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 연구 예시 |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모든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양적 연구 예시 –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S Lee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031회 및 좋아요 2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양적연구는 이런 숫자(수량)를 통해 연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시를 들어 우리가 서울시에 사는 청년을 대상으로 소득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알아본다고 생각해봅시다. 양적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연구자는 이것을 숫자로 바꿔 연구를 할 것입니다.

양적 연구 예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 양적 연구 예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양적 연구 예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

6. 양적 연구의 사례 … 양적 연구 방법은 자료를 계량화하여 객관적이고 정밀한 연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질적 연구 방법의 예시.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gif90.tistory.com

Date Published: 7/21/2021

View: 3289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 네이버 블로그

양적 연구는 숫자로 계량화(計量化)될 수 있는 자료를 사용해서 이루어지는 연구이다. … 이를테면,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성별과 음주량을 각각 파악 …

+ 여기를 클릭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1/27/2022

View: 349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식 – Siksam’s blog

양적 연구 기법들은 특정한 연구 사례들에 대한 정보만 만들어내며 더 포괄적인 결론들은 단지 가설일 뿐이다. 양적 연구 기법들은 이러한 가설들이 참 …

+ 더 읽기

Source: siksam.tistory.com

Date Published: 5/22/2021

View: 1180

양적 연구 논문 구성(예시) – UU

양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한 논문의 구성(예시). 1 서론. 주제의 중요성. : 시의성(최신의 트렌드임을 알림, 수치적 증명, 실용적, 미래적 가치를 알림).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yunaxxzz.tistory.com

Date Published: 1/10/2022

View: 1380

양적 연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적 연구 기법들은 특정한 연구 사례들에 대한 정보만 만들어내며 더 포괄적인 결론들은 단지 가설일 뿐이다. 양적 연구 기법들은 이러한 가설들이 참인지를 규명하는 데 …

+ 더 읽기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1/20/2022

View: 6588

COVID-19으로 인한 사회적 격리가 된 상황 속에서도 질적 연구 …

질적 연구 방법과 양적 연구 방법. 연구를 하는 실험 방법 중에는 대면 인터뷰와 현장 조사와 같이 직접 사람을 마주보고 조사하고 분석해야 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 더 읽기

Source: www.enago.co.kr

Date Published: 6/4/2022

View: 1469

4장. 양적 연구방법, 질적 연구방법, 혼합 연구방법의 비교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에서 용어의 개념화와 정의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볼 것임. 1. 서론. 양적 연구에서는 문제 … 측정의 단계 예시 (213쪽 참조). 4. 조작적 정의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mm.inje.ac.kr

Date Published: 2/12/2021

View: 879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양적 연구 예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양적 연구 예시

  • Author: S Lee
  • Views: 조회수 2,031회
  • Likes: 좋아요 21개
  • Date Published: 2020. 9. 16.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klGG6ZqtMn8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에 대한 쉬운 정리

사회과학 조사연구에서 자료 접근 방법에 따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로 나눌 수 있습니다. 특히 사람을 다루는 학문인 사회복지학에서는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둘의 의미를 명확하게 알아둘 필요성이 있습니다. 이에 본 포스팅에서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방법의 특성과 차이점 등을 되도록 쉬운 용어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양적연구(quantitative research)

우리가 흔히 양과 질이라는 단어를 씁니다. 여기서 양은 어떤 분량이나 수량을 의미합니다. 즉, 양이 많다는 것은 수량이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양적연구란 어떤 의미일까요?

양적연구는 이런 숫자(수량)를 통해 연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시를 들어 우리가 서울시에 사는 청년을 대상으로 소득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알아본다고 생각해봅시다. 양적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연구자는 이것을 숫자로 바꿔 연구를 할 것입니다. 일단 연구자는 청년 소득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웁니다. 그런 뒤 서울시 청년 1만 명을 대상으로 소득을 측정하고, 다음 삶의 만족도를 1~10점까지 바꿔서 측정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둘 사이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 여러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을 하고, 결론을 내립니다.

위의 예시가 사회과학에서 주로 쓰이는 양적연구 방법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즉, 특히 사회과학에서 양적연구는 이론을 통해 가설을 세우고 대상의 속성(변수)에 숫자를 부여하고 다양한 통계기법을 통해 그러한 가설을 증명하는 것을 말합니다. 물론 자연과학도 양적연구 방법을 활용합니다. 자연과학(또는 기초과학)에서는 다만 실험설계를 통해 좀 더 통제된 환경에서 양적연구를 실행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좀 더 어려운 말로 표현하면 양적연구는 경험적인 접근방법을 사용하며 대상의 속성을 계량적으로 표현하고 그들의 관계를 통계분석을 통해 밝혀내는 조사로서 실증주의적 인식론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객관성과 보편성을 강조하며 가설의 수립과 검증을 통해 진리를 밝힐 수 있다고 봅니다.

결과적으로 양적연구는 연구하려는 대상과 속성을 숫자로 바꿔서 계측하고, 연구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질적연구(qualitative research)

앞서 양적연구가 수량을 통해 연구하는 것이라면 질적연구는 무엇일까요? 이미 눈치채셨겠지만 양보단 질에 집중하는 연구입니다. 질적연구를 하는 연구자들은 서울시 청년 1만 명을 조사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연구대상의 일부만 보게 되는 편협한 결과를 생산한다고 비판합니다. 특히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과학은 더욱 심각한 오류를 낳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성별이나 나이, 학력 등의 요소를 통제한다고 하더라도 인간에게는 그보다 더 많은 요소들이 있습니다.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그날따라 한 청년은 기분이 우울해있을 수도 있고, 어떤 청년은 부모와의 불화로 화가 나있을 수도 있습니다. 즉, 인간에게는 소득 외에도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수많은 변수들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통계적으로 소득이 높으면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결론이 의미 있게 나왔다 하더라도 실제로 그러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갖습니다. 결과적으로 질적 연구자들은 이러한 양적 연구의 한계를 비판하고, 어떤 결론을 내리려 하지 않고, 소수의 사람들과 깊이 있는 관계를 통해 본질적인 의미만을 추구합니다.

따라서 질적연구 방법은 주로 소수의 집단을 연구하는데 자주 활용됩니다. 어떤 특수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찾아가 심층면접을 여러 번에 걸쳐 수행합니다. 또는 직접 어떤 집단 내부에 들어가 그들의 환경과 삶을 직접 경험하면서 탐구하기도 합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지진으로 인해 트라우마를 겪는 집단은 우리나라에서는 상대적으로 소수일 것입니다. 이 경우 양적연구를 통해 통계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연구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양적인 연구는 모집단과 표본집단이 많을수록 정확한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때에는 질적연구가 필요합니다. 그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과 인터뷰를 통해 다양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습니다.

양적연구방법과 질적연구방법 비교

두 연구의 특징과 차이에 대해 이제 어느 정도 감이 잡히나요? 좀 더 자세한 이해를 위해 두 연구방법을 비교하여 표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양적연구방법 질적연구방법 사회현상의 사실이나 원인을 탐구하고, 논리를 추구하는 실증주의적 입장 인간의 행태를 이해하는 현상학적인 입장 어떤 현상은 안정적이라고 봄 어떤 현상은 통태적이기 때문에 항상 변화한다고 봄 통제된 측정을 실시함(특히 자연과학 실험설계에서 많이 활용함) 비통제적인 관찰을 함 연역적인 연구 방법의 특징이 있음 귀납적인 연구 방법의 특징이 있음 객관적이며 일반화가 가능 주관적이며 일반화시킬 수 없음 대규모의 표본을 추출하여 분석을 시행함 소규모의 표본으로 분석을 시행함 어떠한 현상에 원리와 결과를 추구함 어떠한 현상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고 인과관계는 명확하지 않음 연구방법의 예로는 설문지 조사연구, 실험설계 연구 등이 있음 연구방법의 예로 관찰법, 면접법을 활용한 사례연구나 문화기술적 연구 등이 있음

지금까지 사회과학 연구방법에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특징과 그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해하기 쉽도록 전문적인 용어를 최대한 배제하고 예시를 들어 설명하려고 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이번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함께보면 좋은 포스팅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방법)

분류 전체보기 (337) 그냥… (8) From (140) 좋은글 (65) <좋은시> (11) 뉴스 (0) 공모-응모 (2) 건강 (6) Sports (1) 자기개발 (5) 웃어보자 (9) 방송 (0) COM&IT (12) 상식 (24) 영상 (0) JPG (1) ETC (3) Music (1) SW (0) 장애인 (77) 장애인 뉴스 (41) 보장구 (5) SCI (7) 정책&법률 (14) 기타사항 (8) 복지 (2) 한국방송통신대학 (105) 강의4-1 (0) OUN뉴스 (7) 학사일정 (37) 문제해결 (3) 조언 (15) 교육학과 (4) 강의록 (4) 기출문제 (3) 과제물 (6) 시험준비 (4) 자료들 (7) 사회복지사 (1) 좋은 강의 (0) 강의3-2 (0) 강의3-1 (0) 강의2-2 (0) 강의2-1 (0) 강의1-2 (0) Save (1) MUSIC (5) POP (1) K-POP (3) CLASSIC (1) MV (0) etc (0) GIF (0) LINK (0) leewon (0)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연구의 유형은 양적 연구, 질적 연구 그리고 두가지 방법을 혼용한 다중방법론 연구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양적 연구 (Quantitative Research)

수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특성을 포함하는 연구문제나 가설에 대해 답하거나 검증하는 탐구방법을 말한다. 실험, 상관관계, 설문조사 등의 연구 기법이 양적 연구에 해당한다.

양적 연구는 숫자로 계량화(計量化)될 수 있는 자료를 사용해서 이루어지는 연구이다. 경험적 연구는 자료의 성격에 따라 크게 양적 연구(quantitative research)와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로 구분되는데, 양적 연구는 다루어지는 자료가 양적인 경우(예, 서베이연구 및 실험연구의 통계자료)이며 질적 연구는 자료가 질적인 경우(예, 역사연구를 위한 서술적 기록물)이다. 이를테면,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성별과 음주량을 각각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수치화해서 분석하는 것은 양적 연구의 단적인 예이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는 서로 대조되는 장단점을 보유하여서, 양적 연구의 장점(계량적 통계분석을 통한 연구결과의 객관성 확보)과 질적 연구의 단점(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에 심하게 의지함으로 인한 연구결과의 객관성 결여)이 엇비슷할 뿐더러 양적 연구의 단점(피상적인 연구결과의 제시)과 질적 연구의 장점(심도 있는 연구결과의 제시) 또한 엇비슷한 경향이 있다. 현대 사회과학에서는 질적 연구보다 양적 연구가 훨씬 더 많은데, 이는 양적 연구가 반드시 더 바람직해서이기보다는 양적 연구의 단점보다 장점이 두드러지기 때문이다.1

양적 연구는 추상적인 개념을 관찰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경험적, 통계적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가설을 검증하거나 법칙을 발견하는데 유리하며 객관적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데 유리하다.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

질적 연구는 주로 탐구적인 연구로서 연구자의 직관적인 통찰로 현상의 의미를 해석하고 이해하려는 연구 방법이다. 주로 어떤 현상에 대해 근본적인 이유, 의견 및 동기를 이해하는데 사용된다. 잠재적으로 양적 연구를 위한 아이디어나 가설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된다.

질적 연구는 주관적 · 해석적 인식론에 근거를 두고, 되도록이면 인위적으로 조작되지 않은 자연스러운 삶의 세계에서 연구대상 스스로의 말이나 글, 행동, 그들이 남긴 흔적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해석하고 의미를 찾으려는 연구방법을 말한다. 2

질적 연구는 인간이 생활하고, 경험하고, 상호작용하는 등 인간의 삶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발견하는 것이 일차적 목적이다. 질적 접근을 하는 연구자들은 개인이나 단일한 환경, 한 집단의 문화적 모형과 관점, 한 집단구성원들의 일상적인 활동과 사회적 구조 사이의 관계, 상호작용을 통하여 습득하는 관점과 의미, 사람들이 경험하는 현상 등에 관심을 둔다. 양적 접근은 경험적 · 실증적 탐구의 전통을 따르는 입장으로서 사회현상을 어떤 형태로든 수량화하고 이렇게 수량화된 자료를 가지고 통계방법을 이용하여 기술하고 분석하는 연구전략인 반면에, 질적 접근은 현상학적·해석학적 탐구의 전통을 따르는 입장으로서 연구와 관련된 당사자들의 상호 주관적인 이행에 바탕을 두고 사회현상을 사실적으로 기술하고 해석하는 연구전략이다.

질적 연구에는 ①문화기술지(ethnography), ②해석학적 연구(hermeneutic research), ③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research), ④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 ⑤근거이론(ground theory), ⑥사례연구(case study), ⑦생애사(life history), ⑧내러티브 연구(narrative research) 등이 있다(Patton, 2002; Creswell, 2009).

①문화기술지는 문화인류학에서 발전한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서 집단의 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각 집단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그들만의 고유한 문화(생활양식, 사고방식, 행동규범 등)를 그들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과학적으로 기술하고자 하는 연구방법이다.

②해석학적 연구는 연구자가 사람들이 문화를 어떻게 해석하고 그것이 어떤 행위로 나타나는지를 그들의 관점에서 다시 해석하여 기술하는 연구방법이다.

③현상학적 연구는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를 묘사함으로써 현상에 관련된 인간 경험의 본질을 확인하는 연구방법이다.

④상징적 상호작용론은 인간의 사회적 행동이 상징에 대한 해석의 결과로 이루어진다고 보는 사회학에서 발전한 질적 연구방법으로 사람들이 언어나 몸짓으로 의미를 교환하고, 그 속에서 서로의 생각과 기대와 행동을 조정해 가는 사회화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⑤근거이론은 상징적 상호작용론에서 파생된 질적 연구방법으로 인간이 실제로 행동하는 모습을 근거로 하여 인간행동을 실질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찾아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⑥사례연구는 연구자가 어떤 프로그램, 사건, 행동, 과정, 한 명 이상의 개인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방법이다.

⑦생애사는 한 개인, 한 집단, 한 조직체의 경험과 그 경험 속에 녹아 있는 역사를 연구하는 방법이다.

⑧내러티브 연구는 연구자 한 개인의 삶을 연구하고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개인에게 그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제시해 달라고 요구하는 연구방법이다.

양적 연구와 구별되는 질적 연구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이종승, 2009).

첫째, 질적 연구에서는 아무런 조작을 가하지 않은 상황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을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즉, 질적 연구에서는 인위적으로 상황을 통제하거나 조작하지 않고 실제 세계에서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을 연구한다.

둘째, 질적 연구에서는 현상의 독특성, 다면성, 역동성을 있는 그대로 파악하기 위하여 자료수집의 방법에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관찰이나 면담을 통한 자료수집뿐만 아니라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자료는 모두 수집한다.

셋째, 질적 연구에서는 상황이나 현상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현상을 요소나 부분으로 분석하지 않고 총체성을 강조하는 관점에서는 전체란 부분들의 단순한 산술적 총합이 아니라 그 이상의 것이며 부분들은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만 의미를 갖게 된다고 가정한다.

넷째, 질적 연구에서는 결과보다는 과정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진다. 물론 결과도 소홀하게 취급하지는 않지만, 그러한 결과가 나오기까지의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보는 것이 질적 연구의 주된 관심사다.

다섯째, 질적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자료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일반화에 도달하는 귀납적 방법을 선호한다. 따라서 자료를 많이 수집하여 종합할수록 귀납적 일반화의 타당성은 높아진다.

여섯째, 연구대상자의 관점에서 의미를 추출하여 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현장 속에 들어가 연구대상자들과 직접적이고 개인적인 접촉을 하면서 그들의 외현적인 행동뿐만 아니라 가치관, 관점, 태도 등 내면적인 특성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일곱째,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를 수행하는 데 융통성과 유연성이 있다. 사전에 완벽한 연구설계를 작성하지 않고,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점차 구체화시켜 나간다. 연구설계의 융통성은 질적 연구의 개방성, 모호성, 불확실성에 대한 관대함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질적 연구는 참여관찰이나 심층면접을 통하여 인간행동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할 수 있고, 사실적이면서 자연스러운 인간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으며, 연구를 유연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자료의 기술과 해석에서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연구의 객관성과 신뢰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연구대상이 극소수이거나 특수 집단일 경우가 많아서 표본의 대표성에 문제가 있으며,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질적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연구자 자신이다. 연구자는 연구를 수행하는 주체인 동시에 핵심적인 연구도구이기 때문에 연구자의 연구역량 여하가 질적 연구의 질을 좌우한다고 볼 수 있다. 질적 연구의 자료는 관찰, 면담, 문서, 사진, 기록물, 그림, 비공식적 대화 등이 있는데, 대개 한 가지 이상의 자료수집 방법을 이용하며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이 관찰과 면접이다. 관찰의 방법에는 관찰자와 피관찰자의 상호작용 정도의 형태나 수준에 따라 참여 관찰, 비참여 관찰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한 연구에서 참여 관찰과 비참여 관찰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처음에는 비참여 관찰을 하다가 후반기에 참여 관찰을 할 수도 있다.

참여 관찰은 연구자가 직접 현장구성원들의 생활에 참여하여 그들의 행동, 언어, 습관, 상징뿐 아니라 참여자로서 경험한 것이나 느낀 것, 구성원들과의 그때그때 있었던 대화 내용까지 자료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관찰을 하면서 혹은 관찰한 후에 관찰 내용을 현장노트(field notes)에 정확하고 상세하게 기록해 두는데, 관찰하면서 보고 듣고 경험하고 생각한 것을 모두 기술하되 가능한 한 관찰 즉시 기록하는 것이 좋다. 시간이 흐른 후에 현장노트를 작성하면 사실과 다르게 적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장노트는 주변환경, 사람, 행동, 대화 내용 등에 관한 기술적인 측면과 연구자의 생각이나 아이디어에 관한 반성적인 측면으로 구성된다.

관찰을 통하여 얻을 수 없는 연구대상자의 가치관이나 과거의 경험과 같은 중요한 정보는 면접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질적 연구에서 면접을 통한 자료수집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면접 내용을 기록할 때는 제보자(informant)의 말을 그대로 적는 것이 좋은데, 제보자의 말을 바꾸어 적으면 그 뜻을 왜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장시간 면접을 하는 경우에는 제보자의 동의하에 면접내용을 녹음하는 것이 좋다. 녹음을 한 다음에는 녹음된 내용을 서면으로 정리한다. 수집된 질적 자료의 분석은 읽기와 메모하기에서 시작하여 기술하기, 분류하기, 해석하기의 단계를 거친다. 자료 속에 담긴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현장노트, 메모, 관찰자의 평 등을 읽는 것이다.

수집된 자료에서 연구의 결론을 도출해야 하기 때문에 자료를 여러 번 읽어야 하며, 처음 읽을 때는 중요하게 생각되는 부분에 밑줄을 긋거나 가장자리에 자신의 생각이나 의미를 기록해 두고 핵심 사항을 메모한다. 기술은 연구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그 안에서 일어났던 사건과 장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묘사하는 것을 말하는데, 발생한 사건과 상황, 과정,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 등에 대하여 자세하게 기술해야 한다. 기술을 통하여 연구자는 장면, 사건, 연구대상자의 여러 가지 측면과 관련된 자료를 분류하고 묶을 수 있으며, 보다 핵심적인 자료의 특성을 명확하게 묘사할 수 있다.

질적 자료를 기술한 다음에는 분류작업이 뒤따른다. 질적 자료를 정리하는 전형적인 방식은 자료를 이해하기 쉽게 범주화해서 분류하는 것이다. 끝으로 해석은 자료에 담긴 의미가 무엇인지, 즉 수집된 자료에서 중요한 주제나 의미를 찾아내는 것이다. 3

양적 연구는 관심 있는 사회 현상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양적 변인들 간의 관계를 통해서 인과관계를 설명하거나 일반적인 규칙을 밝히는 연구이다.

반면 질적 연구는 관심 있는 사회현상에 대한 구성원들의 의미(동기, 신념, 가치, 상황정의 및 해석)를 그들의 시각과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분석하되 주로 비수량적인 방법에 의존하는 연구이다.

양적 연구는 무엇보다 연구과정에 연구자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중립성과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크게 강조된다. 연구방법에서 연구자의 독자적인 판단이나 성향이 개입되지 않도록 엄격하게 연구절차가 정해진 실험, 검사, 측정도구, 설문지 등을 사용한다.

이에 반해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자 의 주관이 연구과정에 개입되는 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며 연구자 스스로가 주요 연구도구가 된다. 질적 연구에서 연구자의 주관이 연구과정에 작용하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는 것은 연구자 마음대로 아무렇게나 연구를 수행해도 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는 연구자의 학문적 배경, 성장경험, 성, 나이, 인종, 계층 등이 연구문제 설정, 자료수집, 분석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며, 연구자가 연구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냉철하게 인식하면서 연구를 수행할 것을 질적 연구자에게 요구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연구과정에 미치는 개인의 영향을 추적하고 반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이러한 능력이 바로 연구대상이 되는 다른 인간들의 행동과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동일한 능력이라고 질적 연구는 가정한다. 인간행위의 외적 행동만큼 내적 상태에 관심을 두는 질적 연구는, 내적 상태를 직접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행위자의 가정과 암묵적 동기 또는 상황 정의를 이해하고자 하며, 이는 연구대상과의 공유된 지식이나 경험 또는 정서와 신뢰를 기초로 질문하고 관찰하고 그 과정을 성찰해 나가면서 이루어진다. 더욱이 통제되지 않은 실제 사회에서 직면하게 되 는 여러 가지 예기치 않은 상황들에 대하여 유연하게 적응해 나가면서 연구를 수행해 나갈 수 있는 가장 훌륭한 도구를 인간이라고 보기 때문에 질적 연구에서 주요 연구 도구는 연구자 스스로가 된다.4

다중 방법론 연구. 혼합 방식 연구(Multimethodology)

Multimethodology 또는 Multimethod Research 연구라고 불리는 다중방법론 연구는 최근 각광을 받는 연구 방법으로서 양적 연구, 질적 연구 두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고 장점을 살리기 위하여 융합하여 연구하는 방식이다. 다중 방법론 연구는 조사 연구에서 데이터 수집과 같은 양적 연구와 하나 이상의 방법을 포함하거나 여러 가지 방법을 혼합하는 연구의 집합을 말하는데 질적 및 양적 데이터, 방법, 방법론 또는 패러다임의 혼합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한가지 방법만 수행하는 것 보다 구체적이고 더 심도있는 연구를 할 수 있다고 평가 받는다. 대신 이 연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양적 연구 결과와 연구자의 통찰이 적절하고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결론을 이끌어 내어야 하기 때문에 보다 더 정교한 연구 계획과 실행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다중 방법론’이라는 용어는 1980 년대와 1989 년의 책 “멀티 메소드 연구 : 존 브루어 (John Brewer)와 앨버트 헌터 (Albert Hunter)의 스타일의 합성”(Sage Publications)에서 시작되었다. 1990 년대와 현재, ‘혼합 방법 연구’라는 용어는 행동 과학, 사회 과학, 비즈니스 과학, 건강 과학 분야에서이 연구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다원적 연구 접근법은 1980 년대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체계적 분석 연구, 시스템적 분석방법(Systematic Analysis /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체계적 분석 연구 방법은 이미 나와있는 여러 연구, 조사, 논문 또는 자료(프로그램)를 수집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연구 유형을 말한다.

1. 교육평가용어사전, 김상욱, 2004. 5. 31., 학지사

2. 상담학 사전, 2016. 01. 15., 학지사

3. 상동

4. Schazman & Strauss, 1973; Hamilton & Atkinson, 1983; Glesne & Peshkin, 1992; Davies, 1999)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식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식

[자료 1]

양적 연구(量的硏究, 영어: quantitative research)

양적 연구는 사회과학에서 통계적, 수학적, 계산적 기법을 통한, 사회 현상의 체계적인 경험적 탐구를 가리킨다. 양적 연구의 목적은 현상에 관련한 수리 모델, 이론/가설을 개발하고 이용하는 것이다. 양적 연구는 심리학,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과 같은 사회과학 분야에 널리 쓰이며, 인류학과 역사학에도 쓰이지만 그리 자주 쓰이지는 않는다.

양적 연구 기법들은 특정한 연구 사례들에 대한 정보만 만들어내며 더 포괄적인 결론들은 단지 가설일 뿐이다. 양적 연구 기법들은 이러한 가설들이 참인지를 규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질적 연구(質的硏究, 정성적 연구, 영어: qualitative research)

질적 연구는 대상의 질적 측면에 주목한 연구이다.

질적 연구에서 처리되는 자료는 무형 자료라고 한다. 대상의 양적 측면에 주목하는 양적 연구와는 대비되는 개념이다. 인터뷰, 관찰 결과, 문서, 그림, 역사 기록 등 질적 자료를 얻기 위해, 사회학과 사회 심리학, 문화 인류학 등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다. 좁은 의미의 조사뿐만 아니라, 실험, 관찰, 면접 시험, 민속방법론(ethnomethodology), 문서와 그림의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대화 분석, 참여 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각종 현장 작업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는 조사 방법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사회에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생각할 수도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다양한 관찰 행위도 포함된다.

관찰은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는 대상(예. 유아)를 연구할 수 있는 방법이다. 사회학은 대부분의 경우 대상자에게 어떤 질문을 하게 된다. 배경 이론같이 적절한 분석 방법을 만들고자 하는 연구도 있다. 현재는 표준적인 분석법이 갖추어져 있지 않으며, 분석은 직관과 개인적인 느낌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뢰성과 객관성이 부족하다고 비판을 받는 경우도 많다.

이 기법은 대규모 사회의 전체 상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활용되기 어렵다. 전문가 또는 특정한 사람, 전형적인 사례에 대해 인터뷰와 관찰을 하는 등, 선행 연구가 적은 분야의 연구를 위해 탐색적인 예비 조사를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조사 대상의 인물과 역사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기록을 남길 목적의 연구로도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표준적인 분석 방법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거대한 사회의 극히 일부 밖에 보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이 연구방법은 주의가 요구된다.

[자료 2]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방법) 의미 경험적 자료를 수집하고 계량화하여 사회·문화 현상을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연구 방법 연구자의 직관적인 통찰로 사회·문화 현상의 의미를 해석하고 이해하려는 연구 방법 특징 – 추상적인 개념을 객관적인 관찰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념의 조작적 정의 과정을 거침 – 경험적, 통계적 연구 – 대화록, 관찰 일지, 비공식적 문서 등의 자료 활용 – 인간 행위의 동기와 의미 중시 목적 사회·문화 현상의 일반적인 법칙을 발견하거나 설명하고자 함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목적으로 함 전제

조건 – 자연현상과 사회·문화 현상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음 – 자연 과학적 연구 방법을 사회·문화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는 방법론적 일원론 주장 – 자연현상과 사회·문화 현상은 본질적으로 다르므로 자연 과학적 연구 방법을 가치 함축적인 사회·문화 현상에 적용할 수 없다는 방법론적 이원론 주장 – 사회는 행위자에 의해 구성되며, 개인들은 지속적으로 상호 작용을 함 절차 연역적 연구(두괄식) 방식으로 ⑴문제 인식 → ⑵가설 설정 → ⑶연구 설계 → ⑷자료 수집 → ⑸자료 분석 → ⑹가설 검증 → ⑺결론 도출 * 연역적 연구 방식이란 어떤 문제를 인식하여 가설을 설정한 후 예상되는 관찰 결과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가설과 함께 검증하는 탐구 방법 귀납적 연구(미괄식) 방식으로 ⑴문제 인식 → ⑵연구 설계 → ⑶자료 수집 → ⑷자료 처리 및 해석 → ⑸결론 도출 * 귀납적 연구 방식이란 가설 설정의 단계가 없으며 많은 자료 수집을 통하여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으로 결론을 도출해 내는 탐구 방법 장점 – 가설 검증 및 법칙 발견에 유리 – 객관적이고 정밀한 연구 가능 – 주관적 의식에 대한 심층적 이해 가능 한계 – 계량화하기 어려운 영역의 연구에 부적합 – 인간의 의식과 행위에 대한 깊이 있는 접근이 어려움 – 연구자의 주관적 가치 개입 우려 – 객관적인 법칙을 발견하여 일반화하기 어려움

각 연구 방법에는 장 ‧ 단점이 있으며 어느 방식이 절대적이라고 할 수 없다. 연구의 행위자는 각 장 단점을 이해하고 특징들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자료 3]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방법의 <예시2>

1. 양적 연구 방법의 예시

: 부부간의 사랑을 수치화된 자료를 통해 분석 하는 양적 연구의 예시

2. 질적 연구 방법의 예시

: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 의식과 행동을 해석하고 이해 하려는 질적 연구의 예시

[출처] [자료 1] 위키피디아 – “질적 연구”, “양적 연구”

[자료 2] ZUM 학습 백과 –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방법” 을 토대로 정리

[자료 3] 예시 작성 – 나 (부정확성으로 삭제)

[자료 3] ZUM 학습 백과 –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방법”

양적 연구 논문 구성(예시)

양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한 논문의 구성(예시)

1 서론

주제의 중요성

: 시의성(최신의 트렌드임을 알림, 수치적 증명, 실용적, 미래적 가치를 알림)

: 학문적 가치(관련 논쟁을 제시, 학문적 논쟁의 여지가 있음을 알림)

: 연구질문 제시

주제에 관한 선행연구 흐름을 간략히 제시

: 선행연구의 흐름을 내가 구성해 몇 가지 지류로 분류

: 이 흐름에서 비어있는 곳을 발견, 제시해야 내 연구의 필요성을 밝힐 수 있음

: 여기서 선행연구자를 주어로 밝히는 것은 연구의 분류를 묶어내는데 좋지 않음

연구의 목적

: 연구의 목적과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을 제시

: 선행연구 흐름에서 밝힌 선행연구의 미비한 점을 제시

: 발견한 것은 서론에서 제시하지 않음

논문의 구성

: 2장, 3장 … 에서 무엇을 할지 밝힘

2 본론: theory building

주제의 정의

: 주제를 정의해 범위를 한정(조작적 정의)

이론적 배경 제시

: 이 과정에서 서론에서 밝힌 선행연구의 지류를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음

개념의 구체화

: 개념에서 개념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설계

: 선행연구에서 찾은 개념이 주제까지 이어지는 과정을 설계해 제시

(예: Elisa Hernando, Sara Campo (2017), Does the Artist’s Name Influence the Perceived Value of an Art Work?

마케팅에서 브랜드 가치 개념을 미술품 시장에서 작가의 이름에 적용하며

소비자 관점의 브랜드 가치 개념 제시

소비자 관점의 브랜드 가치는 구매를 유도하는지, 브랜드 가치만으로 구매를 하는지에 초점

소비자 관점에서 브랜드 가치의 기능과 유익을 제시: 불확정성을 줄이고 구매 후 만족도가 높음

작가의 브랜드 가치는 제품과 마찬가지로 품질과 만족에 영향

곧, 소비자 관점의 브랜드 가치가 중요하게 제시하는 구매 후 만족이 미술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제시

의 과정으로 이어지는 이론적 배경을 설계)

개념은

3 가설

개념과 개념의 관계를 가설로 제시

: 관계를 설명하는데 선행연구가 사용됨

: 개념 간의 영향 관계를 구체화

4 실증분석

데이터 제시

: 자료를 어떻게 획득했는지 ‘데이터’ 절에서 밝혀야 함.

: 1차 자료: 직접 설문조사로 획득 / 2차 자료: 기존 자료 활용(외부 기관의 조사 자료)

변수

: 종속변수(알고자하는 것)

: 독립변수(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것

: 통제변수(독립변수의 영향력을 확실히 하기 위해 통제하는 것, 가설에 포함되지 않음)

: 조절변수(moderating, 독립-종속의 관계를 증폭시키는 것, 통제변수가 가설에 포함되면 조절 혹은 독립변수가 됨)

: 매개변수(mediating, 독립-종속의 관계가 있어보이는 효과를 주는 것, 매개변수를 줄이면 독립-종속의 관계가 약해짐

분석결과

: 표 1(기술통계량: 표본수,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 표 2(상관관계분석, 각 변수를 쌍으로 묶었을 때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

종속-통제-독립 순서로 배치, 숫자는 기울기를 의미)

(예: 성별(2)과 예술적 관심의 상관관계는 0.25로 **매우 관계가 있음)

왕이페이 외 (2020), 쇼핑몰의 예술적 요소와 방문목적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표 3(가설검증표, 통제변수를 고려해 독립-종속의 관계를 보여줌)

(예: M0은 독립변수 투입 이전 기본 상태, M1-3은 각각의 가설)

왕이페이 외 (2020), 쇼핑몰의 예술적 요소와 방문목적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발견한 점

: 실증분석을 통해 발견한 독립-종속의 영향 관계를 재정리

연구의 공헌 및 시사점

: 학문적 공헌 / 실무적 공헌 / 정책적 공헌

: 저자의 의도

연구의 한계

: 연구의 한계가 발생한 사유

: 후속 연구의 가능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적 연구(量的硏究, 영어: quantitative research)는 사회과학에서 통계적, 수학적, 계산적 기법을 통한, 사회 현상의 체계적인 경험적 탐구를 가리킨다.[1] 양적 연구의 목적은 현상에 관련한 수리 모델, 이론/가설을 개발하고 이용하는 것이다. 양적 연구는 심리학,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과 같은 사회과학 분야에 널리 쓰이며, 인류학과 역사학에도 쓰이지만 그리 자주 쓰이지는 않는다.

양적 연구 기법들은 특정한 연구 사례들에 대한 정보만 만들어내며 더 포괄적인 결론들은 단지 가설일 뿐이다. 양적 연구 기법들은 이러한 가설들이 참인지를 규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COVID-19으로 인한 사회적 격리가 된 상황 속에서도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전세계는 2020년 1월 전후 중국에서부터 급속하게 퍼지고 있는 COVID-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서 유례가 없는 사회적 격리와 사회적 거리 두기를 목도하고 있습니다. COVID-19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상상을 초월하는 것이었습니다.

COVID-19은 다양한 학계의 연구들과 학회와 같은 모임을 일시에 정지하게 하였습니다.

COVID-19으로 인한 학계의 상황

개인 연구 뿐 만 아니라 매년 열리던 수많은 학회와 심포지엄과 공동연구들이 COVID-19의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로서 정지하게 되면서 연구자들은 당황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학교나 병원의 연구소들은 당분간 문을 닫고 그 곳에서 일하던 연구자들이COVID-19과의 사투에서 최전선에 선 의료진과 관련자들의 일들에 협력하거나 재택근무나 휴가로 시간을 보내게 되는 불가피한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그런 점에서 연구자들이 이 시기를 불행하고 불편한 시간으로만 여기지 말고 기존에 연구해서 얻은 결과들을 정리하고 결론짓고 논문을 쓰고 저널에 접수하여 출판하거나 결과 발표나 보고서를 위해서 준비하거나 작성하기에 좋은 시간으로 생각하는 것이 긍정적인 관점에 좋을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연구를 결론 짓기 위해서 검토해야할 기본적인 목록과 출판된 연구결과를 효과적으로 알리는 법과 연구자들을 위한 E-book을 살펴보는 것도 좋은 생각입니다.

질적 연구 방법과 양적 연구 방법

연구를 하는 실험 방법 중에는 대면 인터뷰와 현장 조사와 같이 직접 사람을 마주보고 조사하고 분석해야 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COVID-19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 대한 민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들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회적 거리 두기 또는 사회적 격리는 연구자들에게 어쩔 수 없는 크나큰 장애물이 아닐 수 없습니다. 많은 연구자들은 자료를 모으고 프로젝트의 설계를 다시 하는 데에 손을 놓고 있을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된 것입니다. 방역을 해도 틈만 생기면 집단 감염을 일으키는 COVID-19 코로나 바이러스가 언제까지 그 위력을 보일 지 예상하기 어렵기 때문에 앞으로 어떻게 연구를 지속해야 하는 지에 대해서 연구자들은 고심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서 이런 난감한 상황 속에서 연구자들이 어떻게 연구 자료들을 수집할 수 있을 지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같이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연구방법은 크게 질적 연구 방법(Qualitative research)과 양적 연구 방법(Quantitative research)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질적 연구 방법은 일차적으로 직접 수행하는 탐색적 조사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지만 연구 대상의 질적 또는 내면적 내용을 조사할 때 사용합니다. 반면 양적 연구 방법은 연구 대상의 양적 측면에 주목하여 계량화된 자료를 모으고 이를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방식입니다.

질적 연구 방법은 인간의 행동 자체와 인간 왜 그런 행동을 하는 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는 데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사회학, 사회 심리학, 문화 인류학 등에서 자주 사용하는 연구 방법입니다. 질적 연구 방법은 특히 인터뷰, 관찰, 역할연기 등을 통해서 언어적으로 대상으로 분석하고 전체 집단의 경향성을 이해하는 데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현재의 COVID-19 유행병으로 인해서 사람들과 직접 대면하기 어려운 상황에 민감하게 제약될 수 밖에 없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연구소가 문을 닫고 사람들을 직접 만나거나 실험이나 연구를 진행하기 어려움으로 인해서 양적 연구 방법이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 그나마 이 글에서 언급할 여러가지 대안들을 통해서 수행 가능한 질적 연구 방법을 고려해 보는 것은 연구자들에게 차선책으로 라도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여기서 사회적 격리 중에서도 연구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질적 연구 방법을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합니다.

사회적 격리 중에서 가능한 질적 연구 방법

질적 연구 방법의 중요한 수단으로써 연구 대상을 개인적으로나 집단의 형태로 직접 만나야 하는 대면 인터뷰나 관찰과 역할 연기 등은 더이상COVID-19으로 인한 현실적 문제로 인해서 불가능하기에 이를 대체 하는 방법으로 온라인을 통한 인터뷰나 관찰과 역할 연기를 연구자들은 알아보게 됩니다. 자료 수집과 작성을 위한 비디오 영상 채팅이나 문자 기반 채팅은 가상이지만 실질적인 사람들을 직접 만나야 하는 대면 인터뷰와 초점집단 인터뷰 (Focus group interview)를 대체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가상 공간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과 연구자가 만나게 되는 상황이기에 이는 직접 얼굴을 마주보고 대화를 하거나 관찰을 하는 것과는 분명히 다른 상황이라는 것을 연구자들은 인식해야 합니다. 연구자들에게 그에 따른 실질적이고 윤리적 문제점들이나 고려 사항들을 생각해봐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입니다. 2020년 4월 20일자로 LSEE Impact Blog의 Adam Jowett이 작성한 Carrying out qualitative research under lockdown – Practical and ethical considerations 는 이와 같은 고민에 대한 하나의 좋은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연구 대상이 인터넷 기반 기술이나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거나 인터넷이 연결이 원활하지 못한 환경에 있는 경우와 같은 제약들을 극복할 수 있다면 영상통화나 영상채팅을 통한 인터뷰는 대면 인터뷰를 가장 근접하게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일 뿐 만 아니라 거리의 제약을 넘어서서 자료들을 수집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온라인 설문 조사는 또 다른 대안으로서 폐쇄형 질문(Closed-ended question)이 아니라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을 하게 된다면 충분히 질적 연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물론 직접 상호 교류를 통해서 답변을 듣는 대면 인터뷰에 비해서 그 정보의 질은 떨어질 수 있지만 온라인 설문조사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많은 사람들에게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직접 연구 대상으로부터 정보를 얻어내는 일차적 연구(Primary research)와 같은 방법 외에도 이차적 연구(Secondary research)의 방법으로써 이미 수집되어 출판되거나 시연 되거나 방송된 정보를 다시 수집해서 분석해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사회의 각 분야의 대표적인 잡지나 저널들을 통해서 여러 주제들에 대한 정보를 손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방송미디어를 통해서는 초점집단의 연구 주제에 관한 토론을 하는 것과 같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자서전이나 개인 블로그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통해서는 일차적으로 연구 대상과의 인터뷰를 통해서 심층적으로 질적 연구 내용과 정보를 얻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또한 온라인 토론 포럼이나 소셜미디어를 통해서 전반적인 사회현상들을 연구주제로 다룰 수도 있습니다. 기록 보관소의 공개된 기존의 질적 연구 자료들은 연구자들의 다시 자신들의 연구 목적에 따라 수집되고 분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방법들은 무경험 연구자의 인터뷰나 어설픈 실험 디자인을 통해서 안게 되는 윤리적 문제들이나 실험 방법적 문제들을 피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질적 연구 방법이 갖는 한계점

질적 연구 방법은 사회적 격리 상황 속에서 매력적인 방법인 것은 분명하지만, 질적 연구 방법이 갖는 장단점을 모두 고려해 보는 것은 중요합니다. 질적 연구 방법의 자료와 결과를 일반화해서 분석하고 결론 내리기에는 그 연구 범위와 연구 내용과 그 연구 디자인의 한계가 분명히 있음을 인식해야 합니다. 또한 연구자가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있어서 유의미하게 연구자의 주관적인 편견이 끼어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특이 환자를 조사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의학 사례 보고(Case Report)는 하나의 대표적인 질적 연구 방법 예입니다. 확률적으로 극소수로 발생하는 질병에 관해서 연구할 때는 분명 좋은 방법이지만 양적 연구 방법을 통한 일반화된 결론을 얻는 과정과는 분명 다르기 때문에 연구자가 질적 연구 방법을 수행할 때 통계적 유의미를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어떻게 질적 연구 방법에 과학적 접근법을 어떻게 적용할 지에 대해서 고심해야 합니다.

Enago와 함께하는 학계의 COVID-19 극복 도전

지금까지 사회적 격리 상황 속에서 어떻게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해서라도 연구 자료를 모을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해보았습니다.

이와 같이 연구를 진행하거나 시작해야 하는 연구자들에게COVID-19으로 인한 위기는 좌절의 시간으로 다가올 수 도 있겠지만 이를 슬기롭게 극복해낸다면 오히려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어떻게 학계에서 COVID-19을 이겨낼 수 있는 지를 Enago를 통해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의과학과 그와 관련된 학문을 연구하는 연구자들과 일반인들을 위해서30개가 넘는 국제 저널들의 출판을 담당하는 선도적인 출판사들이 COVID-19와 관련된 모든 연구 논문들을 공개하도록 하였습니다. PubMed Central (PMC)에 공개된 논문들은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연구 결과를 직접 학회에 참여해서 발표할 수는 없지만 온라인으로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것도 연구자에 하나의 멋진 방법일 것입니다. 또한 Enago에서 COVID-19으로 인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연구자들을 돕기에 위해서 정보 제공 뿐 만 아니라 연구 결과의 편집과 출판을 무료로 지원하는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양적 연구 예시

다음은 Bing에서 양적 연구 예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YouTube에서 양적 연구 예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회문화(연구방법:양적 연구 과정) | 양적 연구 예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오미자 하루 섭취량 | \"오미자 제대로 먹는 방법과 숨겨진 효능 5가지!ㅣ(오미자 그렇게 드시면 다 헛먹는 겁니다!) 11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Leave a Comment