국어가 인기 있는 이유를 여러 가지로 살펴볼 수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돈’이다. 양국은 지난 92년 교역의 문을 연 이래 현재에는 서로 가장 중요한 교역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국의 5대 수출국 중 하나로 베트남이 떠오르면서 한국 회사들도 하나둘씩 베트남으로 자리를 옮기기 시작했다. 지난 5년간 베트남에서 새로 생긴 한국 기업은 약 3500개 정도 된다. 작은 기업, 중견 기업들도 있지만 글로벌 기업인 삼성이나 LG도 있다. 베트남 삼성전자 한 회사에서만 15만 명이 넘는 베트남 사람을 채용하고 있다.

​ 기업이 해외로 진출하게 되면 가장 먼저 맞닥뜨리는 것이 바로 언어의 장벽이다. 베트남으로 이전한 한국 기업들은 한국말을 할 줄 아는 현지인들을 찾았다. 한국어를 하는 베트남 노동자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자 대학들도 앞다투어 한국어학과를 개설하기 시작했다.

베트남 최고 대학인 국립 호찌민대의 한국학부는 인문사회계열 최고의 입학 점수를 자랑한다.

호찌민에서 영어를 할 줄 아는 대졸자 월급은 약 500달러 수준이다. 하지만 한국어를 할 줄 아는 현지인의 경우는 그 가격이 훨씬 뛴다. 어느 정도 업무 스킬만 확보된다면 1000달러도 가능하다는 게 현지의 전언이다.

강사의 부족함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어 교육

그러나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보다 기업의 수요가 더 높다 보니 문제도 생겼다. 한국어를 열심히 하지 않아도 채용이 쉽게 되다 보니 공부를 소홀히 하고 취업전선에 뛰어드는 현지인들도 많았다. 또 어느 정도 실력만 쌓으면 쉽게 스카우트되다 보니 직원들의 이직률 또한 높아졌다.

질적인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하지만 상황은 쉽지 않다 . 베트남에서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교원 숫자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호찌민 대학교 한국학부는 전체 학생이 약 720명인데 반해 학생들을 가르치는 강사는 23명에 불과하다. 강사 1명이 학생 30여 명을 담당하는 셈이다.

한국어 인기에 비해 부족한 한국어 교육 인프라

이는 한국어 교원을 한국인에게서 의존한 탓이 크다. 베트남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사람 대부분은 한국에서 교육과정을 수료하는 한국인이지만 그 숫자는 적다. 교원이 부족하다 보니 한국 교육을 담당하는 학과는 ‘교육학과’가 아니라 ‘한국학과’에 머무르고 있다. 교육학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현지 한국어 교육 강사를 충분히 배출하지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교, 강사가 부족한 것은 대학뿐만이 아니다. 베트남에서 한국어 교육 학원을 운영하고 있는 한 원장은 “베트남에 한국어 강사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한국어 교사가 부족하기 때문에 한국어 학원끼리 교사를 차지하기 위한 싸움이 치열하다”라며 “한국 정부는 초급 단계 어린 학생들을 가르칠 게 아니라, 이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칠 베트남 교사 양성에 더 힘써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글 기초교육에 대한 다양한 방식이 필요하다 ⓒ빅히트

무역공사 측도 이런 문제를 지적했다. 2018년 말 ‘베트남에서 뜨는 한국어, 전문강사는 부족’이라는 기고글에서 “현지의 많은 한국어 사설학원들이 아직은 여러 면에서 부족하다 대부분의 베트남 학생들은 한국 원어민 교사를 선호하지만 현지 사설학원 강사들은 베트남 교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마저도 학원들 간 강사 모시기 경쟁이 치열한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우수한 한국어 교육 인력을 베트남에 파견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에서도 베트남어를 학습할 수 있는 인프라가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 대학 중에서 베트남어를 배울 수 있는 곳은 서울대와 한국외국어대를 포함해 총 6곳에 불과하다. 사설 학원도 마찬가지다. 사교육 시장이 크게 발달한 한국이지만 여전히 외국어 사교육 시장은 영어, 중국어 위주다. 베트남어를 가르치는 학원은 손에 꼽는다.

긍정적인 소식은 국내에서 베트남어에 대한 관심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는 것이다. 사설학원을 중심으로 베트남어 강좌의 숫자가 급증하고 있다. 한 학원 관계자는 “개설 한 달 만에 수강생이 급증해 반을 1개에서 11개로 늘리고, 강사도 2명에서 5명으로 보강했다”라며 한국에서도 베트남어의 인기가 점차 늘고 있음을 설명했다.

베트남어 자격증(OPI)를 중심으로 관련 수업도 많아지고 있다 ⓒECK 에듀케이션

하지만 확실한 성과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베트남 현지의 교육 인프라를 점검하고 정책적으로 언어 교육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호찌민 인문사회대 부총장 역시 “교수진 부족이 가장 큰 문제”라며 “한국 정부가 교수진 충원에 도움을 주기를 바란다”라고 요청한 바 있다. 양국의 교류가 고도화되는 것과 비례하는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한 시기다.

ⓒ VEYOND MAGAZINE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KOREASCHOLAR

1. 서론

2. 한국어교육현황

2.1. 베트남 대학 내 한국학과 설치 현황

2.2. 학습자 현황

2.3. 강사 현황

3. 베트남 파견 프로그램

3.1. 한국국제협력단

3.2. 한국국제교류재단

3.3. 한국학중앙연구원

3.4. 한국어세계화재단

4. 결론

본고에서는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한국 정부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사 파견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현재 베트남 내 12개 대학에서 한국어, 한국학을 전공 과정으로 개설하고 있었으며, 정규과정과 비정규과정을 통틀어 4,465 명 이상의 학생들이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었다. 이들을 가르치는 교사는 123명으로 학사 학위자가 44.7%, 석사 학위자가 46.3%, 박사학위자가 9%였다. 한국 정부기관에서는 한국국제협력단,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어세계화재단에서 각각 베트남에 봉사 단원, 교수 등을 파견하고 있었다. 조사를 통해 베트남에서는 1992년 이후 한국과 수교를 수립한 이후 지속적으로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 정부기관에서 파견하는 교사의 수는 수요에 비해 그 수가 적어 이는 향후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introduce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and the teach dispatch program under implementation by Korean government agencies. Currently 12 Universities opened Korean Studies and Korean language as major courses, and more than 4,465 students are studying Korean in the regular process as well as non-regular courses. The teachers for them are 123 persons, of whom 44.7% had a bachelor’s degree, 46.3% master’ s degree and 9% had doctor’s degree. Korean government agencies has sent volunteers, professor, etc. through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rea Foundation, Academy of Korean Studies, Korean Globalization Foundation. Through survey, it was proved the interest in Korean language is increasing in Vietnam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with South Korea in 1992. But the number of teachers which Korean government agencies dispatches are fewer than the demands, which should be improved in the future.

키워드에 대한 정보 한국어 교육 현황

다음은 Bing에서 한국어 교육 현황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고려사이버대 고려특강] 한국어교육의 현황 및 한국어교원자격증의 필요성 – 강현화 연세대 교수

  • 고려사이버대학교
  • CUK
  • The Cyber University of KOREA
  • Educational
  • KOREAN
  • 한국어
  • 한국어교육
[고려사이버대 #고려특강] #한국어교육의 #현황 #및 #한국어교원자격증의 #필요성 #- #강현화 #연세대 #교수


YouTube에서 한국어 교육 현황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려사이버대 고려특강] 한국어교육의 현황 및 한국어교원자격증의 필요성 – 강현화 연세대 교수 | 한국어 교육 현황,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롯데 정보 통신 자소서 | 롯데정보통신 채용 토크| 롯데 채용 (롯데는 채용이 하고 싶어서) 상위 202개 베스트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