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격 관계 대명사 예문 | [관계대명사] 지금까지 없었던, 가장 쉽게 설명하는 관계대명사 개념강의 인기 답변 업데이트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목적격 관계 대명사 예문 – [관계대명사] 지금까지 없었던, 가장 쉽게 설명하는 관계대명사 개념강의“?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이나클라쓰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73,662회 및 좋아요 17,127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I bought a car which everyone wanted to drive. 나는 차를 한 대 샀다 근데 그것을 모든사람들은 타고 싶어 했다. This is the only boyfriend whom I want to marry.

목적격 관계 대명사 예문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관계대명사] 지금까지 없었던, 가장 쉽게 설명하는 관계대명사 개념강의 – 목적격 관계 대명사 예문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독해, 그리고 시험대비에 꼭 필요한 문법인 관계대명사,
너무 어려운 문법용어로 버무려진(?)탓에 많은 사람들이 영어의 손을 놓게 만든 장본인중의 하나이기도 했던..
최대한 쉽게 개념을 풀어나가려고 노력했던 강의입니다.
설명이 더 필요한 부분은 관계대명사 강의 2탄에서 만나요💙

목적격 관계 대명사 예문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쉽게 배우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 who/which/that – 유리면봉

바로 예문을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죠. 우선 관계대명사를 쓰려면 두개의 문장에서 중복되는 (대)명사가 있으니 찾아야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grateful-life.tistory.com

Date Published: 7/1/2022

View: 5735

목적격 관계대명사 :: Take 2

그러므로 전치사의 목적어라고 하면 ‘전치사 다음에 오는 명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문을 봅시다. ③ I played with my friend.

+ 여기를 클릭

Source: take2.tistory.com

Date Published: 2/15/2022

View: 9184

목적격관계대명사, 주격관계대명사, 소유격관계 … – Naver Post

그들은 음식을 좋아한다. He made it. 그가 음식을 만들었다. … 같은 사물을 지칭하죠. They love the food and he made it. 이렇게 두 문장을 합칠 수 …

+ 더 읽기

Source: post.naver.com

Date Published: 9/30/2022

View: 4846

목적격 관계대명사(who(m), which, that) – 영어 문장 늘리기

(단,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의 경우에는 관계대명사를 생략하지 않습니다.) 예문을 볼까요? A. 선행사가 사람인 경우. 1. He is a good leader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ensen5.tistory.com

Date Published: 2/2/2022

View: 5666

목적격 관계대명사 – 빡쌤의 행복 교실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알아 보기로 해요. … 주어 역할을 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를 알아봤죠. … 물론 위 두 예문에서 which 이든, who 이든.

+ 여기에 보기

Source: pparkssamhappy.tistory.com

Date Published: 6/6/2021

View: 509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목적격 관계 대명사 예문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관계대명사] 지금까지 없었던, 가장 쉽게 설명하는 관계대명사 개념강의.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 지금까지 없었던, 가장 쉽게 설명하는 관계대명사 개념강의
[관계대명사] 지금까지 없었던, 가장 쉽게 설명하는 관계대명사 개념강의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목적격 관계 대명사 예문

  • Author: 이나클라쓰
  • Views: 조회수 373,662회
  • Likes: 좋아요 17,127개
  • Date Published: 2020. 1. 10.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yv8aBYXPOZ8

쉽게 배우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안녕하세요,

지난 번 “주격 관계대명사”에 이어 오늘은 “목적격 관계대명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죠

그 전에 혹시 “주격 관계대명사”편을 아직 안보신 분이라면 아래 클릭하셔서 후다닥 보고 오시기를 권장합니다 ^^

오늘도 마찬가지로 이 관계대명사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관계대명사의 개념을 이해하고 기초를 닦는데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으로 여러분께 이 포스팅을 공유합니다. 그럼 예문을 통해서 바로 본론으로 넘어가볼까요?

목적격 관계대명사 I love reading the book which he wrote last year

지난 포스팅에서 설명드렸듯이 이 관계대명사라는게 무엇이고 어떤 기능을 하길래 우리가 공부를 하는지 이해하는게 중요한것 같아요…우리 학창시절에 시험문제로 내려고 이 관계대명사라른걸 만든건 아니잖겠어요? ^^;

지난번 포스팅에서 관계대명사는 두 문장을 하나의 문장으로 연결해주면서 동시에 중복되는 (대)명사를 관계대명사라는걸로 대신한다고 했어요(‘관계’-두 문장을 하나로 연결/’대명사’-중복되는 명사를 대신해준다)

바로 예문을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죠.

우선 관계대명사를 쓰려면 두개의 문장에서 중복되는 (대)명사가 있으니 찾아야 합니다. 이 예문에서는 the book과 it이 중복되는군요.

서로 중복되는 명사중 관계대명사 앞에 위치하게 될 명사를 “선행사”라고 한다고 했죠? 그럼 여기서는 the book이 선행사가 되겠군요.

어떤 관계대명사를 쓸건지는 두가지 간단한 확인단계를 통해서 결정된다고 했죠?

선행사가 사람인가 사물인가? 관계대명사 이후 문장에서 빠진 문장의 성분은 무엇인가(주어/목적어/소유격)? – 또는 선행사가 아닌 다른 중복되는 명사가 그 문장에서 주어/소유격/목적격중 무엇에 해당하는가?

그럼 첫째), 선행사가 사람인가 사물인가?….

우리 예문에서는 선행사가 the book, 사물이네요.. 그럼 쓸 수 있는 관계 대명사는 아래 표기된 부분으로 좁혀지죠?

둘째), 관계대명사 이후 문장에서 문장의 성분은 어떤게 빠져있나? 또는 선행사가 아닌 다른 중복되는 (대)명사 – “it”이 그 문장에서 주격인가, 목적격인가 아니면 소유격인가? 그럼 뒷 문장을 한번 볼까요?

He wrote it last year

여기에서 ‘it’은 위 관계대명사로 만들어진 예문에서처럼, 중복되는 (대)명사로 이건 접속사와 함께 관계대명사로 대체되겠죠? 그렇다면 이 문장은

관계대명사 he wrote last year

이렇게 될겁니다. 자~ 그럼 관계대명사 이후 문장에서 주어자리가 빠져있나요? 아니면 목적어 자리/소유격 자리가 빠져있나요?

하나씩 살펴보면 됩니다.

He라는 주어는 있구요, write(wrote) – 을 쓰다라는 동사가 있는데 그 뒤에 “무엇을” 쓰는지가 빠져있죠? 즉 목적어가 없다는거죠.

그래서 선행사 사물이면서 목적격으로 쓰이는 관계대명사 which 나 that을 사용해서 아래와 같이 만들수 있답니다.

I love reading the book which he wrote last year

I love reading the book that he wrote last year

참고로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해도 상관 없답니다. 그래서 위 두 예문은 다시 아래와 같이 관계대명사를 생략하고 표현할 수 있죠

I love reading the book he wrote last year

I love reading the book he wrote last year

주격관계대명사편에서도 언급했듯이 관계대명사절은 형용사절입니다…절이라고 하면 “주어 + 동사”로 이루어진것을 의미하고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해주는거니까 형용사절이라고 하면 “주어+동사~”가 명사, 즉 선행사를 수식해준답니다. 이 예문에서는 which he wrote last year가 관계대명사절로 형용사절, 그래서 앞에 있는 선행사(명사), the book을 꾸며주는거에요. 결국 해석이 뒤에서 앞으로 될수 밖에 없겠죠? 관계대명사절이 선행사 뒤에 위치하니깐요…

그래서 해석을 하면 책은 책인데 어떤책이냐면…그가 작년에 쓴 책!…이렇게 뒤에서 앞에 있는 “책-the book”을 꾸며주면서 해석하면 된답니다 – “난 그가 작년에 쓴 그 책 읽는걸 정말 좋아한다”

어때요? 관계 대명사 어렵지 않죠?ㅎㅎ 그럼 다른 예문을 통해서 관계 대명사를 더 익혀보죠

아래 예문은 설명을 보시기 전에 여러분이 직접 관계대명사를 이용해서 하나의 문장으로 만드는 연습을 꼭 해보시기 바랍니다.

This is the book + Everyone is talking about the book

자 그럼 단계별로 하나씩 하나씩 살펴보죠.

참고로 전치사(of/at/with/for….)들은 뒤에 목적어를 취한답니다. 그리고 그 목적어 자리엔 명사나 명사절이 올 수 있죠. 이 예문에서는 문장이 about으로 끝났기 때문에 이 전치사 about의 목적어가 문장에 없어서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쓴거죠. 이해 되시죠? 이해가 잘 안되시면 처음부터 다시 읽어보고 이해를 꼭 해야 합니다. 관계대명사는 정말 정말 자주 쓰이는 표현이니깐요~~

해석은 관계대명사절(that everyone is talking about)이 앞에 있는 명사(선행사-the book)을 수식해주면 됩니다. 책은 책인데 어떤 책인가요? 모든 사람들이 지금 이야기 하고 있는 책!! 그래서 “이게 모든 사람들이 이야기 하고 있는 그 책이야” 이렇게 해석하면 되겠습니다.

아래는 여러분께서 답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Test 1)

The game ( ) we loved the most was soccer.

알맞는 관계대명사와 그 이유를 설명해보세요

Test 2)

My new dog ( ) I bought last year loves green beans

알맞는 관계대명사와 그 이유를 설명해보세요

Test 3)

The dog ( ) stole the pie is back

알맞는 관계대명사와 그 이유를 설명해보세요

Test 4)

Do you know the girl ( ) is talking to Tom?

알맞는 관계대명사와 그 이유를 설명해보세요

오늘은 이렇게 목적격 관계대명사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 관계대명사는 여러분이 예문들을 찾아서 연습을 많이 해보셔야 해요. 우선 관계대명사로 바꿀 수 있는 연습이 많이 되어야 하구요 그렇게 됐을때 비로소 회화에서도 이 관계대명사라는것을 활용할 수 있을겁니다.

어떤 분들은 그냥 that 을 쓰면 맞을 확률이 높으니까 그거 쓰면 되지 뭐~ 이렇게 말씀하실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시험문제에서야 그렇게 하면 맞출 확률이 높을 수 있겠죠. 하지만 문제는 회화에서의 활용이에요…이건 내가 알아서 써야 하는거예요. 즉, 이 관계대명사가 언제 필요한지를 내가 잘 알고 있어야 한다는거죠..그리고 그걸 만들줄 알아야지 나중에 입으로도 표현할 수가 있다! 그래서 연습이 필요하다!! 오늘 제가 여러분께 드리고 싶은 이야기입니다 ^^

여러분! 잊지 마세요~ 여러분의 오늘의 노력은 나중에 분명 “차이”를 만들어낼 겁니다 ^^

그럼 화이팅 하시고 즐거운 하루 보내십시오.

다른 영어표현 배우기

내용이 유익했다면 “공감” 부탁드리고 다른 영어표현도 많이 있으니 구독하셔서 자주 들러주세요 ^^.

그럼 오늘하루도 즐겁게~~ 보내세요!! – 유리면봉 –

목적격 관계대명사

대부분 그렇듯이 문법이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암호같은 ‘문법 용어’ 때문입니다. 난해하기 그지없는 문법 용어 때문에 영어를 포기하고 싶은 충동마저 드니까요. 그렇지만 개별 문법 용어는 평생 영어만을 연구해온 학자들이 고심 끝에 만들어 놓은 걸작품입니다. 사실 문법 용어만 제대로 이해해도 영문법 공부는 절반은 먹고 들어갑니다. 그러니 조금 더 인내심을 발휘해서 공부하도록 합시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라는 용어는, ‘목적격’과 ‘관계대명사’라는 두 가지 용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차례대로 봅시다.

③에서 전치사의 목적어는 with 다음에 있는 ‘my friend’입니다. ④번에서 전치사의 목적어는 at 다음에 있는 ‘me’입니다. 인칭대명사가 전치사의 목적어일 경우에는 타동사와 마찬가지로 ’목적격‘으로 써 주어야 합니다.

④ My girl friend stared at me.

③ I played with my friend.

① I like him.

다음은 관계대명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2.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는 앞에 있는 말을 설명해주는(길게 이어주는) 것입니다. 보통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1) 주격 관계대명사

① She is the girl who loves me.

(그녀는 여자이다, 그런데 그녀는 나를 사랑한다)

② He lost the ring which was given by her.

(그는 반지를 잃어버렸다/ 그런데 그 반지는 그녀에게서 받은 것이다)

①번에서 who 이하의 절은 앞에 있는 사람인 ‘the girl’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②번에서 which 이하는 앞에 있는 사물인 ‘the ring’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관계대명사는 앞에있는 명사(선행사)를 설명해 줍니다.

①번과 ②번에서 잠깐 밑줄 친 부분을 봅시다. (1)번에서 관계대명사 who는 ‘who loves me’ 라는 문장에서 동사 ’love’의 주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①번과 ②번처럼 관계대명사가 문장 안에서 주어 역할을 하는 경우에, ‘주격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2) 목적격 관계대명사

③ The people whom I met ( ) in Paris were very kind.

(내가 파리에서 만난 사람들은 아주 친절했다)

④ I like the dress which Ann is wearing ( ) .

(나는 그 옷을 좋아한다/ Ann이 입고 있는)

③번의 밑줄 친 부분에서 met의 목적어는 무엇인가요. 앞에 whom 앞에 있는 선행사 people입니다. 밑줄 친 whom이하는 선행사 ‘the people’을 설명하는 관계대명사입니다. 그런데 ‘the people‘과 ‘whom’이 같으므로 ‘whom’ 역시 동사 met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④번에서 동사 ‘wearing’의 목적어는 which 앞에 있는 선행사 ‘the dress’입니다. 마찬가지로 ’the dress’가 which와 같으므로 관계대명사 ‘which’는 동사 ’wearing’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③,④번과 같이 관계대명사가 문장 안에서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을 때 ‘목적격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예문을 조금 더 봅시다.

⑤ She is my daughter whom I take care of .

(그녀는 내 딸이다/ 내가 돌보는)

⑥ He runs the restaurant which I used to drop by .

(그는 식당을 운영한다/ 내가 들르곤 했던)

⑤번의 밑줄 친 부분에서 of 다음에 명사(목적어)가 없습니다. ‘my daughter’와 같으므로 생략했습니다. 이렇게 전치사 of 다음에 명사(목적어)가 없을 때 역시 목적격 관계대명사라고 하 합니다. 단, 타동사의 목적어가 아니라 전치사의 목적어입니다.

⑥번의 밑줄 친 which 다음에서도 전치사 by 다음에 목적어가 생략되었습니다. 역시 전치사의 목적어입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목적격 관계대명사 절에서는 반드시 ‘목적어’가 생략되어야 합니다. 관계대명사가 목적어 역할을 하므로 목적어를 또 써주면 잘못된 문장이 됩니다.

⑦ She is my daughter whom I take care of my daughter . (x)

⑧ I like the dress which Ann is wearing the dress . (x)

⑦,⑧과 같이 목적어를 쓰면 잘못된 문장입니다. 그리고 목적격으로 사용된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who(m), which, that)

반응형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which, that

1.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앞에 있는 명사를 수식합니다.

2. 선행사가 사람일 때는 whom/who/that, 사물일 때는 which/that을 씁니다.

3. 관계대명사의 마디 안은 불완전합니다. 목적어가 없습니다.

4.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단,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의 경우에는 관계대명사를 생략하지 않습니다.)

예문을 볼까요?

A. 선행사가 사람인 경우

1. He is a good leader. We all like him.

첫 번째 문장의 a good leader와 두 번째 문장의 him은 같은 사람입니다.

여기서 대명사 him을 지우면, 뒤 문장에서 목적어가 사라집니다. 뒤 문장이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형태가 되지요. 그러면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들어옵니다. 남아있는 명사(선행사)인 a good leader가 사람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는 whom/who/that을 씁니다.

이제 관계대명사로 바뀐 문장을 보실까요?

He is a good leader whom we all like. (그는 우리 모두가 좋아하는 좋은 지도자다.)

whom we all like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있는 동사 like의 목적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선행사 a good leader가 사람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는 who(m)나 that을 씁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에 있는 명사 a good leader를 수식합니다.

수식하는 경우 관계대명사 whom은 해석하지 않습니다.

→ a good leader whom we all like

좋은 지도자/ 우리 모두가 좋아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 a good leader we all like

2. I know the man whom he mentioned. (나는 그가 말한 사람을 안다.)

whom he mentioned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있는 동사 mentioned의 목적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 mention 언급하다)

선행사 the man이 사람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는 who(m)나 that을 씁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에 있는 명사 the man를 수식합니다.

수식하는 경우 관계대명사 whom은 해석하지 않습니다.

→ the man whom he mentioned

사람/ 그가 언급한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 the man he mentioned

3. I met a friend whom I called yesterday. (나는 어제 전화했던 친구를 만났어.)

whom I called yesterday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있는 동사 called의 목적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 call 전화하다)

선행사 a friend가 사람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는 who(m)나 that을 씁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에 있는 명사 a friend를 수식합니다.

수식하는 경우 관계대명사 whom은 해석하지 않습니다.

→ a friend whom I called yesterday

친구/ 내가 어제 전화했던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 a friend I called yesterday

반응형

B. 선행사가 사물인 경우

1. I really like this poem which my friend wrote. (나는 내 친구가 쓴 이 시가 정말 좋아.)

which my friend wrote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있는 동사 wrote의 목적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선행사 this poem이 사물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는 which나 that을 씁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에 있는 명사 this poem을 수식합니다.

수식하는 경우 관계대명사 which는 해석하지 않습니다.

→ this poem which my friend wrote

이 시/ 내 친구가 쓴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 this poem my friend wrote

2. You already have the tools which you need. (네가 필요한 도구들은 이미 가지고 있잖아.)

which you need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있는 동사 need의 목적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선행사 the tools가 사물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는 which나 that을 씁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에 있는 명사 the tools를 수식합니다.

수식하는 경우 관계대명사 which는 해석하지 않습니다.

→ the tools which you need

도구/ 네가 필요한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 the tools you need

3. There was a feeling of isolation which I couldn’t escape. (벗어날 수 없는 고립감이 있었다.)

which I couldn’t escape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있는 동사 escape의 목적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 escape 벗어나다)

선행사 a feeling of isolation이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관계대명사는 which나 that을 씁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에 있는 명사 a feeling of isolation을 수식합니다.

수식하는 경우 관계대명사 which는 해석하지 않습니다.

→ a feeling of isolation which I couldn’t escape

고립감/ 벗어날 수 없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 a feeling of isolation I couldn’t escape

다른 예를 볼까요?

the earth we inhabit (우리가 사는 지구)

the faiths which they live by (그들이 지켜 살아가는 신앙)

the decision that they make (우리가 내린 결정)

the treasure they were seeking (그들이 찾고 있는 보물)

the bedroom which they entered (그들이 들어간 침실)

a broom somebody had left there (누군가 그곳에 남겨둔 빗자루)

the circumstances that they want (그들이 원하는 상황)

the structures he designs and builds (그가 디자인하고 만드는 건축물들)

the highest inheritance his people has (그의 민족이 가지고 있는 최고의 유산)

a special bill the House had just passed (의회가 막 통과시킨 특별 법안)

the language that their brains understand (그들의 뇌가 이해하는 언어)

the world our children will eventually enter (우리 자녀들이 결국 들어가게 될 세상)

the article the young philosopher had written (그 어린 철학자가 쓴 기사)

big fire maps which they hang in their cabins (그들이 오두막에 걸어둔 큰 화재 지도)

the anger you feel in response to his request (그의 요구에 반응하여 네가 느낀 분노)

all the palatial buildings which Egypt produced (이집트가 만들어낸 그 모든 호화로운 건축물)

many principles that they still use in their projects (그들이 그들의 프로젝트에 여전히 사용하는 많은 원칙들)

the subject which other people did not want to discuss (다른 사람들은 논의하고 싶지 않았던 주제)

관련 문법입니다.

[문법2. 형용사/5. 관계대명사] – 주격 관계대명사 who/that

[문법2. 형용사/5. 관계대명사] – 주격 관계대명사 which/that

반응형

목적격 관계대명사

반응형

(2) 목적격 관계 대명사

안녕하세요?

오늘은 ‘관계 대명사’ 두 번째 시간으로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알아 보기로 해요.

‘관계 대명사’ 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

지난 시간에 설명 드렸죠?

두 문장에 중복되는 명사가 있으면

그 두 문장을 하나로 연결해 주면서

중복되는 명사 중 하나를 없애고

대신에 두 문장을 바로 이어줄 수가 없으므로

그 때 필요한 것이 바로 ‘관계대명사’ 라구요.

그래서 지난 시간에는 그 관계대명사가

주어 역할을 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를 알아봤죠.

그럼 오늘은 ‘목적격’ 관계대명사이니까

당연히 중복되는 명사가 ‘목적어’ 역할을 하는

상황이 되어야 하겠죠?

ex) His dad bought him a new bicycle.

: 그의 아빠는 그에게 새 자전거를 사 주셨다.

He really wanted to have a bicycle.

: 그는 자전거를 너무 갖고 싶었다.

이 두 문장을 우선 우리말로 하나의 문장으로 해 볼까요?

‘그의 아빠는 그가 너무 갖고 싶어 했던

새 자전거를 사 주셨다’ 이렇게 되죠?

그럼 이것을 영어로 옮겨 한 문장으로 해볼까요?

His dad bought him a new bicycle that (which) he

really wanted to have.

이렇게 이어지겠죠?

그럼 여기서 쓰인 that 이나 which 가 왜 ‘목적격’ 이냐!!

which 뒤의 문장을 보니 ‘wanted to have’ 즉,

‘가지고 싶어했다’ 라고 끊어져 있죠?

그런데 도대체 무엇을 가지고 싶었냐 이거죠.

~~했더니 바로 which 앞의 ‘a new bicycle’ 이 원래

두 문장에서 중복되어 있었던 것이라 which 로

두 문장을 이어주었고, 따라서 which 뒤의 문장에서는

have 의 목적어가 없어진거죠.

그래서 이럴 때 쓰이는 관계대명사를

바로 ‘목적격 관계대명사’ 라고 하는 거에요.

예를 하나 더 들어 볼게요.

ex) The boy in this picture is the

winner of the contest.

: 이 사진의 그 소년이 대회 우승자야

I mentioned him several times earlier.

: 내가 전에 여러 차례 말했잖아

이 두 문장을 우리 말로 하나로 묶어 보면

‘내가 전에 여러 번 말했던 사진 속의 이 소년이

대회 우승자야’

이것을 영어로 한 문장으로 묶어 보면

The boy in this picture who(m) I

mentioned several times

earlier is the winner of the contest.

여기서 who 와 whom 이 다 사용 가능합니다.

20여년 전에는 who 는 ‘주격’ 으로만,

whom 은 ‘목적격’ 으로만 사용을 해야 한다~

했지만 언어라고 하는 것은 역사성과

사회성의 특징이 있지요?

마치 우리 말의 ‘짜장면’ 이 ‘자장면’ 에 묻혀서

표준말이 아니라고 구박(?)을 받다가

워낙 사람들이 계속 해서 짜 – 짜 – 이러니까

표준말이 되었듯이 말이죠.

물론 위 두 예문에서 which 이든, who 이든

전부 that 으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목적격 관계대명사’ 의 강력한

특징이 뭐죠?

…… 네, 그렇죠!!

바로 ‘생략 가능’ 하다는 것이죠.

왜 이게 생략 가능하게 되었느냐 하면 말이죠.

위 첫 번째 예문에서 bicycle 이라고 하는

명사 뒤에

that 또는 which + 문장, 즉 절이 붙어 오죠?

그리고 그 붙어 오는 절의 동사에

‘목적어’ 가 없죠?

이러니까 누가 봐도 아, 이 뒤의 문장의 목적어는

앞에 붙어 있는 명사이구나 라고 알아

차릴 수 있죠.

그러다 보니 그러면 뭐하러 귀찮게

목적격 관*대를 쓰냐

이래서,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써도 되고

아니면 생략해도 된다 이렇게 된 것입니다.

그럼 다음 예제를 한 번 ‘목적격 관계대명사’ 를 사용해서

한 문장으로 묶어 보시겠어요?

답은 저~~~ 아래 있습니다.

Q) They watched the movie with

much interest.

The movie was very boring for

their grandparents.

===>>

이렇게 which, who, whom, that 을 가지고

주격 관계대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 까지

설명이 되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소유격 관계대명사’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여기서 잠깐 복습!!

‘관계대명사’ 의 용법 중에서,

생략 해도 되는 경우 두 가지가 뭐였죠?

1.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

2. 목적격 관계대명사

이건 꼭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

< 위의 예제 답 >

Q) The movie that (which) they watched

with much interest

was very boring for

their grandparents.

반응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목적격 관계 대명사 예문

다음은 Bing에서 목적격 관계 대명사 예문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사랑니 발치 후 아이스크림 | 사랑니\U0026임플란트 발치 후 통증, 음식섭취, 지혈 등 치아발치 주의사항 꿀팁들만 알려드립니다~! 181 개의 정답
See also  더 게임 먹튀 | 【영화리뷰】\"더 게임\" 인생을 건 도박이 시작된다.【공포/스릴러】 20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See also  예수 는 나의 힘 이요 | [새찬송가] 93장 예수는 나의 힘이요 12 개의 정답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관계대명사] 지금까지 없었던, 가장 쉽게 설명하는 관계대명사 개념강의

  • 중학생영어공부법
  • 중학생영어공부
  • 중학생영문법
  • 영어공부
  • 토익기초
  • 토익영문법
  • 영어공부동기부여
  • 공부동기부여
  • 영어시험잘보는법
  • 동기부여
  • 고등학생영어
  • 고등학생영어공부
  • 영어기초잡기
  • 영어독학
  • 영어독학강의
  • 영어인강
  • 영어인강추천
  • 영어인강중1
  • 영어인강중2
  • 직장인영어
  • 비즈니스영어
  • 회화영어
  • 영어인강비교
  • 이나쌤영어
  • 동사강의
  • 기초문법강의
  • 기초문법
  • 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강의
  • 관계대명사설명
  • 주격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비교
  • 목적격관계대명사
  • 관계사강의
  • which강의
  • whose강의
  • 토익문법
  • 토익문법기초
  • 아냐두
[관계대명사] #지금까지 #없었던, #가장 #쉽게 #설명하는 #관계대명사 #개념강의


YouTube에서 목적격 관계 대명사 예문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관계대명사] 지금까지 없었던, 가장 쉽게 설명하는 관계대명사 개념강의 | 목적격 관계 대명사 예문,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