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전기 음성 도 표 – 전기음성도와 극성“?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탑사이언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9,587회 및 좋아요 21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전기 음성 도 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전기음성도와 극성 – 전기 음성 도 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탑사이언스 #전기음성도 #극성
전체 목록 http://www.top-science.co.kr/n_web/smart_science.php\r
탑사이언스 과학 학원(대구 수성구) http://www.topsa.co.kr
전기 음성 도 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전기음성도 – 나무위키:대문
전기음성도 표3. 세부 내용4. … 폴링 전기음성도는 공유결합을 하는 원자가 전자를 자기쪽으로 끌어당기는 정도를 상댓값으로 나타낸 것을 뜻한다.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2/21/2021
View: 6933
전기음성도의 경향성 및 암기방법 [일반화학/고등학교 화학1]
전기음성도의 · 1. 주기율표에서 오른쪽 위(→↑)로 갈수록 전기음성도가 커지고, · 2. · · 이것은 전자껍질(주기) 및 핵전하(족)와 관련이 있습니다. · 1.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3/7/2022
View: 3512
전기음성도(electronegativity)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예컨대 서로 다른 두 원자로 이루어진 분자 A-B가 있을 때, 이들 A와 B의 전기음성도의 차가 클수록 결합에 관여하는 전자는 한쪽 원자에 이끌리게 …
Source: www.scienceall.com
Date Published: 5/8/2021
View: 9251
[G. Chem] 18. 전기음성도(Eletronegativity) – Herald’s Lab
– 기억할만한 원소의 전기음성도는 다음과 같다: H(2.1), P(2.1), Li(1.0), Ca(1.0), N(3.0), Cl(3.0), Be(1.5), Al(1.5), S(2.5), C(2.5) ⇒ 값은 …
Source: herald-lab.tistory.com
Date Published: 9/7/2021
View: 9076
전기음성도(Electronegativity)의 뜻과 개념 – 직장인의 실험실
전기음성도(Electronegativity)의 정의 전기음성도(Electronegativity)는 원자가 전자를 끌어 당기는 경향을 표현하는 화학적 개념입니다. 전기음성도는 원자번호, …
Source: luvlyday.tistory.com
Date Published: 1/20/2022
View: 4541
전기음성도 (electronegativity) – 좋은 습관
아래 도표는 나중에 또 수정해서 발표한 (최종) electronegativity scale입니다. 즉, 둘 다 Pauling의 전기음성도 척도입니다.
Source: ywpop.tistory.com
Date Published: 4/28/2021
View: 4369
전기음성도 – 내꿈은자동화
전기음성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플루오린(불소), 산소, 질소의 전기음성도가 커 화학결합시 특별한 결합을 한다. (링크 참조). <참고 문헌>.
Source: hiuaa.tistory.com
Date Published: 1/10/2022
View: 6951
전기 음성도를 계산하는 방법 – Wukihow
화학에서 전기 음성도 는 원자가 결합에서 전자를 얼마나 강하게 끌어 당기는 지 … 원소의 전기 음성 도표는 각 원자가 전기 음성 도로 분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
Source: ko.wukihow.com
Date Published: 6/7/2022
View: 879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전기 음성 도 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전기음성도와 극성.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전기 음성 도 표
- Author: 탑사이언스
- Views: 조회수 19,587회
- Likes: 좋아요 211개
- Date Published: 2020. 9. 17.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3g35q5mlaNs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기 음성도(電氣陰性度, electronegativity)는 원자나 분자가 화학 결합을 할 때 다른 전자를 끌어들이는 능력의 척도이다. 공유하고 있는 전자쌍을 끌어들이는 성질을 말한다. 전기 음성도는 원자가전자와 원자핵의 거리와 원자 번호에 의해 결정된다. 전기 음성도가 높을수록 원자가 전자를 더 끌어 당긴다.
폴링 척도에 의한 전기음성도 주기율표
각 원소에 관한 내용은 주기율표 참조
멀리컨 척도 [ 편집 ]
멀리컨 척도는 1934년 로버트 멀리컨이 제안한 척도로, 식은 다음과 같다.(비전하 측정을 위한 기름방울 실험에서의 밀러컨과는 다른 사람이다!)
그러므로 비활성기체의 경우에도 전기음성도가 존재하지만, 패턴은 폴링 척도와 매우 비슷하다. 현재 잘 쓰이지는 않고 있다.
같이 보기 [ 편집 ]
외부 링크 [ 편집 ]
전기음성도의 경향성 및 암기방법 [일반화학/고등학교 화학1]
전기음성도의 경향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기율표에서 오른쪽 위(→↑)로 갈수록 전기음성도가 커지고,
2. 주기율표에서 왼쪽 아래(↓←)로 갈수록 전기음성도는 작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것은 전자껍질(주기) 및 핵전하(족)와 관련이 있습니다. 원리를 설명하자면,
1. 오른쪽으로 가면 핵전하(족)이 커지면서 원자핵이 전자에 작용하는 전기력이 커지고,
2. 위로 가면 전자껍질(주기)이 하나 줄어들면서 거리가 짧아져 전기력이 커지게 됩니다.
즉, 오른쪽 위로 갈수록 전기음성도(전기력)가 커지는 것이죠.
전기음성도에는 밀리컨 척도와 폴링 척도가 있습니다. 밀리컨 척도는 현재 잘 쓰이지 않고 폴링 척도를 주로 사용합니다.
이것도 시간되면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폴링 척도(Pauling scale)도 20세기 중반에 수정이 되었는데, (위 사진은 수정된 후 version입니다.) 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는 여전히 수정되기 전 폴링 척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혼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만, 저는 그냥 교과과정대로 가르칩니다.
솔직히 강사가 되고 나서 느낀 것이지만, 교과서에도 상당히 오류가 많습니다.
예를들면, H는 수정되기 전 전기음성도가 2.1 수정된 후 2.2입니다.
전기음성도(electronegativity)
분자 내에서 한 원자가 전자를 끌어당기는 힘의 상대적 크기. 예컨대 서로 다른 두 원자로 이루어진 분자 A-B가 있을 때, 이들 A와 B의 전기음성도의 차가 클수록 결합에 관여하는 전자는 한쪽 원자에 이끌리게 되어 결합의 이온성이 커진다.
반면에 전기음성도의 차가 작아 0에 가까워질수록 전자는 두 원자에 공유 되는 정도가 커지고 공유결합성이 강해진다.
전기음성도의 척도를 정하는 데는 다음 세 가지 방법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① 1932년 미국의 L. C. 폴링에 의해 제시된 것으로, 결합에너지를 바탕으로해 계산한다.
즉, A-B에서의 이온성의 기여를 △ AB 로 했을 때, A-A 또는 B-B와 같은 결합은 동종 원소간의 결합이므로 이온성은 작다고 보고, 각 결합에너지 D AB , D AA , D BB 의 사이에는
와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고 간주, 각종 원소의 △ AB 를 구한다.
이 이온성의 기여가 A와 B사이의 전기 음성도(각각 X A 및 X B )의 차에 대응한다고 보고, 단 위를 전자볼트(eV)로 환산해,
이라는 식을 만족시키는 X A , X B 등의 값을 구하고, 이것을 각 원자의 전기음성도로 한다.
이것을 폴링의 전기음성도라 한다.
② 1934년 미국의 R. S. 멀리켄에 의해 제시된 것으로, 각 원자의 이온화포텐셜 I와 전자친화력 E의 합에 연관된 값을 취한다.
즉, 그는 분자내에서의 두 원자 사이의 I와 E의 평균값에 비례한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이 생각은 매우 타당한 것으로, 그 값도 폴링의 전기음성도와 비교해 3.15로 나누었을 때 거의 비례한다.
③ 폴링과 멀리켄의 방법에 대해 A. L. 올레드와 E. G. 로호가 새로 제시한 실측에 의한 방법은 실제와 맞는 것으로서 흔히 사용된다.
즉, 한 결함에 있는 전자는 쿨롱의 법칙에 따라 Z*e2/r2(Z*는 그 전자에 미치는 유효핵전하)과 같은 힘을 받는데, 이것을 실측의 값과 대응시켜 전기음성도 χ는,
라는 식으로 나타내고, 여기서 모든 원소의 전기음성도를 구한다.
전기음성도의 값은, 하나의 원소에서는 결합하는 상대 원자가 다르면 바뀌게 되고, 또한 분자구조가 바뀌어 결합상태가 달라지면 바뀌지만, 일반적으로는 가장 보통인 상태의 값을 취하는 수가 많다.
[G. Chem] 18. 전기음성도(Eletronegativity)
728×90
반응형
전기음성도(electronegativity, EN): 화학결합을 하는 분자 내에서 한 원소가 원자가 전자쌍(공유전자쌍)을 자신에게 끌어당기는 정도
– 핵-공유전자쌍 간의 인력을 에너지 차원으로 나타낸 (물리)량
Linus Pauling, 1901-1994, U.S
미국의 화학자 라이너스 폴링은 자신이 고안한 식을 통해 최초로 전기음성도에 구체적인 값을 부여했다.
Pauling의 electronegativity
– 결합한 두 원소 A, B의 결합해리에너지(dissociation energy) D를 이용해 식을 고안(1932)했다. ⇒ 결합한 두 원소의 전기음성도 차이가 클수록 공유결합에서의 결합해리에너지 값이 크다.
여러 화학 서적에 등장하는 전기음성도의 주기율표는 Pauling이 계산한 EN scale을 따른다.
그림 1. Pauling’s EN Values
– 핵의 양성자수가 클수록 핵-원자가전자 간 인력이 커져 EN이 크다.
– 전자껍질수가 많을 수록 핵-원자가전자 간 인력이 작아져 EN이 작다.
– 기억할만한 원소의 전기음성도는 다음과 같다: H(2.1), P(2.1), Li(1.0), Ca(1.0), N(3.0), Cl(3.0), Be(1.5), Al(1.5), S(2.5), C(2.5) ⇒ 값은 Pauling의 EN을 반올림한 결과이다.
같은 주기 상에서 원자번호가 커질수록 양성자 수가 커져 전기음성도가 크다. 반면, 같은 족에서는 원자번호가 커질수록 전자껍질수가 많아져 전기음성도가 작다.
Pauling의 EN 외에도 밀리컨(Robert S. Mulliken, 1896-1986, U.S), 알레드(A. Louis Allred)-로우초(Eugene G. Rochow, 1909-2002, U.S), 앨런(Leland C. Allen), 샌더슨(R. T. Sanderson, 1912-1989, U.S) 등 많은 화학자들이 EN의 수치화에 기여했다.
특히 앨런의 전기음성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정량화에 있어, 앨런의 EN은 주족 원소에 한하여 매우 정확한 수치를 보인다. 따라서 물리화학적 계산에 자주 사용된다.
(2) 앨런의 전기음성도에 따르면, 모든 주기에서 18족 원소의 전기음성도가 가장 크다.
전기음성도의 경향
전기음성도의 경향은 Pauling scale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플루오린은 Pauling scale로 3.98이나, 반올림하여 4.0으로 생각한다.
2. 2주기 Li을 시작으로 0.5씩 차례대로 오른다.
3. 수소원자의 EN은 2.1 또는 2.2로 둔다. (논문에서 Pauling은 2.1로 표기했으나, 현대화학에서는 상황에 따라 2.2로도 표기하므로 혼용하도록 한다.)
4. 주기율표 상 오른쪽으로 갈수록 유효핵전하가 크고, 위로 갈수록 전자껍질수가 적어지므로 18족을 제외하면 17족 원소들의 EN이 가장 크다.
그림 2. 18족 원소를 제외한 17족 원소의 EN이 가장 크며 단일 원소로는 F가 가장 큰 EN 값을 갖는다.
1.0 1.5 2.1 2.5 3.0 Li, Ca Be, Al H(또는 2.2), P S, C N, Cl
전기음성도의 사용
전기음성도 수치는 일반화학을 넘어 여러 응용화학분야(유기화학)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1. 원자 결합의 성격을 파악
화합물의 결합 성격을 파악하는 데 EN 정보가 사용된다.
그림 3. 전기음성도의 차이에 따라 결합의 형태가 서로 다르게 분류된다.
결합의 분류
– EN차(ΔEN)=1.7의 화합물 결합은 이온결합에 가깝다고 표현한다.
– EN차 1.7을 기준으로 그 이상의 EN차를 갖는 물질은 ‘이온결합 화합물’, 그 이하의 EN차를 갖는 물질은 ‘극성공유결합 화합물’로 분류한다.
그림 4. 두 원자의 전기음성도 차이에 근거하여, 화합물을 명확히 분류할 수 있다.
– 완전한 이온결합화합물 또는 완전한 극성공유결합 화합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2. 산화수 결정
– 화합물 내에서의 구성 원소들의 산화수를 판단하는 데 사용
– EN이 큰 원소가 음의 산화수, EN이 작은 원소가 양의 산화수를 갖는다.
#일반화학 #전기음성도 #전기음성도식 #라이너스폴링 #폴링전기음성도 #전기음성도경향
728×90
반응형
전기음성도(Electronegativity)의 뜻과 개념
전기음성도의 뜻과 개념
전기음성도(Electronegativity)의 정의
전기음성도(Electronegativity)는 원자가 전자를 끌어 당기는 경향을 표현하는 화학적 개념 입니다. 전기음성도는 원자번호, 그리고 원자가 전자와 핵 사이의 거리에 영향을 받습니다. 말 그대로, 전기음성도가 높을수록 그 원자는 더 많은 전자를 끌어 당깁니다.
전기음성도 개념의 기원
스웨덴의 화학자인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
1811년에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Jöns Jacob Berzelius)라는 스웨덴의 화학자가 공식적으로 전기음성도라는 개념을 확립하고 명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그보다 앞서 아보가드로 (Avogadro)를 비롯한 여러 화학자들은 전기음성도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전기음성도를 정량화한 라이너스 폴링
라이너스 폴링(Linus Pauling)이라는 화학자가 전기음성도를 ‘폴링 스케일(폴링 척도)’이라는 숫자로 정량화하게 된 후부터 의 전기음성도는 구체적인 비교가 가능해졌습니다. 폴링의 전기음성도 값은 약 0.7에서 3.98 사이의 무 차원 수치로 나타냅니다. 전기음성도의 비교에는 폴링 스케일이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Mulliken 스케일, Allred-Rochow 스케일, Allen 스케일 및 Sanderson 스케일 등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전기음성도는 원자의 고유 특성이 아니라 분자 내의 원자의 특성 입니다. 따라서 전기음성도는 실제로 원자의 주위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유사한 특성을 보입니다. 전기음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소로는 원자핵의 전하와 전자의 수, 그리고 전자의 위치입니다.
전기음성도와 화학결합
전기음성도의 차이와 화학결합의 관계
비극성 공유결합
한 분자내에서 동일한 전기음성도를 갖는 2 개의 원자가 함께 결합을 이루면 비극성 결합이 형성됩니다. 이 두 원자는 전기음성도가 같기 때문에 화학결합에 참여한 전자를 동일한 정도로 끌어당기고 전자를 동일하게 공유하며 결합을 이룹니다. 이런 비극성 결합은 동일한 원자로 구성된 분자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 : H 2 , N 2 , Cl 2 등
비극성 공유결합의 예 (Cl2)
극성 공유결합
만약 전기음성도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원자가 결합을 이룬다면 극성 결합이 형성됩니다. 더 큰 전기음성도를 갖는 원자는 결합을 이루는 상대원자에서 전자를 더 많이 끌어당기며 극성 공유결합을 형성합니다.
예 : HCl, HF 등
극성 공유결합의 예 (HCl)
이온 결합
전기음성도 차이가 큰 두 원자가 함께 결합하는 경우에는 극성 결합이 아닌 이온 결합이 형성됩니다. 여기에서 낮은 전기음성도를 가지는 원자의 전자는 높은 전기음성도를 가지는 원자로 전달(transfer)되어 결합을 이룹니다.
예 : NaCl
이온결합의 예 (NaCl)
주기율표와 전기음성도의 관계
주기율표에서 가장 전기음성도가 큰 원소는 불소(F)이며 폴링 스케일 값은 3.98 입니다. 가장 전기음성도가 작은 원소는 세슘(Cs)이며 폴링 스케일 값은 0.79 입니다. 즉, 불소는 가장 전기음성적(전자를 많이 끌어오는)인 원소이며 세슘은 가장 전기양성적(전자를 덜 끌어오는)인 원소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오래된 몇몇 자료에는 세슘과 프랑슘(Fr)이 가장 낮은 전기음성도(0.7)를 가진 것으로 서술되어 있지만 수정이 필요합니다. 세슘의 폴링 스케일 값은 실험을 통해 0.7이 아닌 0.79로 수정되었습니다만 프랑슘에 대한 실험 데이터는 없는 상황입니다. 다만 프랑슘의 이온화 에너지는 세슘보다 높으므로 프랑슘의 전기음성도는 약간 더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위 그림은 주기율표에 나타낸 폴링의 전기음성도 입니다.
이를 살펴보면 같은 주기에서 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전기음성도가 증가하며, 같은 족에서 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전기음성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같은 주기에서 전기음성도의 변화
같은 주기에서 원자번호가 증가하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전자껍질의 수는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양성자 및 전자의 수는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핵과 전자 사이에는 더 큰 인력이 발생하고(유효 핵전하의 증가) 이로 인해 전기음성도(전자에 대한 핵의 인력)은 증가한다.
같은 족에서 전기음성도의 변화
같은 족에서 원자번호가 증가하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면) 양성자와 전자의 수 뿐만 아니라 전자껍질의 수 또한 함께 증가합니다. 따라서 내부 전자껍질에서 전자들의 가리움효과(또는 차폐효과, shielding effect)로 인해 전자와 핵 사이의 인력인 전기음성도는 감소합니다.
주기율표에서 볼 수 있는 대각선 관계
주기율표에서 두 번째 및 세 번째 주기에 대각선으로 인접한 원소들 사이에는 아래와 같은 대각선 관계가 존재합니다.
주기율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대각선 관계
리튬(Li)과 마그네슘(Mg), 베릴륨(Be)과 알루미늄(Al), 붕소(B) 및 실리콘(Si)은 유사한 특성을 갖는다. 붕소 및 실리콘은 모두 반도체로서 작용하는데 이러한 유사성은 전기음성도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주기율표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전기음성도가 증가한다고 설명드렸습니다. 이를 통해 붕소의 전기 음성도는 베릴륨의 전기음성도보다 큼을 알 수 있습니다.
전기음성도와 대각선 관계
또한 주기율표에서 아래로 내려오면 전기음성도가 감소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즉, 붕소의 아래에 위치한 알루미늄의 전기음성도는 붕소보다 적을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베릴륨과 알루미늄은 모두 붕소보다 전기음성도가 작지만 서로 유사한 전기음성도와 화학적 특성을 보입니다.
전기음성도 (electronegativity) ★
반응형
전기음성도 (electronegativity)
—————————————————
[ 관련 글: 공유 결합의 종류, 분류 https://ywpop.tistory.com/2566 ] [첫 번째 그림] 공유 결합 전. [두 번째 그림] 공평한 공유 결합 상태.이 상태라면 부분 전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세 번째 그림] 불공평한 공유 결합 상태.Cl의 전기음성도가 H보다 더 크기 때문에,
Cl은 공유전자쌍을 자신 쪽으로 당겨온다.
전자는 음의 전하(–)를 띤다.
그 전자(수소의 전자)를 자신 쪽으로 당겨왔으니,
당겨온 만큼 Cl은 음 전하를 더 갖게 되므로,
Cl은 부분 음전하(δ–)를 띠게 된다. 반대로,
H는 자신의 전자를 빼앗긴 만큼 부분 양전하(δ+)를 띤다.
[참고] 두 원자 사이의 전기음성도 차이가 클수록,Cl과 같이 전기음성도가 더 큰 원자는
더욱더 자신 쪽으로 공유전자쌍을 당겨올 수 있으므로,
결합의 극성은 증가한다.
▶ 기체 상태의 원자(원자의 핵)가 자신의 전자를 얼마나 강하게 잡아당기고(붙잡고) 있나?의 척도 = ‘이온화 에너지’
▶ 분자 내의 원자(공유 결합한 두 원자 중 하나)가 자신의 공유 전자들을 얼마나 강하게 잡아당기고(붙잡고) 있나?의 척도 = ‘전기음성도’
▶ Pauling이 이 개념(척도)을 정리하여, 각 원자의 전기음성도 값을 결정.
▶ 주기율표에서 → ↑, 전기음성도 증가 (원소들의 금속성질은 감소).
▶ 서로 다른 두 원자가 공유 결합하면, 전기음성도가 더 큰 원자는 자신 쪽으로 공유 전자들을 더 강하게 끌어당길 수 있다.(더 머물게 할 수 있다.)
—> 극성 공유 결합 형성
▶ 전기음성도 차이가 큰 원자들간 (2.0 이상) 에는 이온 결합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
[참고] 위 도표는 Pauling이 처음(사실은 두 번째) 발표한 electronegativity scale이고,아래 도표는 나중에 또 수정해서 발표한 (최종) electronegativity scale입니다.
즉, 둘 다 Pauling의 전기음성도 척도입니다.
( 관련 글 chemistry.stackexchange.com )
—————————————————
▶ 전기음성도 차이가 큰 원자들간 (1.8 이상) 에는 이온 결합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 출처 ]▶ C와 H의 전기음성도 차이(0.35)는 상당히 작아서,
C-H 결합에서는 쌍극자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C-H 결합은 비극성(무극성) 결합이며,
따라서 단일결합만 존재하는 탄화수소 화합물(alkane)은
구조에 상관없이 전부 비극성 분자로 취급한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4916 ] [참고] 이온결합을 하는 금속이 전기음성도 값을 가지는 이유인간들이 화학결합을 공유결합과 이온결합으로 나눈 것은
인간들이 편하고자 그렇게 나눈 것일 뿐,
실제 모든 화학결합은 공유결합 성질과 이온결합 성질을 둘 다 갖고 있다.
( 참고: Fajans’ rules https://ywpop.tistory.com/8370 )
( 참고: 염산은 공유결합물질인데 어째서 전해질이 되나요? https://ywpop.tistory.com/5518 )
공유결합 성질이 이온결합 성질보다 조금이라도 더 우세하면,
예를 들어, 공유결합 성질이 51%, 이온결합 성질이 49%이면, 그 결합은 공유결합,
이온결합 성질이 공유결합 성질보다 조금이라도 더 우세하면,
예를 들어, 이온결합 성질이 51%, 공유결합 성질이 49%이면, 그 결합은 이온결합,
이렇게 화학결합의 종류를 나눈 것이기 때문에,
금속, 비금속 모두 다 전기음성도 값을 가지는 것이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1323 ] 비활성기체족의 전기음성도 자료가 없는 이유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581 ] 쌍극자모멘트(dipole moment), 분자의 극성. [키워드] 전기음성도의 정의 기준문서, 전기음성도 기준문서, 전기음성도 사전, 이온결합 성질과 공유결합 성질 기준문서, 이온결합 성격과 공유결합 성격 기준문서, 공유결합 성질과 이온결합 성질 기준문서, 공유결합 성격과 이온결합 성격 기준문서그리드형(광고전용)
<그림 1> 전기음성도
전기음성도에 대한 설명은 그리 길지 않으며 해당 표를 참고해서 다른 개념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 아직까지는 )
<그림 1> 맨 위에 보면
‘원자의 직경 증가 -> 이온화 에너지 증가 -> 전기음성도 증가’ 라고 되어있다.
각각의 말에 대해 알아보자.
‘원자의 직경’ 은 단순히 원자에서 보았던 그 ‘원자’의 직경이다.
‘이온화 에너지’는 특정 전자를 떼어내는 데 필요한 힘이다. (이온화 에너지가 클수록 전자를 떼어내기 힘들다.)
‘전기음성도’는 화학결합시 다른 원자 혹은 분자의 전자를 끌어오는 힘이다. (전기음성도가 클수록 다른 원자, 분자의 전자를 잘 끌어온다.)
전기음성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플루오린(불소), 산소, 질소의 전기음성도가 커 화학결합시 특별한 결합을 한다. (링크 참조)
<참고 문헌>
<그림>
1. 위키백과 (https://en.wikipedia.org/wiki/Electronegativities_of_the_elements_(data_page))
키워드에 대한 정보 전기 음성 도 표
다음은 Bing에서 전기 음성 도 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전기음성도와 극성
- 탑사이언스
전기음성도와 #극성
YouTube에서 전기 음성 도 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기음성도와 극성 | 전기 음성 도 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