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산출물 샘플 | 샘플 및 초기데이터 1-Cycle 자가점검 산출물 답을 믿으세요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프로젝트 산출물 샘플 – 샘플 및 초기데이터 1-Cycle 자가점검 산출물“?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혁신 컨설팅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2회 및 좋아요 4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프로젝트 산출물 샘플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샘플 및 초기데이터 1-Cycle 자가점검 산출물 – 프로젝트 산출물 샘플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발표 – 류동주 대표
1-Cycle 자가점검 프로세스

프로젝트 산출물 샘플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프로젝트 산출물, 프로젝트 산출물 템플릿, 참고 자료

프로젝트 산출물. · 요구사항 분석 양식. · 요구사항 정의서. · 요구사항 추적표. · 유스케이스 명세서. · 유스케이스 목록. · 회의록(면담기록). · 화면설계서.

+ 여기에 보기

Source: codedragon.tistory.com

Date Published: 9/22/2022

View: 3085

프로젝트 산출물 – 아이티랩

테스트 계획서 및 시나리오, 테스트케이스로그 문서 샘플 입니다. 자료요청이 .. 테스트 강팀장 01.04 6. 요구사항 추적매트릭스 15. 공공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itlab.co.kr

Date Published: 12/8/2021

View: 7887

개발 프로젝트 산출물 정리 – 네이버 블로그

프로젝트 산출물 관련.. 양식파일도 추가. …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가장 기본이 되며 고객의 needs을 담고 있는 문서입니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4/25/2022

View: 3537

프로젝트 산출물 – 개꼬 [: 개발하는 꼬바리]

프로젝트 산출물. 한국정보화진흥원은 “CBD SW개발 표준 산출물 가이드”를 통해 객체지향 및 CBD 개발의 분석, 설계, 구현 및 시험 단계별 산출물을 …

+ 여기를 클릭

Source: byul91oh.tistory.com

Date Published: 2/6/2022

View: 9835

SW 개발 산출물 작성 가이드 – 소프트웨어자산뱅크

1 프로젝트 계획서 · 2 위험관리 계획서 및 위험관리 문서 · 3 요구사항 관리문서 · 4 소프트웨어 설계문서 · 5 테스트 계획서 및 작업서 · 6 동료검토 계획서 및 결과서.

+ 여기에 보기

Source: www.swbank.kr

Date Published: 7/9/2021

View: 3246

프로젝트 산출물 (퍼온 자료)

산출물1. 도어니가 생각하는 프로젝트 절차별 산출물 리스트입니다. 도어니가 개발자, PL, … 개발 프로토타입 : 프로토타입 절차서 및 샘플.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sns4u.tistory.com

Date Published: 4/10/2022

View: 4059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수행 계획서

목차 개요 1 프로젝트 개요 1.2 프로젝트의 산출물 1.3 정의, 약어 자원 및 일정 … 수행계획서양식샘플.hwp 운영자 2016-09-07 KOCW운영팀입니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rec-clusive.nl

Date Published: 1/3/2022

View: 7493

기획자에게 꼭 필요한 산출물 모음 (웹만사 맥비님 자료 링크)

샘플이라도 있으면 좋으련만 기획자의 문서는 대부분 대외비라 잘 유통되. … 웹만사 카페의 “macbethi 맥비”님께서 프로젝트에 필요한 S급 산출물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yslab.kr

Date Published: 9/13/2022

View: 8382

웹 기획 산출물 ::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하기 – 브런치

한 프로젝트를 수주하기 위해 비딩을 하는 과정에서 RFP(Request For Proposal) 즉 … 아래 문서의 경우 제가 설명을 위해 샘플로 제작한 문서이며,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brunch.co.kr

Date Published: 1/19/2021

View: 512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프로젝트 산출물 샘플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샘플 및 초기데이터 1-Cycle 자가점검 산출물.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샘플 및 초기데이터 1-Cycle 자가점검 산출물
샘플 및 초기데이터 1-Cycle 자가점검 산출물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프로젝트 산출물 샘플

  • Author: 혁신 컨설팅
  • Views: 조회수 22회
  • Likes: 좋아요 4개
  • Date Published: 2022. 8. 9.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qpUR9cqEHqI

프로젝트 산출물

요구사항정의서

실제업무에 사용된 요구사항정의서 40 41 에스라인

현대카드 여행몰/쇼핑몰/M포인트몰 구축 프로젝트에 사용된 실제 문서입니다. 각 섹션별로 사용자와 관리자 기능에 대한 요구사항..

웹사이트 제작 프로젝트 진행시 WBS 양식입니다.

기능 명세서 작업 시 사용하는 서식입니다. 참고 바랍니다.

항목, 일정, 상태만 지정하면 간트차트까지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엑셀 파일입니다.

일정관리

프로젝트 일정표 24 27 미설정

웹프로젝트 일정관리표 입니다.

일정관리

프로젝트일정관리양식 4 6 코쟈인

제가 사용하는 프로젝트 일정 양식입니다. 프로젝트에 맞게 변형하셔서 사용하시면 될 것 같네요 ^^

간단한 프로그램 및 공정에 대한 일정관리를 할 수 있는 엑셀 문서입니다.

요구사항정의서

요구사항 정의서 공유 9 4 fermata

안녕하세요. 요구사항 정의서 워드용 공유 합니다. 아마 엑셀로 많이들 사용하시겠지만.. 그래도 혹시 워드용으로 ..

일정관리

일정관리/스케줄표 5 3 디아세

프로젝트 진행과정 스케줄표입니다~

업무처리 프로세스 설계서 입니다. 깔끔하게 보기 잘 되어있습니다~!

테스트 계획서 및 시나리오, 테스트케이스로그 문서 샘플 입니다. 자료요청이 들어와서 같이 올려 봅니다.

요구사항정의서

요구사항 추적매트릭스 15 11 필승

공공기관 등의 프로젝트에서 요구사항을 추적/관리할 수 있는 산출물입니다.통상 기능, 비기능으로 나누어서 관리하면 편리합니다.

사이트 정책설계 및 정의 샘플 문서 [11st]입니다. 11번가 런칭시, 분야별 전문몰 인수/합병을 통한 사이트 정책 통..

프로젝트 일정관리 문서입니다.문서형식 : excel (xls)좌측에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단계별 일정(요약/상세)을 관리하실 ..

총 141개의 마르미III 산출물 양식 모음입니다~~

IA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입니다. 내용은 일부 삭제처리하였습니다만, 양식을 확인하실 수 있도록 모든 내용을..

제안서 작성시 같이 들어갔던 추진일정계획표 입니다. 유지보수에 대한 일정표 양식인데요 참고하세요.

기능정의서

기능정의서 12 2 슈이

기능정의서 샘플요

요구사항정의서

요구사항분석서[웹기획관련] 1 1 피에르

보고서

개발계획서 양식 3 2 작은기다림

프로젝트 개발 계획서 내부 양식입니다. 간단하게 내부 보고시에 사용하는 양식입니다. 참고하세요 주요내용은 본문은 개발..

프로세스/흐름도

프로세서 흐름도 3 2 kimi

일정관리

작업 일정표 4 2 bs.kim

엑셀로 작성한 간단한 작업 일정표입니다.

국국회홈페이지 재구축에 대한 시스템 및 인수테스트의 결과보고서 양식입니다. 각 메뉴 및 테스트 대상에 대한 절차와 결과를 정..

평가/품질/성능

개발표준정의서 9 4 마구잡이

써핑중 찾아낸 자료

보고서

일일업무일지 양식 1 귀안의주늬

일일업무일지 양식입니다. 요즘 이런일지 쓰는곳도 드물겠지만 저희회사는 매일마다 작성하고 있기에 ㅎㅎ 시원찮습니다..

일정관리

프로젝트 일정표 1 1 서브라임

사업수행시 보고용으로쓰는 프로젝트일정표 입니다. 시트는 월계획, 메뉴구성, 개발목록범위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일정관리

프로젝트 추진 일정표 4 2 sofeel20

연구사업 진행시 사용한 테스크 포스 분해 일정표입니다. 액셀문서로 작업한거구요 시트 복사해서 활용 가능하실겁니다.

요구사항정의서

요구사항정의서 서식 5 하늘호랑이

프로젝트 진행시 고객사로부터 많은 요구사항이 있는데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서식 첨부함

테스트

최종검수확인서 푸닥이

최종검수확인서 양식입니다.

테스트

단위테스트 체크포인트 4 1 우슴님

단위테스트 체크포인트입니다. 단위테스트계획서 첨부문서

간단한 테이블스키마구조도 입니다.

테스트

버그리포트 양식 4 5 멋진나

테스트

프로젝트 테스트계획서 1 5 바람

프로젝트를 수행하시다보면 감리 및 완료보고서에 필요한 자료입니다.해당업체와 프로젝트명은 XXX처리하였으니, 진행하시는 프로젝트..

기능정의서

기능리스트 1 1 페퍼민트

사이트 기능리스트 입니다. 사이트 맵과는 좀 다른 개념이구요. 한눈에 모든 페이지를 볼수 있습니다.

자체 제작한 간략한 프로젝트 일정표 입니다. 분기별로 작성되며 파일형식은 오피스2007 로 제작되었습니다. 1분기(3개..

메뉴구조 설계서 입니다.

To-Be 업무 모델 정의서

쇼핑몰 구축시, 주요업무별 R&R입니다.몰 전문기획자인 경우, 해당됩니다. ^^

웹사이트 제작을 위한 기초 질의서 입니다. 웹사이트 제작 초기 단계에 클라이언트의 요구 사항에 대한 기초 자료를 알아볼수 있..

요구사항정의서

요건정의서입니다. 2 1 plan홀릭이

개발 프로젝트 산출물 정리

1. 분석

1.1. 현업요구사항정의서

: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가장 기본이 되며 고객의 needs을 담고 있는 문서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스펙산정이 가능합니다. 이부분에서 요구ID를 도출합니다.

1.2. 기능챠트

: 현업요구사항을 근간으로 큰 카테고리를 만들어 한눈에 해당 프로젝트가 무슨 일을 하는

것인지 보여줄 있습니다.

* 이부분은 개발방법론에 따라 유스케이스다이어그램으로 대치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지고, 기능챠트와 같이 가도 무관하다는 판단입니다.

1.3. 프로세스 정의서

: 기능챠트를 기준으로 각각의 프로세스를 보여줍니다. 때에 따라 확대된 프로세스의

표현도 가능합니다.

* 개발방법론에 따라 시퀀스다이어그램을 넣어도 무방하다는 판단입니다.

1.4. 인터페이스정의서

: 상기 현업요구사항정의서,기능챠트,프로세스정의서를 근간으로하여 레가시 및 대외계

시스템, 웹서비스 등 어떤식으로 인터페이스를 해야 한다는 정의를 담고 있습니다.

1.5. 기타

2. 설계

2.1. UI(화면)설계서

: 웹App 혹은 CS App 든 간에 고객이 사용하고자 하는 화면단을 보여주는 문서입니다.

2.2. ERD

: 해당 업무의 DB를 생성하고 테이블관의 상관 관계를 표현하는 문서로 더이상 설명이

필요없으리라 믿습니다.

2.3. 테이블목록

: 테이블정의서도 있지만, 테이블목록은 관리자가 한눈에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DB

테이블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필수라는 판단입니다.

2.4. 테이블정의서

: 테이블필드 value와 설명, 바이트수 등을 표기합니다.

2.5. 프로그램 목록

: 실직적으로 설계단계에 프로그램목록이 나오지 않지만 일단 설계 단계에 넣는 것이

타당한 것 같습니다.

* 개발방법론에 따라 클래스다이어그램, 컨포넌트명세서, 클래스정의서 등도 포함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6. 개발표준 정의서

: 변수명, brace, 클래스네임,파일명,규칙등 코딩관련 규칙을 정의함으로써 일선 담당자가

소스코드를 확인해도 눈에 익숙할 수 있게 하기위한 문서입니다.

2.7. 단위테스트 시나리오

: 분석,설계의 기본적인 요건이 충적되면 이쯤하여 단위테스트시나리오가 나와야 할 것

같습니다. 아마도 고객의 싸인이 필요한 부분일 것입니다.

2.8. 통합테스트 시나리오

: 설계단에서 하기는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단위테스트를 근간으로 고객의 요청을 좀더

보완하여 통합테스트시나리오를 작성합니다. 고객의 싸인은 필수입니다.

2.9. 기타

3. 개발

3.1. 소스코드(개발원시코드)

: 말그대로 오류수정까지 끝난 원시코드 자체를 말합니다.

3.2. 단위테스트 결과서

: 단위테스트시나리오를 기준으로 테스트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아마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고, 이 과정을 통해 고객의 요구사항도 많은 변동이 있는 시점입니다.

* 변경요청서도 필요할 시점입니다.

3.3. 결함/오류보고서

: 단위테스트를 통해 알게된 에러의 원인과 수정에 대한 내용을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오류코드정의서를 뽑아내고 보완합니다.

3.4. 오류코드 정의서

: 해당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들을 코드화하여 보여줍니다.

3.5. 통합테스트 결과서

: 단위테스트를 통해 보완된 내용들을 포함하고, 통합테스트시나리오의 보완을 통해

실시된 통합테스트 결과를 보여줍니다. 개발을 완료했냐 안했냐의 잣대가 되는 문서로서

고객의 싸인이 가장 필요한 부분입니다. 이부분에서 반려가 일어나면 위의과정을 반복해야

합니다.

3.6. 시스템 이행계획서

: 통합테스트가 끝나면 Standby하고 있는 시스템에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기타 등을 몇월,

며칠, 몇시에 누구누구가 무엇을 가지고 옵져버는 누구이며 어떻게 이행을 할 것인지

등을 표현합니다.

3.7. 기타

4. 구현

4.1. 시스템 이행결과서

: 시스템 이행계획서를 통해 이행된 결과를 확인받는 문서입니다.

4.2. 사용자매뉴얼

: 사용자화면이 있을 경우 나오는 매뉴얼입니다.일반적인 조작법을 기록하며, 화면 등을

예시합니다.

4.3. 운영자매뉴얼

: 시스템전반에 관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분석,설계,개발 절차에서 나오는 문서를

담고 있습니다.

4.4. 교육(인수)명세서

: 사용자매뉴얼 및 운영자매뉴얼을 중심으로 해당 담당자 및 사용자에게 시스템전반 및

세부사항을 교육/인수한후 싸인받는 문서입니다.

4.5. 개발산출물별 검사리스트

: 예시된 산출물들이 이상없이 인수되었는지를 개별로 체크한후 고객의 싸인을 받는

문서입니다.

4.6. 프로젝트 완료보고서

: 최종적으로 개발한 내용, 인도물, 하드웨어, 고객대표, 개발자대표싸인을 받음으로써

명실상부한 프로젝트 완료보고서입니다.

4.7. 기타

프로젝트 산출물

프로젝트 산출물

한국정보화진흥원은 “CBD SW개발 표준 산출물 가이드”를 통해 객체지향 및 CBD 개발의 분석, 설계, 구현 및 시험 단계별 산출물을 제시하였다.

가이드에서 제시된 총 25개의 필수산출물은 산출물간의 체계를 정립하고 산출물간 연관성 및 산출물 내 항목의 연관성을 정립하여 방법론으로서의 일관성, 완전성 및 추적성 확보하는데 주안점이 있다.

주요 산출물들

주요 산출물들은 분석, 설계, 개발, 시험 단계에서 각각 아래와 같다.

분석단계 요구사항정의서

: 개발자가 의뢰인의 요구를 정의한 정의서이다.

이를 통해 이후 기획이 되므로 이 단계에서 의뢰인과 개발자의 ‘합의’와 ‘절충’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합의가 되지 않거나 흐지부지되면 향후 개발 중 ‘뒤집기’가 빈번해 질 수 있다.

: 개발자가 의뢰인의 요구를 정의한 정의서이다. 이를 통해 이후 기획이 되므로 이 단계에서 의뢰인과 개발자의 ‘합의’와 ‘절충’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합의가 되지 않거나 흐지부지되면 향후 개발 중 ‘뒤집기’가 빈번해 질 수 있다. 기능차트

: 앞서 말한 요구 분석을 토대로 이를 차트화 하여 일목 요연하게 정의한 문서이다.

양식은 다르지만 실제 웹 기획에서는 이 차트에 정의된 내용을 연계하여 기획하게 된다.

: 앞서 말한 요구 분석을 토대로 이를 차트화 하여 일목 요연하게 정의한 문서이다. 양식은 다르지만 실제 웹 기획에서는 이 차트에 정의된 내용을 연계하여 기획하게 된다. 정의서

: 업무 프로세스 및 인터페이스 등 프로젝트 전반적에 필요한 각 종 정의를 내린다.

정교하게 작업하는 경우에는 팝업이나 버튼은 물론 활용할 단어 사전을 만들기도 한다. 설계 단계 UI(화면)설계서

: 사이트 맵이라던가 화면 시나리오라던가 하는 웹 기획 문서가 이것에 해당한다.

: 사이트 맵이라던가 화면 시나리오라던가 하는 웹 기획 문서가 이것에 해당한다. ERD

: 개발에 있어 DB를 생성하고 테이블관의 상관 관계를 표현하는 문서이다.

: 개발에 있어 DB를 생성하고 테이블관의 상관 관계를 표현하는 문서이다. 테이블목록

: DB 테이블을 문서화 하여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문서이다.

: DB 테이블을 문서화 하여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문서이다. 테이블정의서

: 테이블필드 value와 설명, 바이트수 등을 표기한 문서이다.

: 테이블필드 value와 설명, 바이트수 등을 표기한 문서이다. 프로그램 목록

: 개발에 사용될 프로그램 등에 대해 목록화 한다.

: 개발에 사용될 프로그램 등에 대해 목록화 한다. 개발표준 정의서

: 개발자가 소스 코드 규칙 등을 정의하여 여러 명이 작업하여도 혼돈이 없도록 한 문서.

: 개발자가 소스 코드 규칙 등을 정의하여 여러 명이 작업하여도 혼돈이 없도록 한 문서. 테스트 시나리오

: 최종적으로 테스트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 항목을 정의하는 문서이다.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 등이 있는데 방밥론에 따라 수 차례 진행 될 수도 있다. 개발 단계 소스코드

: 개발이 완료된 코드이다.

디자인 소스에서 코딩 및 개발된 일괄된 코드 등이 이에 해당하며 방법론에 따라 다르다.

: 개발이 완료된 코드이다. 디자인 소스에서 코딩 및 개발된 일괄된 코드 등이 이에 해당하며 방법론에 따라 다르다. 테스트 결과서

: 테스트 시나리오에 따라 수행한 내용과 그에 따른 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 테스트 시나리오에 따라 수행한 내용과 그에 따른 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결함/오류보고서

: 테스트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별도로 정의하여 이에 대해 집중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문서.

: 테스트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별도로 정의하여 이에 대해 집중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문서. 오류코드 정의서

: 오류 등을 코드화하여 정리하여 일반적으로 에이전시에서 위험관리를 위해 필요한 문서.

: 오류 등을 코드화하여 정리하여 일반적으로 에이전시에서 위험관리를 위해 필요한 문서. 시스템 이행계획서

: 테스트가 완료된 이후 시스템을 어떻게 이행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서이다. 시험 단계 (구현 단계) 시스템 이행결과서

: 완료된 시스템의 이행 결과를 확인하는 결과 확인서.

: 완료된 시스템의 이행 결과를 확인하는 결과 확인서. 사용자매뉴얼

: 사이트에 구현된 기능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사용 설명서와 같은 문서이다.

: 사이트에 구현된 기능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사용 설명서와 같은 문서이다. 운영자매뉴얼

: 시스템을 관리하는 운영자가 관리자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이용법을 설명한 문서이다.

: 시스템을 관리하는 운영자가 관리자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이용법을 설명한 문서이다. 교육 명세서

: 방법론에 따라서는 실제 교육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것에 대한 명세서이다.

: 방법론에 따라서는 실제 교육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것에 대한 명세서이다. 개발산출물별 검사리스트

: 의뢰인에게 최종적으로 수행된 과정과 산출물에 이상이 없는지 체크를 받는 확인서이다.

: 의뢰인에게 최종적으로 수행된 과정과 산출물에 이상이 없는지 체크를 받는 확인서이다. 프로젝트 완료보고서

: 프로젝트의 진행에 대한 최종 보고서로 이것에 대한 확인이 완료되면 프로젝트는 종료된다.

🙆‍♂️ 참고사이트 🙇‍♂️

출처 : https://velog.io/@gillog/%ED%94%84%EB%A1%9C%EC%A0%9D%ED%8A%B8-%EC%82%B0%EC%B6%9C%EB%AC%BC

[웹프로젝트] 방법론2 – 웹프르젝트 산출물

산출물 자료 정리

728×90

프로젝트 산출물 (퍼온 자료)

반응형

프로젝트 산출물 (퍼온 자료)

의견)2가지 부분으로 산출물을 바라볼 수 있어 좋습니다.

산출물1

도어니가 생각하는 프로젝트 절차별 산출물 리스트입니다.

도어니가 개발자, PL, PM을 역임하면서 느꼈던 자료입니다. 공식화된 자료는 아닙니다.

1. 분석

1.1. 현업요구사항정의서

: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가장 기본이 되며 고객의 needs을 담고 있는 문서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스펙산정이 가능합니다. 이부분에서 요구ID를 도출합니다.

1. 2. 기능챠트

: 현업요구사항을 근간으로 큰 카테고리를 만들어 한눈에 해당 프로젝트가 무슨 일을 하는

것인지 보여줄 있습니다.

* 이부분은 개발방법론에 따라 유스케이스다이어그램으로 대치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지고, 기능챠트와 같이 가도 무관하다는 판단입니다.

1.3. 프로세스 정의서

: 기능챠트를 기준으로 각각의 프로세스를 보여줍니다. 때에 따라 확대된 프로세스의

표현도 가능합니다.

* 개발방법론에 따라 시퀀스다이어그램을 넣어도 무방하다는 판단입니다.

1.4. 인터페이스정의서

: 상기 현업요구사항정의서,기능챠트,프로세스정의서를 근간으로하여 레가시 및 대외계

시스템, 웹서비스 등 어떤식으로 인터페이스를 해야 한다는 정의를 담고 있습니다.

1.5. 기타

2. 설계

2.1. UI(화면)설계서

: 웹App 혹은 CS App 든 간에 고객이 사용하고자 하는 화면단을 보여주는 문서입니다.

2.2. ERD

: 해당 업무의 DB를 생성하고 테이블관의 상관 관계를 표현하는 문서로 더이상 설명이

필요없으리라 믿습니다.

2.3. 테이블목록

: 테이블정의서도 있지만, 테이블목록은 관리자가 한눈에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DB

테이블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필수라는 판단입니다.

2.4. 테이블정의서

: 테이블필드 value와 설명, 바이트수 등을 표기합니다.

2.5. 프로그램 목록

: 실직적으로 설계단계에 프로그램목록이 나오지 않지만 일단 설계 단계에 넣는 것이

타당한 것 같습니다.

* 개발방법론에 따라 클래스다이어그램, 컨포넌트명세서, 클래스정의서 등도 포함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6. 개발표준 정의서

: 변수명, brace, 클래스네임,파일명,규칙등 코딩관련 규칙을 정의함으로써 일선 담당자가

소스코드를 확인해도 눈에 익숙할 수 있게 하기위한 문서입니다.

2.7. 단위테스트 시나리오

: 분석,설계의 기본적인 요건이 충적되면 이쯤하여 단위테스트시나리오가 나와야 할 것

같습니다. 아마도 고객의 싸인이 필요한 부분일 것입니다.

2.8. 통합테스트 시나리오

: 설계단에서 하기는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단위테스트를 근간으로 고객의 요청을 좀더

보완하여 통합테스트시나리오를 작성합니다. 고객의 싸인은 필수입니다.

2.9. 기타

3. 개발

3.1. 소스코드(개발원시코드)

: 말그대로 오류수정까지 끝난 원시코드 자체를 말합니다.

3.2. 단위테스트 결과서

: 단위테스트시나리오를 기준으로 테스트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아마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고, 이 과정을 통해 고객의 요구사항도 많은 변동이 있는 시점입니다.

* 변경요청서도 필요할 시점입니다.

3.3. 결함/오류보고서

: 단위테스트를 통해 알게된 에러의 원인과 수정에 대한 내용을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오류코드정의서를 뽑아내고 보완합니다.

3.4. 오류코드 정의서

: 해당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들을 코드화하여 보여줍니다.

3.5. 통합테스트 결과서

: 단위테스트를 통해 보완된 내용들을 포함하고, 통합테스트시나리오의 보완을 통해

실시된 통합테스트 결과를 보여줍니다. 개발을 완료했냐 안했냐의 잣대가 되는 문서로서

고객의 싸인이 가장 필요한 부분입니다. 이부분에서 반려가 일어나면 위의과정을 반복해야

합니다.

3.6. 시스템 이행계획서

: 통합테스트가 끝나면 Standby하고 있는 시스템에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기타 등을 몇월,

며칠, 몇시에 누구누구가 무엇을 가지고 옵져버는 누구이며 어떻게 이행을 할 것인지

등을 표현합니다.

3.7. 기타

4. 구현

4.1. 시스템 이행결과서

: 시스템 이행계획서를 통해 이행된 결과를 확인받는 문서입니다.

4.2. 사용자매뉴얼

: 사용자화면이 있을 경우 나오는 매뉴얼입니다.일반적인 조작법을 기록하며, 화면 등을

예시합니다.

4.3. 운영자매뉴얼

: 시스템전반에 관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분석,설계,개발 절차에서 나오는 문서를

담고 있습니다.

4.4. 교육(인수)명세서

: 사용자매뉴얼 및 운영자매뉴얼을 중심으로 해당 담당자 및 사용자에게 시스템전반 및

세부사항을 교육/인수한후 싸인받는 문서입니다.

4.5. 개발산출물별 검사리스트

: 예시된 산출물들이 이상없이 인수되었는지를 개별로 체크한후 고객의 싸인을 받는

문서입니다.

4.6. 프로젝트 완료보고서

: 최종적으로 개발한 내용, 인도물, 하드웨어, 고객대표, 개발자대표싸인을 받음으로써

명실상부한 프로젝트 완료보고서입니다.

4.7. 기타

산출물2

1. 요구사항정립

– 도메인 분석 : 요구사항 명세서

; 만들고자 하는 시스템의 사용자 요구 사항을 수집하는 것

; 고객의 요구나 필요가 나오게 된 원인, 배경, 환경 등에 대한 분석

1) 기능 요구 사항

* 구축하고자 하는 주 업무의 내용을 기술

* 각 업무에 대한 기능적인 요구 사항

* 각 업무에 대한 제약 조건 명세

2) 성능 요구 사항

* 동시 사용자의 요구

* 응답 시간에 대한 요구

* 구축할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제약 조건

* 하드웨어, 메모리, 디스크 용량

*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의 사용 유무

3) 인터페이스 요구 사항

*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대한 특정 요구 사항

*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구 여부

* 입출력 데이터를 중심으로 예상되는 메뉴 구조, 스크린, 보고서 형식 등이 포함

– 업무 흐름도 파악 : Data Flow Diagram, Activity Diagram

– 타 업무와 연관관계 확인 : System Diagram

2. 분석

– 유즈케이스 파악

– 유즈케이스 관계 정립 : Use case Diagram

– 유즈케이스 기술서 : Use case Description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의 : UI 목록

– 클래스/컴포넌트 추출 : 클래스/컴포넌트 목록, 계층분석 다이어그램

– 동적 객체 모델링 : Sequence Diagram, Collaboration Diagram, Statechart Diagram

– 정적 객체 모델링 : Class Diagram, Component Diagram

3. 설계

– 상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 사용자 인터페이스 명세서

– 클래스/컴포넌트의 속성/메소드 파악 : 클래스/컴포넌트 명세서

– 상세 동적 객체 모델링 : 상세 Sequence Diagram, 상세 Collaboration Diagram, 상세 Statechart Diagram

– 상세 정적 객체 모델링 : 상세 Class Diagram

–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제작 : Interface 정의서

– 공통 빈즈 추출 : Interface 활용 기술서

– 상세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 상세 Component Diagram

4. 개발

– 표준 개발 절차 및 코딩 전략 : 표준 개발 절차 및 코딩 전략을 위한 기술서

– 개발 프로토타입 : 프로토타입 절차서 및 샘플

5. 배포

– 배포전략 : Deployment Diagram

6. 테스트

– 단위테스트 : 단위 테스트 계획 및 시나리오, 테스트 결과

– 통합테스트 : 통합 테스트 계획 및 시나리오, 테스트 결과

출처: http://blog.daum.net/kimslovehouse/8239645

http://blog.daum.net/kimslovehouse/8239650

반응형

기획자에게 꼭 필요한 산출물 모음 (웹만사 맥비님 자료 링크)

기획 업무를 진행하다 보면 셀 수 없이 많은 산출물을 작성합니다.

당장 문서 작업을 해야 하는데 맨땅에 헤딩하려면 눈앞이 막막합니다.

샘플이라도 있으면 좋으련만 기획자의 문서는 대부분 대외비라 잘 유통되지 않습니다.

개발은 오픈소스도 잘 구축되어 있고,

디자인은 참고할 수 있는 채널이 많은데.

기획은 자료 하나 구하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제가 직접 만들어 하나씩 유통하려 했으나, 웹만사 카페의 “macbethi 맥비”님께서 프로젝트에 필요한 S급 산출물을 공유해주셨습니다.

맥비님보다 더 나은 산출물을 만들 자신은 없기에 많은 분이 볼 수 있도록 산출물 링크로 대신합니다.

좋은 산출물을 공유해주신 맥비님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비회원은 파일 다운로드를 할 수 없으니, 웹만사 카페 가입 후 이용해주세요.

맥비님 산출물 리스트

맥비님은 웹만사 카페를 통해 기획자 Skill Up 강의도 진행하고 있으니, 배움에 목말라 있는 기획자분들은 꼭 한 번 수강해보시길 추천합니다.

반응형

웹 기획 산출물 ::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하기

요구사항 정의서가 도대체 뭐길래, 왜 작성해야 할까요?

한 프로젝트를 수주하기 위해 비딩을 하는 과정에서 RFP(Request For Proposal) 즉 제안 요청서를 받게 됩니다. 프로젝트를 만들고자 하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담당할 업체를 선정하기 전에 여러 후보 업체에게 제공하는 문서인데요. 쉽게 말해서 ‘우리 회사는 이런 주제로 서비스를 론칭하려고 하고, 이렇고 저런 기능들이 포함되어야 해!’를 정리한 문서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전달받은 RFP를 토대로 회사의 영업팀 또는 기획자, PM 등이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제안서를 작성하겠죠? 이렇게 탄생한 제안서를 기반으로 최적의 업체로 우리 회사가 선정되면, 하나의 프로젝트가 시작되는 것이죠.

프로젝트의 시작과 동시에 기획자는 우리의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요구사항에 대해 빠르게 파악해야 합니다. “요구사항 뭐 별거 있겠어~ 그냥 플젝하면서 그때그때 대응하면 되지 뭐.”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지금 엄청 뜨끔 하실 겁니다. 정답은 없겠지만, 저는 요구사항 정의서를 작성하는 이 시간이 추후 프로젝트의 끝무렵에 스트레스를 덜 받고, 덜 고생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요구사항 정의서 없이 시작하게 되면 개발이 끝나는 무렵 느닷없이 새로운 기능을 요구하는 고객사와 트러블이 마구마구 생기게 될 테니까요.

100% 완벽한 요구사항 정의는 없습니다.

RFP를 참고하여 현업 담당자와 많은 대화와 이메일을 주고받으며 요구사항을 추려서 문서를 완성시켰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프로젝트가 끝날 때까지 고객사가 추가로 요구하는 요구사항이 없을 수 있을까요? 그 누구도 장담할 수는 없겠지만 아마도 제 짧은 경험상, 그게 끝은 아닐 겁니다. 갑자기 고객사의 회원 정책이 바뀔 수도 있고, 이미 협의된 사항이라 하더라도 번복될 수 있기에 확정된 요구사항이라고 단정 짓지 말고 모든 개발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렇듯 처음부터 완벽한 요구사항 정의서는 없기에 프로젝트 끝까지 고객 요청 사항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추후 논쟁 시에 그때 당시 히스토리를 추적하기 위해서 작성하고 있습니다.

출처: MBC 무한도전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하는 방법

요구사항 정의서의 개념과 중요성에 대해 어느 정도 파악했다면, 이제 어떻게 작성하는지 샘플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아래 문서의 경우 제가 설명을 위해 샘플로 제작한 문서이며, 실제 제가 일하면서 사용하는 문서 양식과 거의 유사합니다.

– 요구사항 구분: 프로젝트 규모가 크면 클수록 확인해야 할 요구사항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앱/관리자 페이지 모두를 구축해야 하는 프로젝트라면 제일 앞쪽에 [구분] 칼럼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EX) [웹], [앱], [사용자], [관리자], [공통]

– 요구사항 ID: 화면 설계서를 작성할 때 화면 별 화면 ID를 부여하는 것처럼 요구사항들을 관리하기 위한 [요구사항 ID]를 부여합니다. 고객사와 대화를 할 때나 개발팀과 커뮤니테이션 할 때마다 매번 주절주절 말로 설명하기보다는 요구사항 ID를 통해서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 덜 혼란스럽고 명확하기 때문이죠! 요구사항 ID 부여에 있어서 정해진 룰은 없고 회바케 회사 나름입니다. 보통 규모가 작은, 비교적 간단한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Requirements Statement 약자인 REQ에 숫자 번호를 붙여서 부여하기도 합니다. 반대로 규모가 큰 프로젝트에서는 앞서 설명드렸던 요구사항 구분에 따라서 더 세분화하여 표현할 수도 있고요! 기능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만 작성하면 큰 문제없습니다.

EX) [REQ-001], [WEB-001], [APP-001], [ADM-001]

– 요구사항 명: 말 그대로 해당 요구사항이 어떤 요구사항인지 요약하여 기재합니다. 상세한 내용이 아닌 키워드로만 작성해도 좋습니다. 저는 주로 명사형으로 끝날 수 있도록 작성하곤 합니다.

EX) [일반회원 회원가입], [메신저 기능], [자유게시판], [앱 푸시 기능]

– 요구사항 상세 설명: 요구사항에 대한 상세한 내용에 대해 기재합니다. 상세 설명은 자세하면 자세할수록 좋습니다. 그만큼 기획자가 고객 요구사항에 대해 더 자세히 파악하고 이해했다는 뜻이니까요.

EX) [일반회원의 경우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함], [상대방과 1:1 채팅 메시지, 사진 전송, 음성통화, 영상통화 기능 제공]

– 요청자: 요구사항을 요청한 요청자 정보를 기재합니다. 여러 부서 담당자들이 요청할 경우에는 부서와 요청자를 함께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후 요구사항에 대하여 더 자세히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요청자] 칼럼은 꼭 작성하시기를 권장합니다.

EX) [마케팅팀 김나나 대리], [신짱구 과장]

– 비고: 참고할 만한 레퍼런스를 전달받았거나, 수행사에서 역으로 확인 요청을 할 때에 비고란에 내용을 기재하기도 합니다.

EX) [굿리치 웹사이트 참고 (레퍼런스)], [메일 발송 대행업체 확인 필요]

이외에도 경우에 따라 다양한 칼럼으로 요구사항 정의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 메뉴 위치: 자세한 메뉴 위치를 뎁스 별로 쪼개서 요구사항을 기재하기도 합니다. 이 경우에는 메뉴 구조도 IA와 요구사항 정의서를 통합해서 하나의 문서로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EX) [메인 → 고객센터 → 자유게시판]

– 중요도: 개발 우선순위 파악을 위하여 각 요구사항의 중요도를 표기할 수도 있습니다. 중요도를 파악할 때는 꼭 고객사 담당자와 협의 후 작성이 필수입니다. 기획자 본인이 판단하는 중요도와 고객사 담당자가 판단하는 중요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EX) [상/중/하], [Major/Minor]

– 요청 일자: 1차적으로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나서 추가적으로 요청이 들어온다면 요청 일자 기재는 필수입니다. 매번 누가 언제 요청한 사항인지 기억할 수 없고, 찾으려면 온갖 메일을 다 뒤져보아야 하기도 합니다.

EX) [08/05], [2021년 08월 5일]

– 수행사 수행/수용 여부: 정리된 요구사항 정의서를 보고 수행사의 디자인/개발팀에서 수행 여부를 판단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획자 또는 PM이 판단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만, 규모가 큰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에는 일정 등을 고려하여 수행 여부를 명확히 전달해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EX) [수행], [협의 필요], [협의 진행 중]

– 난이도: 수행 여부를 기반으로 고객사와 일정 조정 등의 이유로 협의가 필요할 때, 고객사에서 요구사항의 난이도를 물어보기도 합니다. 얼마나 오래 걸리는 작업인지 먼저 파악한 후에 난이도를 함께 작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EX) [상/중/하], [매우 높음]

– 요구사항 근거: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고객사의 여러 담당자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요구사항을 작성하게 됩니다. 이때 전화 통화를 통해서 전달받은 요구사항인지, 이메일을 통해 전달받은 것인지 히스토리를 남겨두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EX) [유선], [이메일], [08/05 고객사 회의]

키워드에 대한 정보 프로젝트 산출물 샘플

다음은 Bing에서 프로젝트 산출물 샘플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샘플 및 초기데이터 1-Cycle 자가점검 산출물

  • 인공지능
  • 학습용데이터
  • 품질관리세미나
  • AI
  • AI허브
  • NIA
  • AIHub
  • 데이터품질
  • 1-cycle
  • 원사이클
  • TTA
  • PMO
  • TG
  • 티지
  • CMS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진흥원
  • 품질관리웨비나
  • 과기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품질관리
  • 품질검증
  • 사업관리
  • 구축사업
  • 류동주
  • 혁신컨설팅
  • 1-Cycle 자가점검 프로세스

샘플 #및 #초기데이터 #1-Cycle #자가점검 #산출물


YouTube에서 프로젝트 산출물 샘플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샘플 및 초기데이터 1-Cycle 자가점검 산출물 | 프로젝트 산출물 샘플,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빈속 에 약 속쓰림 | 항생제 먹으면 속이 너무 쓰려요ㅠㅠ - 나는의사다 715회 159 개의 정답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