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 연구 질적 연구 예시 | Ep 8.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 5446 투표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예시 – ep 8.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히든그레이스 TV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3,195회 및 좋아요 136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질적 연구 방법의 예시
  • 1은 부부 간의 사랑을 수치화된 자료를 통해 분석하려는 양적 연구이고, 2는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 의식과 행동을 해석하고 이해하려는 질적 연구
  • 객관적이고 정밀한 양적 연구, 심층적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질적 연구를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자세가 필요함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예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ep 8.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 –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예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 히든그레이스 논문통계팀
https://blog.naver.com/gracestock_1
📱 02-598-8121
📬 [email protected]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예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에 대한 쉬운 정리

양적연구는 이런 숫자(수량)를 통해 연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시를 들어 우리가 서울시에 사는 청년을 대상으로 소득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알아 …

+ 여기를 클릭

Source: ocir.tistory.com

Date Published: 7/29/2022

View: 7851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식 – Siksam’s blog

양적 연구 기법들은 특정한 연구 사례들에 대한 정보만 만들어내며 더 포괄적인 … 질적 연구(質的硏究, 정성적 연구, 영어: qualitative research).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siksam.tistory.com

Date Published: 5/6/2021

View: 1429

COVID-19으로 인한 사회적 격리가 된 상황 속에서도 질적 연구 …

질적 연구 방법과 양적 연구 방법. 연구를 하는 실험 방법 중에는 대면 인터뷰와 현장 조사와 같이 직접 사람을 마주보고 조사하고 분석해야 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enago.co.kr

Date Published: 1/5/2022

View: 1014

54. 질적 연구 방법론- 사례 연구 – 브런치

물론, 제목은 사례 연구라고 적더라도 내용이 양적 연구 방법으로 구성된 논문이 있을 수 있지만, 전체 추세를 읽는 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입니다. 사례 …

+ 여기에 보기

Source: brunch.co.kr

Date Published: 3/28/2022

View: 960

양적 및 질적 연구방법의 비교

혼합 연구방법. 5. 양적 연구방법, 질적 연구방법, 혼합 연구방법의. 연구과정. 4장의 학습내용. 서로 대조적이면서 동시에 보완적인 세 가지 사회복지 연구모델을 …

+ 여기를 클릭

Source: mm.inje.ac.kr

Date Published: 3/17/2021

View: 9468

질적 연구 방법의 내용과 적용전략: 양적인 질적 연구와 질적인 …

또한 어떤 이들은 질적 인 것이란 주관적인 것과 동일하다고 보아 심지어 비과학적인 것으로 보기도 한 다. 혹은 계량적 방법이나 사례연구를 하지 않은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dohwan.tistory.com

Date Published: 1/16/2021

View: 9905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예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ep 8.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ep 8.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
ep 8.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예시

  • Author: 히든그레이스 TV
  • Views: 조회수 13,195회
  • Likes: 좋아요 136개
  • Date Published: 2021. 1. 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x_FcGyAvuvU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방법)

분류 전체보기 (337) 그냥… (8) From (140) 좋은글 (65) <좋은시> (11) 뉴스 (0) 공모-응모 (2) 건강 (6) Sports (1) 자기개발 (5) 웃어보자 (9) 방송 (0) COM&IT (12) 상식 (24) 영상 (0) JPG (1) ETC (3) Music (1) SW (0) 장애인 (77) 장애인 뉴스 (41) 보장구 (5) SCI (7) 정책&법률 (14) 기타사항 (8) 복지 (2) 한국방송통신대학 (105) 강의4-1 (0) OUN뉴스 (7) 학사일정 (37) 문제해결 (3) 조언 (15) 교육학과 (4) 강의록 (4) 기출문제 (3) 과제물 (6) 시험준비 (4) 자료들 (7) 사회복지사 (1) 좋은 강의 (0) 강의3-2 (0) 강의3-1 (0) 강의2-2 (0) 강의2-1 (0) 강의1-2 (0) Save (1) MUSIC (5) POP (1) K-POP (3) CLASSIC (1) MV (0) etc (0) GIF (0) LINK (0) leewon (0)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에 대한 쉬운 정리

사회과학 조사연구에서 자료 접근 방법에 따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로 나눌 수 있습니다. 특히 사람을 다루는 학문인 사회복지학에서는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둘의 의미를 명확하게 알아둘 필요성이 있습니다. 이에 본 포스팅에서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방법의 특성과 차이점 등을 되도록 쉬운 용어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양적연구(quantitative research)

우리가 흔히 양과 질이라는 단어를 씁니다. 여기서 양은 어떤 분량이나 수량을 의미합니다. 즉, 양이 많다는 것은 수량이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양적연구란 어떤 의미일까요?

양적연구는 이런 숫자(수량)를 통해 연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시를 들어 우리가 서울시에 사는 청년을 대상으로 소득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알아본다고 생각해봅시다. 양적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연구자는 이것을 숫자로 바꿔 연구를 할 것입니다. 일단 연구자는 청년 소득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웁니다. 그런 뒤 서울시 청년 1만 명을 대상으로 소득을 측정하고, 다음 삶의 만족도를 1~10점까지 바꿔서 측정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둘 사이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 여러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을 하고, 결론을 내립니다.

위의 예시가 사회과학에서 주로 쓰이는 양적연구 방법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즉, 특히 사회과학에서 양적연구는 이론을 통해 가설을 세우고 대상의 속성(변수)에 숫자를 부여하고 다양한 통계기법을 통해 그러한 가설을 증명하는 것을 말합니다. 물론 자연과학도 양적연구 방법을 활용합니다. 자연과학(또는 기초과학)에서는 다만 실험설계를 통해 좀 더 통제된 환경에서 양적연구를 실행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좀 더 어려운 말로 표현하면 양적연구는 경험적인 접근방법을 사용하며 대상의 속성을 계량적으로 표현하고 그들의 관계를 통계분석을 통해 밝혀내는 조사로서 실증주의적 인식론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객관성과 보편성을 강조하며 가설의 수립과 검증을 통해 진리를 밝힐 수 있다고 봅니다.

결과적으로 양적연구는 연구하려는 대상과 속성을 숫자로 바꿔서 계측하고, 연구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질적연구(qualitative research)

앞서 양적연구가 수량을 통해 연구하는 것이라면 질적연구는 무엇일까요? 이미 눈치채셨겠지만 양보단 질에 집중하는 연구입니다. 질적연구를 하는 연구자들은 서울시 청년 1만 명을 조사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연구대상의 일부만 보게 되는 편협한 결과를 생산한다고 비판합니다. 특히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과학은 더욱 심각한 오류를 낳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성별이나 나이, 학력 등의 요소를 통제한다고 하더라도 인간에게는 그보다 더 많은 요소들이 있습니다.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그날따라 한 청년은 기분이 우울해있을 수도 있고, 어떤 청년은 부모와의 불화로 화가 나있을 수도 있습니다. 즉, 인간에게는 소득 외에도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수많은 변수들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통계적으로 소득이 높으면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결론이 의미 있게 나왔다 하더라도 실제로 그러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갖습니다. 결과적으로 질적 연구자들은 이러한 양적 연구의 한계를 비판하고, 어떤 결론을 내리려 하지 않고, 소수의 사람들과 깊이 있는 관계를 통해 본질적인 의미만을 추구합니다.

따라서 질적연구 방법은 주로 소수의 집단을 연구하는데 자주 활용됩니다. 어떤 특수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찾아가 심층면접을 여러 번에 걸쳐 수행합니다. 또는 직접 어떤 집단 내부에 들어가 그들의 환경과 삶을 직접 경험하면서 탐구하기도 합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지진으로 인해 트라우마를 겪는 집단은 우리나라에서는 상대적으로 소수일 것입니다. 이 경우 양적연구를 통해 통계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연구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양적인 연구는 모집단과 표본집단이 많을수록 정확한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때에는 질적연구가 필요합니다. 그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과 인터뷰를 통해 다양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습니다.

양적연구방법과 질적연구방법 비교

두 연구의 특징과 차이에 대해 이제 어느 정도 감이 잡히나요? 좀 더 자세한 이해를 위해 두 연구방법을 비교하여 표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양적연구방법 질적연구방법 사회현상의 사실이나 원인을 탐구하고, 논리를 추구하는 실증주의적 입장 인간의 행태를 이해하는 현상학적인 입장 어떤 현상은 안정적이라고 봄 어떤 현상은 통태적이기 때문에 항상 변화한다고 봄 통제된 측정을 실시함(특히 자연과학 실험설계에서 많이 활용함) 비통제적인 관찰을 함 연역적인 연구 방법의 특징이 있음 귀납적인 연구 방법의 특징이 있음 객관적이며 일반화가 가능 주관적이며 일반화시킬 수 없음 대규모의 표본을 추출하여 분석을 시행함 소규모의 표본으로 분석을 시행함 어떠한 현상에 원리와 결과를 추구함 어떠한 현상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고 인과관계는 명확하지 않음 연구방법의 예로는 설문지 조사연구, 실험설계 연구 등이 있음 연구방법의 예로 관찰법, 면접법을 활용한 사례연구나 문화기술적 연구 등이 있음

지금까지 사회과학 연구방법에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특징과 그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해하기 쉽도록 전문적인 용어를 최대한 배제하고 예시를 들어 설명하려고 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이번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함께보면 좋은 포스팅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식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식

[자료 1]

양적 연구(量的硏究, 영어: quantitative research)

양적 연구는 사회과학에서 통계적, 수학적, 계산적 기법을 통한, 사회 현상의 체계적인 경험적 탐구를 가리킨다. 양적 연구의 목적은 현상에 관련한 수리 모델, 이론/가설을 개발하고 이용하는 것이다. 양적 연구는 심리학,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과 같은 사회과학 분야에 널리 쓰이며, 인류학과 역사학에도 쓰이지만 그리 자주 쓰이지는 않는다.

양적 연구 기법들은 특정한 연구 사례들에 대한 정보만 만들어내며 더 포괄적인 결론들은 단지 가설일 뿐이다. 양적 연구 기법들은 이러한 가설들이 참인지를 규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질적 연구(質的硏究, 정성적 연구, 영어: qualitative research)

질적 연구는 대상의 질적 측면에 주목한 연구이다.

질적 연구에서 처리되는 자료는 무형 자료라고 한다. 대상의 양적 측면에 주목하는 양적 연구와는 대비되는 개념이다. 인터뷰, 관찰 결과, 문서, 그림, 역사 기록 등 질적 자료를 얻기 위해, 사회학과 사회 심리학, 문화 인류학 등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다. 좁은 의미의 조사뿐만 아니라, 실험, 관찰, 면접 시험, 민속방법론(ethnomethodology), 문서와 그림의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대화 분석, 참여 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각종 현장 작업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는 조사 방법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사회에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생각할 수도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다양한 관찰 행위도 포함된다.

관찰은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는 대상(예. 유아)를 연구할 수 있는 방법이다. 사회학은 대부분의 경우 대상자에게 어떤 질문을 하게 된다. 배경 이론같이 적절한 분석 방법을 만들고자 하는 연구도 있다. 현재는 표준적인 분석법이 갖추어져 있지 않으며, 분석은 직관과 개인적인 느낌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뢰성과 객관성이 부족하다고 비판을 받는 경우도 많다.

이 기법은 대규모 사회의 전체 상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활용되기 어렵다. 전문가 또는 특정한 사람, 전형적인 사례에 대해 인터뷰와 관찰을 하는 등, 선행 연구가 적은 분야의 연구를 위해 탐색적인 예비 조사를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조사 대상의 인물과 역사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기록을 남길 목적의 연구로도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표준적인 분석 방법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거대한 사회의 극히 일부 밖에 보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이 연구방법은 주의가 요구된다.

[자료 2]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방법) 의미 경험적 자료를 수집하고 계량화하여 사회·문화 현상을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연구 방법 연구자의 직관적인 통찰로 사회·문화 현상의 의미를 해석하고 이해하려는 연구 방법 특징 – 추상적인 개념을 객관적인 관찰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념의 조작적 정의 과정을 거침 – 경험적, 통계적 연구 – 대화록, 관찰 일지, 비공식적 문서 등의 자료 활용 – 인간 행위의 동기와 의미 중시 목적 사회·문화 현상의 일반적인 법칙을 발견하거나 설명하고자 함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목적으로 함 전제

조건 – 자연현상과 사회·문화 현상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음 – 자연 과학적 연구 방법을 사회·문화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는 방법론적 일원론 주장 – 자연현상과 사회·문화 현상은 본질적으로 다르므로 자연 과학적 연구 방법을 가치 함축적인 사회·문화 현상에 적용할 수 없다는 방법론적 이원론 주장 – 사회는 행위자에 의해 구성되며, 개인들은 지속적으로 상호 작용을 함 절차 연역적 연구(두괄식) 방식으로 ⑴문제 인식 → ⑵가설 설정 → ⑶연구 설계 → ⑷자료 수집 → ⑸자료 분석 → ⑹가설 검증 → ⑺결론 도출 * 연역적 연구 방식이란 어떤 문제를 인식하여 가설을 설정한 후 예상되는 관찰 결과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가설과 함께 검증하는 탐구 방법 귀납적 연구(미괄식) 방식으로 ⑴문제 인식 → ⑵연구 설계 → ⑶자료 수집 → ⑷자료 처리 및 해석 → ⑸결론 도출 * 귀납적 연구 방식이란 가설 설정의 단계가 없으며 많은 자료 수집을 통하여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으로 결론을 도출해 내는 탐구 방법 장점 – 가설 검증 및 법칙 발견에 유리 – 객관적이고 정밀한 연구 가능 – 주관적 의식에 대한 심층적 이해 가능 한계 – 계량화하기 어려운 영역의 연구에 부적합 – 인간의 의식과 행위에 대한 깊이 있는 접근이 어려움 – 연구자의 주관적 가치 개입 우려 – 객관적인 법칙을 발견하여 일반화하기 어려움

각 연구 방법에는 장 ‧ 단점이 있으며 어느 방식이 절대적이라고 할 수 없다. 연구의 행위자는 각 장 단점을 이해하고 특징들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자료 3]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방법의 <예시2>

1. 양적 연구 방법의 예시

: 부부간의 사랑을 수치화된 자료를 통해 분석 하는 양적 연구의 예시

2. 질적 연구 방법의 예시

: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 의식과 행동을 해석하고 이해 하려는 질적 연구의 예시

[출처] [자료 1] 위키피디아 – “질적 연구”, “양적 연구”

[자료 2] ZUM 학습 백과 –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방법” 을 토대로 정리

[자료 3] 예시 작성 – 나 (부정확성으로 삭제)

[자료 3] ZUM 학습 백과 –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방법”

COVID-19으로 인한 사회적 격리가 된 상황 속에서도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전세계는 2020년 1월 전후 중국에서부터 급속하게 퍼지고 있는 COVID-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서 유례가 없는 사회적 격리와 사회적 거리 두기를 목도하고 있습니다. COVID-19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상상을 초월하는 것이었습니다.

COVID-19은 다양한 학계의 연구들과 학회와 같은 모임을 일시에 정지하게 하였습니다.

COVID-19으로 인한 학계의 상황

개인 연구 뿐 만 아니라 매년 열리던 수많은 학회와 심포지엄과 공동연구들이 COVID-19의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로서 정지하게 되면서 연구자들은 당황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학교나 병원의 연구소들은 당분간 문을 닫고 그 곳에서 일하던 연구자들이COVID-19과의 사투에서 최전선에 선 의료진과 관련자들의 일들에 협력하거나 재택근무나 휴가로 시간을 보내게 되는 불가피한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그런 점에서 연구자들이 이 시기를 불행하고 불편한 시간으로만 여기지 말고 기존에 연구해서 얻은 결과들을 정리하고 결론짓고 논문을 쓰고 저널에 접수하여 출판하거나 결과 발표나 보고서를 위해서 준비하거나 작성하기에 좋은 시간으로 생각하는 것이 긍정적인 관점에 좋을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연구를 결론 짓기 위해서 검토해야할 기본적인 목록과 출판된 연구결과를 효과적으로 알리는 법과 연구자들을 위한 E-book을 살펴보는 것도 좋은 생각입니다.

질적 연구 방법과 양적 연구 방법

연구를 하는 실험 방법 중에는 대면 인터뷰와 현장 조사와 같이 직접 사람을 마주보고 조사하고 분석해야 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COVID-19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 대한 민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들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회적 거리 두기 또는 사회적 격리는 연구자들에게 어쩔 수 없는 크나큰 장애물이 아닐 수 없습니다. 많은 연구자들은 자료를 모으고 프로젝트의 설계를 다시 하는 데에 손을 놓고 있을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된 것입니다. 방역을 해도 틈만 생기면 집단 감염을 일으키는 COVID-19 코로나 바이러스가 언제까지 그 위력을 보일 지 예상하기 어렵기 때문에 앞으로 어떻게 연구를 지속해야 하는 지에 대해서 연구자들은 고심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서 이런 난감한 상황 속에서 연구자들이 어떻게 연구 자료들을 수집할 수 있을 지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같이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연구방법은 크게 질적 연구 방법(Qualitative research)과 양적 연구 방법(Quantitative research)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질적 연구 방법은 일차적으로 직접 수행하는 탐색적 조사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지만 연구 대상의 질적 또는 내면적 내용을 조사할 때 사용합니다. 반면 양적 연구 방법은 연구 대상의 양적 측면에 주목하여 계량화된 자료를 모으고 이를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방식입니다.

질적 연구 방법은 인간의 행동 자체와 인간 왜 그런 행동을 하는 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는 데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사회학, 사회 심리학, 문화 인류학 등에서 자주 사용하는 연구 방법입니다. 질적 연구 방법은 특히 인터뷰, 관찰, 역할연기 등을 통해서 언어적으로 대상으로 분석하고 전체 집단의 경향성을 이해하는 데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현재의 COVID-19 유행병으로 인해서 사람들과 직접 대면하기 어려운 상황에 민감하게 제약될 수 밖에 없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연구소가 문을 닫고 사람들을 직접 만나거나 실험이나 연구를 진행하기 어려움으로 인해서 양적 연구 방법이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 그나마 이 글에서 언급할 여러가지 대안들을 통해서 수행 가능한 질적 연구 방법을 고려해 보는 것은 연구자들에게 차선책으로 라도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여기서 사회적 격리 중에서도 연구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질적 연구 방법을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합니다.

사회적 격리 중에서 가능한 질적 연구 방법

질적 연구 방법의 중요한 수단으로써 연구 대상을 개인적으로나 집단의 형태로 직접 만나야 하는 대면 인터뷰나 관찰과 역할 연기 등은 더이상COVID-19으로 인한 현실적 문제로 인해서 불가능하기에 이를 대체 하는 방법으로 온라인을 통한 인터뷰나 관찰과 역할 연기를 연구자들은 알아보게 됩니다. 자료 수집과 작성을 위한 비디오 영상 채팅이나 문자 기반 채팅은 가상이지만 실질적인 사람들을 직접 만나야 하는 대면 인터뷰와 초점집단 인터뷰 (Focus group interview)를 대체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가상 공간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과 연구자가 만나게 되는 상황이기에 이는 직접 얼굴을 마주보고 대화를 하거나 관찰을 하는 것과는 분명히 다른 상황이라는 것을 연구자들은 인식해야 합니다. 연구자들에게 그에 따른 실질적이고 윤리적 문제점들이나 고려 사항들을 생각해봐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입니다. 2020년 4월 20일자로 LSEE Impact Blog의 Adam Jowett이 작성한 Carrying out qualitative research under lockdown – Practical and ethical considerations 는 이와 같은 고민에 대한 하나의 좋은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연구 대상이 인터넷 기반 기술이나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거나 인터넷이 연결이 원활하지 못한 환경에 있는 경우와 같은 제약들을 극복할 수 있다면 영상통화나 영상채팅을 통한 인터뷰는 대면 인터뷰를 가장 근접하게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일 뿐 만 아니라 거리의 제약을 넘어서서 자료들을 수집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온라인 설문 조사는 또 다른 대안으로서 폐쇄형 질문(Closed-ended question)이 아니라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을 하게 된다면 충분히 질적 연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물론 직접 상호 교류를 통해서 답변을 듣는 대면 인터뷰에 비해서 그 정보의 질은 떨어질 수 있지만 온라인 설문조사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많은 사람들에게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직접 연구 대상으로부터 정보를 얻어내는 일차적 연구(Primary research)와 같은 방법 외에도 이차적 연구(Secondary research)의 방법으로써 이미 수집되어 출판되거나 시연 되거나 방송된 정보를 다시 수집해서 분석해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사회의 각 분야의 대표적인 잡지나 저널들을 통해서 여러 주제들에 대한 정보를 손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방송미디어를 통해서는 초점집단의 연구 주제에 관한 토론을 하는 것과 같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자서전이나 개인 블로그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통해서는 일차적으로 연구 대상과의 인터뷰를 통해서 심층적으로 질적 연구 내용과 정보를 얻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또한 온라인 토론 포럼이나 소셜미디어를 통해서 전반적인 사회현상들을 연구주제로 다룰 수도 있습니다. 기록 보관소의 공개된 기존의 질적 연구 자료들은 연구자들의 다시 자신들의 연구 목적에 따라 수집되고 분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방법들은 무경험 연구자의 인터뷰나 어설픈 실험 디자인을 통해서 안게 되는 윤리적 문제들이나 실험 방법적 문제들을 피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질적 연구 방법이 갖는 한계점

질적 연구 방법은 사회적 격리 상황 속에서 매력적인 방법인 것은 분명하지만, 질적 연구 방법이 갖는 장단점을 모두 고려해 보는 것은 중요합니다. 질적 연구 방법의 자료와 결과를 일반화해서 분석하고 결론 내리기에는 그 연구 범위와 연구 내용과 그 연구 디자인의 한계가 분명히 있음을 인식해야 합니다. 또한 연구자가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있어서 유의미하게 연구자의 주관적인 편견이 끼어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특이 환자를 조사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의학 사례 보고(Case Report)는 하나의 대표적인 질적 연구 방법 예입니다. 확률적으로 극소수로 발생하는 질병에 관해서 연구할 때는 분명 좋은 방법이지만 양적 연구 방법을 통한 일반화된 결론을 얻는 과정과는 분명 다르기 때문에 연구자가 질적 연구 방법을 수행할 때 통계적 유의미를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어떻게 질적 연구 방법에 과학적 접근법을 어떻게 적용할 지에 대해서 고심해야 합니다.

Enago와 함께하는 학계의 COVID-19 극복 도전

지금까지 사회적 격리 상황 속에서 어떻게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해서라도 연구 자료를 모을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해보았습니다.

이와 같이 연구를 진행하거나 시작해야 하는 연구자들에게COVID-19으로 인한 위기는 좌절의 시간으로 다가올 수 도 있겠지만 이를 슬기롭게 극복해낸다면 오히려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어떻게 학계에서 COVID-19을 이겨낼 수 있는 지를 Enago를 통해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의과학과 그와 관련된 학문을 연구하는 연구자들과 일반인들을 위해서30개가 넘는 국제 저널들의 출판을 담당하는 선도적인 출판사들이 COVID-19와 관련된 모든 연구 논문들을 공개하도록 하였습니다. PubMed Central (PMC)에 공개된 논문들은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연구 결과를 직접 학회에 참여해서 발표할 수는 없지만 온라인으로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것도 연구자에 하나의 멋진 방법일 것입니다. 또한 Enago에서 COVID-19으로 인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연구자들을 돕기에 위해서 정보 제공 뿐 만 아니라 연구 결과의 편집과 출판을 무료로 지원하는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54. 질적 연구 방법론- 사례 연구

질적 연구 방법론은 문화기술지, 근거 이론, 사례연구, 현상학적 연구, 실행 연구, 내러티브 연구 등이 있습니다. 5 가지 방법론 중에 사례연구를 알아봅니다.

얼마나 많은 사례 연구 (Case Study)가 진행되고 있을까?

사례 연구 논문의 제목은 주로 ‘~ 에 대한 사례 연구’ 또는 ‘~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입니다. 논문 검색 사이트 KISS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에서 KCI 등재 사례 연구 논문은 매년 700편 이상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사례 논문은 2017년 713편, 2018년 774편, 2019년 791편, 2020년 805편으로 매년 증가 추세입니다. 물론, 제목은 사례 연구라고 적더라도 내용이 양적 연구 방법으로 구성된 논문이 있을 수 있지만, 전체 추세를 읽는 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입니다.

사례 연구란 무엇인가?

사례 연구는 이름 그대로 특정한 사례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시도하는 연구 방법론입니다. 사례 연구가 무엇을 어떻게 기술하느냐에 따라 전문가들은 다양하게 정의 내렸습니다.

스크램(Schramm) 1971

하나 또는 일련의 의사 결정이 일어난 원인과 실행 과정 및 결과를 조명하는 연구

스타크(Stake) 1995

특정 사례가 특정한 상황 속에서 갖는 복잡성과 특수성을 포함하는 행위에 대한 이해하는 연구

울코트 (Wolcott) 1992

현장을 중심으로 수행한 연구물의 최종 산출물

메리암(Merriam) 1998

하나의 사건, 현상 또는 사회적인 단위에 대한 집중적이고 총체적인 기술과 분석

핀치(Punch) 2003

단독 또는 소수의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로 적절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는 연구

로버트 인 (Robert Yin) 2005

맥락이 있는 동시대의 현상에 대한 실증적인 탐구이고, 현상의 경계와 맥락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탐구

사례 연구는 구체성, 서술성, 발견성이 있습니다. 사례 연구의 대상은 구체적인 상황, 사건, 프로그램, 현상들이고, 사례 연구의 결과물은 연구 대상에 대한 풍부하고 심도 있는 서술을 제공하고, 독자들은 사례 연구를 읽고 새로운 이해와 경험을 확장합니다. 독자들은 사례 연구에서 얻은 지식은 구체적이고, 생생하고, 직접적입니다.

사례 연구는 연구자가 관심을 갖는 대상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뉩니다. 내재적 사례 연구 (Intrinsic Case Study)는 연구자가 선정된 사례가 내포하는 특성이 정보, 지식 또는 시사점에 관심을 갖습니다. 도구적 사례 연구 (Instrumental Case Study)는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는 사회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례를 연구합니다. 또한, 사례의 개수에 따라 단일 사례 연구 (Single Case Study)와 다중 사례 연구 (Multiple Case Study)로 나뉩니다. 그리고, 사례를 단순히 나열하는 서술적 사례 연구, 서술에 이론을 접목한 해석까지 붙이는 해석적 사례 연구 그리고 서술과 해석에 판단까지 내리는 평가적 사례 연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사례 연구에서 사례는 무엇인가?

사례 연구에서 다루는 사례는 특정 인물, 특정 그룹, 특정 기업이나 조직, 또는 프로그램이나 사회 현상입니다. 특히,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례는 더 구체적으로 개인, 개인의 속성, 개인의 행위와 상호작용, 행위로 만들어진 산출물, 행위가 발생하는 환경이나 사건일 수 있습니다. 즉, 사례는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는 모든 대상입니다. 사례가 너무 광범위하고 포괄적이더라도 몇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1) 제한성

연구 사례는 경계가 있습니다. 경계는 연구 대상과 주변 사례를 명확히 구분합니다. 경계가 모호한 사례는 연구의 주제를 제대로 드러내지 못합니다.

2) 맥락성

맥락은 연구자가 연구 사례에 관심을 가지는 목적입니다. 연구자는 맥락 속에서 연구 사례와 주변 사례를 구분하기 위해 최대한 명확하고 자세하게 서술해야 합니다.

3) 복잡성

양적 연구는 전체에서 일부분을 설명합니다. 결과를 만드는 다수의 요인들 중에 한 두 가지 요인에 집중합니다. 사례 연구는 다수의 요인들 간의 복잡한 상호 관계를 설명합니다. 사례 연구는 새로운 연구의 영역이나 문제들을 개념화하고 자세히 설명하여 후속 연구를 이끕니다.

4) 현재성

과거의 사례를 다루는 연구는 사례 역사 연구라 하고, 사례 연구의 범주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사례 연구는 현재에 초점을 맞추어 사례에 대한 전개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인과 과정을 설명합니다.

사례 연구는 어떤 연구에 적합할까?

사례 연구가 적합한 연구 형태를 로버트 인은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나누었지만, 결과적으로 큰 차이는 없습니다. 연구 대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전달합니다.

1) 설명적 사례 연구 (explanative)

설문지나 실험과 같은 연구 방법으로 이해하기 복잡하지만 현실에서 실제로 발견되는 현상을 원인과 결과의 관계로 설명합니다.

2) 기술적 사례 연구 (descriptive)

실질적인 맥락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기술합니다. 현상의 요인들을 상세 설명하여 독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합니다.

3) 묘사적 사례연구 (illustrative)

현상에 대해 구체적이고 생생한 묘사를 합니다. 독자들은 간접 체험을 극대화합니다.

4) 탐색적 사례 연구 (explorative)

현실에 적용한 특정 사례를 평가할 때 결과물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을 때 결과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을 탐색합니다.

5) 메타-평가 사례 연구 (meta-evaluation)

평가를 목적으로 수행한 일련의 사례 연구를 모아서 결과에 대한 해석을 수행합니다.

사례 연구는 수준이 낮은 연구가 아니다

사례 연구는 수준이 낮다는 인식이 팽배합니다. 연구를 탐색하는 단계에서 사례 연구의 방법을 사용하고, 현상에 대한 기술 단계를 위해 조사 연구나 역사 연구를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설명과 인과 관계 규명을 위해 실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많은 연구자들이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 이외에도 사례 연구가 평가절하된 이유를 로버트 인(Robert Yin)이 몇 가지로 설명합니다.

첫째, 초창기 사례 연구는 학문적 엄밀성을 담보하지 못해서 연구자의 주관성을 깊게 반영했습니다. 둘째, 교과서와 전공서적에서 박스 형태로 제공하는 예시와 사례 연구를 혼동했습니다. 셋째, 사례 연구는 실험 연구보다 인과 관계를 잘 설명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사례 연구는 실험 연구가 밝히기 힘든 블랙스완을 쉽게 탐지합니다. 실험 연구와 사례 연구는 상호보완적 관계입니다. 넷째, 사례 연구는 특정 사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지만 일반화하거나 다른 현상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고 말합니다. 사례 연구는 표본의 수가 적은 것이 아니라 이론이 몇 번이나 재현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례 연구는 사례를 설득력 있게 정당화하고 논증하는 과정이 어렵습니다. 많은 연구자들이 사례를 연구 주제로 쉽게 삼지만, 사례 연구가 정교한 학문적 기준에 부합하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사례 연구에서 충분한 분석과 논리적인 서술을 제시한다면 충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좋은 질적 사례 연구란 무엇일까?

로버트 인은 연구자들이 좋은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도록 다음과 같이 제한하였습니다.

1) 좋은 사례 연구는 반드시 중요한 문제를 다룹니다.

좋은 사례 연구의 사례는 일반적인 관심의 대상이거나 일반적이지 않은 속성이 있습니다. 사례는 국가적으로 이론적으로 정책적으로 중요한 문제를 내포합니다.

2) 좋은 사례 연구는 반드시 완전합니다.

좋은 사례 연구는 뚜렷한 경계를 가지고, 뚜렷한 경계선을 만들기 위해 충분히 증거를 수집하고, 인위적인 요소를 배제합니다. 연구 기간이 완료되었다고 사례 연구를 끝내는 것은 옳지 못합니다.

3) 좋은 사례 연구는 대안을 제시합니다.

좋은 사례 연구는 자료의 분석과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관점을 수용합니다.

4) 좋은 사례 연구는 풍부한 증거를 제기합니다.

좋은 사례 연구는 풍부한 증거를 제시하여 독자들이 개인적으로 결과를 해석할 수 있도록 합니다.

5) 좋은 사례 연구는 독자들을 끌어들이는 힘이 있습니다.

좋은 사례 연구는 연구 결과물은 독자들을 끌어들이는 힘이 있습니다. 같은 내용이더라도 어떤 문체를 사용하는지, 독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요소가 있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로버트인 (Robert K. Yin)

로버트 인은 질적 연구 방법론에서 무수히 언급되는 학자입니다. 그는 용용 연구 및 사회 과학 회사인 코스모스 코퍼레이션 (COSMOS COrporation)의 사장이고, 코스모스는 연방 기관, 주 정부 기관, 민간 재단을 위한 수백 개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습니다. 그는 11권의 책을 저술하였습니다.

참고자료 : 질적 연구 방법의 이해 (박영스토리, 2021년 3월)

질적 연구 방법의 내용과 적용전략: 양적인 질적 연구와 질적인 질적 연구 (정부학연구, 2009)

질적 연구 방법의 내용과 적용전략: 양적인 질적 연구와 질적인 질적 연구*

1)임도빈**

Ⅰ. 질적 연구가 왜 중요한가?

질적연구방법이란 빈도(frequency) 등 수치적 방법에 의한 이외의 방법으로 현 상을 해석하고, 재코딩하고, 설명하는 다양한 방법론을 의미하는 광범위한 개념 이다(Van Maanen, J. 1979).

한국의 행정학 및 정책학의 연구경향은 경험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권경득, 2006; 박흥식, 2006). 이에 따라 학생들의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는 매우 혼란스럽고 단순히 계량연구의 반대적인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 다. 하지만, 밀턴 프리드만(Friedman, M,1966:4)이 제기한 대로, 실증연구는 원칙적 으로 규범적 연구와는 다른 연구이므로, 만약 어떤 질적 연구가 계량 연구가 아니 면서 동시에 규범적 연구가 아니라고 한다면 이는 실제 일어난 일 또는 행위에 대 한 연구일 수 있으므로 경험적, 실증적 연구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질적 인 방식으로 수행된 연구가 경험적 실증적 연구가 아닐 것이라는 편견은 일종의 과학주의의 미신이다. 다만, 질적 연구의 중대한 특성으로 연구자와 사물 간에 상 호의존과 상호작용을 토대로(윤견수, 2005:1) 연구자 저마다의 사회적 현실 (multiple realities)의 형성(구성)이 가능하다. 그 과정은 연구자가 사물을 이해해가 는 의미해석(sensemaking)과정과도 무관하지 않으므로 가치개입적일 수 있으며, 결국은 “실증적(positive)”이라는 용어는 ‘질적 연구다운’ 것과는 어느 정도는 상존 하기 곤란한 것이 되기도 한다 .

Ⅱ. 기존 질적 연구들의 맥락적 이해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라는 용어가 가져다주는 의미는 다른 배경을 가진 사람들에게 다 다르게 나타난다(Strauss and Corbin, 1998:11).

1. 무엇이 ‘ 질적’ 인 것인가에 관한 다양한 견해들

질적 연구를 정의하기는 쉽지 않다. 많은 사람들은 비수학적(non-mathematical) 분석, 비수치적(non-numeric) 자료, 비통계적(non-statistical) 방법을 차용(Strauss & Corbin, 1998: 10-12) 하는 연구를 질적 연구라고 알고 있다. 또한 어떤 이들은 질적 인 것이란 주관적인 것과 동일하다고 보아 심지어 비과학적인 것으로 보기도 한 다. 혹은 계량적 방법이나 사례연구를 하지 않은 것이란 의미에서 이론적인 것과 동일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사회과학에서 완벽하고 객관적이고 명확한 사실이나 개념이란 존재하 지 않는다. 사회현상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견해가 존재할 뿐이다. 이런 점에서 질적인 것은 주관적인 것 즉, 가치적인 측면을 포함하여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따 라서 많은 사회과학자들은, 관찰이란 것이 이론에 기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찰이 현실에 대해 진실을 말해줄 것이며 과학적 주장은 검증할 수 있 다고 보는 실증주의자들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다(Johnstone, 2000). Cameron 등 (1992)은 관찰과 현실에 대한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을 제 시한다.

하나는 이른바 상대주의(relativism)로서 관찰만이 아니라 현실 또는 이론 에 의존하므로, 세상은 개인들에 따라 차이가 나며 따라서 기술(describe)할 수 있 는 단일한 현실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본다. 이들은 서로 다른 사례에서 관찰과 현 실간의 상호작용이 같은 방식으로 일어나는지 여부에 대한 일반화 작업을 하지 않는다.

반면 객관적 현실주의(realism)는 관찰은 이론에 기반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 다고 보면서, 사람들이 사용하는 문장들은 서로 다르며 잘못 들릴 수도 있지만 같 은 발언을 듣는 두 사람의 경험은 어느 정도 같다고 보고 있다. 대부분의 사회학자 들은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현실주의적 입장에 서 있다고 볼 수 있다(Johnstone, 2000).

한편, 어떤 이들은 접근방법과 패러다임 등도 질적인 것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접근방법이란 어떤 현상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것을 말하 며, 이러한 특징은 특정 학문분과에 있어서 “문제와 자료”의 선정기준이 된다.

이렇듯, 질적 연구란 매우 다양하고 다중(multiplicity)적인 방법론을 포괄하는 것 으로 ‘질적’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서는 여러 질적 연구방법의 공통분모를 추출해 보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질적 연구는 비교적 덜 알려진 영역에서의 사회적 실체 와 현상이 어떻게 해석, 이해되고 경험되거나 생성되는가에 관심을 두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연구대상의 사회적 맥락에 큰 관심을 갖는다. 설명방법에 있어서도

현상의 피상적인 유형, 추세나 상관관계의 묘사보다는 ‘본질적인’ 형태의 분석과 설명을 보다 강조한다(제니퍼 메이슨, 1999).

2. 양적 연구와 어떻게 다른가?

일반적으로 양적 연구는 질적 연구와는 달리 ‘객관적 연구’라고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렇다면 객관적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인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객관적 이라는 말은 사실(fact)이라는 말과 일맥상통한다. Simon(1958)은 행정현상을 가치 (values)와 사실(facts)로 분리하여 후자에만 국한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할 것을 주 장하였다.

사회과학에서 통상적으로 간주하는 ‘객관성’2)의 의미는 첫째, 경험적 사실인가 여부, 둘째, 모든 사람들이 동일하게 느끼는가의 여부, 셋째, 신뢰성 있는 사실인 지에 따라 달라진다. 그런데 모든 사람들이 동일하게 인식하거나 느끼는가 하는 문제에서 많은 사람들이 특정 현상을 동일하게 보고 느낀다는 이유자체만으로 그 현상을 사실이라고 규정할 수는 없다. 과거 천동설이 지배적인 시대에 사람들은 지구가 고정되어 있고, 태양이 움직인 것으로 경험적으로 느꼈지만, 실제로는 지 구가 움직이는 것이 올바른 사실이었다. 신뢰성이 있는 사실이란 같은 조건에서 같은 실험을 수행했을 때 동일한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에 성립한다.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가 추구하는 수치의 통계적 결과에 의해 제시된 “사실 (facts)”를 추구하는 것(남궁근, 2004)과는 다르다. 즉, 연구대상이 특정 사회 환경에 놓여 있는 행위자에 의해 지각된 사회적으로 구성된 실제(socially constructed reality)를 추구한다(Meyer and Rowan, 1977; Granovetter, 1985; Weick, 1993). 행위자나

연구자의 인식(perception)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객관성의 기준에서 볼 때 문제성을 띠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림 1> 연구방법의 유형

그런데, <그림 1>의 [유형 Ⅱ, Ⅲ, Ⅳ] 모두 질적 연구로 알려져 있다. [유형 Ⅱ, Ⅲ, Ⅳ]는 귀납적이라는 점에서 질 적인 방법론이라고 알려져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유형 Ⅱ]는 일단 자료수집단계에서 개방적인 태도로 문제를 본다는 점 에서 질적인 연구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는데, 실제 연구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것 을 수치(즉, 통계)로 판별한다는 점에서 엄밀한 의미에서는 질적인 연구라고 보기 는 어렵다. 특히 [유형 I]은 물론이고 [유형 II]의 연구도 연구자가 연구대상이란 연 구자와는 별도로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는 자세를 갖는 경우, 협의의 질 적 연구라고 보기 어렵다.

흔히 알려진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이 그것인데, 연설이나 대화에서 특정단 어의 출현빈도수를 찾아 통계법(예, 카이자승법)으로 분석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 이다. 또한 과거 인간관계를 연구하는 방법으로 소시오메트리(sociometry)를 사용 하다가 최근에는 네트워크 이론이 발달되고 있다. 컴퓨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 석기법에 의해 시각적으로 일목요연하게 네트워크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를 그래픽화하는 것을 넘어서 통계적 유의성 검증기법에 의해(예컨대 두 네트워 크의 중심성(centrality)을 유의성여부를 검증하는 소프트웨어가 있다) 검증한다면 질적 연구라기보다는 오히려 ‘양적 연구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말하는 질적인 질적 연구는 결국 [유형 Ⅲ]과 [유형 Ⅳ]이다. 이 두 유형 의 공통점은 주요한 결론을 통계방법에 의존하지 않고 연구자의 사유능력에 의존 한다는 점이다. [유형 Ⅲ]의 대표적인 것은 근거이론과 행위이론 등이다. 미리 정 해진 분석틀이 아니라 철저히 개방적인 태도로 현실을 이해하고 순차적인 귀납적 방법에 의해 이론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Michel Crozier(1964)나 Friedberg의 행위이 론은 조직연구에서 인터뷰에 의하고, 연구대상 행위자들의 실제 행위내용을 근거 로 한다는 점에서 연구자의 주관을 배제하려고 한다. 이런 점에서 연구자의 주관 을 인정하고 밝히도록 하는 근거이론과는 차이가 있다.

[유형 Ⅳ]는 현상학이나 비판이론과 같이, 통합적 접근법이라는 점에서 [유형 Ⅲ]과 구분된다. 결국 연구자의 주관이 가장 중요한 연구추진력이 되고, 사회는 부 분으로 나누어 분석적으로 하기보다는 전체적으로 이해되는 경향이 있다.

3. 양적 연구와의 보완 가능성

King et.al.(1995)은 최고의 사회과학 연구들은 계량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혼합이 주류인데, 이것은 근본적인 추론과정 간 에 모순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엄밀성이라는 가치를 얻기 위해서는 지불해야 하는 비용이 반드시 있기 마련이다. <그림 1>에서 제시한 유형들을 기분으로 할 때, [유형 I]과 다른 유형들 간 결합을 한다는 것은 그리 쉬워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국내 질적 연구가로서 조용환(1999a:104~109)은, 한국에서 수행되는 소 위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결합은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어정쩡하게 결합시 켜놓은 경우로, 석・박사 학위논문에서 자주 발견되며, 그 원인으로써, 질적 연구 에 관심을 가진 학생이나 지도교수가 심사위원들의 몰이해와 반발을 우려하여 과 감하게 질적 연구를 추진하지 못하고 우회”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주장하면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가 연구기법상 혼합할 수는 있지만 연구논리상 화합할 수 는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Sydney Tarrow(1995) 역시도 다각화(Triangulation)의 효 능은 양적 데이터가 부분적이고 질적 조사가 정치적 환경에 의해 막혀있을 때 특 히 적합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Ⅲ. 질적 연구의 유형과 연구전략

1. 양적인 질적 연구: [유형 II]

양적인 질적 연구에서는 ‘검증해야 하는 기존이론이란 좋은 것’이라는 암묵적 인 전제를 하고 있다. 가상적 예로서, 대통령의 라디오 연설에서 ‘공공서비스’ 정 신이 많이 포함되면 될 수록 대통령의 지지율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때 ‘공공서비스 정신’을 담은 단어를 찾아내는 내용분석을 하는 것이다.

즉, 양적인 질적 연구를 옹호하는 시각을 가진 사람들은,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문제를 도출하는 쪽으로 흐를 가능성이 크므로 이론으로부터 가설을 도출할 가능성이 많으며, 자료에서 가설을 도출하는 세련되지 못한 경험주의((brute empiricism)를 피할 수 있게 된다. 충분히 개방되고 유동성 있는 질문(홍영기, 2006)을 가지고 자료와 연구자와의 상호작용을 토대로 (Creswell, 1998) 진행되는 질적인 질적 연구와는 다른 것이다,

결국 진정한 질적 연구는 연구문제에서부터 차이가 있게 된다.

양적인 연구는 사회의 모든 현상이 인과관계라는 법칙에 의해 움직인다고 전제하고 이를 규명하 기위해 이론(가설)검증한다. 따라서 어떤 설명대상(종속변수)이나 독립변수의 출 현여부나 정도를 어떻게 경험적으로 측정하느냐의 문제와 이들 간에 관계가 있느 냐 여부를 통계적 유의성으로 검증하는데 중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질적 연구는 사회현상의 단일성이나 인과관계를 전제하지 않고, 개별 사례(연구대상)의 독특 성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 따라서 독립변수나 종속변수의 측정보다는 이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왜 일어나는가를 탐구하는데 연구자의 노력이 집중된다.

예컨 대 관료부패와 관료의 월급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양적 연구가 해결해야 하는 연 구문제라고 한다면, 젊고 청렴한 관료가 어떤 환경과 과정을 통해 부패에 연루되 는가의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질적 연구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같은 관료에 대한 인터뷰의 내용도 이 접근방법에 따라 상이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아무리 계량화되지 않는 자료(인터뷰, 비디오, 문서 등의 질적 자료)를 활용한다고 하더라도 모두 질적인 연구라고 보기는 어렵다. 양적인 질적 연구는 방법 자체가 이론부터 설 명하고 들어가거나, 혹은 그렇지 않더라도 이론을 전제로 연구 참여자의 인터뷰 내용이 사실을 뒷받침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 점은 인터뷰 내용의 진실의 신 빙성 여부나 인지적 편이(bias)문제를 중요 이슈로 다루는 질적인 질적 연구에서 는, 인용문을 사실적 주장의 수단으로 보지 않는다. 이 점에서 두 연구방식의 인식 의 간극이 매우 큼을 알 수 있다.

2. 질적인 질적 연구

1) 연구의 관심과 특성

흔히 질적인 연구를 겨냥한 잘못된 비판(Eight Common Erroneous Critiques)을 보면 다음과 같다.7)

첫째, 논문작성은 가설을 가지고 출발해야 한다(This paper needs to start with a hypothesis). 이것은 가설검증을 연구의 핵심으로 보는 실증주의자들이 주장하는 내용이다. 연구자가 어떤 연구대상을 대상으로 가지고 있는 궁금증(즉, 넓은 의미 의 연구문제)만 가지고 있어도 연구의 개시는 충분한 것이다. 넓은 의미의 연구문 제가 있으면 논문작성에 아무런 지장이 없다.

둘째, 외적 타당성이 있어야 한다(This study lacks external validity). 가설검증을 주 장하는 실증주의자들이 가진 편견으로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 통계적 유의성검증 이다. 즉, 일반화를 위해 다른 유사한 집단에 적용가능성을 표본추출 오차라는 측 면에서 검증하는 것이다. 그런데 질적 연구에서는 개별 연구대상의 독특성을 강 조하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외적 타당성에 비중을 두지 않는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왜 극단사례를 가지고 연구하느냐(Why are you focusing on these extreme, negative cases anyway?)라는 비판을 하게 된다. 그래도 대표성이 있는 중간정도의 사례를 연구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극단적 사례를 통한 이해가 훨씬 설명력이 더 클 수 있다. 더구나 사회과학 연구의 목적이 현실을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는 점과 모든 연구대상들은 독특하다는 것을 전제하기 때문이다.

셋째, 종속변수가 무엇인가( So what’s the dependent variable?)라는 비판을 받게 된다. 질적 연구에서 현상에 대한 이해에 중점을 두면 소위 독립변수라고 할 수 있 는 것을 파악하는데 전력을 기울이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작성된 연구는 가설검 증을 지지하는 연구가의 눈에는 가치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질적 연구는 무엇이 원인이고 결과인가를 묻는 연구가 아니다. 따라서 시간선행, 혹은 인과관계를 규 명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질적 연구의 관점은 “현재진행형(ongoing)”으로 진리를 향해 정진하는 것이다. 나아가서 연구대상은 항상 진화 내지 변하는 것이기 때문 에 어떤 확정성은 없다고 봐야 한다.

넷째, 연구자의 주관성 문제나 오류문제(Author error)가 배제되었느냐의 비판이다. 실증주의에서는 연구자의 무오류성을 추구한다. 그러나 질적 연구는 객관적 데이터를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자가 가진 편견을 그대로 내포하면서 연구를 진행하므로 항상 연구자로부터 기인하는 오류가 있다고 비판을 받는다.

그러나 질적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는다. 예컨대 GNP와 같은 자료도 사실 그 나라의 자연적 조건, 산업구조, 인적 자원, 분배구조 등에 따라 나라마다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차이를 무시한채 국가간 GNP를 비교하는 가설 검증을 한다면 ‘다른 것을 같은 것으로 믿는 더 큰 오류’를 범할 수 있는 것이다. 두 사람이상의 연구자가 인터뷰를 하고 코딩을 하는 경우에는 이들 연구자들간의 일관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근거이론과 같이 개방코딩, 축코딩을 하는 경우 이들 간 코딩결과가 완전히 서로 다른 것이 된다면 문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with this coding process is that you can’t establish inter-rater reliability about what things mean?). 이 점은 질적인 연구방법의 태 생적인 약점으로 연구자간에 상호비교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어느 정 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질적 연구는 일반화나 객관성의 확보가 연구의 핵심적 목적이 아니므로 치명적이라고 할 수는 없다.

다섯째, 질적 연구는 소수 표본이어야 한다는 믿음도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But Helen, you’re not a qualitative type; you interviewed 200 people!). 200명이 넘는 사 람을 인터뷰하여 질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도 있다. 사실 질적인 연구도 다양한 사 례를 보고 연구를 하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질적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표 본이 많을수록 좋은 것은 아니다. 따라서 소수 표본으로도 훌륭한 연구가 가능하 다. 거꾸로 최근 통계기법이 발달하여 소수의 표본의 경우는 정규분포를 가정하지 않고 통계검증을 하는 양적 연구를 할 수 있다.

여섯째, 질적인 연구는 사적인 비밀보호의 원리를 침해한다(Aren’t the death row inmates at risk of having their privacy violated by your research?). 연구의 기본단위가 주 로 개인이고, 인터뷰나 관찰 등의 방법으로 이들 연구대상 인간들의 생각이나 행 동을 면밀히 이해하는 데에서 시작하고 그 과정이 어떻게 되었느냐가 연구의 질 을 좌우 한다. 이 연구과정에서 연구대상인 개인의 사적 생활이 연구자에게 노출 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연구자와 연구대상간의 정보보호의 문제가 생긴다. 따 라서 질적인 연구에서는 연구윤리를 매우 중시한다. 우선 연구대상으로부터 연구 를 진행하겠다는 동의를 얻는 것이 필수적이고, 연구결과물에서는 익명성을 유지 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필요하다.

논문제목이나 내용목차에 “질적” 혹은 그밖에 질적 연구의 전통에 해당하는 용어가 포함되어있다고 해서 모두 질적 연구로 섣불리 단정할 수는 없음(조용환, 1999a:92)을 명심해야 한다.

2) 질적 연구방법(유형 Ⅲ)의 특성

Guba & Lincoln(1994:107)에 의하면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는 연구를 이끄는 존 재론, 인식론, 방법론상에 그 전제가 되는 신념체제(belief system)가 다르다고 한다. 바꾸어 말하면, 양자의 차이가 단순한 연구방법상의 차이가 아니라, 연구논리상 에 그 기저가 다름을 의미한다. 질적인 질적 연구란, 이렇게 연구방법상의 차이 뿐 만이 아니라 연구논리상 차이 즉, 패러다임이 완전히 다른 연구 방식인 것이다.

질적인 질적 연구(즉, [유형 Ⅲ], [유형 Ⅳ])는 연구의 출발 단계에서 전혀 이론 (theory)에 근거를 두지 않고 출발한다. 왜 이러한 질적 연구를 해야 하는가에 대한 이유(moments)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연구참여자(natives 즉 연구대상)의 모멘트,

둘째, 연구자(researcher)의 모멘트,

셋째, 독자(audience)의 모멘트이다(Brower, 2007).

질적 연구는 바로 이 세 가지 모멘트들의 상호의존과 상호작용을 토대로 ‘의미’를 이끌어내는 장점이 있다(윤견수, 2005:1). 요컨대, 질적인 질적 연구는 기존 용어나 이론에 기대지 않 고, 생활세계(life world)의 상황에 근거를 두고, 그것을 담아 낼 수 있는 이론적 개 념(theoretical concept)을 정립(build)해 나간다.8) 그 일천(一淺)한 수준으로부터 발 견된 몇 가지 사실로부터 점점 더 코딩 작업을 고양화시킴으로써 마침내 모든 개 념을 아우르는 이론을 도출하는 것이다. 즉, 자료로부터 명명된(label) 개념으로부 터 점점 더 넓게 추상화 시켜나가는 상향식(bottom-up) 귀납연구이다.9)

9) 결국은 기존에 코딩된 개념이 모든 개념을 포착해낼 수는 없기 때문에, 연구자 자신이 최종 범 주를 독자적으로(즉, 질적으로) 산정하게 된다. 그 최종범주가 더 이상의 내러티브한 군더더기 없다고 평가가 되면, 만족(saturation)스러운 단계에 도달했다고 보는 것이다. 이 순간 마침내 “질적인 모멘트의 발견”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질적 연구가들이 여전히 자료 수집 이후의 과정을 ‘분석’ 으로 통칭하는 관행을 보여 왔다. 이는 다분히 양적 연구의 전통을 따른 것이라고 비판받을 수 있다(조용환, 1999b:28).

나아가서 양적 연구(혹은 양적인 질적 연구) 에서는 연구자가 사물(thing)에 대해 대자(對自)적 관계로 설정되기 때문에 ‘적용’ 이라는 용어가 성립 가능하나,

질적인 모멘트에서는, 연구자와 대상 간에 주객의 혹은 주종적 존재 양식의 구분이 더 이상 의미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 이, 질적인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사물과 즉자(卽自)적 관계에 놓여있음으로 말미암아, 연구자의 인식의 범위(perceptual field) 내에서 사물이 지각되고, 의미가 해석・재해석되는 것이다.10)

이러한 설명방식은 기존 이론을 사례를 통해 확인하는 연역주의적 방식과는 거 리가 있는 방식이고, 이러한 설명방식이 설득력이 있는 이유는 자료로부터 범주 화된 개념들이 이론을 구성함에 있어 직결되는 증거(evidence)가 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연구자가 독자적(질적)으로 구축한 이론이 결국 ‘왜(why)에 대한 대 답’(Kaplan, 1964; Merton, 1967; Sutton & Staw, 1995: 378)으로서 그 역할을 잘 해주기 때문이다.

결국 이러한 질적인 질적 연구는, 개인 조직원이 제도를 사회적으로 습득한 사 고방식 즉, 각 개인의 의식에 각인된 사고의 사회적 습관으로 보는 사회학적 신제 도주의에 기초하여 질적 연구의 의미를 재조명할 수 있고, 그 방법으로서의 현상 학과 깊은 관련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질적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는 중점을 둬야하는 측면이 타당도와 신뢰도 에 중점을 두는 양적인 연구의 경우와 다르다. 이를 몇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 다.(Lawrence F. Locke, Stephen J. Silverman & Waneen Wyrick Spirduso, 2004:221~225)

우선 충분한 연구기간(The machinary of time)의 문제이다. 사실 이러한 연구성과 물의 질은 연구자가 연구대상 상황에 얼마나 충분한 시간을 보냈는지가 절대적 결정요인이다. 실제로 몇 시간, 몇 일을 보내야 하는지 잘라서 말하기 어렵다. 그 러나 연구자가 연구대상에 대해 충분한(만족할만한) 수준의 정보를 얻는데 필요한 시간을 의미한다. 대체로 행정학계에서 질적 연구를 표명한 연구들이 매우 짧 은 시간을 소비하여 질을 담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둘째, 주관성의 원칙(The machinary of subjectivity)이다. 질적 연구는 연구자의 주 관이 개입되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데, 연구자가 이에 대해 스스로 어 느 정도 의식하고 있는가가 중요하다. 이 세상에서 객관성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다. 1차 자료의 획득 후 한 걸음 물러서서 이를 관조해보는 자 세 등이 필요하다.

셋째, 부정합성의 원칙(The machinary of What Does Not Fit)이다. 조사결과 연구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것,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것, 극단적 예외 등에 대해 양심 적으로 처리하고 깊이 생각해야 한다. 이를 그냥 무시하거나 의도적으로 누락시 키고, 마치 자신의 결론이 거의 현실에 부합되는 것처럼 해서는 절대로 안된다. 사 실 복잡한 현실세계를 이해하기 쉽게 멋있게 설명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 러다 보니 거짓연구를 하려는 유혹이 있는 것이다.

넷째, 관계성의 원칙(The machinary of Relationship)이다. 연구 대상 사람들 간에 오간 대화나 인터뷰 내용에는 이들 간의 인간관계가 내포되어 있음을 항상 주의 깊게 감안해야 한다. 연구자와 인터뷰 대상자의 관계도 마찬가지 차원에서 엄격 히 고려되어야 한다. 즉, 연구자와 연구대상간의 상호작용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 다. 정책연구에서는 정책입안부터 집행 시, 그리고 평가 시까지 외부연구자가 대 상집단과 긴밀히 상호작용하여 추진해야 한다. 예컨대 조직진단의 경우, 조직개 편안을 담은 보고서 제출이 최종점이면 안 되고, 그 개편안의 실행에도 연구자가 깊이 관여하여 소정의 효과가 나오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맥락의 원칙(The machinary of Context)이다. 사회적, 역사적, 물리적 환경 을 제대로 묘사하고 분석(설명)의 주요 내용으로 포함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독자 들은 연구의 결론을 유사한 상황으로 적용해 볼 수 있을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것 은 두터운 기술(Thick description)의 주요 부분이기도 하다.

우선 근거이론을 사용한 정책시뮬레이션(권선필, 2007:34) 연구에서, 예컨대 검색된 뉴스기사 데이터는 개방코딩(open coding)의 개념들의 소스이다. 이후, 상위 범주인 축코딩(axial coding) 단계에서는 몇 개의 하위 단계의 개념들이 하나의 상 위 범주의 소속으로 묶이게 된다. 이때 하나의 개방코딩은 복수의 축코딩에 중복 되게 소팅(sorting)이 된다거나 혹은 누락되지 아니하며, 타개념과 상호 배타적으 로(즉, 비중복적으로) 일관성있게 범주화가 진행된다. 그러한 작업에 도움을 주는 것이, ATLAS.ti나 MAXqda와 같은 소프트웨어들이다.

3. 질적 연구의 유형별 연구전략

질적 연구를 하는 데에는 많은 타당한 이유들이 있다(Strauss & Corbin, 1998:11).

첫째, 연구자들의 경험이나 선호로 인하여,

둘째, 연구자들의 기질이 질적 연구 작 업의 형태를 수행하는데 더 적합하기 때문에,

셋째, 연구자의 배경 학문 분야가 인 류학(anthropology)에서 왔거나, 전통적으로 질적인 방법을 이용하는 현상학이라 는 철학적 지향을 들고 있다.

이러한 이유 중 어디에 속하느냐에 따라 여러 질적 방법론중 어느 방법에 의존할 것인가가 어느 정도 정해질 것이다.

우선 사례연구는 연구대상의 단위(unit)를 결정할 때 적어도 지리적으로 혹은 물리적으로 어느 정도 경계가 뚜렷한 경우를 의미한다. 사례의 크기는 천차만별 인데, 질적 연구를 할 때에는 대규모의 사례단위를 다루기는 쉽지 않다. 사례연구 란 이런 연구대상에 대한 관찰, 인터뷰, 자료분석 등을 통해 어떤 현상을 기록, 보 고, 진술하는 것이다. 실험이 자연과학에서 이론의 검증과 발전의 재료이듯이, 사 회과학에서는 관찰이 이론의 검증과 발전의 재료이고, 사례연구는 이 재료의 한 종류이다.13)

사례연구는 관찰의 보고 및 기록이고, 관찰은 어떤 시각과 관점이 없이는 이루 어질 수 없다. 이때 시각과 관점은 불가피한 선택이다. 포퍼는 관찰은 더욱이 관찰 진술이나 실험결과의 진술은 언제나 관찰된 사실의 해석이고, 이론에 비추어본 해석이라고 말한다. 뒤집어 본다면 이론(혹은 가설)이 없으면 어떤 의미 있는 해석 도, 관찰도 이루어질 수 없다는 뜻이다(최병선, 2006).

다음으로,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은 사회집단의 총체적인 문화(holistic culture), 즉 집단구성원들의 행위, 신념, 가치, 그리고 그러한 것들을 구성하는 문화적 요소들 을 종합적으로 기술하여 이해하고자 한다(남궁근, 2004). 이 경우 특정 민족집단, 원시사회, 갱(gang)집단과 같은 특수하위집단을 대상으로 심층연구하기 때문에 전술한 사례연구의 범주에 들어간다.

문화기술적 방법에서는 인간의 행위는 맥락적 성향(contextual orientation)이 있 다고 본다. 즉, 인간의 행위는 사회문화적 환경의 맥락에서 형성되며 모든 인간사 는 문화와 분리될 수 없다는 의미이다(남궁근, 2004).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사회 문화적 유형이 행위자들의 활동을 어떻게 규정하는가에 관심을 갖게 되며, 활동 이 일어나는 상황과 조건들에 집중한다. 문화기술적 연구는 양적 연구와는 달리, 사전에 연구가설을 명확하게 설정하지 않고, 자료를 수집하면서 연구가설을 명확 하게 하고 이에 따라 연구전략을 수시로 수정하는 전형적인 질적 연구방법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남궁근, 2004).

질적 연구 방법론의 의미 있는 또 다른 전통으로서,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꼽지 않을 수 없다. 근거이론 접근법은 수집한 자료로부터 귀납적으로 이론을 개 발하는 방법이다. 연구자는 자료를 수집하고, 그 자료에 기초하여 가설을 설정하 고, 그 자료를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며, 이론을 개발하려고 시도한다(이종규, 2006). 이렇게 개발된 이론이 근거이론인데, 이는 이론이 특정한 상황에서 도출되 었고 그것에 직접 근거(grounded)하기 때문이다. 근거이론의 연구 절차는 매우 엄 격한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근거이론 방법을 개발한 Glaser와 Strauss는 근거이론 연구의 일곱 가지 주요단계를 제시했다.(남궁근, 2004:317~320)

첫째, 관심주제 선정를 선정한다. 중요한 것은 근거이론 연구에서는 미리 설정 된 가설을 가지고 연구주제를 선택하지 않고 연구를 시작한다. 이렇게 이미 시작 한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자료로부터 비로소 가설이 도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반 드시 가설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두번째로는 연구목적을 결정해야 한다. Glaser와 Strauss는 근거이론의 목적을

초기증거의 정확성 평가,

경험에 기초한 일반론의 확립,

개념의 확인,

기존이론의 검증,

새로운 이론 형성

등 다섯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이 중 어느 것 을 연구목적으로 해도 좋은 논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하고 궁극적인 것은 새로운 이론 형성이다.

세번째로 연구대상 집단을 선택한다. Strauss와 Corbin은 이를 이론적 표본추출 의 문제라고 불렀는데, 이는 연구주제에 관한 상당량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대 상을 선택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연구대상의 크기는 연구목적이나 자 연상태의 (연구대상가능) 집단의 크기에 달려 있다. 표본은 미리 몇 개로 정하는 것이 아니고, 대략 몇 개 정도라고 생각하고 시작하는 정도이다. 실제로 표본추출 과정은 한 차례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연구가 진행되면서 새로운 표본을 추가로 선정한다. 필요에 따라 더 필요한 표본을 추가시키는 방법인 눈덩이(snow ball) 만 들기와 같은 것이다.

네번째로 실제로 연구자료를 수집한다. 이 때 자료는 인터뷰, 회의록 등 언어로 된 것이 지배적이다. 이를 풍부히 획득하는 것이다. 그런데 근거이론 방법이 가진 뚜렷한 특징 중 하나는 자료수집, 코딩, 그리고 해석 단계가 별개로 진행되는 게 아니라 동시에 진행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과정은 조사 시작부터 끝까지 상호 교 차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컨대 학위논문 논문프로포절을 할 때는 상 술한 3번째 단계까지 하고 가상적 설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초보적이나마 어느 정도 연구를 진행한 상태에서 하는 것이 더 확실한 방법이다.

다섯째, 자료의 개방된 코딩단계이다. 개방형 코딩은 자료분석의 첫 단계이며 그 궁극적인 목적은 범주를 발견하고 설정하는 것이다. 자료분석을 진행하면서 새로운 자료를 범주와 대비하여 검증함으로써 연구자는 범주를 종합하고, 단순화 시키고, 축소하여 핵심개념으로 정립해 나간다.

여섯째, 자료의 이론적 코딩으로 이론적 또는 선택적 코딩은 자료의 최종적인 구조를 확정하고 개념적 범주들을 중요성에 따라 순위를 매기는 과정이다. 연구 자는 소수의 핵심범주를 제시하고, 수집한 자료 중 이에 적합한 자료를 골라낸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모든 자료가 범주화될 때까지 계속한다.

마지막 단계는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는 과정이다. 연역적 방법이 아닌 귀납적 이론개발이기 때문에 연구자의 사유(speculation)능력이 연구의 질을 좌우한다. 이 와 같이 개발된 근거이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추어야 한다.

첫째, 이론이 연구 주제 및 학문분야와 부합하는 것이어야 한다.

둘째, 그 이론은 연구 상황의 참여자 들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그들에게 유용해야 한다.

셋째, 이론은 연구대상 영 역의 상당 부분을 설명할 수 있을 만큼 복잡한 것이어야 한다.

세 번째의 질적 연구방법으로는 행위 연구(action research)를 들 수 있다. Crozier (1964)의 행위연구는 인간의 행위를 체제론적 입장에서 연구하는 것이다.15) 행위 자의 생각보다는 실제로 행위한 결과만을 가지고 분석을 한다는 점에서 실증적이 면서 질적인 연구방법이다(임도빈, 2004;2009). 행위체제론에서는 조직구성원 개 인의 행위를 중시하여 실제로 일어난 조직의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여 조직인들의 전략과 조직인들이 벗어날 수 없는 제약점을 본다. 이를 통하여 일종의 반복적인 행위전략들의 총합으로서 행위체제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는 현실에 밀접한 근거 를 둔 조직분석으로서 개인의 생각을 중시하는 포스트모던식 조직이해와는 구분된다. 즉, 주관성을 강조하는 질적인 방법론과는 달리 이런 점에서 행위체제론은 실증적이면서 객관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네 번째로 행정학에 있어서 현상학적 방법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도 실증주의 적 연구경향이 지배적인 한국행정학계에서 의미 있는 일이다.

최근에는 사례조사가 현상학적, 비판이론적 방법론에 적합한 것으로 인식되어 그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Hummel, 1991:31-32; 박병식, 1993:26 재인용).

끝으로, 해석학적 관점은 중요문헌과 서적, 서면 등으로 전달된 의미를 해석하 고자 한다(안영섭, 1996). 해석학은 19세기 성서를 분석했던 독일의 신학자들에 의 해 시작되었다. 그 이후 법규, 고전문학작품 등과 같이 문헌류에 부여된 의미들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자료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이 시도되었다. 최근 사회과 학 연구자들은 성서해석에서 출발한 해석학의 응용영역을 확대하여 세속적인 문 헌을 해석하려고 시도한다(남궁근, 2004).

4. 좋은 질적 연구결과물의 요건

질적인 연구방법론에 입각하여 수행된 결과물에 양적인 결과물과 다른 기준으 로 판단해야 한다. 특히 학술지 논문심사에서 질적 연구방법론을 잘 이해하지 못 하는 심사자들이 맥락에 맞지 않는 평가를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런데 질적 연 구물이 논문이 되었든 보고서가 되었든 전형적인 표현형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론적 배경→가설→표본추출→가설검증→결론’ 으로 이어지는 전형적인 가설 검증적 양적 연구에 비하여 자유로운 편이다. 따라서 이런 기준으로 질적 연구물 을 판단하는 것은 학문발전을 저해하는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적 연구는 무형식에, 아무것이나 해도 되는 것은 아니다. 질적 방법론 나름대로 갖추어야 할 사항이나 조건이 있는 것이다. Lawrence F. Locke, Stephen J. Silverman & Waneen Wyrick Spirduso(2004:214~215)이 주장하는 질 적 연구물이 담아야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느 것을 연구했는가 연구대상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You should find a description of the provenance of the study and what is about). 연구대상의 독특성이 연구의 핵심이 되기 때문이다.

둘째, 정보(자료)가 수집된 맥락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 (You should find a description of the context in which the data were collected). 같은 정보라고 하더라도 그 의미나 가치가 맥락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셋째, 위와 같은 맥락에서 과연 누가, 무엇을, 언제, 어떻게, 왜 했는가에 대한 설 명이 있어야 한다. (You should find an account of what was done in that context)

넷째, 실제 획득한 1차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You should find presentation of actual data) 비록 지면의 제약이 있다고 하더라도 인터뷰 내용 등 1차 정보가 어느 정도 제공되어야 그 내용이 실감 있게 전달된다. 핵심이론부분만 서술하지 왜 인 터뷰 내용을 넣느냐고 지적하는 것이나, 아니면 저속한 용어를 학술논문에 넣는 다고 비판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16)

다섯째, 이런 과정을 통해 얻은 지식을 하나 또는 복수이상의 결론으로 요약해 야 한다. (You should find an explicit effort to summarize as well as articulate, one or several conclusion)

이상의 내용은 보통 양적인 연구에서는 익명성이나 주관성의 배제를 보장하기 위해 연구물에 포함시키지 않는 내용들이다. 반면 양적 연구에서 중시하는 가설 설정이나 표본의 대표성 확보문제는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질적인 접근법을 연 구물을 심사할 때 기고자와 심사자간에 갈등이 발생하는 것이 드물지 않은 것이 다. 질적인 연구방법에 이해가 부족한 사람은 질적 연구물에 대한 심사를 자제해 야 될 것이다.

그러나 질적인 연구가 제대로 되기 위해서는 외부 심사자의 기준보다는 연구자 자신의 윤리가 더욱 중요하다. 윤리성이 확보되지 않은 질적인 연구는 인권의 침 해는 물론이고 연구의 내용을 왜곡시키게 된다. 즉, 자칫 잘못하여 질적인 연구를 남용하면 거짓연구를 양산하게 될 것이다. 양적연구에 치우친 학계의 풍토를 감 안하면 질적 연구방법론의 확산도 중요하지만, 윤리성이 확보되지 않은 한국학술 풍토에서는 매우 주의를 요한다.

우선 연구자는 본인의 연구가 어떤 목적을 갖고 있으며, 그 연구에 누가 관심을 갖고 있고 있으며 이해관계가 있는지 등을 염두에 두고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모 든 학술연구가 연구자 윤리를 요구하겠지만, 질적 연구에서는 특히 연구자의 윤 리가 중요하다. 이는 질적 연구의 특성상 연구 대상에 대한 직접적인 면담과 관찰 등으로 인해 프라이버시 침해 등의 직접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 구대상자도 모르는 사이에 요즘 잘 발달된 녹음기구인 MP3기기와 같은 것으로 녹음하는 것은 명백히 연구윤리를 어기는 것이다.

연구진행과정에서는 질적 연구는 풍부하고 세밀한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분석 또한 이러한 세밀성을 활용하는 것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연구에 관련된 사람들 의 비밀이나 사생활권을 보호하기가 양적 연구에 비해 어렵게 된다. 질적 연구의 특성상 연구 대상자와 친밀한 관계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 경우에도 연구 자는 이러한 관계를 공식적인 목적을 위해 활용할 의도를 지닌 전문가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문제는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고민해야 할 부분이다. 더 중요한 것은 연구결과물의 발표단계이다. 연구결과물에서는 전술한대로 생생한 1차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요건과 연구자의 익명성과 정보비밀의 원칙을 확보 해야 한다는 상반된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더구나 연구자가 고의든 실수든 인 터뷰내용을 다른 맥락에서 사용함으로써 의미를 완전히 왜곡시킬 수 있다.17) 이런 오류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인터뷰나 관찰 대상이었던 본인들에게 연구논문을 읽히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당사자들은 자신이 한 얘기를 불리한 것은 삭제토 록 요구한다. 그러나 연구자와 대상자간에 충분한 대화를 통해 이를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질적 연구는 매우 노동집약적인 연구이기 때문에 실행하기 어려움에도 불 구하고 남용 내지 오용될 소지가 많다. 본인이 현장조사를 직접 해야 가장 신뢰할 수 있으므로 다른 연구보조자에게 현장조사를 대신하게 하면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데 심층면접이나 관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를 실제로 준수하지 않 고 마치 한 것처럼 거짓진술을 하는 경우가 생긴다. 예컨대 실제로는 3명 정도 인 터뷰를 했는데, 일반화가능성에 대한 비판을 피하기 위해 20명을 인터뷰했다고 과장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인 것 같다. 더 나아가서 하지 않은 말을 한 것처럼 꾸 며 내거나 문장을 의도적으로 바꾸는 행위도 드물지 않다. 사실 연구대상은 현실 은 이론과 같이 잘 정리된 것이 아니라 모순이 얽혀있는 복잡한 것이기 때문에 전 술한 부정합성의 원칙(The machinary of What Does Not Fit)이 많이 발견된다. 그런 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인터뷰를 더 하든지, 이론적 사유(speculation)를 하기 위해 시간을 충분히 갖지 않고 성급하게 연구결과를 발표하려 든다. 여기서 정보의 고의적 누락이나 선택의 문제와 왜곡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진정한 질적 연구를 진행하는 사람이 일 년에 서로 다른 주 제의 논문이 여러 편 발표되는 다산(多産)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렇게 실제로 이러 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한 것처럼 위장하는 것은 표절보다 더 무거운 도덕적 윤리적 기준에 어긋나는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연구윤리가 담보되지 않으면 질적 연구는 사상누각에 불과하고, 진행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낫다.

Ⅳ. 맺는말

일단 질적 연구가 활성화 된다는 전제하에 좋은 질적 연구 를 활용하고 감상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Lawrence F. Locke, Stephen J. Silverman & Waneen Wyrick Spirduso, 2004:216~219)

– 연구자의 특성에 대해서 얼마나 잘 알아냈는가? :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연 구대상과의 거리를 두고 객관적인 관찰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봄으로, 연구 자의 주관적 특성을 이해하고, 그것이 얼마나 연구대상(내용)에 영향을 미쳤는 가를 감안할 수 있도록 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소위 ‘객관적’인 내용과 아닌 것과 다른게 비중을 두어 이해할 수 있다.

– 실제 연구에서 얻은 정보를 지칭하는데 얼마나 자주 어떤 단어나 표현을 쓰는가 를 알 수 있어야 한다 : 즉, 어떤 실제 현상에 대한 명명(naming)이 중요하다. 실제 무엇이 일어났는가, 무엇을 실제로 했는가, 어떻게 그것이 작동했는가, 어디에 서 그런 것이 일어났는가 등에 대한 정보가 있다. 예컨대 인터뷰의 실행시 행위 가 일어난 시간의 차원에 주의해야 한다. 주요 정보제공자가 제공해주는 정보는 시간차원에서 혼돈적인 것이 많다. 예컨대 공식적인 계획이 마치 일부 실현된 것처럼 과장하는 경향이 있다. 흔히 정부의 보고문서에도 보면 앞으로 할 일, 아직 진행되고 있는 것도 마치 실적(實績)인 것처럼 포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 연구과정(연구방법이나 연구설계)에서 다른 대안을 얼마나 폭넓게 검토하여 특 정방법을 사용했느냐와 결과의 해석에서 얼마나 개방적으로 대안적 설명들을 충분히 찾았는가가 중요하다.

– 얼마나 생생하게 연구대상의 맥락, 참여자, 연구자, 사건에 대해 묘사했느냐가 중요하다. 양적 연구에서는 설명이나 해석에서 간결하고, 중립적이고, 명확한 표현이 바람직한 조건으로 꼽힌다. 그러나 질적 연구에서는 있는 그대로 생생하 게 표현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 요건이다. 1차 자료에서 얻은 것을 인용문 등을 적절히 제시하고 있는지를 보고 판단할 수 있다.

기획논문 「정부학연구」 제15권 제1호(2009): 155~187 원고투고일: 2009. 3. 15

원고수정일: 2009. 3. 29

게재확정일: 2009. 4. 10

질적 연구 방법의 내용과 적용전략:

양적인 질적 연구와 질적인 질적 연구*

1)임도빈**

이 글은 최근 행정학계에서 관심이 제고되고 있는 질적 연구가 무엇인가에 대해 깊이 있는 소개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흔히 질적인 연구라고 일컬어지는 것중 많은 부분이 양적인 질적 연구로서 협의의 질적인 연구와는 구분됨을 주장한다. 아울러 진정한 질적인 연구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를 한다. 즉 질적 연구가 가져야 할 요건, 질적인 연구를 해야 하는 이유, 질적인 연구의 구체적인 유형 등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구대상에 대해 얻은 자료를 계량화하는 방법으로 가공을 하느냐의 여부와 논문의 핵심 주장부분을 통계적 유의성 검증에 의존하느냐의 여부가 질적 연구인가 아닌가의 판단기준이 된다. 이런 기준에 의하면 계량적 실증적 연구에서부터 완전한 질적인 연구까지 다양한 연구유형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질적인 연구가 다양하고 광범위함에도 불구하고, 좋은 질적인 연구란 평가하는 기준이 양적인 연구의 평가기준과는 다름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질적인 연구는 무엇보다도 연구윤리의 확보가 치명적임을 주장한다.

주제어: 질적 연구, 연구기준, 연구방법론

키워드에 대한 정보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예시

다음은 Bing에서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예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ep 8.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

  • 한번에통과하는논문
  • 질적연구
  • 양적연구

ep #8.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


YouTube에서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예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ep 8.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 |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예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퀘사 디아 만들기 | 이름은 낯설지만그 맛은 익숙한~ 꿀맛 퀘사디아 만들기 저녁메뉴 추천 강쉪 8691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